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자는 실패한 정치가인가?

        정용수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3 No.-

        이 논문은 공자가 노나라를 떠나 주유열국하는 과정에서 현실정치에 실패한 과정을 언급하 면서, 정치적 이상으로서 대동사회를 꿈꾸었던 것에 대해 다루고 있다. 공자는 여러 나라를 돌아 다니면서 당시의 제후들에게 자신의 정치적 이상을 펼치려고 노력하였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가 버렸다. 그러나 현실 정치의 벽이 비록 높다고는 하지만 공자는 정치가로서가 아니라 정치이념가로 서 대동의 이념을 꿈꾸고 있었다. 대동사회는 공적인 사회로서 모든 사람들을 공평하게 대우하 는 평등한 공화국가일 뿐만 아니라 심지어 홀아비와 과부, 고아나 불구자들 모두를 제대로 대접 하는 현대적 의미의 복지국가였다. 공자가 살았던 시기를 고려한다면 획기적인 발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공자의 정치적 이상이 비록 현실정치에 부딪혀 실패한 정치가가 되고 말았지만 그가 구상한 대동의 이념은 현대의 어느 정치이론이나 국가이론의 경지를 뛰어넘는 것이었다. 이에 필자는 공자가 정치적으로는 현실의 벽을 초월해서 자신의 정치이론을 구상한 탁월한 정치이론가라고 주장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cess of Confucius' failure to real politics in the process of touring many countries leaving behind his home nation Lu, and the dream of a great society as a political ideal. Confucius traveled to various countries and tried to spread his political ideals to the governors at that time, but he eventually returned to failure. However, even though the wall of real politics is high, Confucius dreamed of the ideology of Dae-dong as a political ideology, not as a politician. Dae-dong society was not only an equitable republic that treats all people fairly as a public society, but also a welfare state in the modern sense that serves all widowers, widows, orphans and disabled men. Considering the period when Confucius lived, it was an epoch-making idea. Although Confucius' political ideology has become a politician who failed to face real politics, his ideology has surpassed any modern political theories or state theories. Therefore, I argue that Confucius is an excellent political idealist who conceived his political theory beyond the realm of real-politics.

      • KCI등재

        장자와 역설

        정륜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6 No.-

        본 논문은 장자 철학에는 역설이 없는 것처럼 해석해 온 종래의 관점들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장자 철학이 본질적으로 역설을 갖고 있으며 그것이 각 주제에 일관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이는 장자 철학의 본질이 도에 있으며 도 자체가 역설적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장자 철학은 언어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 한 역설적 체계를 벗어날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개념(방편으로서의 개념)인 도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인간과 자연의 근원으로서의 도는 비유비무한 것이면서도 동시에 유무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무시무종한 것이면서도 동시에 시종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그것은 언어와 침묵을 초월하면서도 동시에 언어와 침묵을 포용하고 있다. 그래야만 도는 세계의 근원으로 기능하면서도 동시에 개별적인 사물에 내재한다는 사고가 설득력을 갖게 된다. 한편, 장자 철학은 감각이나 성심적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고 그것들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장자철학은 무분별지를 위주로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감각이나 성심을 비우면 무분별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의식이 등장하여 사물의 차별상을 제대로 보는 인식 기능이 등장한다. 따라서 장자 철학은 무분별이면서도 분별이고 분별이면서도 무분별인 지혜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다. 어느 한쪽만 가지고는 지혜라고 할 수 없다. 그리고 삶의 경우도 동일한 패턴이 적용된다. 무위를 기초로 하는 삶은 어떤 걸림도 없는 행위 즉, 대상에 대한 분별의식이 없는 행위를 요구한다. 이러한 행위는 대상과 하나되므로 물아양망의 입장을 취한다. 이는 자신과 세속이 상호 적당함으로 전화하는 것이므로, 세속을 떠나는 것이 아니라 분별의 세속으로 다시 돌아오는 것이다. 아니, 애초부터 그것들은 모두 하나였다. 그래서 장자철학은 궁극적으로 인간과 인간이 하나되고 인간과 자연이 하나되는 대동의 세계를 지향하는 것이다. This paper criticizes that there are no paradoxes in Chuang Tzu's philosophy, and claims that each of themes in his philosophy intrinsically has the paradoxical system. For Tao itself has the self-negational attribute. As far as Chuang Tzu' philosophy is expressed in words, the paradoxical system cannot be avoided. For Tao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ntity of his philosophy cannot be expressed in any logical language. Tao, as the source of man and nature is both <non-being and non-nothing> and <being and nothing>, and is both <non-beginning and non-ending>and <beginning and ending>. Also it not only transcends <la nguage and silence> but also embraces <language and silence>. And only so, it is persuasive that Tao functions as the source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dwells in individual things. On the other hand, Chuang Tzu's philosophy points out the limits of the sensory and selfish thoughts, and asserts to transcend them. When we think so, his philosophy only seems to assert an undifferentiated knowledge. But if we empty these wrong ideas from our egos, there will emerge not only an undifferentiated knowledge but also a new consciousness, through which we know the differences of individual things explicitly. Therefore we can think that his philosophy pursues the undifferentiated and differentiated knowledge at the same time. And the same patterns are applied to the problems of life. In the life based on the Wu Wei there are actions without any barriers, and therefore there are no discriminations. These actions are united with the trend of individual things, so that there are states of forgetting both subject and object. And since this is transformed into the situation appropriate for any circumstances, it is not escaping from, but coming back these worldly affairs. Chuang Tzu ultimately aims at living in the world that man and nature are all in the One.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최현덕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가 한국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진홍을 위한 인문치료” 라는 아젠다의 핵심적인 개념인 ‘인문치료’를 소개하고 있는 최희봉의 논문에 대한 논평문이다. 인문한국 사업은 현 한국 연구재단의 전신인 한국 학술진흥재단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정책으로 도입한 지원 사업으로서, 2010년 대동철학회는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관련 연구소 다섯 곳을 추계 학술대회에 초청해 함께 인문학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에 진행된 인문학 및 인문학 위기 담론을 염두에 두면서, 최희봉의 발제문에 담긴 다음과 같은 논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논의의 심화를 위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인문치료 사업 역시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기획으로서, 현실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진행된다면, 인문치료 사업은 인문학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될지 그리고 그 변화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라 부르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얼마만큼의 해결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을 기반 학문으로 하고 있는 ‘인문치료’가, 의학을 기반으로 하고 태동한 ‘의료인문학’보다 더 인문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론적 학술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사업으로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 실천적 활동이 핵심이 되는 사업을 수행해가는데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제약, 연구재단의 평가체제에 대한 대책이 있는가? 넷째, ‘병’과 ‘치료’의 개념이 전제로 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체계, 심신이원론적 인간관은 서구의 주류의학계에서 통용되는 것과 많이 달라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섯째,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려는 ‘인문치료’의 노력이 심리치료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즉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인문학적 지식이 그 과정에서 원용된다고 했을 때, ‘인문치료’에 있어서 보다 더 인문학적 색채는 어디에서 어떻게 주장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는 맥락에서 인문치료 사업이라는 실례를 통하여 인문학의 성격 및 의의를 보다 더 규명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article of Heebong Choi introduc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s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Sciences at the Kwangwon National Unviersity in the framework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was introduces as a counter-policy of the above foundation to meet with the situation defined as the 'crisis of humanities'. In October 2010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ltion invited five humanities institutes performing the research projects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to hold a symposium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umanities today. In this article I discuss several issues contained in the paper of Heebong Choi, being conscious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developped in the last twenty yea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discussions I rai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If the proj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was launched as a counter-measure responding the 'crisis of humanities', in what extend or in what aspect it could offer a solution? Could it provoke a change of humanities itself? In which direction? (2) In comparison to the 'Medical Humanities' which has the medical sciences as its scientifical basis, does the humanities play more essential role in the 'Humanities Therapy'? In what sense? (3) The humanities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as the assumption of the humanities as theoretical activity. However, the 'Humanities Therapy' has its place in the 'praxis'. Is there a counter-measure for a possible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t notions of the activities of humanities. Could it cause an excessive burden to the staff due to the competi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research foundation? (4) The system of the conception presupposed in the concepts of 'disease' and 'therapy', especially the view of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 mind-body-dichotomy seems not so much different as that of the Western orthodox medicine. Isn'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based on humanistic reflec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ies Therapy' and the psychotherapy? Where can we find the aspects more rooted in the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Therapy'? These questions are intended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in the face of the situation of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유교 이상사회론에 대한 연구 - 『예기』 「예운」편의 대동사상을 중심으로 -

        김상현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8 No.-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주요 사상이라고 할 수 있는 유교의 이상사회론에 대해 철저히 연구함으로써, 일차적으로 유교사상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공동체관이 무엇이며, 그러한 공동체에 적합한 올바른 리더(leader)의 모습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자본주의와 민주주주의라는 두 체제에서 기인하는 현대사회의 각종 문제를 유교적 관점에서 해소할 수 있는지,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모색할 것이다. 논자는 이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먼저 『논어』와 『맹자』, 그리고 『서경』을 중심으로 유가 경전을 검토할 것이다. 그 경전에 등장하는 유교 공동체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교에서 생각하는 바람직한 공동체의 리더상이 어떤 것인지 규명한 후, 이어서 『예기』 「예운」 편에 나오는 유교의 이상사회론에 해당하는 대동사상을 철저하게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유교에서 말하는 바람직한 공동체관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공동체를 이끌어 갈 리더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논의를 토대로,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유교의 이상사회론에서 대안을 탐색할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different problems of the present age caused by capitalism and democracy from a Confucian standpoint. This work is accomplished through articulate analyzation of the theory of the ideal society of Confucianism. To carry out this purpose, I first research the origin of community from the standpoint of the Confucian thinker. Through it all, I examine closely the desirable leader of community that Confucianism pursues. Then, I clarify that the leader of a Confucian community, namely the monarch, is authorized by the people as sovereign. Further, I demonstr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vassal is not homage but partnership, that is, they communize the power that is authorized by the people. I then analyze the theory of a united society is described in other evaluations as the ideal society of Confucian thinking. This theory is in the chapter Liyun in Yueiji. Through this process, I demonstrate the following. First, the theory about ideal society of Confucianism concentrates on the publicity of power and criticizes the privatization of power. Second, the theory concentrates on job security to be able to get whoever can work to do the job. Finally, this theory concentrates on the realization of universal welfare in which we must support the weakest classes. Through this study, I'd like to find some alternative that could recover the weakness and limitation of capitalism and democracy that generates the present age via Confucianism.

      • KCI등재

        한국에서의 헤겔연구사 -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의 현황과 시대구분 -

        김윤구 대동철학회 2000 大同哲學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수행된 헤겔 연구 결과 모두를 취합분류하여, 선배학자들의 연구가 사장되지 않고, 후학들이 그와 같은 연구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겔 철학에 관해서 한국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모두 취합하는 데에 첫 번째 임무가 있다. 그래서 임차적으로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제17집에 헤겔연구문헌목록(학위논문과 단논문)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이번에 본 논문에 단행본으로 간행된 헤겔 철학에 관한 연구서와 번역본에 관한 목록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임무는 이 자료를 세분하여, 사장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필자의 헤겔의 이론철학에 대한 연구사라는 논문과, 그리고 공동 연구자인 이동희 박사가 정신현상학과 논리학을 제외한 헤겔 철학의 연구사라는 논문( 철학논총 제20집)을 참고해 주기 바란다. 그리고 본 연구에 부과되는 세 번째 임무는 이제 한국에서의 헤겔 철학에 관한 연구가 수용의 단계가 아니라 한국철학의 일부로서 재생산되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점에 관해 서는 헤겔 철학에 관한 기존의 연구 결과물에 대해서 본 연구와 같은 연구가 가능하다는 사실이 간접적으로 대답하고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한국에서의 헤겔 연구사에 대한 현황과 시대구분에 대한 반성이 따라야 하겠다. 이점을 우리는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가 가능하도록 많은 연구결과를 내어주신 선배학자들에게 감사드리며, 이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직간접적으로 협조를 아끼지 않았던 모든 분들과 학생들에게 감사드린다. Die Arbeit beabsichtigt, die in Korea veröfentlichten Arbeiten üer Hegelsphilosophie gesammelt und systematisiert zu haben, so daß sie von den Studierenden leicht gebracht werden. Aus der Absicht ergeben sich die fogenden Aufgabe der Arbeit : Erstens müsen alle Arbeiten darüer gesammelt haben, wozu wir die Literaturliste fü Dissertationen und Aufsäze in CHULHAK-RONCHON XVII veröfentlicht haben und die fü die Büher am Ende dieser Arbeit beigefüt haben. Um zu vermeiden, daß sie unbenutzt bewahrt werden, sind sie zweitens systematisch gut sortiert zu werden. Dazu schreibe ich den Aufsatz: Hegelsforschung in Korea - in Bezug auf 『Phäomenologie』 und 『Wissenschaft der Logik』-. Außerdem schreibt Herr Dr. Donghie RHIE dazu den Aufsatz : Hegelsforschung in Korea - außer 『Phäomenologie』und 『Wissenschaft der Logik』-. Drittens wird üerzeugt sein, daß Hegelsphilosophie nicht mehr zu importieren, sondern als eigenes Eigentum weiter zu entwickeln ist. Dafü ist diese Arbeit schon implizite ein Zeichen. Außerdem ist es nöig, üer die Lage und Epocheneinteilung der bisherigen Hegelforschungen zu reflektieren, welches in dieser Arbeit hauptsählich unterhalten wird. Zum Schluß möhte ich die zahlreichen Personen, die bei der Forschung geholfen haben, und die Leute bedanken, die soviele Arbeiten üer Hegel geschrieben haben, damit ich diese Forschung zustande bringen durfte.

      • KCI등재

        사회생물학 옹호: 새로운 종합과 지식의 통합

        이을상 대동철학회 2012 大同哲學 Vol.60 No.-

        이 글은 2012년 5월 4일 부산대학교에서 개최된 대동철학회의 춘계 학술대회에서 사회생물학 비판이 사회생물학의 기본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무지와 오독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반론을 제기한 것이다. 사회생물학에 대한 이들의 무지와 오독은 크게 ‘사회생물학의 학문적 성격에 대한 오해’, ‘통섭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오해’, ‘유전자-문화의 공진화에 대한 오해’로 요약된다. 이렇게 세 부류로 정리되는 사회생물학에 대해 오해를 불러온 것은 순전히 저들의 치기어린 아마추어리즘 때문이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여기서 아마추어리즘이란 ‘전문성의 결여’를 가리키는 말이고, 그렇기 때문에 저들의 비판도 사회생물학에 대한 무지와 오해에 근거했다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이 글은 근본적으로 이러한 아마추어리즘 비판에 초점을 맞추겠지만, 저들의 오독을 일일이 나열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저들의 오독이 위에서 열거한 세 개의 오해가 반복되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문에서는 위에서 세 부류로 정리된 저들이 잘못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사회생물학의 본래 의도를 밝히고, 나아가 저들이 오류의 늪에 빠지게 된 원인에 대해 성찰할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한편으로 사회생물학의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른 한편으로 올바른 (건전한) 사회생물학 비판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spring seminar with the title "Evolution is not teleological: Criticisms of Sociobiology" was held by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tion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4 May 2012. Papers read at this seminar are lacking originality, and criticisms of sociobiology are most of all caused by ignorance and misreading about original texts of sociobiology. Ignorance and misreading about original texts of sociobiology have resulted serious fallacies of interpretation of sociobiology, and these fallacies, I think, have to hinder the advancement of our learning. These fallacies are summing up as follow. Firs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scientific character of sociobiology, which indicate 'New Synthesis' deprived from modern Synthesis of Neodarwinists. Second, they misunderstood the meaning and method of consilience, which means only the unity of knowledge. They mistake consilience for reductionism. Third, they distort the fact of gene-culture co-evolution. So they criticize sociobiologists are reducing culture into gene. In the face of such a fallacies, I endeavor to reveal the original intention of sociobiologists and to find out the reason why a critic of sociobiology commits such fallacy. I am sure these discussions are contributing for us to understand sociobiology rightly, and they can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ound criticism of sociobiology.

      • KCI등재

        주자철학에서 도덕주체의 보편성 문제

        대동철학회 대동철학회 2001 大同哲學 Vol.12 No.-

        적어도 유가철학에서 말해지는 ‘도덕주체’는 심을 가리킨다. 20세기 중국어권의 유가철학자들이 현대의 시대 여건에 부응하여 재조명해 낸 전통의 유가철학에 따르면, 주자학에서는 도덕주체의 보편성이 확보되지 않는다. ‘심즉리’ 명제를 세운 양명학에서는 심이 형이상자이기 때문에 도덕주체의 보편성이 확실하게 확보되는 반면에, ‘성즉리’ 명제를 강조하는 주자학에서는 심이 형이하자인 기(��·��Ç)이기 때문에 도덕주체의 보편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이들이 문제를 제기하는 맥락을 요약하면, 양명학에서의 심은 형이상의 이심(��Ç��·��Ç��·)이고 이것이 도덕의 주체이므로 도덕적 선악의 근원이 확실하고 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의 분별이 확연해지는 데 비하여, 주자학에서는 심이 형이하의 기심(��Ç��·��Ç��·)이라서 이것이 진정한 의미의 도덕주체가 되기에는 한계가 있고 설령 도덕주체가 된다 해도 그 심은 근본적으로 기이기 때문에 개인들 간의 기질 차이로 인하여 보편성 확보가 안 되고 따라서 ‘완전한 도덕주체의 지위’를 갖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논의는 주자의 도덕철학에서 심이 갖는 지위와 역할에 등에 관하여 근원적인 이해를 해 나가는 가운데, 주자학에서 심의 소속층이 기인 점은 부인할 수 없으나 심의 기와 그밖의 다른 기와는 구별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주자학에서도 도덕주체의 선천적 보편성이 확보됨을 증명하는 논증이다. 주자철학에서의 심은 기심이기 때문에 각 개인들의 기가 갖는 선천적ㆍ후천적 편차(��·��Ç��·��Ç)로 인하여 도덕주체인 심의 보편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는 비판은 어디까지나 심즉리 진영에서 볼 때 그러한 것일 뿐이요, 주자의 사유세계 및 도덕철학의 구조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나온 것일 따름이다.

      • KCI등재

        왜 새로운 소설이었나?

        김남향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7 No.-

        본 논문은 대동철학회 제 13차 학술대회 - ‘21세기 세계 전망과 인문학의 향방’ - 의 문학분야에서 발표된 것으로, 1950년대 ‘소설의 혁명’으로까지 평가되었던 누보 로망이 왜 새로운 소설이었는지를 고찰해 봄으로써 주제와 인식에 있어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을 맞고 있는 21세기 문학의 향방에 하나의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는 먼저 누보로망이후의 문학의 흐름에 대한 고찰과 21세기 문학의 전망에 대한 연구가들의 견해를 검토하여 오늘의 문학이 처한 상황과 문제를 도출해 보고, 문제에 대한 하나의 대응방법으로 누보로망의 글쓰기에 대한 반성과 방법적 탐구가 일궈낸 비평적 글쓰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누보로망이후 프랑스 문학사에 운동(mouvement)이나 그룹(groupe)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으며 글쓰기는 개인화(individualisation)되어 자기 반영적 글쓰기(écriture utobiographique)의 흐름을 찾아 볼 수 있는 정도였다. 포스트 모더니즘이후 문학은 중심문학/주변문학, 고급문학/대중문학의 구분이 해체되기 시작하였고, 미적 전범에 대한 조야한 복사품, 모조품을 의미하는 키치(kitsch)의 문학화는 대량으로 유포되는 저급한 수준의 만화, 드라마, 포르노, 영화, 무협소설등의 대중문화를 문학으로 끌어들여 문학의 키치화를 우려케 하기도 하였다. 문학의 양적팽창을 수용하는 비평문학의 부재와 함께 그동안의 문학중심론과 문학우위론은 이제 위기에 처하게 되었으며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과 보급은 삶의 패턴, 사물에 대한 인식의 변화, 문화예술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쌍방향적이고 복합적인 멀티미디어 시대의 문학은 장르의 해체와 재구성은 물론이고 하이퍼 픽션, 인터액티브 예술, 멀티미디어 예술등의 등장으로 ‘지도 다시 그리기(re-mapping)'의 혁명적 지각변동 앞에서 자기 정체성의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누보로망은 급속도로 변하고 있는 세계와 인간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음에도 그것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는 글쓰기자체에 대한 반성과 비판의 움직임이었다. 누보로망 소설가들은 인식의 변화를 담아낼 수 있는 형식의 탐구에 천착하여 창작작업과 동시에 비평작업을 하여 소설작품과 소설에 대한 비평적 에세이를 발표하였다. 그들에 의하면 달라진 의미는 새로운 형식에 의해 서만 표현될 수 있으며, 의미들의 필수적 변화는 형식의 쇄신이라는 대가를 치러야 함으로 “개개의 소설가, 개개의 소설은 자기 자신의 형식을 창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기존 소설의 규약위반을 텍스트생산의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어떤 경우에는 창출해야 할 의미화작업보다 의미생산의 과정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리하여 독자의 주의를 텍스트에 의해 생산된 의미에서 의미의 생산과정으로 돌려놓음으로서 비평가에게 새로운 다양한 방식들을 제공하였다 문제의 방향을 무엇을 , ‘ 쓰는가’에서 ‘어떻게 쓰는가’로 돌림으로서 비평가는 텍스트의 의미를 찾을 뿐만 아니라, 의미화 과정의 방법과 이유를 찾아야 하는 것임을 확인시켜주었다. 소설비평으로서 누보로망은 과거의 작품들을 새롭게 다시 읽게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컨텍스트 속에 그 작품들을 다시 위치시키고, 의미생산으로서 글쓰기 재현물의 총체를 바꾸어 놓았다. 우리는 누보로망 작가들의 창작과 비평, 이론화의 작업에서 미래의 새로운 문학을 위한 길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제 다시 ‘새로운 소설’, ‘새로운 문학’을 고민하고 문학의 향방을 잡아줄 비평작업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Le Nouveau Roman fait qujourd'hui partie intégrante de l'histoire littéraire française. Reconnue très tot en-dehors de nos frontières, son influence sur la production contemporaine et son importance quant à l'évolution des techniques narratives et à la manière d'envisager le role de l'écrivain ne sont plus contestables. Alain Robbe-Grillet a longtemps fait figure de théoricien qui aurait synthétisé la substantifique moelle de sa propre entreprise et de celles de ses camarades : son role a plus été celui qu'un fédérateur qu'autre chose, permettant de catalyser les réactions passionnées suscitées pendant toute la seconde moitié du XXe siècle par une nouvelle générations d'écrivains, qui remmttaient en cause la nature meme du roman, les relations entre la création et le mode, la conception de l'homme et ses habitudes lectorales. Le Nouveau Roman est contemporain de l'expension des Sciences humaines à partir des années Soixante(linguistique, psychologie, sociologie, entre autres) et les études dont il a été l'objet par elles n'ont souvent fait que renforcer les griefs de l'opinion communément répandue à son endroit. Au XXe siècle, nous sommes entrés de plain-pied dans l'ère du soupçon et l'on ne peut plus guère avoir confiance en aucun système, y compris en celui du roman réaliste, postulant l'homologie de nature entre le texte et le monde, entre la représentation et son modèle, entre le signifiant et le référent, n'a fait que redoubler les illusions que l'homme entretenait sur le monde et sur lui-meme. La cohérence du monde échappe à l'etre humain, l'histoire ne peut donc plus avoir lieu et le récit s'élabore dans une des construction de la représentation qui n'est pas sans rappeler, sur le plan littéraire, le principe heideggerien du ab-bau. Les questions de structure s'imposent alors comme l'expression meme de ce que l'écrivain a à dire. La réalité que l'artiste explore ne peut etre exprimée par des formes narratives éprouvées, l'écriture multiplie les procédés de rupture qui empechent la constitution d'enchainements de cause à effet censés refléter la cohérence d'un univers devenu impensable sur le mode de la raison cartésienne. Aux procédés et aux conventions d'immédiate intelligibilité et de prétention à l'authenticité, les Nouveaux Romanciers substituent des textes dont la cohérence profonde ne se réduit pas à un axe directeur unique, mais réside dans l'agencement de structures narratives mobiles, marquées par des déboitements, des métalepses, des collisions, des interférences, des contradictions et des réemboitements, qui fonctionnent sur le principe de la jonction / disjonction. Les questions de structure sont donc bien au coeur du Nouveau Roman, qui ne se contente pas de réexploiter des schémas et des significations préétablis, mais les réinvente à mesure que le récit s'élabore, comme se construit peu à peu l'image d'un puzzle. Si le bon romancier était autrefois celui qui savait raconter une histoire, parce qu'il savait ce qu'il voulait dire, avec le Nouveau Roman, l'écrivain n'a rien à dire et il le dit mal, dans la mesure meme où il se met à écrire pour savoir pourquoi il écrit, dans l'imprévisibilité du travail à venir. La figure du chercheur se substitue à celle du conteur, parce que c'est le processus meme de l'écriture qui définit la nature et les significations de son propos. Comme le disait Lacan, seule 'la parole est la vérité', affirmant ainsi non seulement que le langage est la condition de l'inconscient, mais aussi que la vérité réside dans une expression individuelle, ce qui explique notamment chez les Nouveaux Romanciers, la prolifique diversité de leurs thèmes et de leur styles. Après s'etre détourné des schémas narratifs classiques, l'écrivain mène une quete, sa quete : de soi-meme et du trésor enfouide son inspiration, transposée sur l'aventure singulière du narrateur qui ne cesse de chercher, découvrant le monde dans et par l'écriture, tel Orion aveugle marchant vers le soleil levant.

      • KCI등재

        대중과 지성

        이윤복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2 No.-

        현대는 대중의 시대로 일컬어진다. 역사적으로 대중은 진보와 반동의 양면성을 띠고 등장했다. 대중의 평범한 일상은 역사적 변혁의 중추가 되기도 했지만, 서구에서는 파시즘으로 귀결되기도 했다. 그러나 형식적 민주주의의 시대에 ‘대중’은 결과나 징후야 어떻든 중요한 문제적 개념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동학에서 현재에 이르는 우리의 역사에서 볼 때 대중의 등장은 주목할 만한 사안이다. 앞으로도 대중의 시대는 지속될 것이다. 따라서 대중은 말 그대로 역사적 중추의 몫을 감당할 지표를 생산하고 그를 관철할 수 있는 내적 힘을 스스로 쌓아 나가야 할 것이다. 대중이 대중 추수주의로 귀결되지 않기 위해서는 대중의 의식적 각성이 동반되어야 한다. 즉 학습하는 대중의 등장이 그것이다. 학습은 개인적 방식과 집단적 방식,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자는 개인의 원초적 본능을 회복하고, 후자는 인간의 존엄을 몸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학습체력’의 강화로 대중은 역사적 의미를 획득한다. 학습체력은 내적인 계기뿐만 아니라 상호간의 학습효과를 통해 더욱 발전한다. 이는 전 인류적 과정에도 해당한다. 역사적 의미를 생성한 대중은 그 자체로 정치적 집단이 되고 역사적 흐름이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대중은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인간’이 된다. 대중이 인간적 속성을 획득하는 순간 긍정적 인간과 긍정의 역사가 열리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대중은 ‘대중지성’으로 전개되고, 대중지성은 상식을 동력으로 삼아 기존의 질서를 허물어뜨리는 존재가 되는가 하면, 그 지성적 성격으로 인해 권력의 건설에도 유의미한 부분을 담당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상식에서 비롯된 대중지성은 국가의 동맥경화를 해결할 촉매 역할을 한다. 상식과 대중지성은 지배질서의 창조자이자 파괴자이다. 대중이 인간으로서 존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계기도 여기에 있다. The present age is the era of the masses. Throughout history, the masses have appeared as two sides of progressive and reactionary. At times, the ordinary lives of the masses are the backbones of historical transformation, however, sometimes they have come up to the fascism in the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Anyway, in the era of perfunctory democracy, the 'masses' must be an important and problematic concept no matter its results or indications. The era of the masse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Therefore, the masses should produce the symbols to cover the historically pivotal role and have to build up a real inner strength that can accomplish them. It is necessary for the masses to be awakened in order not to fall into populism. The masses who realize their historical significance could become the public and thus they could be in themselves political groups and become historical mainstream. Furthermore those masses become the 'human beings' in the true sense. As the public are granted the human property, the moment of positive human and positive moment of history begins. Through this process, the public is being developed as a 'public intelligence' The public intelligence, powered by common sense, sometimes becomes what demolishes the existing order or can play a significant part in enabling the construction of power due to its intellectual nature. In this regard, public intelligence derived from common sense plays a catalytic role in solving the metaphorical atherosclerosis of the nation. Common sense and the public intelligence is the creator as well as the destroyer of the ruling order. Possibility for the masses to lead a life of dignity as human beings is also based on this common sense and the public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