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慈藏과 華嚴의 관련성 고찰‒ 中國五臺山 文殊親見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7 No.-

        The status of Hwaeom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is,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waeom and Jajang, who had traveled to Tang (唐) China. In the written texts passed down in Korea, the appearance of belief in Manjusri began at Wutaishan and is tied to the Hwaeom School. However, in 「Jajangjeon (慈藏傳)」, one of the most important texts of Chinese Daoxuan (道宣), there is no mention of Jajang traveling to Wutaishan (五臺山行). For this reason, arguments were sometimes mad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and Hwaeom had been embellished by the Hwaeom School (華嚴家). This paper reviewed the relationship between Jajang and Hwaeom based on a thorough analysis of historical biographical materials about Jajang and on newly-found data. Through this, it was clear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Wutaishan had already come far to Hagokhyun (河曲 縣) in Silla prior to Jajang’s traveling to Tang China. Furthermore, Wutaishan was already considered the “holy land” of Manjusri and a spritual field with different trace before Jajang. In addition, I found that, influenced by records about holy Buddhist sites and Wutaishan, Jajang made a pilgrimage to these sites and to Wutaishan. In particular, through a newly-found Founder Buddhist Monk Biography (「開創祖師傳記」) by Minji (閔漬), I found that Jajang left for Wutaishan in 642 and first visited 慈藏과 華嚴의 관련성 고찰 / 염중섭(자현) 289 Wutaishan’s Dongtai (東臺, Eastern Terrace). The reference to Dongtai is very suggestive in view of making a connection with Praise on Wutaishan (「五臺山讚」), which is a Dunhuang Document (敦煌文書). The research approach I used enables us to make a clearer judgment about Jajang’s trip to Wutaishan. This demonstrates that Jajang is connected to Hwaeom, and at the same time, this could be the real reason Jajang was attracted to the Hwaeom School. 한국불교사에서 화엄이 차지하는 위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의상이전에 入唐한 인물인 자장과 화엄의 관계가 주목되는 것은 당연하다. 자장에대한 국내 전승 자료에는, 화엄과 관련된 五臺山 文殊信仰의 모습이 강하게드러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1차 자료인 중국 道宣의 「慈藏傳」에는 자장의 五臺山行이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자장과 화엄의 관계는新羅下代의 華嚴家들이 윤색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본고는 자장의 전기 자료에 대한 치밀한 史料 분석과 새롭게 발견된 신 자료를 토대로, 자장과 화엄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먼저 자장이 입당하기 이전에, 이미 중국오대산의 불교문화가신라의 河曲縣에까지 들어와 있었다는 점, 그리고 자장 이전에 중국오대산이문수보살의 성지이자, 異蹟의 靈場으로써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었다는점을 분명히 하였다. 또 도선의 佛蹟巡禮와 오대산에 대한 기록의 영향으로, 자장이 불적순례를떠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오대산행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밝혀 보았다. 특히새롭게 발견된 閔漬의 「開創祖師傳記」를 통해서, 자장의 오대산행이 642년에이루어진 것이라는 점. 또 자장이 오대산의 東臺를 먼저 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중 동대의 등장은, 敦煌文書인 「五臺山讚」과 연결고리가 확보된다는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이상의 연구 접근을 통해서, 자장의 오대산행에 대한 보다 분명한 판단이가능하게 된다. 이는 자장이 화엄과 관련된 인물임을 변증하는 것인 동시에, 신라하대의 화엄가들이 자장을 끌어들이게 되는 실질적인 이유라고 하겠다.

      • KCI등재

        『지장경』의 중국 유행시기와 인도문화권 찬술의 타당성 검토

        염중섭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7

        『Kṣitigarbha-praṇidhāna-sūtra(地藏菩薩本願經)』 has a very important and unique position with regard to the vogue of Kṣitigarbha faith in East Asia. It is because the sūtra is establish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By the way, though the 『Kṣitigarbha-sūtra』 was translated by Śikṣānanda in early days of Tang Dynasty, it is not found in the Buddhist scripture list of Tang at all. Because of this, the suspicion about the translation by Śikṣānanda as well as the view that it was written in China during the late days of Tang or 5 Dynasties Age was strengthened. In this paper, such argument is questioned on the ground that the 『10-king sūtra(十王經)』 was written by Jangcheon(藏川) in the end of Tang Dynasty an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was already confirmed in 778 from 「Hwanhongi(還魂記)」 among Tunhuang documents.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between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afterlife must have been established before these documents, and this is the evidence pointing out the existence of 『Kṣitigarbha-sūtra』. In fact, there are many other evidences such as the record on 『Kṣitigarbha-sūtra』 in 「Daesan Oman Jinsin(臺山五萬真身)」 of 『Samguk Yusa』 written in around 730 and <Josanggi(造像記)> where the related items had been recorded after sculpturing the imag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since the middle of the Tang Dynasty and the prayer for happy afterlives increased a lot in it. This proves that 『Kṣitigarbha-sūtra』 was already popular in the early Tang Dynasty. When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bove evidences, it is highly probable that 『Kṣitigarbha-sūtra』 was translated by Śikṣānanda as in the traditi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comments about the Indian originals of 『Kṣitigarbha-sūtra』 in the 『Spiritual Experience on Statue of Kṣitigarbha-bodhisattva(地藏菩薩像靈驗記)』, and 『Kṣitigarbha- sūtra』 itself strongly includes the Indian cultural elements which emphasize the filial piety to mother. These also support that 『Kṣitigarbha-sūtra』 was not written in China but translated from the Indian original sūtra. 동아시아의 地藏信仰 유행과 관련해서 『地藏菩薩本願經』은 매우 중요하고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지장경』을 통해서, 지장보살과 사후세계와의 연결구조가 확립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장경』은 당나라 초에 實叉難陀에 의해서 번역되었다는 기록이 있지만, 당나라의 불교경전 목록에서는 전혀 살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차난타가 번역한 것에 대한 의심과 당나라 말에서 五代시기에 중국에서 찬술되었다는 견해가 힘을 얻게 되었다. 본고는 당나라 말에 藏川에 의해서 『十王經』이 찬술된다는 점. 또 敦煌文書인 「還魂記」에 778년에는 이미 지장보살과 사후세계가 연결되는 모습이 확인된다는 점을 통해서, 이와 같은 주장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즉 지장과 사후세계의 연결은 이들 문서보다 빠른 시기에 완성될 수밖에 없으며, 이는 『지장경』의 존재를 변증한다는 관점인 것이다. 실제로 『삼국유사』 「臺山五萬真身」에서 확인되는 730년경의 『지장경』에 대한 기록. 그리고 당나라 중기부터 地藏菩薩像을 조각한 뒤에 관련 내용을 기록한 <造像記>에는 사후의 冥福에 대한 측면이 급증한다. 이는 『지장경』이 당나라 초기에 유행되었다는 사실을 방증해준다. 이상과 같은 내용들을 결합해보면, 『지장경』은 전승과 같이 실차난타의 번역일 개연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또 『地藏菩薩像靈驗記』에는 『지장경』에 대한 인도 원본에 대한 내용이 있고, 『지장경』의 내용 역시 어머니에 대한 효를 강조하는 인도문화적인 요소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이는 『지장경』이 중국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인도적인 경전의 번역이라는 점을 추론해 볼 수 있도록 해준다.

      • KCI등재

        漢巖의 乾鳳寺와 奉恩寺 祖室 취임과 역할 -<禪院規例>를 중심으로 -

        염중섭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1 No.-

        In 1912, Hanam attained enlightenment at Woodooam in Mt. Maengsan. However, he began to get fame in September 1921 of the lunar calendar, when he was invited as the Josil of Geonbongsa Manilwon Seonwon(萬日院 禪院). Then, in 1923, he became the Josil of Bongeunsa Temple, and in 1926, he was appointed as the Josil of Odaesan Mountain, and served the Seonwon of Sangwonsa Temple for 26 years. In addition, he became the Gyojong(敎正) and Jeongjong(宗正) for a total of four times in 1929, 1935, 1941, and 1948, securing his status as a high priest representing the period during and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period of his Josil in Geonbongsa and Bongeunsa during which Hanam became famous in earnest. During this period, the most important document in understanding the methods and perspectives of Hanam’s Seonwon management is the <Seonwon Gyurye>. In this respect,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meaning of the <Seonwon Gyurye> secure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in that it promotes the understanding of Hanam’s management and guidance philosophy of Seonwon during the Geonbongsa and Bongeunsa period. In addition to this, this paper also reviews 3 events in 1925, the last year of his Bongeunsa Josil period: ‘rescue of 708 people in the Great Flood of Eulchuk year’, ‘Bongeunsa Sugye Beophoe(受戒法會),’ and ‘Jo Yong-myeong’s statement on Dongangeo(冬安居).’ 한암은 1912년 맹산 우두암(牛頭庵)에서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러나 한암 의 명성이 드러나기 시작하는 것은 1921년 음력 9월 건봉사 만일원(萬日院) 선 원(禪院)의 조실(祖室)로 초치되면서부터이다. 이후 1923년에는 봉은사 판전(板 殿) 선원의 조실이 되며, 1926년에는 오대산의 조실로 추대되어 26년간 상원사 선원에 주석하게 된다. 그리고 1929·1935·1941·1948년의 총 4차례에 걸쳐 교정(敎正)과 종정(宗正)이 되어 일제강점기의 전후를 대표하는 고승으로의 위 상을 확보한다. 본고는 한암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되는 건봉사와 봉은사 조실 기간에 대 해서 검토한 것이다. 이 기간 중 한암의 선원운영 방식과 관점을 알 수 있는 중 요한 문건이 바로 〈선원규례〉이다. 이런 점에서 〈선원규례〉의 의미를 체계적 으로 검토하는 것은, 한암의 건봉사와 봉은사 조실 시기의 선원운영과 지도이 념에 대한 이해를 촉진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 또 이와 아울러서 봉은사 조실 기간의 마지막에 속하는 1925년의 일로 기록 된 3가지 사건. 즉 ‘을축년 대홍수의 708명 人名 구제’와 ‘봉은사 수계법회(受戒 法會)’, 그리고 ‘조용명의 동안거(冬安居) 진술 내용’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다.

      • KCI등재

        금강산 楡岾寺의 연기설화 검토 ‒ 皇龍寺丈六尊像 설화와 五臺山 文殊信仰의 영향을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불교학회 2017 韓國佛敎學 Vol.83 No.-

        Yujeomsa was the first temple built in Geumgangsan, a typical holy mountain in Korean Buddhism. By the way, according to Minji (閔漬)’s Record on Yujeomsa Construction (楡岾寺事蹟記) which is stating the origin of Yujeomsa, Yujeomsa was originated from 53 Buddhist statues that had been sent from India by ships and its establishment year is remarkable as A.D. 4. This establishment year of Yujeomsa is 60 or more years earlier than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to China, and 40 or more years earlier than A.D. 48 when Heowhangok (許黃玉) sailed to Garaggug (駕洛國) for the spread of Buddhism, which is the most typical and earliest marine transmission story of Korean Buddhism. In this respect, the story in the 『Record on Yujeomsa Construction (楡岾寺事蹟記) is the most ancient record in the Korean Buddhist history. But, when we closely examine the Record on Yujeomsa Construction (楡岾寺事蹟記), we can see that the story of marine transmission of Buddhism is very similar with the story of Whangnyongsa Jangyuk (皇龍 寺丈六) of the Samguk Yusa in its structure and contents. Furthermore, in the record about the origin of Yujeomsa, we can find a lot of statements on Mañjuśri Bodhisattva. It suggests that the Odaesan, which had been already established as the holy mountain for Mañjuśri Bodhisattva, might have influenced the Geumgangsan near it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story of Yujeoms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searche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others based on them about 53 Buddhist statues ascribed to have originated Yujeomsa, the statue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Unified Silla Age. In this respect, we can safely say that Yujeomsa was influenced by Hwangnyongsa and Odaesan. In that both Hwangnyongsa and Odaesan have the common connection to Jajang (慈藏), this estimation can secure higher probability. 유점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聖山인 금강산에 첫 번째로 개창된 사찰이다. 즉 금강산의 시원이 바로 유점사인 것이다. 그런데 유점사의 시작을 기록하고 있는 閔漬의 『楡岾寺事蹟記』에는 유점사가 인도로부터 바다로 전래한 53불상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그 창건연대가 A.D. 4년으로 적시되어 있어 주목된다. 유점사의 창건연대인 4년은 중국의 불교전래보다도 60년 이상 앞선 것이며, 한국불교의 해양 전래기록 중 가장 빠르고 대표적인 駕洛國의 許黃玉에 의한 48년보다도 40년 이상이나 앞선다. 즉 『유점사사적기』가 전하는 내용은 한국불교의 역사에서 가장 이른 기록인 셈이다. 그러나 『유점사사적기』를 면밀히 검토해보면, 불교의 해양 전래는『삼국유사』의 「皇龍寺丈六」과 구조와 내용에서 유사한 모습이 확인된다. 또 유점사의 시원을 기록한 부분에는 문수보살에 대한 언급이 다수 존재한다. 이는 금강산 인근에 문수보살의 성산으로 먼저 개착된 오대산의 영향이 유점사의 개창과 관련된 연기설화에 영향을 미쳤을 개연성을 상정케 한다. 특히 유점사가 시작되는 53불상에 대한 일제강점기의 조사와 이에 기초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53불상의 조성연대는 통일신라이다. 이런 점에서 유점사가 황룡사와 오대산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특히 황룡사와 오대산이 모두 慈藏과 관련된 공통의 연결고리를 확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와같은 추정은 더욱 높은 타당성을 확보하게 된다.

      • KCI등재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觀音地藏竝立圖>의 기원과 내포 의미 검토

        염중섭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40

        The Buddhist paintings named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were created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resently, there are 4 paintings of 3 types created in the Late Goryeo and 1 painting created in 15C or early Joseon Era. This type of painting is peculiar in that such pattern is not found in Chinese and Japanese Buddhism. The Byeongjon(竝存, coexistence)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began to appear from the Wei, Jin, and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魏晋南北朝时期). However, in their coexistence of China, the positions of two Bodhisattvas were not constant. In addition, both the Bodhisattva did not stand up, but one of them stood up and the other sat down. By the way,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s> in Korea have the consistent pattern that Kṣitigarbha stands on the left and Avalokiteśvara on the right at all times. First, the pattern of the left-Kṣitigarbha and the right-Avalokiteśvara can be confirmed in <Amita Samjondo(阿彌陀三尊圖)> or <Amita Naeyeongdo(阿彌陀來迎圖)>, where Mahasthama-prapta is substituted by Kṣitigarbha. In other words, this shows the consistency that occurs in the emphasis of ancestor wor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Jujahag in late Goryeo period and the rise of Kṣitigarbha faith due to it as well as its combination with the Mita faith. Furthermore, the posture of standing along(竝立) can also be understood in connection with their appearance as rescuers in the contemporary painting <Inrowang Bosaldo(引路王菩薩圖)>. Finally, the Byeongnip of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can reflect the universal concept of East-Asian Buddhism as “present-Avalokiteśvara and afterdeath-Kṣitigarbha” that was in vogue since the middle of Tang Dynasty. Therefore, from the view point of Bodhisattva faith in Mahayanist Buddhism, <Avalokiteśvara Kṣitigarbha Byeongnipdo> can be considered as a solution of Late Goryeo Buddhism that responded to the time demands on the peace in both life and afterlife.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는 고려 말기의 불화가 3종 4점, 그리고 조선 초인15C의 불화가 1점 전해지고 있다. 그런데 이는 동시대 중국과 일본불화에서는확인되지 않는 한국불화만의 특수한 측면이다. 관음과 지장의 병존竝存은 중국의 위진남북조시대부터 확인된다. 그러나 중국의 병존에서는 좌우에 위치하는 보살이 일정하지 않다. 또 두 보살이 모두 서있지도 않으며, 좌상과 입상이 공존하기도 한다. 즉 병존과 관련된 다양한 양상이확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의 <관음 지장병립도>는 ‘좌-지장, 우-관음’과 ‘병립竝立’이라는 동일성이 확인된다. 먼저 좌-지장, 우-관음의 구도는 지장이 세지를 대체하면서등장하는 <아미타삼존도阿彌陀三尊圖>나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에서도 확인된다. 즉 이는 고려 후기 주자학의 전래에 따른 조상숭배의 강조와, 이로 인해강력해지는 지장신앙의 대두 및 미타신앙과의 결합 속에서 발생하는 일관성인것이다. 또 병립이라는 서 있는 자세 역시, 동시대의 <인로왕보살도> 등의 구제자적인 모습과 연관해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관음 지장병립도>는중국불교적 요소가 한국적인 변형을 거친 결과라고 하겠다. 끝으로 관음과 지장의 병립은 ‘현세-관음, 사후-지장’이라는 당나라 중기 이후동아시아 불교의 보편적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므로 대승불교의 보살신앙관점에서, <관음 지장병립도>는 삶과 사후의 평안을 모두 원하는 시대적인 요청에 부응한, 여말불교의 한 해법이었다고 하겠다. 즉 중국불교에서 선행한 병존의보편인식에 한국적인 시대적 요구가 반영되어 병립이라는 특수성이 완성되는것이다.

      • KCI등재

        경천사·원각사지탑의 취경부조에 대한 재검토 ―원자료와의 차이와 장면선택의 의미를 중심으로―

        염중섭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7 종교문화연구 Vol.- No.28

        The 10-story stone tower of Gyeongcheonsa established in 1348 was influenced by Lama Buddhism during Yuan’s interference age. In imitation of it, the 10-story stone tower of Wongagsa was built in 1467. By the way, two towers are noticed because of their peculiar shapes and reliefs carved at the bottom which tell about Hyeonjang going to India to get Buddhist scriptures. It is called Chuigyeongbujo with 22 scenes in to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stablishment date of two stone towers with peculiar structure and, upon this basis, to review the phase to emphasize the Chuigyeongbujo of bottom level. In its establishment date, the Chuigyeongbujo of Gyeongcheonsa tower was made before Seoyugi (Journey to the West) written by Oseungwun during the Ming Dynas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could become the background material related with Chuigyeongbujo of Yuan Dynasty. Based on this, it reviewed the reason to select 22 scenes in the Chuigyeongbujo. From the research, it can get three aspects: First, the relief had the intention to connect Emperor Taejong and royal family of Tang Dynasty. It is clear in that Taejong appears at 4 of 22 scenes and they are very essential parts of the relief. Second, it emphasizes ‘the Chuigyeong(taking the scriptures)’ as the purpose of Chuigyeongbujo and ‘the compensation (rewarding)’ after finishing the task. Finally, it shows the change of acceptance for the traditional Buddhist issues. It was checked through the analysis of ‘Jiyongbuin(地湧夫人)’ and ‘Honghaea(紅孩兒)’. 1348년에 건립된 경천사지십층석탑은 원(元) 간섭기 라마불교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이 석탑을 모사한 것이 1467년 원각사지십층석탑이다. 그런데 두 석탑은 형태적인 특이성과 더불어 기단부에 현장(玄奘)이 인도에 가서 경전을 구해오는 내용이 부조되어 있어 주목된다. 이를 취경부조라고 하는데 총 22장면이 존재한다. 본고는 특이한 구조로 되어 있는 두 석탑의 건립연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기단부의 취경부조에서 강조되는 양상을 검토해본 것이다. 경천사석탑의 취경부조는 제작연대상 명나라 오승은의 『서유기』가 성립되기 이전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원나라의 취경설화와 관련된 배경자료가 될 수 있는 측면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2장면이라는 취경부조의 선택 이유에 관해서 검토해 보게 된다. 이렇게 해서 드러나는 측면은 총 3가지이다. 첫째는 당태종 및 당황실과 연결시키려는 의도가 존재한다는 점. 이는 22장면 중 4개에 당태종이 등장하고, 그것도 핵심적인 부조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을 통해 분명해진다. 둘째는 취경부조의 목적인 ‘취경’(取經) 장면과 이러한 임무를 완수한 뒤의 ‘보상’(證果)에 대한 부분이다. 마지막 셋째는 기존의 불교신앙적인 측면에 대한 변화된 수용이다. 이는 ‘지용부인’(地湧夫人)’과 ‘홍해아’(紅孩兒)의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梵鐘 타종횟수의 타당성 고찰 -佛國寺의 須彌梵鐘閣을 통한 이해를 중심으로-

        염중섭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7 No.-

        The temple bell has been passed down to toll 33 times at dawn and 28 times at evening in tradition. It is same in both of temples and bell towers. Among them, 28 is acknowledged to have relation with 28 constellations with little objection. But, for 33 the tolling number at dawn, traditionally there have been two theories in Buddhism, causing a confusion. First, as 33 is the sum of 6 provinces in the samsara (hell + preta + beast + human being + Asura + 28 kinds of gods), it means the total living groups of the samsara. In the Buddhist world view, it takes the vertical part while the number 28 takes the horizontal part. In this respect, it is highly convincing. But this assertion that 33 is the combination of former 5 provinces and 28 heavens contains some uncertainty because ‘the number of 18 heavens in the rūpa-dhātu is different by traditions’ and ‘there is the 5 provinces theory except Asura.’Next, 33 is told to symbolize the Trāyastriṃśa which is the living place of Indra the Lord of the Earth[Heavenly Lord]. Its validity as Dharma on Buddha’s dignity and salvation of people can be supported by <Avataṃsakasūtra> telling that Buddha preached at the Indra’s temple in Trāyastriṃśa. By the way, there is an important building along with a related record in Bulguksa, which is noteworthy because it can give us a hint on the tolling number of 33. It is the Sumer Bell Tower named ‘beomyeongnu(泛影樓)’ in the present. The relic evidences related with it are supporting the second case. It enables us to make decision on the problem. That is, the 33 evening tolls of the temple bell match with the Buddhist courtesy to invite Buddha to Trāyastriṃśa in relation with the Sumer Bell Tower. It can be said that the tolls are symbolizing the reverberation of enlightenment for general people around the sacred gate. The greatness of Buddha lies in the practice of salvation for others. What is well symbolizing it in the temple is the bell, and its toll becomes the sound of truth. The 33 tolls of bell contains this kind of Buddhist symbolism. 범종의 타종횟수는 전통적으로 새벽에 33회와 저녁에 28회 치는 것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는 寺刹과 鐘樓에서 공히 통용되는 것이다. 이 중 28과 관련해서는 이것이 28宿를 상징한다는 것에 별다른 이론이 없다. 그러나 새벽의 타종횟수인 33에 관해서는 전통적으로 불교와 관련된 두 가지 설이 제기되고 있어 혼란을 보이고 있다. 그 첫째는 윤회의 세계 분류인 6道의 총합이 33(지옥+아귀+축생+인간+아수라+28종의 신들)이라는 점에 의해서 33이라는 숫자가 윤회의 全體群像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이는 불교의 세계관에 있어서 수직적인 부분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28수의 수평적인 측면과 더해져 높은 설득력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주장은 28天 중에서 ‘色界 18天의 수가 전승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과 ‘아수라를 제외한 5道說도 존재’하고 있어 前5道와 28天을 더한 33의 조합에는 불확실성의 문제가 내포되게 된다. 다음으로 둘째는 33이 地居世主[天帝]인 인드라가 사는 도리천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이는 붓다께서 도리천의 인드라 正殿에서 설법하신다는 『華嚴經』의 내용을 통해서, 붓다의 존엄성과 중생구제라는 설법적인 당위성이 성립될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런데 33의 타종횟수와 관련하여, 불국사에는 이를 가름할 수 있는 중요한 건축물과 기록이 전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현재 泛影樓로 되어 있는 須彌梵鐘閣이 바로 그것인데, 이와 관련된 유물적인 측면은 둘째의 경우를 방증하고 있다. 이는 본 문제에 대한 판단을 가능케 한다. 즉, 범종의 저녁 타종횟수인 33은 수미범종각과 관련되어 도리천에 붓다를 모시는 불교적인 法式과 일치하며, 이를 통한 法門의 두루한 중생교화 울림을 상징한다고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붓다의 위대성은 타자에 대한 구제의 실천에 있다. 이를 사찰 안에서 잘 상징하고 있는 것이 梵鐘이며, 그 소리는 곧 梵音이 된다. 33의 타종횟수에는 바로 이러한 불교적인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제바달다의 5法 고찰Ⅰ - 5법 중 ‘衣’와 ‘住’의 항목을 중심으로 -

        염중섭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제바달다의 파승가는 파법륜승이 붓다 재세시 밖에는 일어 날 수 없는 사건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불교사상 유일한 파승가라고 할 수 있는 중요한 사건이다. 율장 類의 전적들은 이러한 파승가의 핵심으로 5법의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것을 주된 문제로 파악하고 있다.율장관련 전적들이 파승가의 핵심을 5법으로 기록하고 있다는 것은 5법이 충분한 검토 의의를 확보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5법에 관한 현존 자료들은 파승가를 전하는 전적들에 그 항목만이 단편적으로 밖에 드러나지 않고 있어 그 의미 파악에 있어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본고에서는 5법에 대한 종합적 접근의 일환으로써 먼저 5법의 등장전적과 출입관계를 고찰한 후, 그 항목적 타당성을 정리하여 5법에 관한 명확성을 확보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5법의 항목적 출입의 정리와 아울러서 그것이 붓다와 어떠한 관점적 대립각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관해서 파악해 볼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바달다 파승가의 내포의의와 붓다 재세시의 교단적 상황에 대해서도 보다 폭넓은 입각점을 확보하게 된다. Considering that the cakrabheda must occur during the lifetime of Buddha, Saṅgha-bheda of Devadatta is the only Saṅgha-bheda in the Buddhist history and is important in that meaning. Documents related to the Vinaya Piṭaka describe 5 methods as the essence of this Saṅgha-bheda, reckoning them the main problem. As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Vinaya Piṭaka describe 5 methods as the essence of Saṅgha-bheda, it is meaningful enough to examine the 5 methods. But the present data on the 5 methods are remained only partially in the traditions of Vinaya Piṭaka. So, there is a difficulty in comprehending their meanings. In this study, as a way of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5 methods, we will first consider the occurring cases of this 5 methods and their contexts, and then check the validity for each item to establish the clear identity of 5 methods. Through this, we will come to understand the occurring contexts of 5 methods for each item and to find out in what concepts they came to be at odds with Buddha. Moreover, we will get a broader view point on the implication in Saṅgha-bheda of Devadatta and the situation of Buddhism during the lifetime of Buddha.

      • KCI등재

        초기 금산사(金山寺)의 계율과 신앙에 대한 태공 월주(太空 月珠)의 계승 및 구현

        염중섭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2 佛敎學報 Vol.- No.99

        Geumsansa (金山寺) was a central temple of Jaeunjong (慈恩宗) or Beopsangjong (法相宗) representing the Baekje region. The Geumsansa Temple secured a high status in Korean Buddhist history thanks to the active work of vinaya master Jinpyo. However, the record related to Jinpyo draws an attention because it contains fragmentary information about his teacher Sunje (順濟). It shows that Sunje was a Confucian monk who studied in the Tang Dynasty, and that he had a huge influence on Jinpyo's pursuit of śīla-vinaya (戒律) and the structure of his faith. In this paper, it is first summarized about Sunje, who has been seldom studied until now. Through this, it is first revealed that Sunje's teacher is more likely to be Seonmueo (善無畏), rather than Seondo (善導), who belonged to Pure Land sect of China. And it also made it clear that there was a dual structur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Maitreya-bodhi-sattva in the Chinese Buddhism when Sunje studied in China. In addition, it also made it clear that Sunje was influenced by Jajang (慈藏), a representative a vinaya master of Silla. This identification about Sunje is noteworthy in that the vinaya characteristics and double belief structure of Kṣitigarbha-bodhi-sattva and Maitreya-bodhi-sattva confirmed in Sunje are also seen in Jinpyo. More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śīla-vinaya and faith in the early Geumsansa Temple are clearly seen through Sunje. And finally, this study reviews the practices of Taegong Wolju, a modern high monk, and his inheritance of Jinpyo's ideology. In other words, Wolju was a modern practitioner of the traditional śīla-vinaya, jijang, and Maitreya of the Geumsansa. 금산사(金山寺)는 옛 백제 권역을 대표하는 자은종(慈恩宗[法相宗])의 중심 사찰이다. 금산사가 한국 불교사에서 높은 위상을 확보하는 것은 진표율사(眞表律師)의 활약 때문이다. 그런데 진표와 관련된 기록에는 스승인 순제(順濟)에 대한 단편적인 내용이 있어 주목된다. 왜냐하면 순제가 당나라에 유학한 유학승이자, 진표의 계율(戒律) 추구와 신앙 구조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 확인되기 때문이다. 본 고는 지금까지 연구되기 힘들었던 순제에 대해서 먼저 정리했다. 이를 통해, 먼저 순제의 스승은 중국 정토종의 선도(善導)가 아니라 선무외(善無畏)가 타당성이 높다는 점을 밝혔다. 또 순제가 유학했을 당시 중국불교의 신앙적인 측면에 지장과 미륵의 이중구조가 존재함을 분명히 했다. 이외에도 순제가 신라의 대표적인 율사인 자장(慈藏)의 영향을 받은 율사라는 점도 분명히 하였다. 순제에 대한 명확성 확보는 순제에게서 확인되는 계율적인 특징과 지장과 미륵의 이중신앙 구조가 진표에게서도 그대로 목도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즉 순제를 통해서 초기 금산사의 계율과 신앙이라는 특징을 더욱 분명히 정리해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대의 고승인 태공 월주의 실천행과 이분이 진표의 이념을 계승하는 측면을 검토했다. 즉 월주는 금산사 전통의 계율과 지장 및 미륵 신앙의 현대적인 실천자였던 것이다.

      • KCI등재

        정암사淨巖寺의 신앙구조 변화와수마노탑水瑪瑙塔의 건립시점 검토

        염중섭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2

        Known to be founded by Jajang, Jungamsa(a.k.a. seoknamwon [石南院] and salna [薩那]) is a bogung(treasure palace) temple(寶宮寺刹) that enshrines Buddha’s ashes(佛舍利). However, Il-yeon(一然) and Min Ji(閔漬) did not describe anything in their records about Jajang enshrining Buddha’s ashes in Jungamasa. This study identified the core of the religious structure of Jungamsa as founder faith(祖師信仰) derived from the cremation and burial remains of Jajang. Also, giving light on Sumano-t’ap and enshrinement of Buddha’s ashes as later additions, this study reviewed the changes in religious faith in Jungamsa and their sequence. Subsequently, the changes in the religious structure of Jungamsa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x periods: ① Three Kingdoms: Establishment of the founder faith after the cremation and burial of Jajang. ②Later Silla: Along with the reassessment of Jajang, Jungamsa was granted with an appropriate temple status. It is probable that Sumano-t’ap was constructed in this period. ③Early Goryeo: Jungamsa was undergoing changes. Sumano-t’ap was constructed at this time but Buddha’s ashes had not been enshrined yet. The center of religious faith was founder faith, based on which the religious precepts were mainly studied. ④Later Goryeo: Buddha’s ashes were enshrined in Sumano-t’ap which was subsequently renovated. Bogung(treasure palace) faith was established. ⑤ Joseon: The center of religious faith in Jungamasa was shifted from founder faith to bogung(treasure palace) faith. ⑥Middle of the 20th century: As Jojeonam(祖殿庵) was abolished as the center of founder faith, only bogung faith centered around Sumano-t’ap remained. 정암사石南院(薩那)는 자장慈藏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는 불사리佛舍利를 봉안한 보궁사찰寶宮寺刹이다. 그러나 일연一然과 민지閔漬의 관련기록을 보면, 자장이 정암사에 불사리를 봉안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본고는 정암사 신앙구조의 핵심이 처음에는 자장의 화장 및 납골納骨유적에서 비롯된 조사신앙이라는 점을 밝힌다. 그리고 수마노탑과 불사리 봉안은 후대에 부가되는 것임을 분명히 하고, 이를 통한 정암사의 신앙변화와 층위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렇게 해서 확인되는 정암사의 신앙구조 변화는 시대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총 여섯 단계로 정리된다. ①삼국시대: 자장의 화장과 납골 이후에 발생하는 조사신앙의 성립. ②신라하대: 자장에 대한 재평가와 더불어 정암사는 일정한 사격을 갖추게 되는데, 이때 탑이 건립되었을 개연성이 존재함. ③고려 초기: 정암사가 일신하는 시기로 이때 수마노탑이 조성되지만 아직 불사리는 봉안 되지 않음. 이 시기에도 신앙의 중심은 조사신앙이며, 이에 따라서 계율에 대한 학습이 주로 이루어짐. ④고려 말: 수마노탑에 불사리가 봉안되면서 수마노탑의 재정비가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보궁신앙이 정립됨. ⑤조선시대: 정암사 신앙의 중심이 조사신앙에서 점차 보궁신앙으로 옮겨짐. ⑥20C 중기: 조사신앙의 중심인 조전암祖殿庵이 폐사되면서, 수마노탑을 중심으로 하는 보궁신앙만 남게 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