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에 대한 정당화 논리 검토

        권혜정,홍후조 대한교육법학회 2017 敎育 法學 硏究 Vol.29 No.4

        Article 23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is not detailed the principals, procedures and processes of the curriculum, and the current curriculum can be amended whenever the Education Minister approves the Minister's approval. While the National Curriculum outlines and regulates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nationwide, the frequent revisions to the curriculum cause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and omission of learning contents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can be change frequently. A proposal for a national level committee that will be continued to lead the national educational process beyond the interests of certain subjects in the long run, which will be inevitably lead to the needs to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is intended to logically review the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First, it is the legal ‘propriet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Under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the Act on Govern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all be established and based on the rule of law, not governed by the rule of law. Second, it is ‘systematic’ of legislation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cess.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are insufficient and require systematic maintenance in relation to national education courses, such as the enact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ird, it’s the 'effectivenes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 Temporary president, there are limits to independent entities with advisory body or control of the Education Ministry Committee. Educational amendments should be substantially beneficial to the relevant parties and involved persons. Fourth, it’s the 'Flexible' from an educational standpoint. The Act should be flexible enough to act flexibly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age and reflected the education and social curriculum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national curricula, reflecting the educational and social nee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ifthly, it’s the 'stability' of the curriculum policy.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given sufficient time for education to be adapted by the education parties, and national importan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legislation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ittee, such as the minimum curriculum and revision cycle.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에는 교육과정 개정의 주체, 절차 및 과정들이 자세히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현행 국가교육과정은 수시 개정 체제로 교육부장관의 재가만 있으면 언제든지 개정을 할 수 있다. 국가교육과정은 전국의 초ㆍ중등학교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규율하지만, 불명확한 수시개정으로 인해 수요자들은 자주 바뀌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학습 내용의 중복 및 누락 등의 문제를 겪는다. 미래지향적이고 장기적으로 특정 교과나 세력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지속적으로 책임감있게 주도할 국가 수준의 위원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안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정당성에 대해 논리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타당성’이다. 헌법 제31조 제6항의 교육제도 법정주의 등에 따라 정치권력에 지배받지 않고 법의 지배를 바탕으로 국가교육과정위원회를 설치하자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관련 법령의 ‘체계성’이다. 현행 교육과정 관련 교육법규가 미비하며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교육과정 관련하여 법적으로 체계적인 정비를 필요로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위원회 설치의 법적인 ‘실효성’이다. 한시적인 대통령 자문기구나 교육부 산하 위원회로는 독립적인 주체로 한계가 있다. 교육과정 개정은 관련 당사자와 수요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적인 관점에서의 ‘융통성’이다. 법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유연하게 작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국가교육과정위원회에서 교육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과정 정책 및 국가교육과정기준 설정 등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육과정 정책의 ‘안정성’이다. 교육 정책은 교육 당사자들이 적응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하며 최소한의 교육과정 제ㆍ개정 주기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위원회 설치에 관한 법률 속에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교사 교육과정 운영의 현상학과 그 파르마콘

        서명석,김외솔,박상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1

        세상의 모든 것은 약성과 독성을 동시에 지닌 파르마콘이다.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 역시 약성과 독성을 동시에 갖는다.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은 신뢰성과 효율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국가의 검증 시스템을 거친 교육과정은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과정의 전달과 수용과정에서 실패 확률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감독이 용이하여 국가에서 정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데 능률적이다. 그러나 신뢰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맹신으로 미끄러진다. 그리고 효율은 교사와 학생을 획일화하고,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는 교사 교육과정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학교교육의 최전선에 있는 교사 교육과정까지 숨어 들어와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을 거중조정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에서 재단하고, 배달한 교육과정은 교사를 무기력하고, 수동적으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끊임없이 위협한다. 그러나 교사의 본질은 늘 고민과 회의를 통해 가르치는 존재이다. 그리고 상황과 맥락에 따라 변화하고 개혁하려는 능동적․확장적 존재이다. 이에 우리는 현재까지 인식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고, 새로운 사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단일의 궁극 현실과 이별하여 다원주의로 나가야 하고, 근대의 중앙집권적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 즉 교사는 국가 주도의 교육과정의 거대담론을 예의주시하며 재구축 내지 탈구축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The national curriculum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The national curriculum has positive aspects, concerning reliability and efficiency. As it is authorized by the nation, using the national curriculum reduces the possibility of failure in the course of education. The national curriculum is efficient when achieving goals set by the nation,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develop the national curriculum and control its implementation. However, because its reliability, teachers come to have blind faith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n the course of pursuing the efficiency, teachers and students are not regarded as unique individuals but as uniform ones. The national curriculum have an affect on teacher-training courses, which leads teachers to be affec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when implementing curriculum. The national curriculum which are designed and delivered by the nation can make teachers passive. It also prevents teachers from improving their professional ability. Today’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need to be taken away. As a conclusion, teachers will need to take a critical view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o reconstruct it.

      • KCI등재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 탐색

        유정애,김주완,황용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2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각 교과에서는 2007년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실태에 대한 파악도 없이 다시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에 처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1년에 수행될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초 연구의 성격으로,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에 대한 문서 체제를 평가하고 그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동안 제1차 체육과 교육과정부터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2007년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까지 8차례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을 진행해 오면서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주어진 문서 체제에 입각하여 각 교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이다.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정책이 수시 개정으로 전환되면서 각 교과에서도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를 다양화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 문서 분석, 심층 면담 등의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 성격 항 하위 구조의 구체화, 목표 항 체제의 재구조화, 내용 항 하위 요소의 다원화, 교수학습방법 항 하위 구조의 대강화, 평가 항 하위 구조의 명료화가 논의되었다. 이 결과는 차기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개선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육과 교육과정 문서의 내용을 보다 발전적으로 제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s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published in 2009, each subject matter has faced a difficult situation that should revis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2007 without having enough time to implement it in all school levels and doing previous research o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1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be published in the end of year 2011. In order to provide an essential and informative 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5 parts (introduction, objective, content,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o suggest future tasks for improving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To date, few attention was given to research o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because the document was being decided by a national curriculum committees, not a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committees. Recently, as the national policy in curriculum revision is changed, we can face flexible environment in order to seek various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depending on each subject matter. For this, multiple methods were used such as a survey,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s analysis. Thus, it is discussed specifying introduction, restructuring objectives, being iverse of content elements, simplifying teaching-learning, and clarifying evaluation. This paper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curriculum content as well as the curriculum document in physical education in the following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ork.

      • KCI등재후보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

        安載澈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한문교육논집 Vol.21 No.-

        이 논문은 미군정시대의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사적 변천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되었다. Ⅰ장에서는 논문의 집필동기, Ⅱ장에서는 중·고등학교 한물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Ⅲ장에서는 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중 ·고등학교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耐장에서는 위에서 논의되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결론 으로 삼았고, 앞으로 한문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로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기까지중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의 변천과정, 각 시기별증 ·고등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지도 내용,지도 방법 및 평가 항목 속에 나타나고 있는 한문문법의 내용 비교·분석·검토 등의 연구이다, 이 논문의 중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변천 교육과정기의 일정한 싸이클이 중 고등학교에 똑같이 형성된 것 같다. 대체로 교수요목기와 제1·2차 교육과정기는 한문 문법 교육의 '맹아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고, 제3차 교육과정기는 우리 한문과가 독립되어 한문문법 교육이 실시되는 터전을 마련하여 웅비하고자 하는 '개화기'에 해당한다고 볼수 있다. 제4차 교육과정기는 한문문법 교육이 체계화·조직화되고 펼쳐져 나아가는 '발전기'로 여겨진다. 제5차 교육과정기는 더욱 문법교육이 정비되고 다져져서 가장 발전되고 심화된 '융성기'로 볼 수 있으며, 제6차시기는 한문교과가 필수에서 선택 과목(재량과목)으로 되어, 5차보다는 문법교육이 좀약화되었지 만, '난숙기'라 생각된다. 7차 교육과정기는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에 한문과목이 필수 과목에서 제외되고, 문법교육도 6차보다 더욱 약화된 내용일 수밖에 없어, '노쇠기'에 해당한다 하겠다. 2.각 교육과정기에 나타난 한문문법 교육의 내용 비교 분석중 고등학교 공히 제3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교육과정의 각 영역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한다.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지도 내용' '지도 방법' '평가' 등의 영역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다. 제4차·5차 교육과정기에서는 '내용'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교수·학습 요소들이 상세하게 제시되고 있고,제6차·7차 교육과정기에서는 '지도 방법'과 '평가' 등의 영역에서 문법에 관한 사항들이 자세하게 진술되고 있다. 한문문법은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서 한문과 교수 학습 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한 축을 구성 한다. 좀더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의 구축에 있어,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은 제4차 5차 교육과정기의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한문문법에 준하는 정도의 내용구성은 되어야 한다. 즉,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의 영역 속에,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문법용어' 사용에 관한 진술은 한문교육과 유관한 학회나 단체가 마련한 '한문문법 통일안'에 근거한 용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조항이, '지도사항 및 유의점' 속에 반드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한문문법은 문장 독해를 원활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범위 내에서 예를 통하여 지도하되, 이에 필요한 문법 용어는 '한문문법통일안'에 제시된 용어에 따르도록 한다.'정도의 내용은 제시되어야 한다. 제8차 교육과정기에는 한문과 교육과정 속에, 위에서 논의되었던, 바람직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이 반드시 포함되어 구성되었으면 한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This thesis consisted of 4 chapters. In Chapter 1 writing motive was presented. Transi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which appeared in each National curriculum period for middle·high school were explained in Chapter 2. Each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period comparative analyzed in Chapter 3. Finally conclusion was made by arranging the contents discussed above and proposal for Chinese grammar education's ideal direction was suggested in Chapter 4. In this thesis, I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transition processes of Chinese grammar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subject from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for middle·high school and characteristics, goals, instructive methods, contents in Chinese grammar etc. The important matters are summarized below. 1. Trans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curriculum of Chinese classics subject It seems to be formed constant cycle of the curriculum similarly in middle·high school. The period of 'the era of teaching guidelines' and the 1st·2nd National curriculum corresponded with the 'beginning age'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generally. The period of 3rd National curriculum is regarded as 'enlightened age' from preparing operation of Chinese grammar education through separation. The period of 4th National curriculum is considered as 'growing age' for being systematic and expanded. The period of 5th National curriculum is seems to be more improved and most developed so it regarded as 'flourishing age. In the period of 6th National curriculum this subject changed from required to elective therefore grammar education had weaken than before but it considered as 'high time'. Therefore, in the period of 7th National curriculum subject was excepted from 'national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due to be an elective subject and then it is took as 'senile age'. 2. Comparative analysis on grammar contents of each curricula period Each area of curriculum concretized on the 3rd National curriculum generally. Contents about grammar appeared in 'instruction substance' 'instruction method' 'evaluation' area mostly.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teaching/study items were presented fully on 'contents' area. Items about grammar were explained in full on 'instruc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in the 6th·7th National curriculum. Chinese grammar is a important axis to construct methods and instruction contents in Chinese classics curriculum. For making more ideal curriculum, contents structure should be accord with the one which suggested in the 4th·5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at least. That is contents on grammar should be presented in curricula area of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methods' 'evaluation'. In notes for instruction and attention Grammar terms usage should be presented as an article that terms based on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by organization or society concerned with Chinese education by all means. e.g. it should be presented at least that instruct the Chinese grammar with examples for comprehension in helpful range, however grammar terms had better to comply with 'chinese grammar unification proposal' I hope that the curriculum for Chinese classics in the 8th National curriculum will reflect the above points for the effective grammar education certainly.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n Competency-Based English Curriculum

        Byeong Cheon Lee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9 영어어문교육 Vol.25 No.3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been a world trend in educational reform, and 2015 national curriculum employed the competences i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specific areas. In line with the competency-based national curriculum, var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alignment of the competences in general guidelines with those in subject curriculum, interconnectedness of competences among the compon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ppropriateness of the unified content matrix format in each subject in terms of applicability of the competences, and degree of specified description of the competences. In fact, some aspects of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has been criticized regarding the lack of respecting for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implications for raising applicability of national curriculum into local schools through analyzing general guidelines and English curriculum in two countries, Finland and Singapore, both of which employed competency-ba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draw three main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icular; classification and specification of competences, emphasis on how to teach with what to teach, and respect for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Further research is provided for raising applicability of the curriculum to schools through more in-depth international curriculum analysis.

      • KCI등재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의 수용과 굴절

        金成子(Kim Sung-Ja) 歷史敎育硏究會 2012 역사교육 Vol.121 No.-

        Whenever National curriculum was revised, it has been raised that the burden of student learning should be eased through lowering the difficulty and amount of educational content, the discourse about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The research team of developing general guidelines tried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reducing the number of semester course taken and the content of subject matter of National curriculum. The development team of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ccepted the demands of the research team about reducing educational content by way of 'reduced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was possible by parallel integr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slimming the form of documents in the History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t was hard to approve that amount of learning or educational content is substantially reduced through integration. In the analysis about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2010 History National Curriculum, despite slimming the form of documents in the History National Curriculum, it was hard to believe that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was accomplished. Thus, the discourse about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intended by general guideline which is the upper stage in the development work of national curriculum, was not implemented in the sub-step,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history textbooks.

      • KCI등재

        < 연극 >교과의 정립을 위한 교육과정편성 원리의 지향점 고찰

        구민정 ( Ku Min Jung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6 연극교육연구 Vol.28 No.-

        This study explores the purpose and principle of drama/theatre national curriculum formation which is newly included into national curriculum. The revised 2015 national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the past one in term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emphasizes creative integration among subjects, aesthetic sensitivity and sensibility to resolve the challenge and probl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atre/drama national curriculum is not to raise drama/theatre professionals but to improve students`` key competency which is provided in the entir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ursued "a creative and integrated leader" who owns aesthetic sensibility and communicative sill as the key competency. However, the subject, drama/theatre which is included into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has little study upon curriculum theory and drama/theatre as a subject. Thus, the newly devised drama/theatre curriculum is not systematic. The theatre curriculum is divided into "expression, experience, appreciation, cultural life" and suggest process-centered curriculum and assessment pitfalls to complement professional-centered curriculum. Yet, the current theatre/drama curriculum is likely to bring about confusion due to its incompatible aims. Specifically, the terms used in target standard of drama/theatre subject are not conceptually agreed so that they will result in confusion. Besides, another confusion, whether theatre curriculum deals with education in theatre/drama or education through theatre also needs to be discussed. Nevertheless, the drama/theatre curriculum should reflect ``competencybased curriculum`` purpose because the subject ``theatre`` is dealt with not as a selective curriculum for professionals but as a comprehensive one. It should be based upon how to raise ``a creative and integrated leader``. Under this purpose, the theatre/drama should be organically integrated into curriculum. Furthermore, target standard and contents of the subject should be embodied according to this ``key competency``. In order to respond to the rapid change of national curriculum, theatre/drama curriculum and theatre/drama as a subject should be studied. To establish drama/theatre as a subject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purpose, content, target standard and the meaning of enactment should be explained. In addition, the agreed concepts and terms should be determined. It is not yet mature for the current drama/theatre curriculum to meet the entire national curriculum which requires the cultivation of ``creative and integrated leaders``. More researches and studies are required on this matter.

      • KCI등재

        제6차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과정과 그 성격

        조성운 역사와교육학회 2022 역사와 교육 Vol.34 No.-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nature of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during the 6th curriculum period, which is relatively insufficient in research compared to national history education during other curriculum periods. This is due to the preconceived notion that the 6th curriculum succeeded the 5th curriculu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s characteristics. However,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curriculum for the national history subject, the so-called ‘People's view of history’ arose, which caused a great social controversy, so it can be said that society's interest in national history education was very grea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nd its nature at this time.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compilation has changed considering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iewpoint and national viewpoint, despite the fact that the national history curriculum at this time was based on reflec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cal academic community. However,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viewpoint and national viewpoint are ultimately the viewpoints of the government and vested interests. It can be said that this shows the nature of history education in this period as it i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table of content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dopted after numerous discussions and meetings were changed during the authoring process. This can be said to suggest that a third influence played a role in the authoring of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It is said that the curriculum, which was confirmed through a set procedure, was damag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is can be said to be a point to pay attention to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at this time. 본고는 여타 교육과정기의 국사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한 제6차 교유과정기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과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이는 제6차 교육과정이 제5차 교육과정을 계승하여 그 성격에 차이가 크지 않다는 선입견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이른바 ‘민중사관’ 문제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크게 논란이 발생할 정도였으므로 국사교육에 대한 사회의 관심은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 과정과 그 성격에 대한 구명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 시기 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음에도 불구하고 역사·교육적 관점과 국민적 관점을 고려하여 편찬 방향이 변화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역사·교육적 관점과 국민적 관점은 결국 정부와 기득권 세력의 관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이 시기 역사교육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수차례에 걸친 토론과 회의를 거쳐 채택된 교육과정의 목차와 내용이 집필 과정에서 변경된 경우도 확인된다. 이는 이 시기 국사교과서 집필에 제3의 입김이 작용하였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정해진 절차를 거쳐 확정된 교육과정이 집행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이 시기 국사교육의 방향과 관련하여 주의해야 할 지점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ㆍ초 연계의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의 비교ㆍ분석

        조상연,이주한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for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in terms of how connected they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mposition system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show that four of the eight areas were connected, showing a ratio of 50%.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guidelines or statem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show that thirteen of the twenty areas were connected, showing a ratio of 65%.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important references of the continuity on their adjacent school levels in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in all successive stages of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exactitude and consistency o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for the Nuri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Thir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and simplify the document system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s for the Nuri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Fourth, there is a need to promote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for the Nuri and the elementary curriculum. Fifth and six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ity between the guidelines or statement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views of assessment,’ in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documents.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두 교육과정 총론의 체계 및 진술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총론의 구성 체계(목차)는 전체 8개 영역 중 4개 영역이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50%의 연계 비율을 보였다. 둘째, 총론의 지침 및 진술은 전체 20개 영역 중 13개 영역이 연계된 것으로 나타나 65%의 연계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교육과정 총론 문서에서 모든 교육단계에 대한 연속성의 맥락에서 인접 학교 급과의 연계 필요성을 중요하게 언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총론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엄밀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를 체계화하고 간소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 총론의 지침 및 진술은 자율성과 책무성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와 여섯째, 누리과정과 초등교육과정의 교수ㆍ학습 관련 지침 및 평가 관점의 연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행위주체로서 역사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박찬교(Park, Chan Kyo)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이 글은 행위주체성이 비교적 잘 드러나는 역사교사들, 즉 ‘연구자로서의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본질’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인 분석은 연구자로서의 교사를 ‘연구자-실천가’와 ‘반성적 실천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구분의 기준은 ① 실천·관점의 공표 여부, ② 학계와의 관계이다. 연구자-실천가 그룹은 교수요목에 가까운 국가 교육과정을 주변화시키고, 교육과정의 중심에 ‘자신’을 위치시키며, 교사를 교육과정 생성의 주체로 보고 있다. 반성적 실천가 그룹은 연구자-실천가 그룹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들은 국가 교육과정의 구속에서 벗어나고 싶어 했으며, 국가 교육과정은 역사학의 연구 성과가 아닌 역사학의 ‘특성’을 담아내야 한다고 생각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교육과정이 자의적이거나 편향적이지는 않은지 항상 경계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외부의 압력에 저항하거나 타협하며 교육과정을 변화시켜 나가고 있었다. 역사교사들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은 점점 더 확산되어 갈 것이며, 이제는 역사교육 분야에서도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을 달리해야 한다. 국가 교육과정은 규칙이나 걸림돌이 아닌,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도와주는 조력자여야 한다. 역사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리터러시를 갖추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교육과정이 역사교사 리터러시를 담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성이 경합할 수 있도록, 국가 교육과정 공개 공모제를 시행해야 한다. 또한 국가 교육과정은 최소한의 규정과 풍부한 안내로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발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면, 국가 교육과정은 역사교사들의 자율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역사교육 현장의 중요한 준거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how teachers as researcher with strong agency perceive the essence of the curriculum. Specific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eachers as researcher into scholar-practitioner and reflective practitioners. The scholar-practice group marginalize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places themselves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The reflective practitioner group showed similar aspects to the researcher-practice group. They wanted to escape the restric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ought that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contain the nature of history, not the achievements of historiography. In addition, They were always wary of whether their curriculum was arbitrary or biased, resisting or compromising various external pressures and changing the curriculum. The autonomous curriculum construction of history teachers will be increasingly widespread, and now the national curriculum must be differen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shall be assistants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eacher curriculum, not rules or obstacles. Rather than history teachers should have a national curriculum literacy, a national curriculum should have a history teacher literacy. To this end, a public contest for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diversity can compete. In addition,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minimal regulations and rich guidance. If these development methods could be implemented, the national curriculum could function as an important basis for history education without infringing the autonomy of histor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