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末民初 “歷史敎授” 개념의 도입과 변용: 1904~1921

        정세련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7 No.-

        본고에서는 서구 근대 학제 도입 이후 등장한 ‘역사교수’ 개념에 대해 정부의 정책,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 교안을 통한 현장에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청말 근대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교육학이 자체적으로 연구를 시작하는 상황에서 중 국의 역사 교과는 정책과 교수이론, 개념과 용어 등을 상당 부분 일본의 기존 성 과에 의존하였다. 서구로부터 이론이 소개되지 않았던 것은 아니나, 국가주의를 지향하던 중국의 실정상 공민으로서의 개인적 가치를 논하는 서구의 이론 자체보다 이를 천황 중심의 국가체제에 맞게 변용한 일본의 이론이 상대적으로 유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중국으로 도입되면서 충군과 애국을 강조하는 국가주의의 강화로 또다시 변용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역사교수 역시 주체적인 수업 설계보다는 국 가의 교육이념에 적합한 방향으로 역사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강조되었다. 따라서 역사교수의 실체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가르치는 방법’의 측면에 논의가 집중되었다. 임인·계묘학제의 반포와 함께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는 당위성이 설정되고, 이를 어떻게 수업에서 잘 구현할 것인가의 문제가 주로 논의되었으나 여전히 역사 교과의 특성에 대한 고려는 전무하였다. 신해혁명 이후 본격적인 근대화가 시작되었으나 국가주의는 여전히 유효하였다. ‘공화국 국민’과 ‘도덕 교육’이 새롭게 교육 목표로 부상하였으나 국가 구성원으로서 의 개인의 역할을 강조하는 분위기는 여전하였다. 교과로서의 역사 역시 그 교수목표가 이에 합당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강조하고자 하는 움직임, 교수배경지식의 증가로 인한 교수법의 다양화,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연구 등이 활성화되면서 ‘역사를 가르치는 것’의 의미 역시 확장되어 나갔다. ‘teaching’을 넘어 ‘instruction’으로 나아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교육학과 역사학 의 단순 결합이라는 측면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하였다는 점은 한계로 작용하였다. 全國敎育會聯合會의 활동, 「歷史敎授要目草案」의 작성 등 교육 현장에서의 노력과 각 대학 사학과의 설치는 중국에서 근대 역사학이 독자적으로 연구되고 교육 에 반영될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동시에 1919년 5·4운동의 발발과 듀이의 중국 방문 등으로 중국 교육계는 또다시 변화를 맞게 되었다. 1922년 임술학제로의 개편과 1930년대 불거진 대내외적 위기 속에서 고힐강을 중심으로 한 독자적인 역사 연구의 성과들이 도출되었고, 이는 중국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주체성을 강화해 주었다. 교육학 이론 역시 헤르바르트 학파의 학설에서 벗어나 듀이의 실용교육학 적 관점이 보편화되면서 근본적인 변환점에 서게 되었다. The concept of “teaching history” that emerg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modern school system was examined for theoretical research centered on government policies, methodologies, and applications to the field through teaching proposals. In a situation where history and pedagogy as a modern study at the end of the Qing Dynasty were not studied on their own, China’s “History” subject relied on Japan’s existing achievements to a large extent on policy, teaching theory, concepts and terms. The theory was not introduced by the West, but it was because Japan’s theory, which transformed the Western theory into an emperor-centered state system, was relatively useful than China’s theory of nationalism. As it was introduced into China, it was transformed again by strengthening nationalism that emphasized loyalty and patriotism. In this situation, it was emphasized that teaching history also convey historical knowledge in a direction suitable for the national educational ideology rather than independent instructional design. Therefore, discussions were focused on the aspect of “how to teach” without a clear definition of the reality of teaching history. The justification for teaching history was not established, and the question of how to implement the justification well in class was mainly discussed, but there was still no consideration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subject. After the 1911 Revolution, full-fledged modernization began, but nationalism was still valid. Although “people of the Republic” and “moral education” have emerged as new educational goals, individuals were still discussed first as members of the state. “History” as a subject was also organized so that the teaching goal was suitable for this. However, the meaning of “teaching history” has also expanded as the movement to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subject,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due to the increase in teaching background knowledge, and research emphasizing the role of teachers have been activated. It went beyond ‘teaching’ to ‘instruction’. However, the fact that the physical combination of pedagogy and history was still not overcome served as a limitation. Efforts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historical departments at each university laid the foundation for modern history to be independently studied and reflected in education in China. At the same time, it faced another change due to the outbreak of the May 4th Movement in 1919 and Dewey’s visit to China. The reorganization in 1922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that erupted in the 1930s, the results of independent historical research was derived, which strengthened the subjectivity of Chinese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he pedagogical theory also broke away from the Herbart school’s theory and stood at a fundamental turning point as Dewey’s practical pedagogical perspective became common.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 가치 문제 논의 방식의 재검토 - 왜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가르치는가? -

        김민정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8 No.-

        한국의 역사교육에서 가치문제는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역사교육의 목적 결정 시 핵심 쟁점이었다. 역사교육의 목적과 내용에서 '가치'의 의미와 다양한 지점을 강조하는 배경과 논의를 검토하여 역사교육에서 가치문제를 가르칠 때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가르쳐야 하는지 논의하는 데 토대로 삼고자 한다. 연구 결과 다양한 차원에서 사용되는 가치의 용례를 ‘가치를 가르치는’ 접근과 ‘가치에 대해서 가르치는’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가치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역사적 사고와 결합하여 가치문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주장과, 과거에 대해 판단하는 주체로서 자신의 가치 체계를 객관화하여 보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역사교육에서 가치를 다루는 방식 저변에 기초한 쟁점을 ‘고려시대 수업에서 가치를 논의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대별되는 연구 흐름 위에 위치시켜 확인하였다. 역사교육에서 가치의 결정은 단순히 도덕적 판단이 아니라 역사적 사고와 결합하여 가치에 대해 사고하도록 가르침으로써 역사학의 본질적 가치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목적을 추구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 of values in the history education of Korea that has been a key point of contention in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By examining the background that emphasizes the meaning of ‘value’ and its various aspects in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this serves as a basis for discussing what content and methods should be used when teaching the issue of values in history education. The issue of values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two approaches of ‘teaching values’ and ‘teaching about values.’ It argued that instead of directly teaching values, they should be addressed in combination with historical thinking, and that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objectify their value systems by positioning their own values as well as teachers should demonstrate their decision process of making judgments by the means of modeling. The determination of values in history education should not mean simply a moral judgment but should pursue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the essential value of historiography by teaching to think about values in conjunction with historical thinking strategies.

      • KCI등재

        최근 논쟁 중심 역사수업 논의와 교사전문성, 교사교육

        방지원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49 No.-

        Recently, history teachers rediscovered the educational value of controversy in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class. In many history classroom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history based on contentiousness. This movement is likely to gradually change the frame of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along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world such as learning community and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he field of teacher training and school history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opening up the developmental prospects of history education together by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e idea of ‘history lesson that treats controversial learning topics as controversial activities’ requires a change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rofessionalism for the formation of historical teacher identity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the planning of a history curriculum is likely to increase. In this study, therefore, I reviewed the implications of the idea of history class which deals with controversial subject matter as a discussion-based student activity on history teacher expertise and teacher education. In particular, I introduced a professional syllabus designed to help preliminary history teachers understand the controversy of history through their own experiences. 최근 역사 교사들은 역사 교육과 역사 수업에서 역사 논쟁의 교육적 가치를 재발견했다. 많은 역사 교실에서는 논쟁성을 기반으로 역사를 이해하도록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은 학습공동체나 역량중심의 교과과정과 같은 교육계의 변화와 함께 역사교육과 학습의 틀을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교사 연수 및 학교 역사 교육 분야는 서로 교류하고 소통함으로써 역사 교육의 발전 전망을 열어 가는데 기여해야 한다. 그래서 ‘논쟁적인 학습 주제를 논쟁의 여지가 있는 활동으로 다루는 역사 수업’이라는 발상은 현재의 역사교사 양성교육과정이 내용과 방법 면에서 변화를 모색하도록 한다. 특히 비판적 성찰 활동과 교육과정 계획을 통한 역사교사 정체성 형성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역사를 안다는 것’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 교사양성 과정의 수업 사례를 고안하여 실행한 결과를 덧붙였다. 이와 같은 교사양성 과정의 설계 및 수업 사례들이 활발하게 공유되어 비판적 검토의 과정을 거치며 개념화 될 수 있을 때, 학교 역사교육의 현장과 교사양성과정이 더욱 긴밀하게 소통하며 역사교육의 밝은 전망을 열어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한국불교사 교육 개선 방안

        최경환 역사교육연구회 2024 역사교육 Vol.169 No.-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25년부터 기존의 중고등학교 역사 및 한국사 교과서 대신 새로운 교과서가 일선 교육 현장에서 사용될 예정이다. 현 시점은 향후 몇년 간 시행될 중·고등학교 역사교육이 개편되는 중요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새로운 역사교과서의 한국불교사 교육의 지향점과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및 체제를 살펴보고 이러한 집필기준이 현행 역사 및 한국사 교과서의 불교 관련 서술에 어떻게 적용되어 서술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기존 정치사 중심 일변도를 벗어나, 중학교 ‘역사’에서는 주로 문화사 중심의 교과서 교육이 강조되었고 이로 인해 불교 관련 서술도 문화 및 예술에 대한 내용이 대폭 확대되었다. 이와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정치사, 사회경제사, 사상사 등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었고 한국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불교가 담당한 역할 및 불교의 역사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고등학교 ‘한국사’에서는 전근대시대 내용을 하나의 대단원 안에 요약 및 정리한 결과, 불교사 관련 내용은 더욱 축소되었다. 또한 근현대사 불교 관련 내용을 수록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소략한 내용만 서술되어 있다. 다음으로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및 내용 체제를 검토함으로써 기존 교육과정과의 차이와 새로운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불교사 관련 내용은 기존 교육과정의 체제 및 내용을 대체로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불교사 서술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마지막 장에서는 현재 일선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교과서의 한국불교사 서술의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역사교과서 서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교과서에서 불교사 관련 내용의 전체적인 틀을 구성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역사 속에서 사회전환에 따라 바뀌는 불교의 변화 과정을 교과서에 포함시켜야 하며 이를 통해 한국사의 전개 과정에서 불교가 담당한 역할 및 역사성을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curriculum for 2022, new history textbooks will be used in front-line education sites in Korea starting in 2025 instead of existing middle and high schools textbooks. This article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t history education in the new history textbook and ways to improve it because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n important point for the reorganiza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education to be implemented over the next few years. First, we looked at the goals and system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d how these writing standards were applied to the current history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Buddhist-related descriptions. Next, by reviewing the goals and cont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In the new curriculum, the content related to Buddhist history is expected to maintain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existing curriculum, and as a resul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roblem of describing Buddhist history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ll still not be resolved. In the last chapter, the direction of the description of a new history textbook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description of Korean Buddhist history in textbooks currently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when constructing the overall framework of Buddhist history-related content in textbooks is to include the process of Buddhism’s transformation as society changes in history, and through this, the role and historicity of Buddhism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can be taught.

      • KCI등재

        유럽 역사교육의 동향과 자국사교육 :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金漢宗(Kim Han-Jong) 歷史敎育硏究會 2006 역사교육 Vol.100 No.-

        The sequence and the scope of history education are presented in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and France. Both countries doesn’t divide history curriculum into national history and world history. England and France have strengthened European history education recently. It is not for abandoning national history education but for teaching nation-centered European history Both countries teach chronicle national history more than one time through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In particular, French students virtually learn national history each one time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National history education in England and France do not include all aspects of society, but concentrate on one aspect into which all topics were incorporated. The history education of England is centered on political history while France centers history education on government in elementary school and society and culture in middle school. The school history of both countries have a great weight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ch doesn’t approach chronicle history but mainly study topics which gave important influence on human affairs or are in dispute between people. The utilization of primary sources as teaching materials has been increased. Such approaches aim at cultivating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and to become competent citizen of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일본 역사교육과정의 변화와 전망

        김보림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Japanese Government’s 2017~2018 School Curriculum Guidelines(學習指導要領) was a thorough analysis of future society and preparation for education. First, The goal is to cultivate qualities and abilities on three criteria: knowledge and skills, thinking, judgment and expression, learning humanity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the objective of every subjects. The goal is to revise the objective focused on qualities and abilities of the substantial instructional guidelines. Second, it is that they made a qualitative change without cutt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is and respond to the future society independently, Japan organized courses in the direction of researching more intrinsic methods of inquiry in terms of educational knowledge. Third, it is intended to construct contents that stimulate historical thinking that asks the essence of history. By taking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of answering the tasks and the questions, the students' thinking, judgment, and expressive skills will be developed, and the contents composition was greatly modified by emphasizing the use of materials to inquire the essence of history rather than the short-memorizing history. 일본의 최근 교육법 개정과 ‘독도 불법 점유 교과서 서술’ 등의 움직임은 자국가중심주의적이며 이웃 국가의 우려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2018 학습지도요령의 개정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래 사회에 대한 철저한 분석과 교육에 대한 대비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도 많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목표를 3가지의 축으로 자질, 능력을 기른다는 점에서 지식과 기능,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의 증진, 배움을 향한 힘, 인간성 증진이라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기존 학습지도요령의 지식과 기능 위주의 목표를 구체적인 목표로 수정한 것이다. 둘째, 교육 내용의 삭감 없이 질적 변화를 꾀하였다는 점이다. 지난 10여 년간 한국과 일본은 토요 휴무제 등과 관련하여 교육의 내용과 수업 시수를 대폭 줄여왔다. 그 결과 학교 교육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왔다. 이를 인식하고 미래 사회에 주체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본은 교육의 지식적인 면에서 보다 본질적인 탐구 방법을 연구하는 방향으로 교과목을 편성하고 과감하게 고등학교 필수과목에서 일본사와 세계사의 구분을 생략하였다. 이러한 종합과목을 지금까지 수업에서 실시한 경험이 없는 일본과 한국의 경우 이에 대한 성공과 실패 여부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 한정된 수업 시수에서 학생들의 자질과 능력을 키우기 위한 방편이기에 그 실질적인 성과는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시될지 하는 점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셋째, 역사학의 본질을 묻는 역사적 사고를 자극하는 내용 구성을 꾀하였다는 점이다. 과제와 질문에 답하는 내용의 구성 요소를 취함으로서 학생들의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을 길러주며, 단답형의 암기식 역사가 아닌 역사학의 본질을 묻기 위한 자료 활용을 중시하여 대폭 내용 구성을 수정하였다. 이번 2017-18 학습지도요령에서는 국어과와 지리역사과가 대폭 수정되었다. 학생의 표현력과 판단력을 중시하는 교육의 강조점이 시사되는 부분이다. 독도문제 등에 대해서는 아베 정권의 정치 기조와 맞물려 ‘불법 점거’라는 표현이 개정된 학습지도요령에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통과 문화를 강조하고 국가와 국기를 존중하는 역사교육의 실제 내용들이 들어있어 새로운 학습지도요령에서 나타나는 역사 인식이 지속적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 KCI등재

        初等學校 敎育課程의 變遷과 歷史敎育

        朴平植(Park Pyeong-Sik) 역사교육연구회 2003 역사교육 Vol.87 No.-

        This article studies the changes that history subject underwent in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since the end of Han empire(大韓帝國) by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primary history education. That history going together with ups and downs of modern Korea society is summarized : establishing history subject in the period of modern reformation, diminished by the invasion of Japanese Imperialism, killing by press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occup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introducing social studies and the confus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foundation period of new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driving the unification of social studies and disorder of history education in the period of curriculum. Though the changes of this history education of primary school almost coincided with the path that secondary history education went through, there were still more distortion, confusing, and disorder in the former than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we should set up the recognition system of national history as self-esteem, self-recognition, and the basis of identity in this 21st century when the world order of capitalism forces us to accept the system of the Jungles" law under the name of internationalization. Therefo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role and the share of the primary history education, the starting point of history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han other times in this attempt of setting up national history recognition.

      • KCI등재

        역사 실질 지식 연구의 동향과 과제

        이소은 역사교육연구회 2022 역사교육 Vol.164 No.-

        This article reviewed various work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ith a social realist perspective on knowledge and curriculum, a new interest i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examined. This article also investigated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as addressed when discussing history education in Korea. In addition, empirical studies 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were reviewed, and the role and value of the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in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were explored. Although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historical education,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has been regarded as an object to be memorized or as background information for performing general skills. However, a recent discussion on knowledge of historical substance has emphasized the need to vie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s something derived from a rigorous historical investigation. Also, it is suggested that it is crucial to thoroughly examin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historical substantive knowledge are interwoven with second-order concepts of history, and how this understanding appears as a ‘usable’ big picture for students. At the same tim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continued in the future. 본 글에서는 역사 실질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국내외 연구를 검토하였다. 2010년대 이후 역사 실질 개념이 역사교육계에서 새롭게 관심 받게 된 계기를 지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실재주의 논의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역사교육 논의에서 역사 실질 개념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여러 경험적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역사 실질 개념이 학생들의 역사적 이해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지니는 가치를 조명하였다. 역사 실질 개념은 역사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단순히 암기해야 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일반적인 기능 수행을 위한 단순한 배경 정보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렇지만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최근 논의는 역사 실질 개념을 단순히 정보 축적의 대상으로 보는 접근에서 벗어나, 역사의 학문적 특성에 대한 이해와 엄밀한 탐구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것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을 역설한다. 그리고 이 둘러싼 학생들의 이해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특정 역사 실질 개념 및 지식을 얼마나 정확하고 많이 알고 있느냐에 초점을 맞추는 양적 측정 수준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단순히 특정 역사 실질 개념에 대한 사전적 정의와 핵심적인 속성을 파악하지 확인하는 수준을 넘어, 이 개념이 구체적인 역사 2차 개념과 결합하여 나타나는 양상과 더불어 이 개념에 대한 이해가 과거에 대한 종합적이고 ‘활용 가능한’ 역사상을 구성하는 데 어떻게 기여하는지 살피고, 이러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축적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의 담론과 학문적 가능성

        金漢宗(Kim Han-Jong) 역사교육연구회 2006 역사교육 Vol.97 No.-

        Discourses on history education have focused on psychological principles, teaching techniques and teaching materials since mid-1950s. This trend of history education research has been criticized recently. Historical understanding, historical consciousness, history education contents and history lessons can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Having teaching techniques and understanding psychological principles are not sufficient condition for effective history teaching.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proving the disciplinary identification of history education and establishing its organization. If the new research area were acknowledged as a discipline, it should have its own studying subject, concept and method. History education, which is one of new research areas in these day, may utilize ones of pre-existed basic discipline in many cases. But it should be explained that those concepts and methods which are used in researching are pertinent to history education.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as a subject should be established also. Most articles arguing the necessity of history subject have focused on external aspects such as practical utilization until now. But intrinsic value should be discussed, and the organization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presented through reviewing researches for history education to have the root of a discipline. To establish history education as a discipline, it is necessary to withdraw conflicts on history education research and clarify its character. It is an influential method of establishing the history education discipline that discourses on history education were transposed to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should be investigated, history understanding should be related to history subject, and the situation of history classroom should be explained theoretically.

      • KCI등재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姜鮮珠(Kang Sun-Joo) 역사교육연구회 2006 역사교육 Vol.97 No.-

        This paper undertakes an exploration of issues around history curricula developed since 1945 in order to help history educators assess strengths and weakness of school history. This paper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in developing history curricula what have been issues and problems to which history educators give rise? What directions should history education take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points out that since the time the school curriculum was first developed, the social studies, which at first put history, geography, and social sciences in juxtaposition and later required the three subjects to be integrated one course in a way that any integration theories wouldn"t support, a nationalist approach to Korean history, and a weak status of world history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have been the main issues and caused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These problems remain unsolved.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history educators first develop teaching strategies to link history with other subjects, second develop a history curriculum that includes a history course, into which integrates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nd third pay their great attention to curricular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