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봉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이 글에서는, 사람이 말에서 힘을 얻어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씀으로써 문화를 일구며 살아가기 때문에, 말이 달라지면 생각을 풀어내는 방식이 달라지며 말로써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쓰는 것 또한 달라진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한국말이 씨말에 다양한 토를 붙여 매우 다양한 마디말, 이름말, 풀이말을 만들어내고, 한국말로써 앎과 느낌뿐만 아니라 현상을 매우 촘촘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유감스럽게도 학술말과 일상말 그리고 외국말의 어울림은 우리말이 중심이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 점에서, 오늘날 우리나라의 인문학과 이에 기반을 둔 사회과학과 교육과학이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실용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한국 사람이 한국말을 잘 가꾸고 쓰면 재주와 슬기를 크게 기를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으면 재주와 슬기를 기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이 한국말로써 생각을 하면, 일상 생활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학문적으로 묻고 따지고 밝히는 일에서도 뛰어난 힘을 낼 수 있다. 특히 인문학 영역에서 큰 발전을 거두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인의 말, 삶, 발달, 가르침과 배움, 학문과 사회 발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human beings live with cultivating culture through fostering their ability and wisdom by the use of language. Language is the foundation of the lives and academic activities into which thoughts run and out of which they grow. People's thoughts and perspectives can be dictated by language. Every language forces human beings to perceive different worlds. In this viewpoint, the Korean Languag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cluding English. As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ts morphemes combine with its stem to represent detailed feelings and phenomena. Korean people have different ways in which phenomena are perceived and expressed that they think, act, and live. Korean is the key to create new development of our knowledge and culture. We Koreans, however, do not have paid proper attention to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Especially current Korean scholars have ignored uniqu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t has reduced the productivity of Korean people. In this paper, therefore, it was explored to build a new paradigm for explaining Korean life & development, their teaching & education, their study & research, their social advancement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최주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olerance and harmony in the traditional Korean religions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virtues of character that global citizens should build in the world of a multi-cultural community in the global era. As religion is a cultural phenomenon that people have made, religion and culture are inseparable. Within the Korean religious culture, a variety of high religions are in tune with Shamanism, which has become a folk belief, establishing a unique religious culture, and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orean values. One feature of Korea's religious culture is a sort of religious pluralism based on which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coexist, and the other value-oriented feature embraces tolerance, passionate sentimentalism, temporal utilitarianism, harmonic syncretism and shaman faith in blessing. Tolerance is deeply related to the effect of geographical environment in Korea, and harmonic syncretism is derived from the idea of harmony in the myth of Dangun, which values communal culture. Tolerance and harmony as a unique Korean religious culture coming from Korea's specific environment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countries' in that essential sentiment where the human heart brings people together. Tolerance and harmony as Korean values of religious culture have been the center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virtue of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which is a requirement in school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community, tolerance and harmony are meaningful as ideas of world citizens' education as they embody the core principles of character building.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in a multicutural society in the global era, they are also meaningful as a family virtue with blood ties in the global village in which each member builds unity and harmony.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시대 다문화사회의 지구촌공동체에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의 덕목으로 관용과 조화에 대해 한국전통 종교인 무교, 불교, 유교 문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온 문화의 한 현상으로 종교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으며, 문화 창조에 영향을 미쳐온 인간의 가치관은 당대의 종교적 의식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왔다. 한국의 종교문화는 다양한 고등종교가 민간신앙화 된 무교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종교 문화를 형성하였고 한국인의 가치관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한국 종교문화의 일반적 특성으로 무교, 불교, 유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조화를 이루는 종교 다원주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가치 지향적 특성으로는 포용적 관용주의, 열정적 감성주의, 현세적 공리주의, 조화적 혼합주의, 무교적 기복주의를 들 수 있다. 특히 열정적 감성주의는 한국인이 타 종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관용은 한국의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깊은 관계가 있고, 조화는 단군신화의 조화사상에서부터 드러나고 있으며 공동체문화를 중시하였다. 한국 자연환경의 영향 속에 한국종교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관용과 조화는, 인간 내면의 본질적 정서가 나와 타자가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일체감이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양 및 기타의 관용과 조화의 개념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종교문화의 가치관으로서 관용과 조화는 무교문화, 불교문화, 유교문화에서 중심 가치로 자리하고 있으며 다문화시대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차이에 따른 갈등과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덕목이 되었다. 한국의 관용과 조화는 다문화사회의 학교교육에서 요구되어지는 상호 이해와 존중을 위한 가치 덕목으로 다문화 인격교육의 핵심 원리를 구현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이념으로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다문화공동체에서 구성원들 간 상호 화합과 조화를 이루는 지구촌 한가족 혈연공동체의 덕목으로서의 의의도 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및 공동체의식의 인과적관계
서요한,류형선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구조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지역 2개교 간호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및 대학생활적응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며,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은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인권인지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요인의 탐색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the pathway of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college of life adaptation for nurs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211 nursing students from two colleges in J province were sampled for conven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self-esteem, sense of community and college of life adaptation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partially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path of nursing students’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ffecting sense of community. Thir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nse of community on the path of nursing students’ cognitive ability for human rights affecting college of life adaptation. Base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o explore various factors and develop programs to improve college of life adaptation for nursing students.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의 인격교육적 함의: 경험집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임봉우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It is easy to think that education is only present in schools. However, education occurs outside of schools too. As a matter of fact, education regarding one's personalities occur even more often during spending time with nature, outside of the fierce competition based education. Thus, in this thesis paper, changes in people's perspectives regarding personalities that happen due to paragliding have been studied. To be more specific, this thesis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the kinds of inner changes that human beings experience during paragliding, which resembles the shape of parachutes. It also studies how this change affects people's Saramdaum Education by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agliders, in other words, those who play the paragliding sports learn the value of their and others' lives in the process of paragliding. Additionally, by escaping from the competition based world and paragliding, they learn to cooperate full heartedly with others and care for others. This is because if paragliders do not cooperate, they can put their own lives into danger. On top of all these benefits, paragliders can get away from their busy every day life and rest, learning to follow the flow of nature. All these benefits that are achieved from paragliding has a lot of relations to the Saramdaum Education. 교육은 학교에서만 일어난다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교육은 학교 밖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이다. 오히려 인격교육은 입시 중심의 학교교육이나 경쟁 중심의 사회교육에서는 성공적으로 수행되기가 힘든 면이 많다. 인격교육은 치열한 경쟁에서 벗어나 자연을 배우는 과정에서 성취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현대인이 일상에서 벗어나 스스로 즐기는 모험 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 체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인격교육적으로 해석하였다. 창공에서 패러글라이딩 스포츠를 하는 사람들이, 이 스포츠를 통해 겪게 되는 내면적 변화가 어떠한 인격교육적 의의를 지니고 있는가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해석하였다. 패러글라이딩 스포츠를 하는 사람들, 즉 패러글라이더들은 패러글라이딩을 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과 사람의 소중함을 절실하게 느끼고 배우게 된다. 또한 경쟁 사회 속에서 생활할 때와는 다르게, 타인과 진심으로 협력하고 타인을 소중하게 배려하는 마음을 키우게 된다. 특히 패러글라이더들은 패러글라이딩을 하며 일상의 복잡한 일들로부터 벗어나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것을 배우게 된다. 패러글라이딩 체험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배움의 과정과 내용들은 인격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낙관성 학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소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준,이정표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learning optimism that can be designed to build on the Pennsylvania Prevention Program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confirm thi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2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26 students each i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Mixed ANOVA was performed on the scores of each group obtained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proces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it was found that learning optimism in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reduced academic burnout and improved academic self-efficacy. The meaning of this study has empirically revealed that learning optimism, which is a positiv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f individuals, has the effect of coping with children’s stress related to schoolwork. 본 연구는 낙관성의 학습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소진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등학교 고학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26명, 총52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집단 간 점수를 혼합변량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실제적으로 검증한 결과 낙관성의 학습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키고, 낙관성의 학습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에게 개인의 긍정적 심리적 특성인 낙관성을 학습시키는 것이 학업과 관련한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의 비대면 수업과 대면 수업 간 차이 탐색
이용민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a clas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differs in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class operation method (Non-face-to-face/Face-to-face). The same liberal arts subjects were operated in both a non-face-to-face class and face-to-face class. The class was evaluated and analyzed for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overall class performance, and appropriateness for creativity promo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asses designed to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but whether the class operation method was a non-face-to-face cla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se changes. However, the face-to-face clas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non-face-to-face class in goal achievement, achievement level of creativity among core competencies, and understanding of learning cont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lass design that promote students' creative performance were derived. 이 연구는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이 수업 운영 방법(비대면/대면)에 따라 그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교양 교과목을 비대면 수업 방식과 대면 수업 방식으로 각각 운영하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 수업의 종합적 성과에 대한 인식, 창의성 촉진에 적합한지에 대한 수업 평가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직접적으로 창의성을 수업의 주제와 내용으로 다루지 않더라도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도록 설계된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지만, 수업의 운영 방식이 비대면 수업인지는 이러한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대면 수업은 비대면 수업 보다 목표 달성도, 핵심역량 중 창의성의 성취 수준, 학습내용 이해도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는 수업 설계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인격 발달과 그 교육적 함의: 자아와 주체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마상룡,신창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1 인격교육 Vol.5 No.1
This study reviewed the issue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perspective of post modern education and Jacques Lacan's psychoanalysis. Jacques Lacan deeply considered social order as otherness of a person, person's unconsciousness as person's consciousness and the otherness, and the Real as otherness of social order. Especially, he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ness and subject of stages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d the process of forming subject which human beings can be developed during lifetime. It is a kind of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Jacques Lacan's self-form and subject-form can be explained mostly as three kinds. This faced with the Imaginary-the Symbolic-the Real as three order composing the world of his mind. Human beings' mind goes by the process of imaginable self-form called the mirror stage, is changed to forming symbolic-subject where Oedipus complex and the process of being isolated is core content, and ultimately proceeds to self-form for desire. Human beings are sublimated to one person through this process of forming self and subject. Here, education is exposed as the work of learning the social valu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cess and of cultivating the ability of enjoying over it at the same time. It is the work of cultivating the ability training subject with otherness and of opening ego identity to otherness. 본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과 탈근대 교육의 관점에서 인격 발달과 형성의 문제를 탐색한 것이다. 라캉은 개인의 타자성인 사회질서, 개인의 의식과 그 타자성인 개인의 무의식, 사회질서의 타자성인 실재계에 대해 깊이 있게 사유했다. 특히, 인간이 전 생애를 통해 발달시키는 주체의 형성 과정과 그 특징을 통해, 각 단계의 주체와 타자성이 맺는 관계에 주목한다. 그것은 일종의 인격 발달 과정이다. 라캉의 자아 형성과 주체 형성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정신세계를 구성하는 세 가지 질서, 즉 ‘상상계’-‘상징계’-‘실재계’와 맞닿아 있다. 인간의 정신은 거울 단계로 불리는 상상적 자아형성의 과정을 거쳐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소외의 과정을 핵심내용으로 하는 상징적 주체의 형성으로 전환되고 궁극적으로 욕망의 주체 형성으로 나아간다. 이런 자아와 주체의 형성 과정을 통해 인간은 하나의 인격체로 승화한다. 여기에서 교육은 그 과정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가치를 습득해 누리고, 동시에 그것을 넘어 향유하는 능력을 길러가는 일로 드러난다. 즉 자아 동일성을 타자성에 개방시키고 타자성과 함께 주체성을 일구어나가도록 하는 힘을 양성하는 작업이다.
‘교사 성직관’의 재해석을 통한 교사 헌신도 제고 가능성의 모색
한석훈 한국인격교육학회 2013 인격교육 Vol.7 No.3
오늘날 교육에 부과된 어려운 과제들을 해결하고 극복해나가기 위해서는 역량 있고 헌신적인 교사들의 수가 더 증가해야 한다. 따라서 이 글은 교사의 헌신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전통 사회의 교사 성직관이라는 개념을 꼽았다. 그리고 그 시사점 및 현재 적용의 가능성에 관해 알아보았다. 현대의 헌신적인 교사들도 일종의 교사 성직관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전통적 교육자들과 현대의 헌신적 교사들 사이의 공통점으로 깊은 인간 인식, 학생의 영성에 대한 관심, 교육의 이타적 가능성에 대한 믿음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현대의 교사와 교사 지망생들의 깊은 자기 인식을 유발하기 위해서는 자아성찰을 돕는 교육과정 및 자기 인식을 중시하는 평가 체계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o solve the difficult tasks imposed upon today’s school education, our schools need more teachers who are competitive and committed to their work. Thus, this study select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eaching as a vocation’ as a possible factor to induce teacher commitment and discusses its ramification and applicability to the current educational setting. It has been noted that many of today’s committed teachers also possess the attitude of ‘teaching as a vocation’ and both the pre-modern and modern teachers committed to their work and pupils share such common propensities as deep human understanding, interest in students’ spirituality, and faith in altruistic function of education. In the final analysis, to stimulate deep self-understanding of today’s teachers and teacher aspiran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helps self-reflection and the evaluation system that values teacher’s self-understanding.
몸과 마음의 관계에 대한 인격교육적 재검토: 현상학적 인간관과 그 연구방향을 중심으로
조정호,김진한,박호근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the mental in terms of Saramdaum Education (人格敎育) with being focused on phenomenological human-view and the approach direction. Results revealed that the existing main human-views like as Behaviorism, Cognitivism, Psychoanalysis, and Analytical Psychology have looked upon the human perception of physical factor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lthough some differences are apparent. However Saramdaum including moral character is able to be developed in enduring and forbearing the perceived physical factors. Accordingly, in this paper, considering that contemporary social science is based upon de-industrialization and/or post-modernism human-views, it was explained that Saramdaum Education can be advanced by phenomenological human-view, and also was suggested the tips and comments for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Saramdaum and its education. 이 글은 광복 이후 우리나라 학교의 인격교육이 일정부분 실패해온 주된 원인이 인간관의 편향에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이 글은 몸과 마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우리 교육계의 인간관을 검토하는 것을 통하여, 인격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인간관과 그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 먼저, 광복 이후 우리 학계에서 몸과 마음의 관계를 설명해온 주요 이론인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신분석학, 분석심리학 등의 한계를 인격교육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어서, 이들 인간관을 보완하는 접근으로서 현상학적 인간관을 몸과 마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행동주의, 인지주의, 정신분석학, 분석심리학은 몸의 지각을 독립변수로 간주해온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들 관점에서는 인격의 형성과 발달이 몸으로 지각되는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는 관점을 견지하여 왔다. 그렇지만 인격은 지각되는 욕망을 절제하고 승화시키는 것으로부터 보다 높게 발달할 수 있기 때문에, 몸의 지각을 독립변수로 보는 인간관의 한계를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사람과 마음을 독립변수로 보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인격교육의 발전과 연구방향을 정립해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현상학의 관점에서 인격교육의 이론이 발전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현대 사회과학이 탈산업주의 인간관 내지 포스트모더니즘 인간관을 중시하는 점을 반영하여 몸과 마음의 관계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해내는 인간관에 근거한 인격교육과 그 연구방향을 모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