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백산맥』의 탈식민성 연구

        전영의(Jeon, Young-Eui) 한국언어문학회 2011 한국언어문학 Vol.76 No.-

        If a society is put under the control of the ruing class and elite group of society, A society is re-composited society on a dependent position and break down dependence quality with pull up the people’s voice under the huge discuss. when it consider from the point of view Taebaek Mountains is narrative that show post-colonial of the people. Taebaek Mountains is narrative that is attack a korean society problem at the people’s a point of view. The korean society problem is immanent from the feudal age. The trouble with landowners and tenant farmers about land possessions is a subject of possession and division, and trouble of the relationship of classes. The trouble is expressed several places in narrative. Yeom Sang Jin who has a leftist ideology thoroughly, Hah Dae Chi and a liberation army consist social system. that is after a nation confiscate a person’s land, a nation divide land to the people equally for the people and release of classes. The other side Jeong hyeon Dong and the right wing landowners who are very close Japanese imperialism consist a system that is a nation and the right wing landowners deal in land for keep there vested interests of economy from the feudal age and a government of the U.S. Army comply with their consis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rouble with landowners and tenant farmers is not personal feeling. It is immanent trouble about land possession from the root. After liberation it was not cleanse of remaining of colonial, korean government officials who are very close Japanese imperialism re-appointment and they keep their property under the government oh the U.S. Army. After liberation korea have a complex stratum trouble that are land possession, cleanse of remaining of colonial, a confrontation between socialism and democracy ideology. The post-colonial quality show aspect realization of characters by side of the text. but it show side of the strategic narrative structures. Characters are the people, conscientious intellectuals, cooperators in colonial. The people want be independence people use defensive violence, conscientious intellectuals want to be the real mail body use change of consciousness who throw a chance themselves as colonizer, expecially post colonial quality as colonial cooperators is cooperation by a existence strategy. that is not simply resistance and logical cooperat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y achieve reappearance themselves to use dependence and cooperation, and overcome dependence quality, they get similar to the main body. these points have post-colonial quality. and the other side Taebaek Mountains show the people quality of characters to use enlightenment structure to use master and disciple relationship, methods of character forms to use jeollado’s dialect and folk language. and demonstrate that the people quality of characters are post-colonial quality. this points have a significance. their positiveness prove competitional attitude of the people about irrationality, and their positive acts overcome Japanese empire and American new colonial. It is desire of the people who want recover loss of identity by colonialism. As a result Taebaek Mountains have meaning of post-colonial quality through solve the problem that is problem of race and people’s release.

      • KCI등재

        함세덕 희곡 <산사람들> 연구

        김동윤(Kim, Dong-Yun)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5 No.-

        1990년대 중반 이후 함세덕의 <산사람들>(1949~50)에 대한 여러 연구물들이 나왔다. 제주4.3을 형상화한 이 희곡은 4.3이 진행 중이던 시기에 북한의 문예지 『문학예술』에 발표되었다는 점에서 충분히 주목할 만했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에서는 텍스트 문제와 제주4.3 인식의 고찰에는 소홀한 점이 있었다. <산사람들>에 대한 우리 학계의 연구는 2막 3장의 작품임을 전제로 진행되어 왔으나, 필자는 최근 제3막과 제4막 텍스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군정 수뇌부의 대책회의 관련 내용이 제3막에, 입산자들의 생활과 토벌대와의 싸움이 제4막에 각각 그려짐으로써 훨씬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기에, 이제 새로운 접근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제5막까지 있는 작품일 가능성도 있다. 1949년 평양에서 소년 빨치산 연락병 배역을 맡아 <산사람들> 공연에 참여했던 육철식이 5막 7장임을 분명히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체의 내용과 짜임을 보더라도 육철식의 증언이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이 작품은 1948년 해주, 1949년.1950년 평양 등 총 3회 무대에 올려졌고, 2회 공연 후에 현전하는 대본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람들>의 등장인물을 보면, 부을나.삼바우처럼 작가가 창조한 인물들도 있지만 실존인물과 관련된 인물들도 많다. 안재홍.송호성.김영배.조병옥 등은 실존인물이 그대로 나온 경우이며, 선우기승.부용철 등은 성이나 이름의 일부만 살짝 바꾸어 나온 경우이고, 김석민.최진렬 등은 특정 인물(혹은 둘을 뒤섞은 인물)을 모델로 삼은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인물 설정 양상은 4.3이 반미 통일 투쟁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창작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는 또한 4.3 시기의 주요 사건들이 과장되거나 생략되어 나타난다. 4월 3일의 무장대의 전과(경찰과 우익 인사의 피해) 규모를 과장하고 있으며, 무장대와 국방경비대 사이에 합의되었던 4.28평화회담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그것이 확인된다. 이는 무장대와 토벌대를 선악 구도로 몰아감으로써 봉기와 항쟁, 나아가 인민공화국 건설의 명분을 정당화하기 위한 의도를 드러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김일성을 영웅으로 받들고 있는 점에서도 북의 전략이 반영된 작품임이 확인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산사람들>은 무장대와 제주민중들의 입산 생활이 잘 드러난 작품이어서 주목된다. 입산 투쟁을 하다가 월북한 인사들의 증언을 토대로 창작된 희곡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이 작품에서 그려진 입산 생활은 상당한 리얼리티를 확보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따라서 함세덕의 <산사람들>은 4.3 당시의 입산 생활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작품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People in the Mountains" by Ham Se-duk (1949~50) is a play that depicts Jeju April 3rd Uprising. Particularly, it is worth drawing attention in that it was published in a literary magazine, Literary Arts while Jeju April 3rd Uprising was still going on. Until now, studies on "People in the Mountain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it consists of 2 acts and 3 scenes. However, act 3 and 4 have been found recently, thus a new approach is needed. And it is also likely that this play is composed of 5 acts. Lyuk Chul-sik clearly says that it had 5 acts and 7 scenes, who participated as a role of a messenger in the performance of "People in the Mountains." The overall content and plot makes his argument convincing enough. This work was performed three times: Haeju in 1948, Pyongyang in 1949 and 1950. It is assumed that the existing script was completed after the 2nd performance. Some of its characters are fictitious figures created by its author such as Bu Eul-na and Sam Ba-u, but many of them are related to real figures. Ahn Jae-hong, Song Ho-sung, and Cho Young-bae are real figures without any change. In case of Sunwoo Gi-seung and Bu Yong-chul, only their first or last names are changed a little. Kim Suk-min and Choi Jin-ryul are thought to be the mix of certain figures. It is safe to say that these characters are intentionally created in order to underscore Jeju April 3rd Uprising is an Anti-American unification struggle. In this work, major events during this period are exaggerated or sometimes omitted. Damages armed parties caused to police and right wingers are exaggerated, and April 28 peace talks between armed parties and national security forces are not mentioned. This shows the intention to justify the cause of the building People's Republic as well as the uprising and struggle by setting the framework of good and evil. Despite these limitations, "People in the Mountains" is worth attention because it shows the Jeju people's life in the mountains very well. Considering that this play is based on the witness given by people who fought in the mountains and then went to North Korea, it is safe to say that the life in the mountains depicted in this play has considerable reality. Therefore, Ham Se-duk's People in the Mountains" is said to be significant in that it concretely reveals the life in the mountains during Juju April 3rd Uprising.

      • KCI등재

        이태준 극작술 연구

        박노현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A novelist, Lee, Tae-Jun wrote dramas 「Mother」 and 「Mountain-People」. Though the dramas that he wrote for himself are no more than them, the truth he considered dramas not only as an avocation but als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terary genre can be seen by all through his view of plays and dramas. He had already penetrated the drama is the trans-art genre flitting between literature and play. Moreover, he made grate account of play for the effective way of people’s enlightenment but he also took a serious view of literary character for dramas. On the other hand, he couldn't project the thought of keeping balances in the border between literature and play on his works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Mother」, which is his first drama make us feel the want of this point. 「Mother」 wanted to show us the misery of Man-Ki’s family as dramatic and climatic deficiency. However, because he failed to make a character of Man-Ki, the work became a new-school drama. This one could be set off by using object, ‘juge pound’ which is empty space of a wall clock, but the failure of making a character of Man-Ki was so huge to be covered. The developmental potentialities of Lee, Tae-Jun’s drama are confirmed by 「Mountain-People」. This one could show us the poor life style of slash-and-burn farmers by contrasting with the pressmen who came there to gather news materials. In fact, 「Mother」 was played on the stage, but 「Mountain-People」 couldn’t be played and nobody payed attention to 「Mountain-People」. On the other hand, 「Mountain-People」 was better than 「Mother」 in grade of completion for drama itself and maturity of dramaturgy. That’s because 「Mountain-People」 was constructed well in double structure and personality of it was well shaped. Therefore, the latter one was much better in dramaturgy than the former one. It’s so pity to say that there are only two of dramas that Lee, Tae-Jun had written and we cannot relish his outlook on the dramatical world since his drama had gotten so much potentialities in themselves as you can see through the distance in dramaturgy of his two dramas. For all that, because he could wholly understand the essence of drama as a genre and tried to keep balance between them, and 「Mountain-People」―his second drama and the last drama―was as good as the drama written by professional dramatists in 1930s, we should reconsider his position which was introduced intermittently or even left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dramas. 이태준은 1930년대 소설의 지형도에서 높고도 넓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가 남긴 두 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소략한 편이다. 그의 희곡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는 두 편의 소논문이 제출된 게 전부이며, 희곡사에서 그의 이름은 1930년대를 일별하는데 있어 그것도 선별적으로 언급될 뿐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동안 이루어진 그의 희곡에 대한 연구는 그가 소설가로서 거둔 성과의 후광에 힘입어 이루어져 왔거나, 희곡적 분석틀에 의존하지 않고 서사 일반의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되어왔다는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한계에 유의하면서 그의 희곡관과 연극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그가 남긴 두 편의 희곡 창작 과정에 어떻게 침윤되어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이태준은 희곡이라는 장르가 문학과 연극이라는 두 종의 예술 영역을 넘나드는 통예술, 혹은 경계의 문학임을 인식하고 있었다. 그는 희곡이 문학 텍스트가 구현해야 할 미학성에 충실함과 동시에 무대 위에 재현됨으로써 발산할 수 있는 위력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이러한 희곡관과 연극관이 실제 희곡 창작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가는 두 편의 희곡 「어머니」와 「산사람들」을 통해 확인된다. 그의 첫 창작 희곡인 「어머니」는 그의 작의와 실제 텍스트 사이에 적지 않은 균열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완성도가 다소 떨이지는 텍스트이다. 「어머니」는 만기 일가가 겪는 비참을 점층적이고 심층적인 상실로 보여주고자 했으나 만기 등의 인물 성격 구축에 실패함으로써 극을 어설픈 신파로 떨어뜨리고 말았다. 이태준 희곡의 성장 가능성은 「산사람들」을 통해 확인된다. 이 희곡은 화전부락민들의 곤궁한 생활상을 이들의 취재를 위해 찾아온 기자들과의 대비를 통해 선명히 부각시키고 있다. 「산사람들」은 탄탄한 이중 구조를 갖추고, 등장인물의 성격을 성공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 전작에 비해 진일보한 극작술을 보여주고 있다. 소설가 이태준은 과작의 극작가였지만 그의 희곡관과 연극관, 그리고 「어머니」와 「산사람들」 사이에서 보이는 극작술 상의 발전으로 미루어 보면 ‘앎’과 ‘실천’의 중용을 이룬 극작가였다. 이런 이유로 희곡 쓰기가 그의 문학세계에서 중도하차 되었다는 점은 그의 희곡에서 드러나는 발전의 추이를 보건대 많은 아쉬움을 남긴다.

      • KCI등재

        지리산인문학의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

        기근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6 南道文化硏究 Vol.0 No.31

        본고는 지리학에 있어서 지리산지에 대한 연구동향과 인문지리학 연구 성과와 전망을 검토한 것이다. 우선 이러한 검토를 위하여 지리산지에 대한 자연지리학과 인문지리학 연구동향을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특히 인문지리학 연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고찰 하다. 인문지리학 연구는 크게 역사지리, 문화지리, 전통지리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 다. 역사지리 연구는 조선 후기에서 근대에 이르는 시기에 지리산지의 농업과 촌락에 대한 문화생태학적 고찰이 있었으며, 문화지리 연구는 신문화지리학적 관점에서 지리산 을 유토피아에서 국립공원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통해 지리산을 텍스트로 한 경관 읽기를 시도한 것이었다. 지리산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인문지리학 연구의 대표적인 성과는 전통지리 측면에서 의 연구이다. 그 연구 내용은 ‘지리산 문화경관의 정체성과 세계유산적 가치’, ‘한국인의 이상향 청학동’ ‘지리산 풍수의 문화생태학적 접근’, ‘산지(山誌)의 개념 정립과 두류전 지의 현대적 해석’, ‘지리산 유람록에 나타난 생활사’, ‘지리산과 한라산 명산문화 비교’ 등에 대한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문지리학 연구는 ‘산의 인문학’이 정립되는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 초석이 되었으며, ‘산학(山學)’을 담론의 장으로 등장시키게 되었다는 데에 기여한 바가 크다. 지리산은 한국을 대표하는 ‘사람의 산’이요, ‘산학’의 산실이다. ‘사람의 산’, ‘산의 인문학’을 구체화하는 데 있어서 학제 간은 물론이며, 지리학 내에서도 보다 많은 자연지리학과의 융합적 연구 및 토론이 요구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look at the significance and contribution of human geography by summarizing and analyzing the accomplishments and achievements of the work of the Institute of Mt. Jiri cultural studies for the past 10 years. For this reason, we have collected research data on geography studies. In this paper, I present the meaning of the academic achievement by extracting the topic of major achievement through various activities, books, and articles corresponding to the agenda. Finally, I have searched for limitation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This summarizes the main themes of human geography studies of Mt. Jiri: ‘the identity of the Mt. Jiri cultural landscape and the world heritage value of Mt. Jiri’, ‘the Korean Cheonghak-dong utopia’, the ‘approach to cultural ecology of Mt. Jiri feng shui’, the ‘mountain topography’, and ‘modern interpretation of Dureyjeonji’, ‘the residents life history through the premodern travel records of Mt. Jiri’, and the ‘comparison of Mt. Jirisan and Mt. Halla’, etc. Mt. Jiri is different from the mountains of the high and rugged barracks of the Himalayas. The Alps are only a spectacle to be seen from afar because they are in the realm of God or the domain of the exploration of Alpinism. On the other hand, Mt. Jiri is a “people’s mountain”. At this point, it becomes clear that Mt. Jiri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human geography research. I think the reason is because Mt. Jiri is a mountain of soil. Mt. Jiri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warm Korean peninsula. It is a mountain made up of numerous peaks and valleys. Because it is a mountain, it has a diverse and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compared to a mountain like Seoraksan. The abundant ecological environment of Jirisan is the source of the concept of the “abundant ‘people’s mountain’ ”, which can bear wind, clouds, rain, snow, grass, trees, worms, livestock, and humans. Although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irisan are pointed out in the study of human geography in the Mt. Jiri humanitie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link between nature and culture: human geographical discussion cannot be done deeply. In the last 10 years, the human geography research of Mt. Jiri became the foundation and cornerstone of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he ‘mountain studies’ contributed greatly to bringing the “humanities of the mountains” to the field of discourse. In order to further activate this research climate, convergence research and discussion among the those studying multiple disciplines should make geography more concrete.

      • KCI등재

        조정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東學) 담론

        우수영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discourses on Donghak(東學)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headed by Donghak(東學) discourse in the place of Beolgyo(地名) and Yureo(地名), and in the characters' dialogs.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place of Beolgyo and Yureo are meant by Donghak(東學) discourse. The Beolgyo is the Place of suppression that the landlord and tenant farmer's relationship is continued, and the Yureo is the Place of liberation that the Peasant troops develop the possibility for revolution.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and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mastery are opposing repeatedly. They are presented by the logic of enlightenment and the testimony of experience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Finally,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shows that the sprit of Donghak(東學) for the new world is the result from the Desire of the people for equality, the spring of the post-liberation partisan organization' action, furthermore our descendants of the endless tasks. The sprit of Donghak(東學) is working continuously in Jo Jeong-rae' Taebaek Mountains. 본 연구의 목적은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등장하는 동학 담론이 작품 전체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의 생산 지형을 시대 담론과의 관계에서 먼저 살핀 후, 그 지형에서 생산된 조정래 『태백산맥』의 동학 담론이 서사의 의미망에 어떻게 기여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은 서사에 등장하는 벌교와 율어라는 장소를 통해 발생하는 동학 담론, 그리고 인물들의 대화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태백산맥』에서는 동학 담론을 통하여 벌교와 율어라는 공간이 의미화 되고 있다. 즉 벌교는 여전히 지주와 소작농의 관계가 변함없이 지속되고 있는 억압의 장소로, 율어는 지주의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한 동학군이 자신들의 혁명 가능성을 키워 나갔던 해방의 장소로 구체화 되고 있다. 『태백산맥』에서는 위계와 억압을 통해 이윤을 증대하는 지주/지배층의 수직적 욕망 그리고 위계와 억압에서 벗어나 평등 세계를 지향하는 소작인/피지배층의 수평적 욕망이 서로 길항하며, 계몽의 논리와 체험의 증언 속에서 등장하는 동학 담론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결국, 조정래의 『태백산맥』은 동학을 피지배층 민중이 지닌 수평적 욕망의 실현이자 해방 후 빨치산 활동의 원류이며 나아가 이 땅의 후손들이 이어가야 할 과업으로 담론화한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중국 남부 소수민족 신화에 나타난 꽃의 여신[花婆]과 민속, 그리고 서천꽃밭

        김선자(Kim, Sun-Ja) 비교민속학회 2011 비교민속학 Vol.0 No.45

        우리나라 제주도 지역에 전승되는 신화에 서천꽃밭과 삼승할망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 삼승할망이 서천꽃밭에서 꽃을 길러 아이를 원하는 집에 보내주면 아기가 태어난다는 것인데, 사람의 영혼이 꽃이라는 관념과 그 영혼이 꽃이 되어 피어있는 영혼의 꽃밭, 그 꽃을 관리하면서 인간 세상에 꽃을 가져다주는 여신에 관한 신화가 중국의 남부지방에도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광시좡족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에 거주하는 좡족[壯族]을 비롯해 마오난족(毛南族), 부이족(布依族) 등 많은 민족들이 화파(花婆), 즉 꽃의 여신에 관한 신화와 신앙을 전승해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남부지역에 넓게 퍼져있는 화파에 관한 신화와 신앙을 좡족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그것을 제주도지역에 전승되는 삼승할망 신화와 비교해본 뒤, 아시아 대륙의 남부를 관통하는 ‘꽃의 여신’과 ‘영혼의 꽃밭’ 신화와 신앙 벨트가 갖는 의미에 대해 생각해보기로 한다. Among the myths transmitted down in Jeju Island in Korea, there is a story of Seocheon-kkotbat (western-sky flower garden) and Samseunghalmang (the goddess of birth). As the story goes, in a flower garden in the western sky there is a goddess of birth that grow flowers, and if they send one to a home that wants a baby, it will have a baby. The concept of a person’s spirit being a flower, with groups of those spirits blossoming as flowers in a flower garden of spirits, and the myth of a goddess who tends to those flowers and brings flowers to the human world are themes in stories that have been widely spread in the southern region of China. Many ethnic groups, including the Zhuang people (壯族) residing in the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廣西壯族自治區), Maonan people (毛南族) and Buyi people (布依族), have also been transmitting the myth of and belief in ‘Huapo [花婆]’, or the Flower Goddess.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is myth of and belief in ‘Huapo’ that is so widespread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Zhuang people. The paper also compares that to the myth of Samseunghalmang, which is widely disseminated throughout Jeju Island, and then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myths and beliefs regarding “flower goddesses” and a “flower garden of spirits” that continue to exist in countries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the Asian continent.

      • KCI등재

        장호(章湖) 연작시 연구

        장영우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0

        The early poetry of Jang-Ho pursued newness with an interest in modernism and poetic drama, but after his forties, he developed unique mountain poetry, the imagination on shoes, and the Non-dual thought of missing persons. He also expressed his thoughts on society as a poet through the ‘crow serial poetry’. the crow serial poetry is based on his personal experience in Tokyo. In this regard, ‘mountain, shoes, crows, missing persons’ in his serial poetry are valuable resource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Jang-Ho's literary work. Jang-Ho's ‘Mountain serial poetry’ shows the process of escaping from a timid self and it is different from usual nature poetry which contains friendly and ecological themes. In that sense, the Jang-Ho's mountain poetry can be regarded as a work that has developed a unique place that only the poet can create. The mountaineer, Jang-Ho, has great pride in his legs and feet. He washed his feet first in the bath, and cleansing his hiking boots after every mountain climbing. His deep connection for his feet and hiking boots is evolved into a unique imagination of ‘shoes’, which is the driving force of creation of ‘shoes serial poetry’. The ‘crow serial poetry’ is satirical poetry on Japanese that came out of his personal experience in Tokyo. These poems are valuable materials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Jang-Ho because the poetry presents the historial events and facts he directly experienced while he was in Tokyo. The ‘missing persons serial poetry’ is a result of the fusion of Jang-Ho's climbing experience and imagination on shoes. Those whom he loves are those who are lost in mountain. For the poet, those missing persons are living in his mind forever, and ‘life/death’ and ‘mountain/see’ are not separate worlds. 초기 장호시는 모더니즘과 시극(詩劇)에 관심을 보이며 새로움을 추구했지만, 40대 이후에는 독특한 산시(山詩) 영역을 개척하는 한편, 신발 상상력과 실종자의 불이적 사상을 발전시킨다. 또 그는 동경 체험을 바탕으로 한 ‘까마귀 연작시’를 통해던 시인으로서의 사회적 발언을 토로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산․신발․까마귀․실종자 연작시’는 장호시세계의 특질을 이해하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된다. 장호의 ‘산 연작시’는 일반적 산수시의 자연친화적이고 생태학적 주제의식과 달리 높이를 지향하며 소심한 자아에서 벗어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장호의 산시(山詩)는 오직 그만이 쓸 수 있는 독특한 경지를 개발한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산악인 장호는 강인한 자신의 다리와 발에 큰 자부심을 느끼며 목욕탕에 가서도 발부터 씻고, 하산후에는 등산화를 깨끗이 소제하는 등 정성을 쏟는다. 그의 발과 등산화 사랑은 ‘신(발)’에 대한 독특한 상상력으로 진화하여 ‘신발 연작시’ 창작의 원동력이 된다. ‘까마귀 연작시’는 장호의 동경 체험에서 우러나온 일본(인) 풍자시다. 이들 시편은 그가 동경에서 직접 보고 들은 사건이나 역사적 사실을 제재로 한 것이어서 장호의 역사인식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실종자 연작시’는 장호의 등반체험과 신발 상상력이 융합된 결과의 산물이다. 그가 사랑했던 이들은 실종자로 시인의 마음 속에 영원히 살아 있는 존재이며, 그런 장호에게 산과 바다, 삶과 죽음은 분리되는 세계가 아니다.

      • KCI등재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 연구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7 No.-

        The thesis begin to work from solve the curiosity about Politics Quality of Literature of Taeback Mountains that have democratic value. The thesis based on Rancière theories, I defined ‘eyes of misunderstanding’ about texts started police logics, actually for a long time the texts was defined political text and leftist ideology text. Taeback Mountains ask some questions, about ideology‘s essence, peasant as partizan, among class’ antagonism, antagonism of ideology to us. Surplus are waste that they weren‘t distributed one’s share in the cooperation world and was sacrificed in distribution mechanism by arche‘s logic. Landowners rule tenants as police logic, rationalize inequality of possession by name of freedom, and they forced social status system that was abolished by low to tenants. didn’t distribute share to tenants in the logic of inclusion and exclusion. but they got out of a subordinate position of people by oneself. refuse principle of vested rights,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clusion and exclusion by independent. and they became demos through a process of subjective. They speak loudly to find the minimum right for survive,and try to write a new letters as subjective who was excluded in the politics center. they did disagrementing movement and got out of inferioring faith through learning, struggle, dispute and got equality and liberation as subjective demos. they realized division of sensibility is division of sensible, a decision method that is don‘t have a share as social construct members. They became subjective demos, divided sensibility in episodes. We can read sensibility and political unconsciousness through a growth process of characters in Taeback Mountains. 본 논문은 ‘민중적 가치를 지닌 『태백산맥』의 문학의 정치성을 보다 분명하게밝혀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궁금증을 해소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랑시에르의 이론을 근거로 한 본 논문은 연구를 통해 텍스트를 좌익편향적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정치적 텍스트로 규정했던 오해의 시선들이 치안의 논리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혔다. 『태백산맥』은 계급·계층 간의 갈등과 좌우익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통해 평범했던 농민들이 왜 빨치산이 될 수밖에 없었고 염상진의 죽음 앞에 이르러서야 염상진·상구의 대립이 끝나게 되는가라는 의문점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에게 ‘이데올로기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던지고 있었다. 공동체 안에서 자신의 몫을 분배받지 못하고 쓰레기로 취급되던 잉여들은 치안이라는 배분매커니즘 안에서 아르케의 논리에 의해 희생된 자들이었다. 지주들은 자유라는 이름으로 소유의 불평등을 합리화하고 소작인들에게는 이미 법으로 폐지된 신분제를 앞세웠다. 치안의 논리에 따라 통치하고 경영하며 ‘포함과 배제’라는 논리 안에서 이들에게 몫을 부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들은 예속된 인민의 자리에서 스스로 벗어나 우열, 배분, 포함이라는 기득권들의 원칙에 합일되는 것을 주체적으로거부하고 주체화의 과정을 통해 데모스가 되었다.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권리를찾고자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고 정치적 중앙에서 배제된 주체로서 새로운 장을 쓰려고 했다. 학습, 쟁의, 투쟁 등을 통해 치안논리에 불일치하는 행위를하며 열등하다는 믿음에서 벗어난 이들은 주체화된 데모스로서 평등과 해방을 얻는데 한 발 다가간 것이다. 감성의 분할이 감각적인 것의 나눔이며 사회구성원으로서 가져야 하는 ‘몫이 없음’을 결정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깨달은 이들은 크고 작은 에피소드들 안에서 감성을 재분할하고 데모스로 주체화 되어갔다. 우리는 인물들의 이러한 성장 과정을 통해 『태백산맥』이 가지는 감성과 정치적 무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

      • KCI등재

        강경애 일인칭 소설 연구

        이경란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3 No.-

        This study takes issue with an oversimplified and schematic criticism method that defines Kang Kyung-ae's literature as an anti-feminist text based on her explicit speech at the narrative level. As feminist critics argue, if female narratives were to represent ‘another voice’, femininity should be ‘discovered’ rather than ‘evaluated’ or ‘publicized’. In this ligh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scriptive act of ‘feminine writing’ and the ‘hidden voice’ that, in effect of such, fires through cracks and gaps and recognizing it as femininity. Five first-person point of view works of literature by the author were analyzed wherein the alter ego of the author appears as narrators. The narrator of Writer’s Fee of 200 Won is often seen as a passive, dependent woman who had internalized paternalistic values. However, if her eloquent and confident voice with which she asks the cynical question of ‘is this affection?’ is noted, she can be re-interpreted as a person in conflict fighting with the contradiction of her desire to be liberated as the driver of her own life and the impossibility thereof. In this light, this novel, which is frequently attacked by feminists, can be re-evaluated as an example of feminine writing that strongly implies the existence of a ‘different hidden voice’. In all of the five narratives, internal/external-space confrontation pairs are found. The narrator hesitates between the two spaces, and the most representative symbol of such hesitation is presented in the form of ‘questioning’. Questioning not only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the narrative, but also as an important motif representing the hesitation, confusion,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the narrator who stands at the border that divides the two spaces. Such borderline spatial consciousness and hesitation are best exemplified in Yu-mu and Sympathy. The first-person narrator of Kang feels ‘ashamed’ at his or her constant hesitation on the border. The most dramatic example is represented in Man in Mountain. The mountain man is the prototype of sub-subject subaltern, and the author deviates from her previous narrative method in reproducing this ‘the other’ that goes beyond her own scope of sympathy. At the same time, ‘I’, the narrator of the first-person narrative, is also the one who desires. While Pain has consistently been interpreted to refer to the pain of the man who is the internal speaker, if a hidden voice can be found through feminist reading, the meaning of pain can be expanded to mean that of ‘I’, the narrator, which derived from her sexual desire that is cautiously expressed. Feminist studies view that the gender that reproduces and narrates is one of the factors that determines aesthetic value of literature, and focus on the narrator as much as what is being narrated. Kang Kyung-ae’s first-person novels are all autobiographical and confessional, revealing her complex and contradictory psychology and the divided and shaken abyss of the subject. This is an effect that a third-person narrative cannot achieve and at the time the reason why female writing ultimately converges into an autobiographical form. All first-person narratives are said to be essentially an inquiry of ‘who am I?’ Kang Kyung-ae's first-person novels are also a question of a female writer who suffered from identity division and anxiety because she could not fully give herself up to a male-dominated order. 이 글은 강경애의 문학을 서사 층위의 명시적 언술에 근거하여 반페미니즘 텍스트로 규정하는 단순하고 도식적 비평방식을 문제 삼는다.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주장처럼 여성서사가 ‘또 다른 목소리’를 내장하고 있다면 여성성은 내용이나 주제 차원에서 ‘평가’되기보다는 텍스트 이면에서 ‘발견’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여성적 글쓰기’라는 서술행위와 그 효과로서 균열과 틈새로 발화되는 ‘숨은 목소리’를 찾아 그것을 여성성이라 인정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작가 분신으로서의 서술자가 등장하는 그의 일인칭 서사 다섯 편을 분석하였다. 「원고료 이백 원」의 서술자는 가부장적 가치를 내면화한 비주체적인 여성으로 자주 해석된다. 그러나 그의 웅변적이고 확신에 찬 목소리에서 “이것이 애정일까”라고 묻는 냉소를 놓치지 않는다면, 그는 자기 삶의 주체로 독립하고자 하는 욕망과 그 불가능성이라는 모순 속에서 갈등하는 존재로 재해석될 수 있으며 페미니스트들에게 공격받는 이 소설이야말로 ‘감춰진 다른 목소리’의 존재를 강력하게 암시하는 여성적 글쓰기 표본으로 평가될 수 있다. 다섯 편의 서사에서는 모두 내/외-공간의 대립쌍이 발견되었다. 서술자는 두 공간의 사이에서 망설이는데 이를 상징적으로 구현해 보이는 것이 ‘질문’이다. 질문은 서사의 계기로 기능하지만 내/외의 경계에 선 서술자의 망설임과 혼란, 심리적 불안정을 대변하는 중요한 모티프가 되기도 하다. 「유무」와 「동정」은 그 경계의 공간의식과 망설임을 가장 잘 형상화한 서사이다. 강경애 일인칭 서술자는 실천을 유보하고 당위와 현실 사이에서 망설이는 자신에 ‘부끄러움’을 느낀다. 그것을 가장 극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산남」이다. ‘산남’은 모든 사회적 관계로부터 소외된 하위주체 서발턴의 원형적 모습으로, 작가는 자신의 공감 범위를 넘어서는 이 ‘이질적인 타자’를 재현하는 데에 이전 서사와 다른 서술방식을 시도하기도 한다. 일인칭 서사의 서술자 ‘나’는 ‘욕망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번뇌」는 모든 연구에서 내화 화자인 남성의 ‘번뇌’로 해석되었지만 페미니즘 비평의 독해를 통해 ‘숨은 목소리’를 발견할 수 있다면 서술자의 ‘번뇌’라는 것을 알아차리고, 그것이 조심스럽게 표현된 ‘나’의 성적인 욕망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페미니즘 시학은 재현하고 서술하는 젠더에 따라 소설의 미적 가치가 달라진다고 본다. 그래서 서술 내용 못지않게 서술자에게 주목한다. 강경애 일인칭 서사는 모두 자전적이고 자기 고백적인 서사로, 복잡하고 모순된 심리나 분열되고 흔들리는 서술주체의 심연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삼인칭 서사가 해낼 수 없는 기능이며 왜 여성 글쓰기가 자전적인 형태로 수렴하는지 깨닫게 한다. 모든 일인칭 소설에 <나는 누구냐?>라는 질문이 함축되어 있다고 한다. 강경애 일인칭 소설 역시 남성이 주도하는 질서에 자신을 온전히 내줄 수 없어 정체의 분열과 불안을 겪었던 한 여성작가의 질문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19世紀 閭巷人의 金剛山 遊記 硏究 -咸鎭嵩의 『金剛遊記』를 중심으로-

        강민형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4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Lyeohangin(middleclass people)'s journey to Geumgangsan Mountain in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Ham Jinsung's 『Geumgangyugi(金剛遊記)』. The family of Ham Jinsung, a writer of 『Geumganyugi(金剛遊記)』 formed the marriage network with interpreter family such as Kim Jinam's (金指南) and his ancestors built a middle class family in technical position by passing the medical course and yin-yang course examination. Ham jinsung studied with his brother Ham Jintae(咸鎭泰) under Teacher Oh Heesang(吳熙常) and he was said to have been excellent in the study of ritual and wrote several books about confucianism classics such as 『Kyungsolgwolui(經說闕疑)』, 『Kyungsoljongo (經說存稿)』. This 『Geumgangyugi(金剛遊記)』 was written by Ham Jinsung in 1818 with Shim Seunggyu(沈承奎) and Choi Myungyong(崔命龍) about a journey to Geumgangsan Mountain. Even if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for each version, this book is consisted of 「Geum-gang-nae-wae-san-ha- sim-cho-ro-gi(金剛內外山可尋處路記)」 that summarizes the scenery of Geungangsan Mountain, 「Shin-gye-geum-gang-gi(神溪金剛記)」 that describes Guryongyeon, Manmulcho, Samilpo, haegeumgang as one category, 「Geum- gang-il-rok(金剛日錄)」 that describes the journey by date. Ham Jinsung didn't want to follow the existing travel book but attempted to create his own idea. In particular, he provided new viewpoint about Geumgangsan mountain by suggesting separate category called "Shin-gye-geum-gang(神溪金剛)" without following the existing separation of Geumgangsan Mountain by inside and outside. In addition, he quoted the travel books written by Nam Hyoon(南孝溫), Shin Iksung(申翊聖), Kim Changhyup(金昌協) but compared to the actual scenery to show the empirical attitude in human geography and also used Lee Ik's 『Seonghosasol(星湖僿說)』 and Chusa Kim Jeonghee's epigraphy to maintain the historical attitude, which showed a model of travel book of Lyeohangin in the 19th century. 본고는 함진숭의 금강산 유기 『金剛遊記』를 중심으로 19세기 여항인의 금강간 유기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金剛遊記』의 저자인 함진숭의 가문은 金指南 등의 역관 가문과 혼맥을 형성하면서 그의 선조들은 의과, 음양과 등에 합격하여 기술직 중인가문을 일구었다. 함진숭은 형 咸鎭泰와 함께 吳熙常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혔고 예학에 밝았다는 평을 들었으며, 『經說闕疑』, 『經說存稿』 등의 경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金剛遊記』는 함진숭이 1818년에 沈承奎, 崔命龍 등과 함께 한 금강산 유람을 기록한 글이다. 이본 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금강산의 풍경을 개괄한 「金剛內外山可尋處路記」, 구룡연, 만물초, 삼일포, 해금강 등을 하나의 영역으로 묶어 기술한 「神溪金剛記」, 여정을 일자별로 서술한 「金剛日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함진숭은 기존의 유기를 답습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만의 창안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금강산의 내외 구분을 따르지 않고, 神溪金剛이라는 별도의 영역을 제안함으로써 금강산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南孝溫, 申翊聖, 金昌協의 유기를 인용하면서도 실제 풍광과 비교하며 인문지리에서 실증적 태도를 보였고, 『성호사설』과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도 활용하는 등 고증적 태도를 견지하였다는 점에서 19세기의 여항인 유기의 한 전형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