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된 직접성과 은유로서의 천주(天主)개념

        안호영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2

        이 논문은 의식과 은유(metaphor)의 관계 속에서 侍와 天主개념이 인간 心性이 발현(發現)된 것이자 心性을 촉발(觸發)시키는 개념임을 보이려는 것이다. 이런 개념들을 통해 心性이 觸發·發現될 수 있는 것은 이 개념들의 은유를이해할 때 가능할 것이다. 우리는 삶의 언어가 은유이고, 은유는 전체의 부분만을 묘사하는 것이며, 묘사된 것은 다시 은유가 되어 또 다른 전체가 됨으로써 인식론적 개방을 토대 지운다는 것에 주목한다. 나아가 侍天主를 설명하는 방식 자체에도 은유가 개입되어 있는데, 이로부터 東學은 오직 체험되는 것임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런 체험을 떠나서 侍와 天主개념을 강조하게 되면, 東學은 우리가 天主를 모심[侍]이라는 觸發된心性에 스스로 압도된 나머지 그 觸發됨 자체를 향유하게 하지 못하고, 그렇게 觸發시킨 것이 무엇인지 한정지우려는 욕망을 부추기는 종교로 전락해버릴 수 있음을 지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은유와 心性이 상호 연관되어, 侍와 知의 대상으로서의 天主개념과인간 心性을 觸發·發現시키는 것으로서의 天主개념은 직접적인 체험에 기반하고 있으므로 은유로만 표현 가능한 것이며, 이런 은유를 기반으로 스스로의 心性을 관조하게 하는 東學은 동적종교의 모습을 생생하게 드러낸다. 東學은 이러한 은유에 기반하고 있을 때 비로소 動學으로 체험되는 것이다. 결국 ‘체험된 직접성’을 표현하려고 할 때 필연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언어는 은유이다.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 concepts of Cheonju[天主] and Si[侍] are thehuman-nature-being-excited and the-human-nature-being-revealed in relationwith the consciousness and the metaphor. Through these concepts, the humannature being excited and being revealed could be possible when we understandthe metaphor of these concepts. We would notice, through the language of lifeis a kind of metaphor, the metaphor only describes the part in the whole, butthe thing which is described is to be another metaphor and then to be anotherwhole, that this would form the base of the epistemological openness. Therefore, the way of the expression of the ‘sicheonju’[侍天主] also containsthe metaphor, from this, we should emphasize the Donghak[東學] only beingexperienced. Otherwise under overwhelming by the-human-nature-beingexcitedby the concepts of the serving[侍] the Cheonju[天主], we could not enjoythe-human-nature-being-excited, then it would indicate showing the desire tofind what is excited the human nature. After all, as the metaphor and the human nature are interrelated, the Cheonjuwhich is the objects of both the ‘si[侍]’ / ‘Zi[知]’ and the-human-nature-beingexcited/ the-human-nature-being-revealed is the metaphor, then based on thismetaphor, the Donghak which is examined the human nature itself would showlively the appearance of dynamic religion. Therefore, to explain Donghak as theexperience of the study of movement[動學], we should accept this explanationitself based on the metaphor. Finally, when we would explain the experiencedimmediacy as a word or speaking. the language what we should use inevitablyis the metaphor.

      • KCI등재

        동학의 고유사상에 관한 고찰

        배문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Donghak which was initiated by Je-Woo Choi whose style name is Su-Woon(1824-1864) is generally considered as being deeply related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Such idea after all led to a negative perspective that Donghak is merely a combination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However, Donghak cannot be considered as a thought formed through simple combination of foreign thoughts lik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f the origin of Donghak cannot be found from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 question may arise on where its ideological relevance can be found. This study is intended search for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of Korea for answer to this question. Therefore, the originality of Donghak was examined in the following context:First, the nation of Korea maintained a heaven-worshipping thought from long ago. As for the god for Donghak, the Lord(天主), Kings(上帝), or Hanool are another expression of such heaven-worshipping thought. The Lord(天主), since it is a term appearing also in the ancient texts of Korean nation like『Hwandangogi(桓檀古記)』or『Samgukyusa(三國遺事)』, is a concept different from the Lord(天主)a term interpreted as God in Roman Catholic. Kings(上帝) also is another name of heaven originally of Korean nation different from Okhwang sangje(玉皇上帝) of Taoism. And the term Hanool also is deeply related to heaven that Korean ancestors worshipped from long before. Second, the Creation thought appearing in the mythology of Dangun(檀君神話) the initiator of Korean nation some 5 millennia ago and the Creation by Je-Woo Choi the initiator of Donghak are very similar in contents and structure. Also, the 21 letters spells are related to the concept of three by seven(3×7=21) the number for turnover of a new leaf. And this three by seven concept is the indigenous thought system handed down from long before to the ancestors of Korea a northern nomadic people. Third is the relevant of Donghak with Seon-do(仙道) that is Pungnyu-do(風流道) artistic appreciation uniquely of Korea. Pungnyu-do can be analyzed in two aspects: It includes Mu-gyo(巫敎, shamanism), Mu-do(武道, martial arts) and Seon-do(仙道), and it also comprehend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atever aspect it is analyzed in, the ideological systems of Donghak and Pungnyudo are very similar. When the originality of Donghak is examined in the above three aspects, it is shown that Donghak is a the crystal of the ideological system that Korean nation has inherited from long before. Researching on Donghak in association with Confucianism,Buddhism and Taoism may enrich the contents of Donghak, but it may places the prejudice that Donghak was formed by being affected by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o overcome such prejudice and limitation, more thorough historical verification and studies should be done on the relevance of Donghak with the indigenous thoughts of Korea rather tha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 1824~1864)에 의해 창되된 동학(東學)은 사상적으로유교,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많은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이러한 생각은 동학을 유학(儒學), 불교(佛敎), 도가(道家) 혹은 도교(道敎)의 단순한 조합(組合)이나 결합(結合)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였다. 하지만 동학을 단순하게 유학, 불교, 도가 혹은 도교와 같은 외래사상의 종합으로형성된 사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동학의 사상성(思想性)을 유·불·도에서 찾을수 없다면, 그 사상적 관련성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본연구에서는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한국의 고유한 사유체계에서 찾고자 한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맥락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개진하였다. 첫째,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하늘을 숭배하는 경천사상(敬天思想)을 가지고 있었다. 동학의 신(神)인 천주(天主), 상제(上帝) 혹은 한울님이 바로 이러한 경천사상의 또 다른 표현이다. 천주는『 환단고기』,『 삼국유사』와 같은 우리 민족의 고서적에도 나타나는 용어이기 때문에, 서양의 천주와는 다른 개념이다. 상제도 도교의 옥황상제(玉皇上帝)와는 다른 우리 민족의 고유한 하늘의 또 다른 명칭이다. 그리고한울님이라는 용어도 우리 조상들이 오래전부터 숭상한 하늘[天]과 깊은 관련이 있다. 둘째,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타나는 개벽사상과 최제우의 다시 개벽사상은 내용 및 구조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또한 동학의 21자 주문은 단군신화에 나오는 환골탈태(換骨奪胎) 수(數)인 삼칠(三七:21)관념과 관련성이 있다. 그리고 이 삼칠관념은 북방 유목민인 우리 조상들에게 오래전부터 전래되어온 고유한 사유체계이다. 셋째, 한국 고유의 선교(仙敎) 즉 풍류도(風流道)와 동학의 관련성이다. 풍류도는고대에 있었던 한국 고유사상이다. 풍류도는 무교(巫敎), 무도(武道), 선도(仙道)를포함하고 있는 측면과 유교, 불교, 도가를 포함하고 있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할수 있다. 어떤 측면에서 분석하더라도, 동학과 풍류도의 사유체계가 매우 흡사하다. 이상 세 가지 측면에서 동학의 고유성을 고찰해 볼 때, 동학은 우리 민족이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던 사유체계의 결정체임을 알 수 있다. 동학을 유·불·도와 연관하여 연구하는 것은 동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 수는 있지만, 동학이 유·불·도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었다는 선입견을 탈피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선입견과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동학이 유·불·도가 아닌 한국의 고유한사상과 관련이 있다는 것에 대한 철저한 고증과 연구가 더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동학 인식 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동학 인식 개선 방안 연구

        안미애,이채영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이 연구의 목적은 청년층인 대학생들의 ‘동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결과를 바탕으로 동학에 대한 청년층 대학생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이 연구의 응답자인 대학생들은 동학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동학을 민족 운동으로 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생들의 동학 인지경로는 고등학교 수업이 주요 경로로 그중에서도 한국사 수업을 통해 동학을인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대학생들은 동학을 대학생의 인성 교육이나 토론의 주제로 활용하는 데 적극적이고 긍정적이지 않았다. 셋째, 동학에 대해적극적으로 알고자 하는 태도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이들은동학을 ‘과거’에 유효한, 단순히 역사적인 사건 중 하나인 ‘민족 운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은 현대와 미래를 이끄는 사상으로기능할 수 있는, ‘동학’에 대한 청년층 대학생들의 지식과 인식이 부족한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결과, 청년층 대학생들의 동학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동학을소재로 한 대학 교육을 강화하고, 청년층이 접근하기 쉬운 문화 콘텐츠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Donghak' an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Donghak'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ike a preceding study, the study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the Donghak to some extent and they regarded it primarily as a national movement. University students learned about Donghak mainly through Korean history classes in high school classes. Second, university students were not positive about using the Donghak as the subject of their humanism or personality education or debate. Third, they didn't want to know the Donghak actively. The results are to be due to the lack of an accurate education about the Donghak to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strengthe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Donghak and diversify cultural contents that are easy for young people to access to in order to raise awareness of the Donghak.

      • KCI등재

        여주 동학인 홍병기의 동학사상 실현과 민족운동의 전개

        황묘희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3

        Hong was the leader of Donghak and independence activist who led the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reform movement. Hong Byeonggi, who embraced Donghak that emphasized national consciousness to suggest that humans are equal and dignified, and to protect the country and make the people comfortable, grew up to be a close contact. The Japanese invasion of Japan, which caused the Sino-Japanese War in 1894, began in earnest, and the second Donghak Revolution for the antiJapanese war broke out. After the Donghak Revolution Movement was frustrated, Hong Byunggi went on to promote the Rehabilitation Movement along with other members of Cheondogyo, including Son Byunghee. The mission was to send the students to Japan to experience modern civilization and to promote political reform of the Korean Empire. At the direction of Son Byeonghee, he organized a civil society to promote the civilization of the Korean civilization by contributing to the modern civilization of the Chosun peopl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He took note of the trend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efore and after World War I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3.1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plan promoted by Cheondo members such as Son Byunghee and Kwon Dongjin Realized. Hong Byeonggi was arrested in the Gyeongsang Province immediately after the 3.1 National Movement and tried to defend the self-respect of the nation without refusing the appeasement of Japanese colonialism without losing national spirit. Therefore, he strongly criticized the independence of Joseon independence and the unjustness of Japanese colonial rule during the interrogation proces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he expressed his national anti-Japanese consciousness through Donghak thought. After the 3.1 national movement, his passion for social reform and independence continued. After the Korea Revolutionary Party was organized in Jilin, it continued its national movement. 논문의 목적은 동학인이며, 항일 독립지사로 민족운동의 전면에 서서 일생을 살았던 인암 홍병기의 역사적 위상을 평가해 보고자 함에 있다. 한국 민족운동사에 있어 역사적 의미가 있는 사실에서 홍병기의 행적을 다수 발견할 수있으나, 그의 사상이나 행적을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내용의 저술이나 자료들이 부족함으로 홍병기에 대한 인물연구와 평가가 폭넓게 이루어지않았다. 그러나 동학 교단의 중진으로서 한국 민족운동사의 큰 흐름에 동참하고 있었던 사실은 홍병기라는 인물의 역사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고 본다. 논문의 내용은 홍병기가 동학-천도교를 통해 어떻게 개혁사상과 항일 민족운동을 실천하고자 했는지 동학혁명운동과 3.1민족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의 평등과 존귀함을 제시하고 보국안민의 민족의식을 강조한 동학에입교하여 경기도 여주에서 동학의 포교활동에 진력하며 접주로 성장한 홍병기는 이후 2차 동학혁명운동이 일어나자 여주 동학인과 지역 주민들을 이끌고 기포하여 항일전쟁을 수행하였다. 또한 천도교 중진 인사들과 함께 개화혁신운동을 추진해 나가면서 대한제국의 정치개혁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동학이 천도교로 전환된 후에는 교단의 정책과 노선을 결정하는 중진으로서 천도교단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그리고 3.1민족운동 계획에 적극 동참하여민족대표로 민족독립에 대한 자신의 의지를 실현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홍병기가 동학의 인간평등사상과 구국민족의식을 근간으로 한 시대개혁사상을 동학혁명운동과 개화혁신운동으로 실천하고, 3.1 민족운동으로 승화시키는 역사 현장의 중심에 있었음을 살펴봄으로 홍병기라는 인물이 한국 민족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재인식할 수 있는 결과를기대한다.

      • KCI등재

        경상북도 지역의 동학 활동 연구- 사적지를 중심으로

        채길순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This paper, the area of Gyeongsangbuk-Do Dong-Hak and the traces of the Dong-Hak Revolution history was studied by region. 1. Founders of religions Je-Woo Choe Dong-Hak Religion was founded Gyeongju(Yongdam-Jeong) traces the history. Yangsan Naewonam(Temple) who Eulmyocheonseo(神書) Jeokmyeolgul(cave), the first Dong-Hak organization conducted Heunghae-UpMaegok-dong, Ulsan-City yugok-dong Yshivawitgol Original issue discount(左道亂政律,countries subversive death was planned sins) to Daegu Gwandeokjeong(authorities sahyeongjang) level. 2. Second religious leader Si-Hyeong Choe's capital and propagation of refuge areas and important. Granularity when visited Gyeongju's Je-Woo Choe Dong-Hak lived in Pohang city(Geomdeung-Gol) There are traces of history. Kicked around in a Bundle of Si-Hyeong Choe missionary who Yeongyang-gun(Jukhyeon-Ri), Uljin-Gun(Jukbyeon-Ri), Yecheon(Susan-Ri), Gimcheon-City(Bokho-Dong) Subtlety missionary history trail exist. 3. Pil-Je Lee, were investigated. Dogma for identity movement caused Yeonghe's War Yeonghe local private 4. Dong-Hak Revolution period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Yecheon-gun Gumi(Seonsan), Gimcheon-City, Sangju-City Si-Hyeong Choe Dong-Hak Mormon missionary area, thus common. So, Dong-Hak Revolution at the time, a fierce battle was fought. Specially, when the Second World War(18.09.1894), Japanese forces in the region logistical targets were. Yecheon, Sangju,Seonsan, Gimcheon Anei Geocang, Uihung Seongju In a fierce war broke out. 이 경상북도 지역의 주요 동학 및 동학사적은 다음과 같다. 1. 창도주 최제우(崔濟愚)의 동학 창도 및 포교 활동과 순도 사적으로는 창도와포교의 발상지인 경주 용담정을 비롯하여, 을묘천서를 받은 울산시 유곡동 여시바윗골, 최초로 접주제를 실시했던 흥해읍 매곡동, 좌도난정률로 최후를 맞은 대구 관덕정이 대표적인 사적이다. 2. 최시형의 수도 및 잠행 포교와 도피처로, 동학에 입도할 당시 수련 장소였던 포항시 마북리와 검등골이 있다. 최시형은 관에 쫒기면서도 포교에 힘쓰고, 교단을정비했다. 최시형의 초기 주요 잠행 포덕지로 영양군 일월면 용화리 상죽현, 울진군죽변리, 예천시 풍양면 고산리 수산리가 있다. 3. 이필제의 영해작변 사적을 고찰했다. 영해 관아를 친 뒤에 영양 일월산으로 도피했다가 관군에 포위당해 엄청난 희생을 남긴 채 가까스로 탈출했고, 문경 새재에서 작변을 획책하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최후를 맞는다. 4. 동학농민혁명 시기 경북 북서부지역 상주 예천 선산 김산은 최시형의 주요 도피처인 동시에 포교 지역이었다. 이런 동학 조직을 바탕으로 경상도의 동학농민들은 전라도의 봉기 소문에 크게 고무되어 1894년 3월부터 상주 김산 등지를 중심으로움직이기 시작했고, 6월부터 동학교도의 투쟁활동이 전개되었다. 특히 2차 봉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일본군 병참부가 있던 예천 상주 선산 김산 안의 거창 의흥 성주 지역에서 투쟁활동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경상북도 동학은 초기 창도 시기에는 집단화 되지 못한 점조직 상태였고, 그나마교도가 일부 지역에 국한되어 교세가 미약했다. 이필제의 영해민란은 이런 허약한 동학 조직의 한계를 드러낸 사건으로 볼 수 있다. 동학 교세가 강원 충청 경기 전라 지역으로 확장되어 보은 옥천 영동을 넘어 1880년대 상주 김산으로 다시 전파된 동학조직이 비로소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최시형은 상주를 거점으로 여러 취회운동을 수행했고, 동학농민혁명 초기부터 집강소 활동을 펼쳤고, 후기에는 극심한 투쟁지역이 되었다.

      • KCI등재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과 접근 경로에 대한 연구-2009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검정교과서 6종에 나타난동학의 내용과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경진,임상욱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7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이 동학을 접하고 인식하는 계기가 무엇인지에 대한경로를 살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동학이 처한 위치와 그 의미는 무엇이고, 동학사상 발전을 위해 제안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한 단초를 발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첫째, 대학생 1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이들이 동학을 접하는 주요 인식 경로와 동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고, 둘째, 대다수 대학생이 학교 교과를 통해 해당 내용을 배웠다고 인식하고 있는 고등학교 한국사 6종 교과서의 동학 관련 단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결과 및 교과서 단원의 내용 검토를 토대로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의 성격과 교과서 내용의 관계를 구명한다. 이로부터 도출 가능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학교 교과를 통해 동학을 접하게 되었으며, 대중 매체나 주변의 지인을 통해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동학을 접할 기회는 거의 없어 교과 내용의 일부로 이들의 기억에 남아 있는 지식이 동학을 이해하고 인식하는 거의 유일한 접근 경로라는 점이다. 대학생들은 동학 관련 내용을 배우는 교과목으로 한국사, 윤리와 사상, 그리고 사회 과목을 꼽았으며, 이중 한국사에서 가장 많은 내용을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이로부터, 둘째,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동학 관련 내용은 한국사 교과의 지식 형태로학습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대학생들은 동학의 성격을 종교보다는 민족 운동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점이다. 이는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 관련 내용이 종교로서의 동학에 대한 서술보다는 동학농민운동이 지니는 사회·정치적 의의와 역사적 평가가 서술 내용의 주류를 이루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9세기 열강의 침략이 강화되던 시대적 상황에서 전개된 동학도의 전국적 움직임은 특정 종교가 아닌 민족적 차원에서기술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사 교과서에 실린 내용은 오늘의 대학생들이 동학에 대해 갖는 인식 형성에 결정적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이는 동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알아보기 위한 개방형 설문의 응답 내용이 한국사 검정 6종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표현과 상당히 일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응답의 대부분은 동학농민운동과 지도자 전봉준, 그리고 이와 관련된 명칭과 성격에 대한 평가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제안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은 바로그동안 교과서에 실린 동학 관련 내용의 오류 수정을 주장해온 여러 선행 연구들의결과물들이 실제 우리의 초·중등 교육 과정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 연구자들 간 서로 다른 입장과 견해로 해석의 차이를 보이는 내용들에대해서는 충분한 논의와 숙고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교과 지식의일부에 불과한 동학, 과거 역사의 한 사건으로 기억될 뿐인 동학은 가장 반(反) 동학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 opportunities that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and recognized Donghak is and how they recognized the character of Donghak. To achieve this, first,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113 university students about the route of the awareness of Donghak, the study analyzes the main route that they approached Donghak and the image of Donghak. Second,this study reviews Donghak-related units of 6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learned a lot about Donghak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at most of them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is study discusses a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 of Donhak that university students recognized and textbook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outcomes of the titles and contents of Donghak-related un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approached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and had few opportunities of approaching Donghak through media and their surroundings. Accordingly, learning Donghak through the school curriculum is the only way of approaching Donghak. Second, Korean history, Ethics and thoughts and Society are chosen by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to learn about Donghak and they responded that Korean history is the subject that contains the most contents about Donghak among these. Third, the percentage of university students who thought that the character of Donghak is not religion but national movement is high.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ed Donghak-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consequently,the narrative of Donghak peasant movement mainly featured the narrative of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and historical evaluation of Donghak peasant movement rather than the narrative of Donghak as religion. Fourth, the responses to open-ended questionnaire to know about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Donghak considerably corresponded with expressions to emphasize in 6 Korean history authorized textbooks. Most of the responses usually featured the assessments of Donghak peasant movement, leader Jeon bong-jun and the appellation and character related to these, therefore this study can comment that the content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strong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awareness of Donghak. Based on this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results of many preceding research that pointed out the revision of errors of Donhak-related contents on textbooks have to be reflected in real curriculum. Furthermore, expressions and contents of textbooks that have discrepanc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different positions and views need sufficient discussion and consideration.

      • 汕耘 張道斌의 東學農民革命 認識

        金昌洙 한국동학학회 1999 동학연구 Vol.5 No.-

        우리나라 近代史의 分水嶺을 이루는 東學農民革命에 대하여 民族主義史學者의 한 분인 汕耘 張道斌이 어떻게 인식하였는가의 문제를 다루어 본 것이 이 논문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의 동학농민혁명의 인식에 있어서 東學의 創道로부터 農民蜂起에 이르기까지의 諸問題를 자세히 다루고 있다. 우선 그는 동학농민혁명의 성격에 대하여 당시의 보수적인 학자들이 東匪의 匪亂으로 본 견해를 극복하여 이를 民衆革命으로 次元을 높여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그가 동학농민이 봉기할 무렵 大院君과 金琫準이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는 지적은 논의의 여지가 있는 견해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는 宗敎思想으로서의 동학을 혁명주의 사상으로 이해하고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인 전봉준과 東學敎門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이를 부정하는 극히 일부의 견해도 있으나 전봉준이 동학의 平等ㆍ革命思想에 공명하여 入道하게 된 경위와 그의 종교활동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의 봉기초에 관군을 격파하고 승승장구하게 된 원인을 흥미롭게 설명하고 나아가 동학농민혁명이 끼친 영향과 역사적 의의에 論及하고 있다. 요컨대, 그는 동학농민혁명의 인식에 있어서 그 의의를 평등ㆍ혁명주의에 입각한 反封建ㆍ反侵略의 민중혁명운동으로 이해함으로써 당대의 史學者들보다 진보적인 견해를 지녔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하여 그는 동학농민혁명을 韓國近代史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 자리매김하려고 한 것 같다.

      • KCI등재

        신동엽의 <금강>에 나타난 서사 구조와 작가의식 동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지현배 동학학회 2013 동학학보 Vol.0 No.28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explored Shin Dongyeop poet's masterpiece <Geum-gang(river)> center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Published in 1967, the main material of poem <Geum-gang(river)> is 1894 Donghak Revolution. Historical figures of Suwoon, Haeweol, and Jeon Bongjoon appeared, and historical facts of Donghak revolution constitute the heart of this work. Meanwhile fictional characters such as Hanui and Im Jinah appeared, and they interact with real persons, and reality of the 1960s are juxtaposed with the 1894 Donghak Revolution, occasionally. This effect are shaping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or poetic devices. This study is not only a process but also a result that was expored the related content and Spirit of Donghak, narrative structure of <Geum-gang(river)>, and writier consciousness revealed throughout the whole work. <Geum-gang(river)> is based on Donghak Revolution in the sense that contains heroic personality of figures associated Donghak and core of Donghak Spirit. The narrative structure of <Geum-gang(river)>, through the co-existence of the historical character and real persons, on the basis of the Donghak Revolution, is shaping both contemporary realities and challenges of the future. And, in this work, Shin Dongyeop's consciousness is reflected that reveals the resistance to the ruling class discourse and hope for the future. This communicates with the spirit of Donghak's ideal country that makes great features of reentry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신동엽 시인의 대표작인 <금강>을 동학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살폈다. 1967년 발표된 <금강>의 주된 소재는 1894년 동학혁명이다. 역사적인 인물인 수운과 해월, 그리고 전봉준이 등장하고, 동학혁명의 역사적 사실이 작품의 중심을 이룬다. 동학 경전에 담긴 동학사상이 작품의 곳곳에 드러나기도 한다. 그런 한편 허구적 인물 하늬와 임진아가 등장하고, 이들이 실존 인물들과 교류하고, 1960년대 현실은 1894년 동학혁명 당시와 병치되기도 한다. 이런 효과는 서사적 구조 혹은 시적 장치를 통해서 형상화된다. 이 연구는 동학 혁명을 주된 내용으로 하는 <금강>의 서사 구조, 그리고 작품 전반에서 드러나는 작가의식을 밝히는 과정이자 그 결과물이다. <금강>은 동학 관련 인물의 영웅성과 동학사상의 핵심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동학혁명을 근간으로 한다. <금강>은 역사적 인물과 실존 인물의 공존을 통해서 당대 현실과 미래의 과제를 함께 형상화하는 서사구조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에는 지배층에 대한 저항 담론과 미래에 대한 희망이 드러나는 신동엽의 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이는 회귀성과 현세성을 특징으로 하는 동학적 이상국가의 정신과 상통하는 것이다.

      • KCI등재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

        최천집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이 연구는 동학의 역사성과 그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동학은 역사성을 가진 사상이면서 문화로 볼 수 있지만 이에 대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아 역사성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역사성은 동학의 정체성뿐만 아니라 현실성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논의의 가치가 충분한 주제이지만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논의의 필요는 충분하다. 동학은 역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인간이 주체가 되어 역사를 이끌어나가야 한다는 관점을 강조하고 있다. 동학에서의 인간은 그 가치나 위상에 대한 지배적인 인식이 잘못 전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그것에서 그들만의 새로운 인간의 개념에 대한 역사를 세워나가는 장이었다. 동학은 인간관의 기반을 다진 데에서 역사를 통해 사상이 가진 사회적 적응과 대응을 모색해 가는 과정을 밟아나가면서 사상의 정체성과 실천성을 보다 수준 높게 역사성을 확보해나갔다. 동학은 시간을 중심으로 하는 역사성을 형성하고 있으면서도 중시하기도 한다. 최제우가 보인 역사에 대한 성격을 두고 고민한 흔적은 특별한 것이기도 하고 근원이 오래되기도 하여 동학 역사성의 형성에 기본적인 틀로 축적되어 온 문화적 토양으로부터 물려받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그것은 동양에서 시간을 인식하는 근본적인 관점의 한 양상인 순환론적 시간관을 따른다는 것이다. 동학에서는 시간이 역사의 주요한 점이며 그것이 순환하면서 무한으로 반복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 따라 지금의 시대는 후천개벽의 시대에 해당하는데 이는 소강절의 역학론에 따른 시대구분을 끌어들여 역사를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용어를 끌어들일 뿐만 아니라 시대가 진행되는 시간도 5만년으로 설정하는데 이런 점도 소강절의 역학론의 중요한 잣대를 시간 단위로 수용한 것이다. 동학이 가진 역사성은 동학이 발생한 시기의 역사전개과정에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한 것은 무엇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떤 인식을 지니고 역사를 바라보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을 어떻게 결합하고 조절하는지를 고민하고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역사의 본질에 대해 계속하여 질문을 던지고 인간이 역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반성적으로 탐색한다는 점은 동학 역사성의 정체성과 생명력을 확보하는 요소로 작용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 이외에도 동학의 역사성에는 사상이 사회와 만나 지속을 하면서 축적하는 측면은 무엇이고 지속에서 단절로 바뀌면서 폭발하는 측면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는 의미를 갖기도 한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onghak and its meaning. Donghak can be regarded as both a historical ideology and a culture, but there is no discussion about it, which raises the need to worry about historicality. Historicality is a topic that is worth discussing not only the identity of Donghak, but also the reality, but the need for discussion is 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discussion. Donghak emphasizes the point of view that humans must lead history as a component of historicality. Humans in Donghak pointed out that the dominant perception of their value or status is being misrepresented, and from that, it was a field to build a history of their own new human concept. Donghak has secured the identity and practicality of the ideology to a higher level as he has pursued the process of seeking the social adaptation and response of ideology through history from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human view. Donghak also emphasizes while forming a historicity centered on time. The traces of Choi Je-woo's agonizing over the history of history are both special and old, so they can be regarded as inherited from the cultural soil that has been accumulated as a basic framework for the formation of Donghak's historicity. It follows a circular view of time, an aspect of the fundamental view of time in the East. Donghak has the basic idea that time is the main point of history and that it repeats infinitely as it cycles. In accordance with this point, the present era corresponds to the era of the later period, which divides the history by bringing in the period division according to the dynamic theory of Sogangjeol. Not only does the term draw in the term, but the time period is set at 50,000 years, and this is also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t criterion of the dynamic theory of the sublime in units of hours. The historical nature of Donghak is what emerged as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process of history development at the time when Donghak occurred, and in order to solve it, we must look at history with what kind of perception, and consider how to combine and control theory and practice in the process. It has the meaning of doing. The fact that he constantly asks questions about the essence of history and reflects on what human status should be in history served as an element to secure the identity and vitality of Donghak's historicity. In addition to these things, the historicality of Donghak also has a meaning to show what aspects of ideology accumulate while meeting society and continuing, and what aspects exploded from continuity to disconn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