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역사적 상상력 : 역사-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역사-드라마는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극적으로’ 주선한다. 이 때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과 극적 허구라는 이질적 층위의 이야깃거리를 하나의 균질적 이야기로 집성해내고,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라는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시공간을 자유로이 넘나들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드라마의 핵심적 역사 기술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상상력은 주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상호텍스트성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 사이에 산포하는 다종다양한 텍스트의 호출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간극을 좁히고,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를 지금/여기와 흡사한 시대감각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현재화된 과거라는 모순적 시간계 속에 존재하는 역사드라마의 본질은 역사와 드라마의 절합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역사와 드라마라는 인문과 예술에 대한 ‘태도’의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다. 자연히 역사적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역사드라마로서의 ‘진지함’ 이라는 태도 속에서만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역사드라마의 이러한 태도는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이 어떻게 텍스트 속으로 수렴되고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역사적 상상력의 수행으로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로 분할되어 있는 화면 안팎의 시공을 초월하여,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통해 과거를 복기하고 현재를 환기하는 극적 재현에 있어 더없이 유용한 극작 기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추노>, <공주의 남자>, <뿌리깊은 나무>, <해를 품은달> 등의 미니시리즈는 역사적 상상력의 극적 수행인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의 성패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사실로서의 큰 역사(History as a fact)’ 사이에 그럴듯한 ‘허구로서의 작은 역사들(histories as a fiction)’을 틈입시키거나, 그때/거기의 허구적 재현을 통해 지금/여기에 대한 사실적 발화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하지만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은 굳이 소환해야 할 당위가 없는 역사를 가벼이 불러내어 소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다.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정서 혹은 정조(情操)와는 무관하게 역사적 상상력의 진지함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을 압도하고 있는 셈이다. History-drama arranges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ical imagination is core principles of History-drama. It gathers heterogeneous stories and form into a homogeneous story. It also crosses incompatible space time border, or then/there and now/here, with no limitations. Historical imagination was oper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calling out various texts, and anachronism, representing then/there with the sense of the times of now/here. History-drama's essence lies in the reading of human world through articula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History-drama's earnestness gives some validity to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presented’ past. This attitude could be found by seeing how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converge towards tex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transce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 screen, or time space divided between then/there and now/here. Both of them are useful dramaturgy that not only duplicates the past but also arouse the present.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as a dramatic performance of historical imagination, could be good examples in the mini-series such as <Chuno>, <The princess' man>, <Deep-rooted trees>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Small histories as a ‘plausible’ fiction not only intrude into History as a fact, but also try realistic discourses on now/here in <Chuno> and <Deep-rooted trees>. However, histories with no validity are recalled easily, then exhausted in <The princess' man>,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is shows poverty of historical imagination. Regardless of emotion in drama, <Chuno> and <Deep-rooted trees> overwhelm <The princess' man>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in an earnest aspect of historical imagination.
聯作 혹은 連作과 드라마틱 유니버스의 가능성- 박경수 미니시리즈 <귓속말>을 중심으로 -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8 한국문학연구 Vol.0 No.56
A drama writer Park Gyeong-soo's A Whisper describes a fight with legal abusers who pursue their own interest using laws. ‘A Whisper’, a title of the drama, is ambiguous. It arouses confidential whispering and open eavesdropping between leaders and reactionaries and between the drama and viewers inside and outside the screen. Challenge and response between ‘power with no justice’ and ‘justice with no power’ uttered in the drama is a topic that has constantly been expressed by Park Gyeong-soo. Naturally, A Whisper is a tetralogy overlapping and combining with the past trilogy about power. In other words, A Whisper is a series collaborating with the original work and a continuous crea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original work intact. The detective of A Tracker loses his parents in the Empire of Gold and resists legal power in A Punch. A Whisper has this storytelling. In this context, A Whisper completing a tetralogy is a record of beta-test texts to reserve discovery/creation of dramatic universe, as an anthology and a crossover of the previous trilogy. 극작가 박경수의 <귓속말>은 법을 도구로 사익을 추구하는 법비와의 싸움을 그린다. 드라마의 제목으로 내세운 ‘귓속말’은 중의적이다. 그것은 화면 안팎에서 주동과 반동, 드라마와 시청자 사이의 내밀한 속삭임과 공공연한 엿듣기를 환기시킨다. 드라마에서 발화된 ‘정의 없는 힘’과 ‘힘이 없는 정의’ 사이의 도전과 응전은 박경수가 전작에서부터 일관되게 피력하던 화두이다. 자연히 <귓속말>은 기왕의 권력 삼부작과 겹치고 합쳐져 사부작을 이룬다. 이를테면 <귓속말>은 전작과의 협업을 거친 연작(聯作)임과 동시에 전작과 고스란히 이어지는 연작(連作)인 셈이다. <추적자>의 형사가, <황금의 제국>에서 부모를 잃고, <펀치>에서 법조 권력에 저항하는 스토리텔링이 바로 <귓속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부작을 완성시키는 <귓속말>은 앞선 삼부작에 대한 앤솔로지이자 크로스오버로서, 드라마틱 유니버스의 발견/창조를 예비하는 베타 테스트적 텍스트로서 기록된다.
박노현,고하영,정진웅,강통삼,Park N. H.,Koh H. Y.,Jeong J. W.,Kang T. S. 대한설비공학회 1986 설비저널 Vol.15 No.4
In the normal Refrigeration process, the condensation heat of refrigerant s not been used because of its low-temperature waste heat. To recover the condensation waste heat of R-12 refrigerator, a drying and hot water system was designed and experimen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temperature a temosphere was increased, the temperature of discharge gas of compressor was increased. And the temperature was $80-84^{\circ}C$ for air condensing type and was $68-71^{\circ}C$ for water condensing type during summer. 2. The condensation waste heat could be obtained up to $50-55^{\circ}C$ of drying heat-source and Hot water in summer. In this case, recovered rate was about $73\%$. And the more temperature of drying Heat-source and Hot water were increased, the more a recovered rate were decreased. 3. When comparing drying characteristics of Agro-products in dryer of waste heat utilization and Hot air, there was no quality difference in products. But drying time of the former was 3 Hours longer than the latter. 4. The condensation waste heat of compressor could be applied into the drying of marine products, the predrying of agro-products and making hot water. And showed high possibility of the waste heat using in low-temperature storage.
한국 근대 희곡과 제도 1 : 춘원 이광수의 희곡 인식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59
It's only been around one hundred years since dramas were established as a genre of literature like the present. Thi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modern literary concept. Literature was adopted as a translated language corresponding to literature of Western language around the 1910s and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relevant literary theories, dramas or plays were able to enter the chapter of literature. But dramas are often treated as a periphery in the place of discourse of reality surrounding literature, compared to poems or novels. This situation is discovered almost anytime throughout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including creation and critique, research and education, and publication and reading. Regarding this marginalization of dramas as a singularity created while Korean modern literary system was buil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gress. Choonwon Lee Gwang-soo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tracking. At last, the declaration of dramas as a kind of literature was triggered by ‘What is Literature? (「文學이란 何오」)’ announced by Choonwon in Maeil Shinbo in 1916. Besides, he created two dramas; <Gyuhan (閨恨)> and <Soon-gyo-ja (The Martyrs)> as well as the conceptual declaration. In this context, Lee Gwang-soo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genre identity of initial dramas in modern literature. But his writings regarding dramas while going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era overshadowed the early influence. He even behaved as if he left dramas unattended on the fringes of literature, giving up his pioneering declaration for dramas by himself. Given his power in the literary circ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might be a substantial motivation for marginalization of dramas. As stated above, the ambiguous position of dramas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was based on Choonwon's superficial genre recognition. 한국에서 드라마가 현재와 같은 문학 장르로 설정된 것은 불과 백 년 정도이다. 이는 근대적 문학 개념의 형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1910년대 전후 서양어 리터러처에 조응하는 번역어로 문학이 채택되고 그와 관련한 문학론들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극내지는 희곡이 문학 장 속으로 인입될 수 있었다. 하지만 문학을 에워싼 현실의 담론장에서 희곡은 종종 시나 소설에 비해 주변부적 취급을 받는다. 이러한 정황은 창작과 비평, 연구와 교육, 출판과 독서를 망라한 한국 문학 장 곳곳에서 거의 예외 없이 발견된다. 이 글의 목적은 희곡의 이와 같은 주변화를 한국의 근대적 문학 제도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특이점으로 보고 그 추이를 살피려는 데에 있다. 그리고 그 추적의 시작점을 춘원 이광수로 삼는다. 드라마는 춘원이 1916년 매일신보에 발표한 「文學이란 何오」를 통해 비로소 문학임이 선언되었다. 게다가 그는 개념적 선언에 그치지 않고 <규한>과 <순교자> 등 두 편의 희곡을 창작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근대 문학 초기 희곡의 장르 정체성 형성에 끼친 이광수의 영향력은 작지 않다. 하지만 일제강점기를 통관하는 동안 그가 희곡과 관련해 남긴 글들은 초기의 영향력을 무색케 한다. 심지어 그는 희곡에 대한 자신의 선구적 선언을 스스로 포기한 채 희곡을 문학의 주변부에 방치하는 것 같은 태도마저 취한다. 일제강점기 그가 차지하고 있던 문단권력을 고려했을 때 이는 희곡의 주변화와 적지 않은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이처럼 한국 문학 장에서 희곡이 딛고 있는 어정쩡한 위치의 시원에는 춘원의 피상적 장르 인식이 작동하고 있었다.
케이드라마 인 더 트랩 - 삼국 합작 웹드라마 <드라마월드(Dramaworld)>를 중심으로 -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2
Dramaworld is a Web Drama produced by jointing the human resources and capital of thre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hina, and Korea. This bilingual drama delivered worldwide via Viki, a global video streaming platform, consists of a total of 10 episodes. However, because each episode is just over 15 minutes, the overall running time does not take no longer than an hour. Dramaworld is fantasy on adventures that Claire-an American college girl fascinated by Korean Television Dramas or ‘K-Dramas’-enters in the world of the drama she regularly watches. This drama almost fully shows a cliche regarded as embarrassment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addition, it is compiled as a handbook with the same title of this drama Dramaworld to wittily satirize ‘Law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In light of the script, directing, and the career of the main actors and actresses, Dramaworld is a trilateral joint dram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rama created by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From this perspectiv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ramaworld is the production of Orientalism edited with a focus on Korean screens captured newly and strangely to the viewpoints of the United States and Americans. Dramaworld has a series of scenes open to censure with the expression of ‘Makjang(over-the-top)’ even in Korea. Dramaworld, which can be regarded as a truce face of Korean Television Dramas, clearly shows an immediate environment of Korea as transnational culture contents in the age of glocal televis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Dramaworld is a drama to provoke serious and severe self-reflection as a clear sign that Korean Television Dramas considered as a leading character of the Korean Wave(韓流) can be a just fleeting preference suitable for the fond of novelty of the West and Westerners. <드라마월드>는 미국․중국․한국 등 삼국의 인력과 자본이 합작하여 만든 웹드라마이다. 글로벌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키’를 통해 전 세계로 제공되는 이 이중어 드라마는 총10회에 달하지만, 15분 남짓의 짧은 에피소드로 이루어져 있어 전체 러닝타임 역시 채 세 시간이 되지 않는다. <드라마월드>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즉 ‘케이드라마’에 심취한 미국 여대생 클레어가 자신이 애청하던 드라마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게 되면서 겪는 모험을 다룬 환상물이다. 드라마는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치부로 여겨지던 진부한 클리셰를 거의 빠짐없이 선보인다. 그리고 그것은 『드라마월드』라는 드라마의 제목과 동일한 핸드북으로 집대성되어,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법칙’을 재기발랄하게 꼬집는다. 극본과 연출과 주요 배우군의 이력을 감안했을 때, <드라마월드>는 삼국 합작이지만 사실상 미국(인)에 의해 제작된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드라마월드>는 미국(인)의 시선에 신이하게 포착된 한국의 화면 위주로 편집된 오리엔탈리즘의 산물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드라마월드>는 정작 한국에서조차 ‘막장’이라는 표현과 더불어 비난을 면치 못하는 장면들로 점철되어 있다.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민낯이라고 할 수 있는 <드라마월드>는 21세기 글로컬 텔레비전의 시대에 초국적 문화콘텐츠로서 한국의 그것이 처한 현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드라마월드>는 한류를 이끄는 주역으로 간주되어 온 한국의 텔레비전 드라마가 실은 서양(인)의 독특한 이색 취향에 맞춤하게 부합한 잠시 잠깐의 기호품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는 명백한 표징으로서 심각하고 진지한 자성을 환기시키는 드라마이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상호텍스트성 - ‘텍스트 소환 기법’의 개념과 유형을 중심으로 -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1 한국문학연구 Vol.0 No.40
This paper defines the text citation technique, shows its function and effect, and classifies It. Text citation technique refers to the art of dramatic composition with which one text cites other texts into its inside. Specializing intertextuality, television drama tries various techniques. This dramaturgy is based on contiguity and accessibility of the television media. It does not intend to subvert or deconstruct the existing texts. There is pleasure in the bottom of this television dramaturgy. This technique triggers the simultaneous enjoyment of knowledge and pleasure. Such enjoyment is the emotional response of readers taking part in the enigmatic field of texts. Intertextuality between texts, or text and reader, breaks down the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In the dramatic art, the estrangement effect not only makes viewers critical, but also has their dramatic illusions shattered, separating fiction and reality. However, text citation technique of television drama function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is television dramaturgy integrates ‘here’ and ‘there’ of stage, or the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s blind spot. With contiguity and accessibility, television drama produces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among texts to destroy the boundary between fiction and reality. Meeting other ones in dramatopia, fiction becomes real. The text citation technique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the original text and the cited text: mention, quotation, display, disturbance and crossover. The ‘cited’ texts include letters and pictures, ranging from television dramas, literature, plays to movies. Pleasure of text citation is the heart of television drama intertextuality, linking one text to other texts without end. In other words, television drama produces the unlimited play through text citation technique. 이 논문은 텔레비전 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 즉 ‘텍스트 소환 기법’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기능과 효과를 살피며, 활용 방식에 따른 유형화를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 소환 기법이란 하나의 텍스트가 외부에 위치한 또 다른 텍스트를 자신의 내부로 불러들이는 극작 기법을 뜻한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상호텍스트성을 특화시켜 극작술의 하나로 정식화할 수 있을 만큼 다양한 기법을 시도해 왔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텔레비전이라는 미디어가 지닌 인접성과 접근성에 기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텍스트 소환 기법의 심저(心底)에 자리하는 것은 ‘유희’이다. 텍스트 소환 기법은 앞서 존재하는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형식과 내용에 대한 ‘전복’과 ‘해체’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그것은 하나의 텍스트와 다수의 독자가 구축하는 드라마의 세계―드라마토피아(Dramatopia)가 또 다른 외계(外界)와 접촉하여 만들어내는 놀이라는 점에서 다성적 축제에 다름 아니다. 텍스트 소환 기법은 지(知)와 쾌(快)의 동시적 향유를 촉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는 텍스트가 마련한 수수께끼의 장에 독자가 참여하면서 이루어지는 정서적 반응이다. 텍스트와 텍스트 혹은 텍스트와 독자 사이에 형성되는 상호텍스트성은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효과를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극예술에서 소외 혹은 소격(疏隔) 효과는 ‘낯설게하기’로 비판적 거리를 확보하는 관찰자의 시선을 만듦으로써 허구와 현실을 분리시켜 극적 환상을 소거시키는 기능을 지닌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텔레비전 드라마의 텍스트 소환 기법은 동일한 효과로 정반대의 기능을 달성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것은 무대의 저쪽과 이쪽, 즉 텔레비전 사각(四角) 안팎의 세계를 분리하지 않고 오히려 통합시킨다. 인접성과 접근성을 내장하고 있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속성으로 인해 텍스트와 텍스트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과 개입이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무화시켜 버리는 것이다. 드라마토피아의 시공에서는 허구와 허구가 만나는 순간 현실이 된다. 이를 가능케 하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텍스트 소환 기법은 크게 여섯 가지 정도로 유형화가 가능하다. 그것은 원 텍스트와 소환된 텍스트의 접속 양상에 따라 언급·인용·전시·재생·교란·교차 등으로 구별된다. 이 때 소환된 텍스트는 텔레비전 드라마뿐만 아니라 문학·연극·영화를 위시한 모든 문자와 영상을 포함한다. ‘소환(함/됨)’의 유희를 핵심으로 하는 텔레비전 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은 소환하기 혹은 소환되기를 통해 하나의 텍스트가 또 다른 텍스트로 끊임없이 링크되도록 만든다. 요컨대 텔레비전 드라마는 텍스트 소환 기법을 통해 결코 끝나지 않는 무한의 유희를 창조해낸다.
텔레비전 드라마와 번역 -<연애시대>의 문화 번안 및 매체 전환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 한국문학연구 Vol.0 No.37
The bloom of multi-media transfers the meaningful original to various media. It is transformed into various genres, crossing between a letter and a voice, paper and screen, and 2D and 3D freely. There are a lot of translations in one original text. Therefore, a translation should be considered the result of close re-writing, not just rendering in another language. The original could be appeared as another worthy text distinguished from the original by addition and subtraction or by correction in the process of culture and media adaptation. Therefore, television drama <The Age of Love>, created from Japanese novel The Age of Love by Nozawa Hisashi, attracts our attention. <The Age of Love> was formed by double-translation, that is, culture and media transformation in that it was transplanted from Japan to Korea, from novel to television drama. <The Age of Love> has other worthy distinguished from the original, reflecting both the emotional difference based on manners and conven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nd the genre difference between novel and television drama. Showing the improved quality of the original text by capturing details the original could not represent, <The Age of Love> has the beauty of the original completely. For example, <The Age of Love> reinforces verisimilitude of characters by eliminating the absolute antagonism that conventionally appeared in a melodrama. Spreading an undecided denouement, <The Age of Love> mediates conversation inside and outside television. It also describes the world's totality more fully by picturing people's various life, which the letter could not represent yet, on the television screen. In a word, <The Age of Love> is meaningful text, showing the desirable direction of double translation in that it attains a peculiar sense of beauty through creative translation. 다매체 시대의 만개에 따라 가치 있는 원본이 다양한 매체로 옮겨지고 있다. 그것은 문자/음성, 지면/화면, 2차원/3차원을 넘나들면서 다양한 장르로 탈바꿈한다. 하나의 원작에 수많은 번역물이 존재하는 셈이다. 그런데 번역물은 원작의 단순한 옮겨 적기가 아닌 치밀한 다시 쓰기의 결과물로 간주되어야 마땅하다. 하나의 원작은 국가와 민족, 문화와 언어, 장르와 장르를 넘나들면서 이식되는 문화 및 매체에 따라 적지 않은 가감과 첨삭을 통해 애초의 원작과는 또 다른 가치를 지닌 텍스트로 탄생하는 것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연애시대>는 이러한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노자와 히사시의 일본 소설 『연애시대』를 원작으로 하는 <연애시대>는 일본에서 한국으로, 소설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로 이식된다는 점에서 문화 및 매체 전환이라는 이중의 번역을 통해 생성된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연애시대>는 일본과 한국의 습속에 의거한 정서 차이 및 소설과 텔레비전 드라마의 매체 차이를 반영하여 원작과는 또 다른 가치를 발하고 있다. 그것은 원작의 미덕을 고스란히 가져오면서도 원작이 놓치고 있는 세목에 대한 포착을 통해 진일보한 완성도를 보여준다. 예컨대 멜로드라마에 상투적으로 등장하는 절대적 적대를 소거해 인물의 핍진성을 강화하고, 미결정의 대단원을 펼쳐놓음으로써 텔레비전 안팎의 대화를 주선한다. 또한 문자가 채 담아내지 못하는 인간군상의 면면을 영상에 담아냄으로써 보다 총체적인 세계를 묘파하고 있다. 요컨대 <연애시대>는 원작에 대한 창조적 번역을 통해 독자적 미감을 성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중 번역의 바람직한 방향을 보여주는 대단히 의미 있는 텍스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