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생교육에 관한 법적 문제 연구

        이복희(Lee, Bok-Hee) 韓國土地公法學會 2012 土地公法硏究 Vol.57 No.-

        현행 평생교육법상 평생교육의 실현에 있어서는 우선적으로 평생교육의 헌법상의 관념정립과 더불어 법체계상의 통합화, 평생교육기관의 정립, 평생교육기관에 적극적인 지원, 평생학습도시 지정과 활성화 그리고 평생교육 요원의 관리, 평생교육의 정보화, 평생교육의 적극적인 참여, 취약계층에 대한 평생교육의 확충 등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평생교육에 만전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의 관념 정립이다. 현행 평생교육법상의 평생교육은 인간이 평생동안 교육을 받아야 하는 교육관념상의 위상정립이 필요하고, 그러한 측면에서 인간의 평생교육에 관한 법률은 다른 법률과의 통합화가 필요하다. 즉, 헌법에 명시된 국민의 평생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 법률에 산재되어 있는 사회교육 관련 법규를 국민의 평생교육 차원에서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평생교육기관의 정립이다. 즉, 교육의 질 향상과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평생교육원 설립을 위한 법인 자격 획득, 교육사업에 필요한 비영리성 확보, 고가 양질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화, 평생교육사 운영, 강사 수급 등 기존 노하우의 적절한 활용, 그리고 교육수요자 중심의 자발적 교육, 교양교육, 인력양성교육, 과학기술교육 등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여부를 재검토하고, 관리감독의 철저 등 제도적 규제도 요구된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배치 및 관리이다. 즉, 평생교육 진흥의 핵심적인 과제는 현장에서 요구하는 자질과 능력을 갖춘 전문적 지도자의 확충에 있으므로 평생교육기관에 평생교육사를 배치하여 평생교육의 전문성을 제고와, 지역중심의 평생학습 체제구축등 '학교중심의 평생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평생교육의 지원이다. 평생교육 활동의 임무 주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상호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평생교육 활동을 제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평생학습도시 확대이다. 평생학습도시 조성 사업은 교육에 대한 지역사회의 참여와 책무성을 강화함으로써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교육시스템을 강화하는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므로, 평생학습도시의 확대, 평생학습축제 활성화를 통해 개인·조직·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평생학습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성인교육 참여율 제고이다. 한국의 평생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우선, 성인 학습자들의 평생교육 참여율을 현재 수준보다 8배 이상(최소한 40%수준으로) 상향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향후 평생교육 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평생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매력적 교육 프로그램의 확보가 절실히 요청된다. 일곱째, 평생교육체제의 정보화이다. 평생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각종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지식과 정보 및 기술개발의 결과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콘텐츠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모든 평생교육에 관한 정보는 웹 상태로 저장하여 보존하고 재생하여 계속 새로운 정보로 축적·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취약계층을 위한 평생교육의 확충이다. 향후 한국의 평생교육이 단순한 양적 차원의 아니라 질적으로 충실하고 차원 높은 발전에 기초한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교육복지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는 "취약계층을 위한 평생교육의 확충"이 평생교육의 발전 지표로 추구되어야 한다. 그리고 평생학습계좌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하여 사회복지계, 노동계와 연계하여 평생교육 본래의 취지대로 다양한 학습 활동이 평생학습계좌제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o the current law of life-long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desirable to focus o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by offering improvements such as establishing the concept of laws, unifying the legal structures, establishing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supporting institutes actively, setting up the education city and activating it, managing staffs, informatizing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ng to the education, expanding the education to the weak. The detailed plans are following. First, it is to establish the concepts. The current law of life-long education needs to establish the status on the concept of education which people are getting for their whole lives, so the law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unified with other laws. Thus, in order to secure the right of life-long education for citizens under the federal law, it is proper way to unify related laws of social education that are spread out to other laws. Second, it needs to establish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Systemic regulations, such as acquiring corporate capacity to establish institutes, being non-profit for education, developing and varying programs with high quality, operating the history of life-long education, applying know-hows like supply and demand for professionals, and re-checking supports like active, general, human resource, and scientific technique education, and supervising thoroughly to improve the quality fo education and competition. Third, set up and supervision of the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Since the mainly focused homework for development of life-long education is on supplying professional leaders who have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required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nhance school=centered life-long education through improvement of professionality and local structure by establishing institutes in organizations. Fourth, the support for the life-long education. It needs to be offered the life-long education by establishing supportive structure between government and local organization. Fifth,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city. It is important to make life-long education trend or environment to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local society through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and festivals because the city will be leading and enhanc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local society by enhancing participation and authority of local societies on education. Sixth, improvement on participation of adult education. For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to be activated, the participating rate of adult-students should be higher up to 40% - which is 8 times higher as today's rate. Thus, attractive programs to activate life-long education as well as to expanding institutes of life-long education. Seventh, informatization of education structure. the results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quality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operated by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should be playable as web contents. In addition to that, all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saved, maintained, and played as web contents so that it can be added and used as new information. Eighth,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to the weak. Korean education should be activated based on high quality and high-leveled development, not on quantity-wise. This is that the expansion of life-long education to the weak that are discussed for educational welfare has to be pursued as a goal of life-long education development. In addition,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be supervised with life-long education account syste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the department of labors, lik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ystem.

      • KCI등재

        일반교육학 분야와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두영,박원희,김호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학연구 Vol.47 No.4

        The current research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rough comparing those two fields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is study addressed the answer for the question, 'how far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within the area of special education goes on? For the current study the two main journals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out disabilities, 'Studies on Life-Long Education' and 'Andragogy Today' were analyzed. For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studies focusing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main journals prov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analysis presented the trend of life-long education in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unique characteristics in those two field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the current study suggested ideas for future research in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교육학 분야와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를 국내 학술지에 실린 논문들을 중심으로 연도별․내용별 연구 동향을 각각 분석하고, 일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 동향에 비추어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의 현 위치를 진단하고, 나아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일반교육학 분야의 대표적인 평생교육 관련 학술지인 「평생교육학연구」와 「Andragogy Today」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일반 평생교육 연구의 연도별․내용별 특성을 파악하고,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관련 논문들을 선정하여 장애인 평생교육 연구의 연도별․내용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일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 동향에 견주어 본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자료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일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이 특수교육학 분야의 평생교육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학습자에 대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장애를 가지고 있는 학습자의 특성이나 평생교육 참여요인, 학습 성장과정, 생애단계별 맞춤형 평생학습 전략 등 ‘학습자’에게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특수교육학 내부에서 장애인 평생교육을 독자적인 영역으로 논의하고 추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원 과정에 평생교육전공 과정을 개설하고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학회가 출범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평생교육을 안내할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구가 시급하다. 더불어 장애인 전문 평생교육사 양성이 필요하다.

      • 평생교육시설 간의 파트너십 행태 분석 : 충청북도 평생교육시설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덕 충북연구원 2014 지역정책연구 Vol.25 No.2

        Recently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re being diversified by support of government. But It is suggested about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lack of infra-structure. Then partnership could be a useful alternative for it. There are many factors for successful performance in Life-long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manage factors systematically. However there is possibility of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long facilities toward Life-long education partnership behavior. This study classified partnership management into strategy & planning, operation & administration, appraisal & feedback. And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are classified into community center, culture-art facility, job-training facility. 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long facilities toward Life-long education partnership behavior is verified by scientific metho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 Life-long facilities' behavioral recognition level of partnership is positiv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long facilities in 3 categories(strategy & planning, operation & administration, appraisal & feedback).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fe-long facilities about performance(sub-variable of appraisal & feedback). Especially job-training facility recognize the partnership effect more importantly than the other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appraisal & feedback in Life-long education partnership. So support strategy for partnership performance should be considered by facilities' purpose. However importance of partnership strategy & planning, partnership operation & administration could be ignored by environment of immatured Life-long education partnership. Then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promote environment for partnership recognition. -

      • KCI등재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 -미래적 생애의 시공간(時空間)을 향한 문학교육의 역할-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은 미래사회의 개인이 살아가는 생애 전체의 시간과 공간을 함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 두 가지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 혁신을 해야 한다. 문학이 생활과 다양한 방식으로 호환되는 방향으로 발전해야 한다. 미래사회에서 문학교육은 생애 전체를 통해서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소통``을 경험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 고도의 기술문명 속에서 학습자에게 ``심미적 도야``를 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생애교육은 역동적이 될 수 있다. 생애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예술사회학이나 문화사회학의 영향 가치를 잘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교육의 문학교육``은 탈제도화를 지향하고, ``생애교육의 문학교육``은 제도화를 지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should look into the entire life-long time and life-space of each individual in future society, and a curriculum innovation is needed for interaction of those two(life-long time and life-space). It should develop toward the direction that the literature is compatible with life in various ways. The literature education in future society should be done through the whole life and focus on leading students to experience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ir every lifetime and life-space. Moreover, the education should lead them to pursue ``esthetic cultivation`` in high-degree technical civilization and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can become dynamic. The content and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hange of future societ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flect the value based on sociology of art and the sociology of culture. ``Literatur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needs to aim deinstitutionaliz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in life-long education`` needs to aim institutionalization. And it is advisable that both sides interact with each other.

      • KCI등재

        초등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정란지(Chung, Ran-Ji),주동범(Ju, Dong-Beo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평생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48명을 대상으로 11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사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교가 평생교육에 참여해야 하는가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초등학교에서의 평생교육이 학부모와 지역주민의 자기계발 및 생활향상에 기여하는가에 대해 교사들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평소 평생교육에 대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에 대해 교사들은 어느정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책임이 부여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교사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학습자들이 평생교육에 참여한 만족도가 어느 정도였는지에 대해 교사들은 보통정도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지원 노력에 대해 교사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평생교육에 대한 동료교사들의 협조수준에 대해 교사들은 보통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평생교육 운영에 있어서 업무 부담이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 교사들은 다소 부담은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elementary school life-long education and explore the activation ways for school life-long education. Using 148 teachers who were working, the study administrat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hoc comparison. Main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participation of school to life-long education. They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contribution of school to life-long education. They knew somewhat life-long education. They had negative perception about having the responsibility on the operation of school life-long education. They perceived that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was ordinary. They had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local self-government. They perceived that peer teachers' cooperation on life-long education was ordinary. They perceived that the loading of life-long education operation was a little high. The results discus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the ways for activating school life-long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평생 교육으로서의 무용 교육에 관한 연구

        정숙희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5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 교육으로서 올바르고 체계적인 무용 교육을 통하여 무용을 학습하고 생활화하고 인성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평생 교육 기관의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21세기의 사회는 평생 교육의 시대이므로 지식의 양적 팽창, 가치관의 변동, 급격한 사회 변화, 인간 소외 등의 문제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무용 교육은 인성 교육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정보화, 하이테크놀로지, 휴머니즘의 후기 산업 사회로서 문화적 부가가치의 개념을 중시하게 될 것이다. 무용은 예술로서 감상하고 즐기는 것뿐만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평생 교육으로서 참여하여 배우고 익히며 즐기게 될 것이다. 삶의 질 향상이 강조되는 21세기에 있어서 무용은 예술가에게 있어서는 고도의 예술성을 추구하게 되고 또한 일반인에게는 유연성, 균형성, 균일성 있는 신체 운동 효과와 미적 창조, 표현 등의 성취감을 이룰 수 있는 평생 교육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요구 속에서 평생 교육으로서의 무용 교육은 다음과 같은 사회적 기능을 함의한다고 본다. 첫째, 사람 문제를 지역 사회의 사람 복지 교육으로의 한 부분인 무용 프로그램으로 사회 문제 예방 차원으로나 치유로써의 문제 해결 기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인 것이다. 둘째, 개인에서부터 지역 주민들에게 까지도 복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사회 참여로 인해 공동체 의식을 느낄 수 있으므로 복지 정책에 있어 사회적 통합의 원리를 충족시킨다. 셋째,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고, 노후에 보다 효율적인 건강관리를 하는 데 필요한 여가 활동 요소로 그 기능을 하기에 충분하다. 일반인들에게 어렵다고만 생각해 온 주부 발레 같은 과목은 비록 수준은 그리 높지는 않더라고 할지라도 순수 예술 무용을 접목시킨 생활 무용을 지도하여 쉽게 배울 수 있다. 특히 라인 댄스 챔피언십에서는 10대에서 60대까지 연령대별, 장르별로 선수로서 출전하여 춤실력과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 있으며 지도자들은 80대 대상까지도 지도하고 있다. 지금까지 많은 예술가와 학자들에 의해 무용 공연, 무용 교육을 위한 포럼을 통한 무용학의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고 생각된다. 무용 교육이 평생 교육의 장으로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국민의 건강 증진뿐 아니라 대중이 무용 예술에 쉽게 접근하여 보다 많은 관심을 갖게 되어 수준 높은 훌륭한 관객이 될 것이다. 무용 교육은 전공자와 일반인 모두에게 평생 교육으로서 예술 정서 함양과 건강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dance education through correct and systematic dance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and can play an important role. Studies looked at how to refer to the materials and literature of life-long educ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quantitative expansion of knowledge because it is life-long education, the values ​​change, rapid social change, there will be issues such as human alienation. So dance education will play a crucial role in character education. In addition, IT, high technology, humanism as a post-industrial society will focus on the concept of cultural value. They will appreciate and enjoy dance, as well as ordinary people to enjoy art as learning by participating as life-long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at emphasize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s the pursuit of artistic dance in the artist's highly flexible, also for the general public, balance and uniformity of physical exercise and aesthetic effects created in a lifetime you can achieve a sense of accomplishment, such as education expression As it will play a key role. Looking at the problem this dance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should be made in order to be more effective to focus first, and dance educators should instill a perception of dance education to the public. First,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dance as dance education in order to beautify the lives of more health problems Results refine and easy-to-ravaged emotions of modern man due to lack of exercise, and turn your attention to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dance.. Second, we must develop a target-specific dance program.. Learning how to dance will be dependent upon the extent and subject to the individual's physic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performed about as well as motor skills. In other words, the target of all ages, professional backgrounds, including taking into account the type of each individual life, easy to access, so you can enjoy this program should be developed. Dance for children will be targeted programs (dance for children), youth dance (dance for youth) adult dance (dance for adult), seniors dance (dance for old people), a special dance (dance for handicapped person) and professional dance (dance for professional) may be classified as such. Thirdly, life-long education must be opened as a dance education leader training course. For example, housewive‘s Ballet dance courses in the cultural center and dance institute is easy to learn that combine the art of dance even though it’s not a high level of dance. In case of line dance championships a lot of participants have been involved as players at the age of 10 to 60 and they can enjoy dancing almost age of 80. Dance Education has been consistently achieved as well as promoting public health of the people as a part of life-long education. It also the way to make a lot of dance artists perform a high quality dance performances and has a great audience. Community dance leaders certification system is needed to be educated for the people who wants to learn dance for all. The curriculum content and the University of Dance and Social Dance program. In dance related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s leading to open a lot of subjects on dance education as a life-long dance education and educate a better dance leaders. Non-dance majors as welll as dance education majors must be educated to cultivate art emotion and promoted health.

      • KCI등재

        평생교육 참여동기 요인이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소원근,김하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Most of the researches on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affect the life of the elderly and the change of life in the .previous researches. Until now, research on the effects of education on the nature of education is rare. Lifelong education emphasizes social and educational importance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educators. The market of long-life education is continuously increased by government and civilian including university, various age groups are involved in long-life education. apart from the elderly.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long-life education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SPSS 22.0 was used for basic statistics and Smart PLS 2.0 was used for hypothesis testing. Smart PLS2.0 is a structural equation method of partial least squar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oals oriented and activity oriented significantly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the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in long-life education, but learning oriented does not affect education satisfaction. Second, education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needs in education effectiveness. 기존연구에서 평생교육 참여동기가 노후생활이나 삶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지금까지는 교육의 본질인 교육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평생교육은 교육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사회적으로 교육적으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대학을 포함한 정부, 민간 등의 평생교육 시장이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노인층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령층이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다. 평생교육참여 동기의 요인은 기존연구에서 도출되었으며, 연구모형은 설문방식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하였다. 기초적인 통계는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하여 Smart PLS 2.0을 사용하였다. Smart PLS 2.0은 편미분 방식의 구조방정식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 참여동기의 요인 중에서 목표지향과 활동지향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채택되었으나나 학습지향이 교육만족도에 유의하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둘째, 교육만족도가 교육효과성(자기효능감, 성취욕구)에 모두 유의하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 영역은 `문화예술교육(1.57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심리적 만족감(26.2%)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장애인복지관(38.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일 낮(9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기관(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주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대중교통(38.2%)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설의 제공차량(25.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intellectual-disabled adults having experienc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disabled people relevant institutions including rehabilitation centers, sheltered work place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 looking into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field that the response of `culture, art & education (1.57) was the highest. Next, at asking the purposes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26.2%)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nd, at asking the life-long program institutions that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ed i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of rehabilitation center (38.8%)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s the result analyzing the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tim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shown that the response of `daytime in weekdays (92.9%) was the highest, and at investigating their ways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it was appeared that the response of `education & training institution (37.8%) was the highest. Finally, as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main transportation type who intellectual-disabled adults commonly us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ublic transportation (38.2%)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llectual-disabled people to go toward.

      • KCI등재후보

        지식정보사회에서의 효율적인 평생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가상교육을 중심으로-

        김수욱,이은환,주민호,최종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5 No.4

        The purpose of research was to develop an applicable method of online education for life-lo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researchers reviewed the literature. The developed online method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rofessions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Knowledge and information became the resources of wealth and they have been exploded rapidly in our society. It has been getting important for government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for people to learn.Online education is a learning system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Because of this, it has important position in life-long education. People can learn whatever, whenever, and wherever they want. Learning in online system achieved not by teachers but by learners themselves. Learners can make their study plan depending on their situation. They also build online community where they can share and modify information, and finally develop new knowled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life long education, educators should develop various online programs, learners should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and governments provide the policy, systems, substructure, finance, and qualified educators for online learning for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전통적 직업교육의 대안 탐색 - 교육철학적 반성과 연구방향을 중심으로: 전통적 직업교육의 대안 탐색

        편경희(Pyun Kyung-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4

          이 논문은 지금까지 교육철학 연구에서 ‘직업’에 대한 탐구가 상당히 소극적으로 그리고 부정적으로 전개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삶에 있어 직업의 가치를 재검토하고 직업의 교육적 성격과 가치를 정당하게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교육계에서 직업의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면서 주목하고 있는 평생 직업교육의 개념을 교육철학적 입장에서 반성적으로 검토하였다. 직업교육의 입장에서 평생 직업교육의 개념은 전통적 직업교육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제시된 것이다. 하지만 교육철학적 입장에서 보면 평생 직업교육이라는 것은 이원론적 사고방식의 산물로서 ‘전통적’ 직업교육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성격이 상당히 약한 것이다. 이에 반해 삶, 교육, 나아가 직업의 관계를 일원론적으로 규정하고자 한 듀이의 철학사상에 근거해서 제안되는 직업은 삶의 초점이자 삶의 과정 자체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를 “삶으로서 직업”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 개념에 기초한 “삶으로서 직업 교육”, 한 마디로 “삶으로서 교육”의 아이디어야 말로 전통적 직업교육의 대안임을 밝히고 있다. 그리고 삶으로서 직업의 아이디어에 근간을 둔 교육은 삶과 교육, 직업교육과 자유교육의 일원론적 통합을 지향하는 “삶으로서 직업에 의한 평생교육”임을 명료화하고자 하였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review the value of vocational activities in life and discuss it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value, beginning with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the educational philosophy has not been vigorous enough in its exploration into vocation. For that, this study reflected on the concept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philosophy, which is newly shed light on and coming into the spotlight in education circle in relation to the problem of vocation.<BR>  The concept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standpoint of vocational education is proposed here as a new idea that shifts the paradigm of traditional vocational education.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however, is the byproduct of dualistic way of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is not a viabl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vocational education.<BR>  By contrast, the vocation presented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Dewey, who tried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life and education and even the vocation uniformally, is the focus of life and the process of life itself. In this dissertation, that is defined as the concept called “vocation as living”, and made clear that the idea of “the vocational education as living”, which is based on that concept, namely, the “education as living”, is the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vocational education. And he tried to make it clear that the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vocation as living’ would be th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vocation as living’ which is oriented toward the uniform integration of the life, education, vocational education and libe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