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유아교사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라정미,이병인,김현숙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operate the inclusive class in a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f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interviewed according to the interview questionnaire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 two themes, seven sub-topics and 74 concepts were derived. The topics that have been derived include the difficulties of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and the needs to support inclusive classroom management. First, it is found that the difficulties of kindergarten facilities and environment, the difficulties of instructing special education children, the difficulties in inclusive class related duties, and the lack of specialtie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when the kindergarten teachers operate inclusive class in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Second, the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operation of a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inclusive class include support for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public kindergartens for inclusive education, support for improving the specialties of teachers needed for inclusiv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pport for inclusive class in special situation by collecting various opinions about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operate inclusive class in single class public kindergarten. 본 연구는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질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연구목적에 부합한 유아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 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는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개의 주제와 7개의 하위주제 및 7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로는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어려움,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지원 요구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 운영할 때는 유치원 시설 및 환경에 따른 어려움, 특수교육대상유아 지도의 어려움, 통합학급 관련 업무과중의 어려움, 통합교육 관련 전문성 부족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일학급 공립유치원 통합학급 운영에 대한 지원요구로는 통합교육을 위한 공립유치원의 시설 및 환경개선에 대한 지원,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 내실 있는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제도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학급 공립유치원에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유아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효율적인 통합학급을 위한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인식과 자기평가

        서동미,엄은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of supervision and practical education by examin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eir self-assessment about the practice of classroom management in kindergarte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62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capital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about instruction of young children’s lives, curriculum operatio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and event management, in that orde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urned out to have higher awareness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elds of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Their self-assessment about the practice of classroom managem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instruction of young children’s live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curriculum operation, event management, and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and the assessment was higher as one had more experiences. Also, the teachers’ level of recogni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turned out to be strikingly higher than their level of self-assessment about it, and had remarkable differences in curriculum operation and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supervision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support kindergarten teachers in cultivating their practical capacities in accordance with their high recognition of classroom management. 본 연구는 유치원의 학급 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에 대한 자기평가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장학 및 현직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 교사 262명이다. 연구 결과, 학급 경영의 하위요인 중 '유아생활지도',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행사운영'의 순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으며,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영역에 대해 더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학급 경영의 실제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유아생활지도',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교육과정 운영', '행사운영',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급 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자기평가수준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과정 운영', '학부모 및 지역사회 연계' 영역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급 경영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높은 인식만큼 실제에 대한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장학 및 현직교육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이선희 ( Lee Sun Hee ),김건희 ( Kim Keon He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통학학급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 관련 교수활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D와 K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는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이 6~10년인 경우, 특수 교육관련 연수를 받은 경우, 담당하는 장애유아의 장애정도가 경도인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교사 효능감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 중 교직경력이 6~10년일 경우, 근무기관 유형이 공립일 경우, 특수교육 관련 연수경험이 있는 경우, 유아특수교사와의 협의가 있는 경우의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교수적 수정 정도를 보였다. 셋째,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 정도는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교수적 수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애유아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이들에게 높은 교육적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아들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교수적 수정이 필요하다. 그런데 교수적 수정의 정도는 교육기관의 유형, 특수교육관련 연수, 유아특수교사와의 빈번한 협력과도 관련이 있었고, 교사의 효능감과도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정도를 높혀서 장애유아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이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통합교육지원을 증대하고, 유아특수교사와의 빈번한 협력을 구축하며, 교사효능감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과 관련된 변인인 특수교육관련 연수 기회, 통합학급담당경력,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 기회를 높여 교수적 수정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instructional modific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parameters of the teacher and to provid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ing activities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 as well as the efficient operation of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has conducted survey on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in kindergarten registered in education office in-local at D and 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eacher efficacy wa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 among teachers in a light degree of disability shown in the obstacle infants in case of work experience of between 6 and 10 years, less than 2 years of work experience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nd train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Secondly, as for the degree of modification for instruction, it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on the collaboration with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nd also at the public school, and an experience of training for the special education. Third, instructional modification and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t kindergarten were turned out to be highly re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a specific plan is requir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room at kindergarten since an teacher with high teacher efficacy was turned out to be more involved in instructional modification. This study conveys an implication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high quality teacher education training program and also to expand an opportunity of it .

      • KCI등재

        유아수학교육의 목표와 내용별 수학활동 실제 및 영향 변인의 분석

        천희영,서현아,최미현,좌승화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수학교육의 목표와 내용별 수학활동의 정도를 유아의 연령, 교사 관련 변인 즉 경력과 학력 및 연령, 기관의 종류에 따라 실제 수학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 관련 변인들 사이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일과 중 이루어진 수학교육 관련 활동에 관한 질문지를 제작하여 202명의 공·사립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수학활동의 정도는 유아의 연령, 교사 변인 기관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목표들도 있는 반면 차이가 있는 목표들도 발견되었다. 교사의 경력과 연령이 높을수록 '수학적 아이디어를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하기'를 목표로 한 수학활동이 많이 이루어줬으며 '수학적 계산능력의 기초 기르기'와 '수를 읽고 쓸 수 있는 능력 기르기'에 목표를 둔 활동은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수학교육 내용별 수학 활동의 정도는 유아의 연령, 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그리고 기관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학교육의 목표와 내용별 상대적 영향 변인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과 학력 등의 교사변인이 실제 수학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수학교육내용의 일부에서는 유아의 연령 변인이 유의한 예언 변인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교사 변인이 가장 유의하게 유아수학활동에 영향을 미치며, 교사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수학내용을 다르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objectives and contents in math education in terms of children's ag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s age, and types of kindergartens. I n addition, mutu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ere also examin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mor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age were, the more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communicating mathematical ideas in various ways' were done in tei ins of math education objectives. In addition, children's age were influenced on 'enhancing the ability of number calculation for basic math' and 'improving abilities of reading and writing numbers'. Also,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contents in math education were influenced by children's age,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age, and types of kindergartens. Mutu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were found that children's age and teac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eaching experience were influenced on classroom activities related to both objectives and contents of math education. Overall, variables of teachers were relatively significant factors in classroom activities of math education, and teachers differentiated mathematical activities depending on children's age.

      • KCI등재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노진아 ( Noh Jin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전국 각 지역에 있는 총 94명의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대응표본 t 검증, IPA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대행동 정의하기, 기대행동 교수하기, 적절한 행동과 문제행동에 대해 반응하기, 조직적이고 예측 가능한 환경 구성하기 범주는 1사분면에 위치하였고, 점검하기 및 의사결정하기, 관리, 지원 범주는 3사분면에 위치하였으며, 가족참여 범주는 4사분면에 위치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치원 현장에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on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Method: A total of 94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t test, and IPA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categories in the first quadrant were expectations defined, expectations taught, responses to behaviors, and organized and predictable environment. Categories in the third quadrant were monitoring and decision making, management, and support. Category in the fourth quadrant was family involve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discussed how to activate classroom-wide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in kindergarten.

      • KCI등재

        교실 공간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인식과 의미

        방시윤,정혜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1

        This study examined how 5-year-old children perceived the kindergarten classroom. Participants were 64 5-year-old children at private kindergartens in Cheonan, Korea.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s asked children to draw a picture of a classroom, and then to talk what their pictures meant.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5-year-olds perceived the classroom as a space created by teachers, a space divided by lines, and a space packed with things. Second, their classrooms have meant to them a space that exists for children themselves, a space where relations are developed, a space that has restrictions, and a space of ownership. Research findings imply that children have formed diverse meanings of their classrooms, which were different from adults’perspectives. To make a classroom a meaningful space for childre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ir voices and accommodate their individual perspectives.

      • KCI등재

        유ㆍ초등 연계 교육을 위한 1학년 교실 공간 구성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태

        김창복(Kim Chang-Bok),김민진(Kim Min-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 교실 공간을 연계교육의 측면에서 유치원과 유사하게 조성할 필요성을 초등학교 교사들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지와 실제로 유사하게 조성하고 있는 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1학년 교사 138명을 설문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 교사의 약 65%의 1학년 교사가 유치원과 유사한 교실 환경을 조성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 유치원과 유사하게 조성하고 있다는 교사는 10% 미만에 그쳤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치원과 유사한 교실 구성을 어렵게 하는 가장 주된 원인으로 좁은 교실 공간을 지적하였다. 또한 좁은 교실 공간 이외에도 흥미영역별 교구 준비의 번거로움, 카펫의 위생적 관리에 대한 부담, 놀잇감을 가지고 놀 때 유발되는 소란스러움 등으로 인해서 유치원과 유사한 교실 환경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행정적인 지원과 더불어 공간 밀도기 높은 다인수 교실에서 아동들에게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는데 효과적인 소집단 활동 교수법 등 유아의 발달 특성에 알맞은 다양한 교수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irst grade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actual status of classroom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inuity from Kindergarten to First Grade. A total of 138 teachers in the Seoul and Gyeongi areas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show that about 61% of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first graders with classroom environments similar to kindergarten classrooms. However, less than 10%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successfully created such environments. The participants believe that their classrooms are too small to create different learning centers. They also pointed out issues such as lack of teaching materials, carpet cleaning, and classroom no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addition to administrative support,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develop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bout how to create different learning centers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Creating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An Early Childhood Educator`s Role in Mathematical Discussion

        ( Hye Young 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1

        Although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uss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exists, very little work has examined how to promote young childrens engagement in classroom discussions that can assist with the development of their confidence and ability in mathematic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aimed to achieve an intensive and holistic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kindergarten teachers ways of thinking about and facilitating mathematical discussion within his/her own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ing mathematics lessons, semi-structured interviewing with the teacher, and documenting. My analysis highlighted three pedagogical roles of the teacher: creating a respectful atmosphere for promoting participants willingness, motivating emotions in classroom discussion, and laying down ground rules for becoming better speakers and better listeners. This study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hard at developing trusting classroom communities but unsure of how to initiate mathematical discussion.

      • KCI등재

        Creating a Respectful Learning Environment: An Early Childhood Educator’s Role in Mathematical Discussion

        정혜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9 No.1

        Although a growing number of literature on classroom discuss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exists, very little work has examined how to promote young childrens engagement in classroom discussions that can assist with the development of their confidence and ability in mathematic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this study aimed to achieve an intensive and holistic understanding of a particular kindergarten teachers ways of thinking about and facilitating mathematical discussion within his/her own classroo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ing mathematics lessons, semi-structured interviewing with the teacher, and documenting. My analysis highlighted three pedagogical roles of the teacher: creating a respectful atmosphere for promoting participants willingness,motivating emotions in classroom discussion, and laying down ground rules for becoming better speakers and better listeners. This study offer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 hard at developing trusting classroom communities but unsure of how to initiate mathematical discussion.

      • KCI등재

        통합유치원에서의 학급도우미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황현옥,노진아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room assistant activities on social interaction by applying five role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ffective classroom assistant role selec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n experimental study using ABAB design for a child with disabilities in a kindergart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lassroom assistant activities increased the social interaction of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increased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y giving classroom assistant role to a child with developmental delay in integrated kindergarten situations. It can also help teachers effectively apply this strategies on-site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beyond physical integ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학급도우미 역할 선정 원리에 따른 다섯 가지 역할을 선별하여 적용해봄으로써 학급도우미 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병설 유치원에 재원 중인 장애 유아 한 명을 대상으로 ABAB 설계를 이용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급도우미 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가시켰다. 이 연구는 통합유치원 상황에서 발달지체 유아에게 학급도우미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하게 시켰음에 의의가 있다. 또한, 물리적 통합을 넘어선 사회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 통합학급 현장에서 교사가 손쉽고 효과적인 중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