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학급 경영에 대한 인식과 자기평가

        서동미,엄은나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direction of supervision and practical education by examining teachers’ recognition and their self-assessment about the practice of classroom management in kindergarten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62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capital area.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recognition about instruction of young children’s lives, curriculum operatio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and event management, in that order.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turned out to have higher awareness than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the fields of curriculum operation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Their self-assessment about the practice of classroom managem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instruction of young children’s live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facility maintenance, curriculum operation, event management, and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and the assessment was higher as one had more experiences. Also, the teachers’ level of recogni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turned out to be strikingly higher than their level of self-assessment about it, and had remarkable differences in curriculum operation and association with parents and local socie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supervision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support kindergarten teachers in cultivating their practical capacities in accordance with their high recognition of classroom management. 본 연구는 유치원의 학급 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에 대한 자기평가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장학 및 현직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 지역의 유치원 교사 262명이다. 연구 결과, 학급 경영의 하위요인 중 '유아생활지도',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 '행사운영'의 순으로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으며, 국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에 비해 '교육과정 운영',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영역에 대해 더 높은 인식을 나타냈다. 학급 경영의 실제에 대한 자기평가에서는 '유아생활지도', '교육환경과 시설관리', '교육과정 운영', '행사운영',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 많을수록 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학급 경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수준은 자기평가수준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교육과정 운영', '학부모 및 지역사회 연계' 영역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급 경영에 대한 유치원 교사들의 높은 인식만큼 실제에 대한 역량을 키워갈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장학 및 현직교육을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참여관찰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서동미,엄은나 한국아동권리학회 2011 아동과 권리 Vol.1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journals and interview records written by 10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juniors 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K University in Gangwon-do and had observed a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changed from ‘children looking different at a glance’, ‘hardly approachable children’, and ‘children in need of full support’ to ‘children different but same’, ‘children felt intimate’, and ‘children developing slowly.’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was changed from special class onl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lass that young children like’, and ‘class through conversation’, to ‘class necessar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lass moving toward the goals through interest’, and ‘class through demonstration and step-by-step gu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in observing the realit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thinking it reflective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본 연구는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강원도에 소재한 K대학교의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장애유아 대상 개별교육 프로그램을 참관한 10명의 예비교사가 작성한 12회의 저널 및 면담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은 ‘한눈에 보아도 다른 유아', ‘다가가기 어려운 유아', ‘쫓아다니면서 다해줘야 하는 유아'로부터 ‘다르면서도 같은 유아', ‘가깝게 느껴지는 유아', ‘느리지만 발달하는 유아'의 관점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은 ‘장애유아만을 위한 특별한 수업', ‘유아가 좋아하는 수업', ‘대화를 통한 수업'으로부터 ‘장애유아에게 필요한 수업', ‘흥미를 통해 목표로 나아가는 수업', ‘시범과 단계적 안내를 통한 수업'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유아교육 실제를 직접적으로 참관하고 반성적으로 사고해보는 경험이 장애유아 및 장애유아교육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문제행동 지도전략 및 문제행동 지도 시 어려움에 대한 분석

        서동미,조재규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62명의 예비교사들이 교육현장실습 기간 중에 쓴 저널 453개를 분석하여 유아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예비교사의 실제 지도전략과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지도전략, 그리고 문제행동 지도시의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분명한 설명과 "거친 감정표현"을 많이 사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지도전략도 "분명한 설명"이었다. 그러나 "단호한 지시"보다는 "보상"이 적합한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을 지도할 때 "판단의 미숙", "의사소통의 어려움", "시간과 에너지의 부족", "전문적 지식의 부족"과 "예비교사 자신의 상처" 등을 어려움의 요인으로 생각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유아의 문제행동 중 감정욕구조절 행동과 안전위협 행동을 판단하는 것과 이에 대해 유아와 의사소통하는 것을 어렵게 인식하였다. 반면 기본생활습관 행동의 경우에는 "시간과 에너지의 부족"이 지도의 어려움이라고 하였다. The study analyzed practical and ideal teaching schemes of trainee teachers for behavioral problems of child with breaking down 453 journals written by them during their teaching training at an educational field. As a result of the data, it first showed that they used many expressions of clear explanations and emotional harsh, when they educated the child who have behavioral problems. The teaching scheme they regarded as an ideal scheme was a clear explanation. However, they thought the compensation is an appropriate way rather than a stern instruction. Next, when they educated the child who have behavioral problems, they felt several difficulties involved in raw judgment, communication problem, lack of energy and time, lack of specific acquaintance and their hurt of mind. In addition, they recognized same difficulty to communicate with the hard child in judging their security and controlling emotional needs. On the other hand, lack of energy and time is one of teaching difficulties in the their basic life habits.

      • KCI등재후보

        유아의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에 대한 인식

        서동미,윤은미,문주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of children's number counting through analyses on number counting of children and determine, their ideas about it. It also aimed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number counting of children and their ideas about it. The subjects were 245 children from three to six-year-old age group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ied that older children showed better demonstration than younger children in oral counting and object counting. Second, With regards to children's reasons for counting, as the age increased, the children's ideas changed from figuring out the number for themselves as an activity to recognizing how many numbers they actually count. Also, With regards to what children counted, most children counted numbers as parts of an object-related activity.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 3,4,5,6세 유아 245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연령에 따른 수세기 능력과 수세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수세기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연령이 증가되면서 유아의 말로 수세기와 사물 수세기의 능력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유아의 수세기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증가될수록 나 자신을 위한 수세기에서 몇 개인지 알기 위한 수세기로 변화되었다. 또한 수세기의 대상에 대해 모든 연령의 유아들이 물건과 관련된 활동으로서의 수세기를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학대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

        서동미,연선영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학대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보육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들은 어린이집 조직체계와 직장문화는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나, 직무요구와 직무불안정에 대한 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영유아학대에 대해 잘 인식하였으며 이중 신체학대와 성학대를 정서학대와 방임보다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영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결과는 신체학대와 성학대에 비해 정서학대와 방임을 더 많이 한다고 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영유아학대에 대한 인식과 영유아학대 실제행동에 대한 자기평가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실제 영유아학대를 자주 할 수 있으며, 영유아학대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영유아학대를 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하여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영유아학대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중심의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levels of day care center teachers, recognition and self-assessment of the infant abuse. The participants were 278 day care center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day care center teachers were had low awareness of stress about the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but they were had high awareness of the stress about the job demands and job insecurity. Second, child care center teachers were generally well aware about the infant abuse and they were aware of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more than th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they had a lot of emotional abuse and neglect, than physical abuse and sexual abuse. Third, relationships among child care teacher’s job stress, recognition and self-assessment of teaching behavio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higher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can often lead to abused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higher infant abuse awareness of the teacher will lead to less abusive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seeking way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to reduce job stress and to explore ways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eachers about the infant abuse and to find teaching strategy for infant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이 직무수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동미,엄은나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4

        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 survey of 41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job performance efficac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eaching competencies, problem-solving ability,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higher school grade. In teaching competencies, ‘teacher’s emotion and attitude’ was highest and ‘knowledge’ was low.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grades in ‘class design’, ‘teaching method’,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nd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case of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 clarification’ was found to be high, while ‘plan implementation’ was low. And ‘plan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s. In the case of job performance efficacy, ‘daily task operation efficacy’ was high, while ‘protective efficacy’ and ‘parental relationship building efficacy’ were low. ‘Daily-task operation efficacy’, ‘parental relationship building efficacy’, and ‘protective efficac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hool grad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eaching competencies, problem-solving ability,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Third,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be meaningful variables explaining job performance efficacy. Through reflective review on the contents of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nd apply concrete measures that can substantially support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ies, problem-solving ability,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 및 문제해결능력이 직무수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예비유아교사 4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수업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직무수행효능감은 대체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냈다. 수업역량에서는 ‘교사의 정서 및 태도’가 가장 높고 ‘지식’은 낮았다. ‘수업 설계’, ‘교수법’, ‘학습분위기 조성’, ‘영유아평가’에서는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제해결능력의 경우 ‘문제의 명료화’가 높게 나타난 반면 ‘계획 실행’은 낮았으며, ‘계획 실행’과 ‘수행 평가’에서는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수행효능감의 경우 ‘일과운영 효능감’이 높은 반면 ‘보호 효능감’과 ‘학부모관계 형성 효능감’은 낮았으며, ‘일과운영 효능감’과 ‘학부모관계 형성 효능감’, ‘보호 효능감’은 학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수업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직무수행효능감 사이에 밀접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가지고 있는 수업역량이 직무수행효능감을 설명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교원양성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직무수행효능감의 향상을 실질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 및 적용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