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객체지향 존재론을 위한 하이데거 4중(Geviert)의 재해석

        박현정 한국하이데거학회 2020 현대유럽철학연구 Vol.0 No.59

        In this paper, I focus o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as a flow of new realism. Graham Harman, who considers the object itself, which is not related to human cognition, suggests the structure of the object as a quadruple(fourfold). Based on this quadruple structure, the object has a substantiveness that cannot be reduced to the relationship it has with another, and at the same time, it can change through a 'causal relationship.'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is significant in that it criticizes the domination of epistemology in modern times and advocates for anti-anthropocentrism. However, Harman's reading of Heidegger's theory of quadruple structure, which Harman proposed as the historical authority of the object's quadruple structure, was misguided. This paper uncovers what is distorted or missing in Harman's interpretation. The aim is not simply to correct the misreading of Heidegger; beyond that, the paper also aims to clarify the basic premises of Harman's own position, which made Harman's modified reading inevitable, and thereby to clearly reveal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arman's fourfold structural theory. In the end, this paper proposes a way to define the point at which Harman's quadruple structural theory must be supplemented. This attempt is primarily based on respect for the way that “correlationism” or anthropocentrism, which Harman easily threw away, has so far elucidated philosophical problems, especially the problems of relationship and change. The object-oriented ontology proposed by Harman is of value as an attempt to return equal rights to all beings that are not humans, but its goal is not achieved by simply ignoring the insights achieved by past philosophy. New realism carries the heavy task of solving many problems that have been elucidated through “human beings” since the era of correlationism without unjustly granting privileges to humans. By clearly revealing the important questions where Harman failed to answer, this paper tries to contribute to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which is a predominant construct in current philosophical thought. 이 논문은 그레이엄 하먼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객체지향 존재론에 주목한다. 인식에 상관적이지 않은 객체 자체를 고찰하는 그레이엄 하먼은 객체의 구조를 4중적인 것으로 제안하고, 이 4중 구조에 입각해 한 객체가 다른 객체와 맺고 있는 관계로 환원될 수 없는 실체성을 가지면서도 모종의 ‘인과관계’를 맺어 변화할 수 있다고 해명한다. 이와 같은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은 무엇보다 근대이후의 인식론의 지배와 그것을 지탱하는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선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그러나 하먼이 객체의 4중 구조를 제안하면서 전거로 삼은 하이데거의 4중 구조론은 왜곡되어 해석되었다. 본 논문은 하먼의 해석이 변형하거나 누락한 것이 무엇인지를 밝혀낸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하이데거에 대한 오독을 바로잡기 위한 시도가 아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하먼의 변형된 독해를 불가피하게 했던 하먼 자신의 입장의 기본 전제를 명확히 정리하고, 이로써 하먼이 제시한 4중 구조론의 강점과 약점을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최종적으로는 하먼의 4중 구조론이 어떤 점에서 반드시 보완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도는 기본적으로 하먼이 쉽게 내던져버린 상관주의 혹은 인간중심주의가 이제껏 철학적 문제들, 특히 관계와 변화를 해명해 온 방식에 대한 존중에 입각한 것이다. 하먼이 제시한 객체지향 존재론은 인간을 넘어서서 모든 존재자들에게 동등한 권리를 되돌려주려는 시도로서 가치를 갖는 것이지만, 그것의 목표는 단순히 과거의 철학이 이루어낸 통찰을 깡그리 무시하는 일로는 달성되지 않는다. 새로운 실재론은 적어도 상관주의의 시대 이후로는 줄곧 ‘인간’을 통해 해명되어 온 많은 문제들을, 인간에게 부당하게 특권을 부여함 없이 해명해내야 할 무거운 과제를 짊어진다. 하먼이 대답해야 했지만 대답하지 못한 지점들을 분명히 드러냄으로써 본 논문은 살아있는 오늘날의 사유인 하먼의 객체지향 존재론에 작게나마 기여하려고 한다.

      • KCI등재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과 관객 객체의 과잉 문제

        심현섭 한국미학예술학회 2024 美學·藝術學硏究 Vol.71 No.-

        This paper discusses the issue of the autonomy of works of art, which is weakened by excessive audience intervention when applying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Harman applies this theory to art because beauty, which is the essence of art, comes from the tension between real objects and sensory qualities. Art consists of tension between the work and the audience that tries to grasp the reality and nature contained in it. The cause of this tension is the metaphor inherent in the work. Harman argues that the form of metaphor is theatricality, and that this theatricality is a key element of art. Harman derives his argument from Michael Fried’s theatricality. I argue that Harman overlooked the fact that Fried also does not deny the intervention of the audi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Fried’s and Harman’s theatricality is due to the separation of literalism and theatricality. Harman’s misunderstanding resulted in excessive audience intervention, and therefore has excessively weakened the autonomy of the art. I argue that Harman’s argument harms the equality and symbiosis of objects that he advocates and Fried’s discussion of theatricality, which evokes the autonomy of art, is still valid today for the symbiosis of the audience and the artwork.

      • KCI등재

        하먼의 예술론: 미적 긴장과 은유의 미학

        조경진 한국영상문화학회 2023 영상문화 Vol.- No.43

        본 논문은 하먼의 예술론을 그의 철학 체계(OOO)와 미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되, 그 요체를 미적 긴장의 미학과 은유의 존재론적 메커니즘을 통해 규명하고 나아가 그것의 예술적 적용 가능성을 탐구한다. 하먼의 예술론은 자신의 철학 체계에서 도출된 것임에도 여러 면에서 중요한 예술적 함의를 가진다. 그는 객체의 비직서적 성질에 의존한다는 이유로 미학에 제일 철학의 지위를 부여하고, 직서주의를 본질적으로 멀리하는 예술에 실재를 탐구할 수 있는 역할을 부여한다. 그는 예술의 비직서적 객체가 실재를 은유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실재를 지식 없이 인식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말한다. 이는 예술과 실재의 관계에 대한 오랜 미학적 문제에 중대한 시사를 준다. 한편, 그의 존재론적 은유론은 객체의 기본구조로서 객체의 네 극 간의 긴장 관계 중 특히 매혹 혹은 아름다움이라 불리는 실재 객체와 감각 성질 간의 미적 긴장이 예술에서 어떻게 은유를 통해 작동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그의 은유론은 예술의 핵심 기제를 은유로 설명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을 알려줌과 동시에 구체적으로 개별 예술작품의 미적 기제를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하먼의 은유론이 시각예술 분석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예증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Graham Harman's theory of art within the context of his philosophical framework(Object-Oriented Ontology, OOO) and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It seeks to elucidate the essence of theory of art through the concept of ‘aesthetic tension’ and the ontological mechanisms of metaphor, exploring its potential artistic applications. Despite being derived from his philosophical system, Harman's art theory holds significant artistic implications in various aspects. Grounded in the non-literal nature of objects in his philosophy, he accords aesthetics the foremost position in philosophy, endowing it with the role of exploring reality in art, inherently distancing itself from object-oriented philosophies. Harman argues that the non-literal objects in art possess the capability to metaphorically touch upon reality, allowing for the cognition of reality without knowledge. This assertion holds profound implications for longstanding aesthetic questions concerning art and reality. On another note, his ontological theory of metaphor delves into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objects, specifically analyzing the aesthetic tension between real objects and sensory qualities, often referred to as ‘allure’ or ‘beauty’. Harman's theory of metaphor provides a concrete analysis of how aesthetic tension operates in art through metaphor. By explaining the core mechanism of art through metaphor, it not only reveals the essence of art but also offers a valuable tool for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foundations of individual artworks. This paper, particularly using visual arts as examples, provides concrete instances illustrating how Harman's metaphor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analysis of artworks.

      • KCI등재후보

        The Limits of “Not Critique”

        Lee, Sung-mey(이성미)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이 논문은 그레이엄 하만의 객체 지향 문학 비평에 있어 어조(tone) 사용에 관해 논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유머와 순진함에 대한 그의 주장이 다문화주의와 페미니즘에 대한 뿌리 깊은 분노에 근거하고 있음을 증명하고자한다. 이 논문은 궁극적으로 문학 비평가에게 하만의 ‘비판하지 않기’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무엇인지 밝히고자한다. 이 논문의 전반부는 하만이 자신의 글에서 주장하는 유머와 순진함의 어조를 분석한다. 하만은 특히 “웃음”과 “숭배”의 가치가 어떻게 그의 비비평적 방법과 안티 휴머니즘에 핵심이 되는 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관점으로, 나는 마르크스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극단에 참여한 노동자에게 안착시킨 웃음과 순진이라는 일종의 휴머니즘 형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논문의 후반부에서 문학 비평에서의 유사한 논의, 이름 하여 ‘표면 읽기’ 현상을 다룬다. “의심스러운” 문학비평에 거부감을 지닌 표면읽기는 정치적 행동주의에 결부된 비평을 부정하는 최소한의 비평행위를 옹호한다. 마지막으로, 하만과 표면 비평이 지닌 비비평적 접근 방식은 최근 비평의 안티 휴머니즘 국면으로의 전환을 예시하는 포스트모던 경향을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이 연구를 통하여 “비평하지 않기”와 “표면 읽기”를 브레히트의 비평적 통찰력과 비교함으로써 이 두 방법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제시하고자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use of tone 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literary criticism, and in doing so, proves that his commitment to humor and naïveté relies on a deep-seated resentment against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This paper ultimately investigates what might be the ongoing appeal of Harman’s ‘Not Critique’ for literary critic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races the tone of humor and gullibility that Harman argues in his writings. He focuses particularly on how values of “laughter” and “worship” then become central to his non-critical method and anti-humanism. With this focus, I contrast this approach to a humanist form of laughter and naïveté that the Marxist playwright Bertolt Brecht valorizes in the worker’s engagement with theater. The second half draws on a similar discussion in literary criticism, namely, the phenomenon of ‘Surface Reading.’ Surface reading, with its resistance toward “suspicious” literary criticism, argues for minimal critical agency that negates criticism bound up with political activism. Finally, the non-critical approaches of both Harman and the surface criticism represent the postmodern trends that exemplify the anti-humanist turn of recent criticism. However, for this thesis, I will argues the limits and the problems which are unwittingly hidden underneath both in ‘Not Critique’ and "Surface Reading" by comparing them with Brecht"s critical insights.

      • KCI등재후보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 : 공존 그리고 새로운 철학의 가능성

        한창희 조선대학교 문화예술산업연구소 2023 문화예술산업연구 Vol.23 No.2

        This paper introduces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theory of existence, which rejects correlationism, which understands human beings as the measure of all things, and unifies all things as equal objects. Furthermore, we will provide a basis for theoretical discussion to understand his theory by introducing examples of contemporary artists Pamela Rosenkranz, Josh Kline, and Philippe Parreno who have actively adopted his theory and presented it in their works. Based on the basic perception that Harman's theory provides philosophical insights into contemporary art production methods, this paper aims at exploratory research to understand his theory.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철학이 오랫동안 견지한 인간중심주의적 관점의 상관주의(correlationism)를 거부하고 모든 것을 평등한 객체로 일원화해 바라보는 그레이엄 하먼(Graham Harman, 1968~ 현재)의 객체지향 존재론을 소개한다. 나아가 객체지향 존재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작품으로 제시한 현대 미술 작가 파멜라 로젠크란츠(Pamela Rosenkranz, 1979~현재), 조쉬 클라인(Josh Kline, 1979~현재) 그리고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 1964~현재)의 사례들을 예시적으로 제시한다. 하먼의 이론이 동시대의 예술 생산 방식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제공한다는 기본적인 인식에 기초하는 본 논문은 그의 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에 그 목표를 둔다.

      • KCI등재후보

        The Limits of “Not Critique”

        이성미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This paper addresses the use of tone in Graham Harman’s object-oriented literary criticism, and in doing so, proves that his commitment to humor and naïveté relies on a deep-seated resentment against multiculturalism and feminism. This paper ultimately investigates what might be the ongoing appeal of Harman’s ‘Not Critique’ for literary critics.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races the tone of humor and gullibility that Harman argues in his writings. He focuses particularly on how values of “laughter” and “worship” then become central to his non-critical method and anti-humanism. With this focus, I contrast this approach to a humanist form of laughter and naïveté that the Marxist playwright Bertolt Brecht valorizes in the worker’s engagement with theater. The second half draws on a similar discussion in literary criticism, namely, the phenomenon of ‘Surface Reading.’ Surface reading, with its resistance toward “suspicious” literary criticism, argues for minimal critical agency that negates criticism bound up with political activism. Finally, the non-critical approaches of both Harman and the surface criticism represent the postmodern trends that exemplify the anti-humanist turn of recent criticism. However, for this thesis, I will argues the limits and the problems which are unwittingly hidden underneath both in ‘Not Critique’ and 'Surface Reading' by comparing them with Brecht's critical insights.

      • KCI등재

        하만의 관례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그 대안

        김성한 ( Kim Sung-han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연구 Vol.0 No.56

        하만(G. Harman)의 메타 윤리학적 상대주의는 웡(D. Wong)의 이론과 더불어 가장 설득력 있는 상대주의 논의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입장은 관례주의로 분류되는데, 이를 크게 계약론적 관점과 관습주의적 관점으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그는 `암묵적 흥정`이 이루어졌음을 통해 도덕의 기원을 밝히고자 하며, 이와 같은 흥정의 결과로 탄생한 도덕이 관습화되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는 이러한 관습으로서의 도덕을 개인이 취사선택하게 된다고 이야기한다. 하만은 이러한 이론이 타인에게 고통을 주는 것은 비난을 받지만 타인에게 도움을 주지 않는 것은 그다지 비난을 받지 않는다는 사실, 그리고 동물들에 비해 인간에게 더욱 관심을 갖는다는 사실을 적절히 설명해 주는 장점이 있다고 말한다. 이와 같은 하만의 입장은 표준적인 윤리적 상대주의에 대한 비판에 적절히 대응을 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의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도 그는 개인들이 관습으로서의 도덕을 선택할 때의 기준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데, 이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필자는 하만의 입장에 대한 대안으로 그가 말하는 계약이나 관습, 개인의 도덕 수용 과정 등에 집중하기 보다는 훌륭한 윤리학자들이 만들어낸 윤리 이론들 간의 차이, 그리고 이로 인한 근본적인 불일치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메타 윤리적 상대주의를 옹호하는 더 나은 방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G. Harman`s meta-ethical relativism, in addition to D. Wong`s theory, is regarded as the most compelling argument of relativism. His position is classified as conventionalism, which can be summarized largely into contractualism and a customary perspective. First, he tries to reveal the origin of morality through `implicit bargaining` and argues that the morality born as a result of such bargaining has become customized to today. He also tells us that the morality of this custom is chosen by the individual. Harman says that this theory has the advantage of adequately explaining the fact that suffering others is blamed but not helping others is not much criticized and that we are more interested in humans than animals. Harman`s position has the advantages of responding appropriately to criticism of standard ethical relativism. Despite these advantages, however, his discussion has a few problems to solve. Above all, he has to solve the problem of standards when individuals choose morality as custom, which is not a simple matter. Rather than focusing on Harman`s explantion of implicit bargaining, customs, and individual moral acceptance processes, we might better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thical theories created by good ethics scholars, and their discrepancies. It might be a better way to defend meta-ethical relativism.

      • KCI등재

        리얼리즘 회화의 두 계열: 하만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조경진 한국영상문화학회 2022 영상문화 Vol.- No.4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critical basis for contemporary realism painting, proposing that realism painting can be divided into two lines,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I define any realism painting as an epistemological realism as long as it derives from the perspective of representational realism, that is, the epistemological framework of the external and surrogate relationship between representation and reality, and this fundamental premise is maintain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ntological lines, Korean figure paintings in the 1980s are classified as the ontological series, centering on Kim Bok-Young's discussion.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works of two contemporary realism pai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Harman's object-oriented ontology, it is shown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n epistemological lines and an ontological lines in realism paintings. As a theoretical and conceptual frame in Harman's object oriented ontology, 'the quadruple structure of an object' encompasses both ontology and epistemology in that it explains the nature of an object ontologically, while also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terms within the structural frame. What is important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is the position of representation and sensation in his theory. He holds that sensations or sensory representations in some way guarantee a relationship with reality, that is, with real objects. This suggests a way for the representation of realism painting to relate to reality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al realism. As a result,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method of using representation in ontological realism is different from the method assumed by representational realism, whether it is Kim’s ‘fusion’, or Harman’s ‘contact’ or ‘allure’. 본고는 리얼리즘 회화가 인식론적 계열과 존재론적 계열로 구별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통해 동시대 리얼리즘 회화에 대한 비평적 토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구의 리얼리즘 회화가 표상적 실재론, 즉 표상과 실재의 외적 대리 관계라는 인식론적 구도에서 유래하고, 이 근본 전제가 유지되는 한 어떤 리얼리즘 회화는 인식론적 계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존재론적인 계열의 경우, 한국의 80년대 형상 회화를 김복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존재론적 계열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한다. 나아가 동시대의 두 리얼리즘 작가의 작업을 하만의 객체 지향 존재론의 구도를 통해 규명함으로써 인식론적 계열과 존재론적 계열의 구분이 체계적으로 가능함을 보인다. 하만의 객체론에서 이론적, 개념적 프레임으로서 ‘객체의 사중 구조’는 객체의 본성을 존재론적으로 해명하면서도, 그 구조적 틀 안에서 네 항 간의 관계를 해명한다는 점에서 존재론과 인식론의 관점을 모두 아우른다. 미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그의 객체론에서 표상과 감각이 실재와의 관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이다. 그는 감각이나 감각 표상이 어떤 식으로 건 실재, 즉 실재 객체와의 관계를 보증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이는 리얼리즘 회화의 표상이 표상적 실재론의 인식론적 원리와 다른 방식으로 실재와 관계 맺을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이 논문은 존재론적 계열의 리얼리즘에서 표상을 사용하는 방식은 표상과 실재의 재현적 대리 관계라는 도식에서 벗어나 인식 이전의 층위에서 중첩(김복영)의 방식이나, 혹은 접촉이나 매혹(하만)과 같은 방식을 따를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좀비라는 것들 신사물론과 좀비

        이동신 ( Yi Dongshin ) 영미문학연구회 2017 안과 밖 Vol.0 No.43

        Instead of looking at zombies as living beings that turn dead-alive, as ones that remind us of the living’s unavoidable vulnerability to death and the inorganic state before and after life, this paper aims to view zombies as things that show what things really are. This view of zombies draws upon the recent development of posthumanism, namely, new materialisms, where collective efforts are being made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things, especially in this age of ecological catastrophe, and search for ways to explain why and how they are important on account of themselves, that is, not on account of human needs. While introducing Jane Bennett’s idea of “vibrant matter” and Timothy Morton’s of “hyperobjects,” both of which emphasize things’ vitality and impact independent of human existence, the paper particularly focuses on Graham Harman’s discussion of “tool-being.” Examining Martin Heidegger’s philosophy, Harman expands his notion of equipment, according to which a thing is at once vorhandenheit (present-at-hand) and zuhandenheit (ready-to-hand), into something that defines every existence, and argues that “tool-being” is the very foundation of Heidegger’s philosophy. Based on Harman’s discussion of “tool-being,” a theory that underscores the limitless potentialities of things beyond their immediate and visible function, this paper reads D. J. Molles’ The Remaining, where some zombies are not cannibalistic monsters but broken things that repeat certain behaviors from their pre-Zombie existence. These behaviors of zombies unsettle the novel’s hero Captain Lee Harden so much that he once becomes incapable of killing a zombie, unsure of what this “present-at-hand” thing really is. That is, he gets a glimpse of the thing’s “ready-to-hand” existence while looking at its zombie-like appearance. These peculiar zombies are thus not just zombies to be killed but “things like zombies” to be reflected upon, and this paper argues that implications found in “things like zombies” will help us see the importance of things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