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Россия в образе медведя : `зарождение и становление медвежьей метафоры

        Чай ковский С. И.(Chaykovsky S. 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5 No.-

        이 논문은 곰이라는 러시아의 이미지가 수세기에 걸쳐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채색되어 왔으며, 상투적으로 왜곡되어 왔다는 주장에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런 이미지는 역사적으로 러시아의 혹독한 기후, 통치자들의 잔인한 전제주의, 민중의 순응주의를 전달하는 많은 여행자들과 관찰자들의 증언에 근거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런 부정적 이미지를 바꾸는데 어느 정도 성공했지만, 수세기에 걸쳐 러시아는 곰이라는 이미지에 익숙한 서구사회에서는 불가능한 일로 보인다. 미국인의 눈에 비춰진 러시아에 대한 이미지는 붉은 광장(39%), AK47 소총(31.2%), 마뜨료쉬까(23.4%)보다도 곰이 제1순위(41.6%)를 점하고 있다. 곰과 러시아는 함께 쓰이는 결합어이고, 부정적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다. 미국인에게 곰은 호전성, 가혹함, 야만성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수세기 동안 걸쳐 형성된 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그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업이다. The article gives grounds for the statement that current image of Russia as a Bear is largely colored by prejudice and stereotype of last centuries and often distorted to a cliché. The image has its roots in observations by many travelers and observers in historic times reporting on the Russia’s severe climate, cruel despotism of its rulers and the submissiveness of the common people. Сhanging the negative image of Russia in the country itself may be partly successful but in the Western world is a nearly impossible task, as the latter is being based on the centuries old image of the Russian Bear. Under the american eyes, the images of Russia are bears(41.6%), the Red Square(39%), AK47 rifle(31.2%), Matreshka(23.4%). Bears and Russia are connective words and they are used in negative connotations such as aggressiveness, cruelty and barbarism. It is a meaningful tast that to look at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negative image of Russian bear which has been created in the last several centuries.

      • KCI등재

        『날아오르는 호랑이처럼』: 아동의 심리적 발달과 성장에 대한 스토리텔링

        박지연(Park, Ji-yeon),김성일(Kim, Sung-il)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8 No.-

        『날아오르는호랑이처럼』에서 주인공인 로브는 엄마의 죽음으로부터 큰 충격으로 혼자만의 고립된 세계에 빠지게 된다. 그는 엄마를 잃은 상실감을 후기전이대상인 ‘조각’과 ‘호랑이’이를 통하여 엄마의 상실감을 대신 위로받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엄마가 즐겨했던 조각행위에 집착하면서 혼자만의 세계에 소외되고 고립된다. 그렇지만 현실 세계에서 실제인 친구 시스틴을 만나면서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게 되며 보다 성숙한 발전적인 주체로 설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게 된다. 로브는 여자친구인 시스틴과의 서로를 공감할 수 있는 조망수용을 통하여 친구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단절과 소외를 극복하게 되어 결국 아빠를 용서하고 화해할 수 있는 마음의 문이 열리게 된다. 로브는 자신의 모습이 투영되었던 호랑이가 아빠의 총에 의해서 죽게 되면서 정신적인 충격을 받게 되지만, 로브는 호랑이의 죽음을 통하여 아빠에 대한 원망과 섭섭함을 표현하게 되면서 이 부자 사이에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는 상호주관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이러한 아동의 심리적 발달과 성장에 대한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로브는 아빠를 이해하고 용서하게 되면서 한층 성숙한 모습으로 성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The Rising Tiger tells us a particular story of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According to this literary storytell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story, 12yearold Rob Horton, had difficulties in making friends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at school. He was terribly shocked by his mother"s death. He compensated for the traumatic loss of his mother by creating secondary transitional objects such as sculptures of tigers and others. His sculpturing is a kind of artistic storytelling about his inner life. The secondary transitional objects give him the psychological consolations to deal with the emptiness and frustration caused by the death of his mother. As he completely immersed himself in sculpturing, he inevitably dropped himself into his own private world isolated from other people. However, he then had a great opportunity to meet his dear friend, Sistine. Their true relationship provided them the mutual ground for forming a genuine relationship in which they could achieve their independent selfhood with mutuality. As they grew, they developed their interactive skills of perceptive storytelling by which they could improve their friendship with their growing sympathy and empathy. As a result of this, his open mind to his father makes him achieve his mutuality enough to forgive his father and reconcile with him, finally overcoming the deadlock of his loneliness and isolation. Although the shocking accident of the tiger, his twin spiritual brother, being killed by his father"s gun shattered his mind as well as his heart, this tragic storytelling about the tiger served as a positive way to develop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Their mutual understanding based on the forgiveness and caring of each other helped them to overcome their sadness and sorrow, thus, achieving their integrated happiness together. The Rising Tiger provides us a good storytelling of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growth.

      • KCI등재후보

        신화 ‘디오니소스’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바디일러스트레이션

        이재림(Lee, Jea-lim),이영미(Lee, Yo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사람의 기억은 이야기 형식으로 저장되어 유지된다. 우리가 어릴 적 즐겨 들었던 옛날이야기를 성인이 되어서도 기억하고 있는 이유는 ‘이야기’라는 형식이 기억에 더 쉽게 저장되고 오랫동안 저장되기 때문이다. 이야기가 기억에 더 쉽고 오래 저장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교육 분야에서는 수업에 스토리텔링 적용하여 학생들을 수업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감성 디자인이 주목받고 있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서 패션, 주얼리, 광고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에서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자인 창작 활동이 활발하다. 하지만 뷰티디자인 분야에서는 아직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자인 접근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바디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창작을 통해 스토리에서 작품의 모티프를 찾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보여줌으로써 앞으로 뷰티디자인의 창의적인 창작 활동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는 창작활동을 위한 새로운 모티프 발견이라는 의의가 있으며 뷰티가 디자인 분야로 확장되어져 나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long the social trend that weighs emotion, storytelling attracts attention from various areas. Contemporary designers seek design that stimulates emotion of the people beyond practical and functional designs in the past. Design that contains story forms sympathy and stimulates emotion of the people, which result in the long memorable design. Accordingly, storytelling is widely used in various areas beyond design. However, there is lack of study on beauty design that uses storytelling in its design approach. This study would like to suggest a new design process through body illustration creative work using storytelling of "Dionysos" myth. While ‘Dionysos" is known as a god of wine or god of festival, his life is not known well. Thus, his story has a sense of scarcity which is meaningful as a discovery of a new motif. The reason why this study selects Dionysos myth as a motif is that the lesson from Dionysos myth can suggest a direction that beauty design needs to seek. Wine Dionysos made helps people to forgot anger, suffering and injury and to have joyful emotion. That is to say, wine of Dionysos makes people happy and plays a positive role in harmonizing and communicating people to each other. So is beauty design. In the course of making body beautifully, they enhance internal self-esteem, feel happines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a momentum to consider genuine beauty that beauty design seeks by playing a role in Dionysos" wine.

      • KCI등재

        강릉단오제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고찰

        조해진(Cho, Hae-j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8 No.-

        유구한 전통을 가진 강릉단오제와 관련한 연구와 조사는 그동안 꾸준히 계속되어 왔다. 이와 관련한 학술행사도 많이 개최되는데 해마다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의견이 생성되고 논의됨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많은 내용들이 실제로 수렴되어 행해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는 행정절차나 시행절차상 절대적인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시행주체들간의 구심점을 활용한 원활한 업무진행이 다소 부족한 때문이기도 하다. 강릉단오제 본 행사의 대중화는 물론이고 강릉단오제의 저변 확대를 위한 문화콘텐츠의 창작과 제작 또한 이런 이유로 아직까지 기대에 못미치고 있는 듯 하다. 현재 강릉단오제와 관련하여 생산되어 향유되는 문화콘텐츠는 ‘관노가면극’과 ‘다노네다노세’ 공연이 대표적이다. 이 두 문화콘텐츠는 공연콘텐츠의 범주에 속하는데 먼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관노가면극’의 경우 관노가면극 보존회를 중심으로 전승과 상설공연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노네다노세’는 강릉단오제의 공개행사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인 제례, 단오굿, 관노가면극을 하나의 공연콘텐츠로 재구성하여 무대화시킨 작품으로 강릉단오제 본행사는 물론이고 전국적인 팸투어를 실시하고 있어 점차 저변을 넓혀가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산업의 활성화에 있어서 스토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점차 강조되며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스토리를 경제적 자원으로 인식하는 태도 또한 점차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현실의 토대위에서 대한민국이 자랑할 만한 전통있는 문화유산인 강릉단오제와 관련한 스토리는 경제자원으로서의 역할도 충분히 기대되고 있다.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강릉단오제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그동안 탄생스토리와 창작스토리에 집중되었던 관심을 관련스토리까지 확장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강릉단오제를 대표한 캐릭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점이다. 셋째, 다양하게 산재되어 운영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스토리자원의 생산과 소비를 확산시켜 줄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Gannung Dano Festival’ which has long history has been studied until now. The concerned conferences has been held many times also. but effective results are not carried out because those are not practical and the communications are not work to researchers and workers each other. there is necessity not only times and funds for the process but also cooperation works. these are the reason why Gannung Dano Festival has less popularity and made less culture contents which are related that festival.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contents. The one is ‘kwano mask play’ and the other is ‘Danone Danoce show’. the first is Korea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is played every year. the last is made of contents which compose ‘Dano Festival’ and has widen its popularity. The importance of story gets more cognition and realized as economic resources. In this situation, Gannung Dano Festival would be recognized as a very useful resource for killer contents making in culture contents industry. With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has found three results. the first, the interest of related story was widen, the second, The related character w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the last, the useful methods which would be helpful for contents producing and making wer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속담 교육 방안

        이소영(Lee, So-young)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5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0 No.-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속담 교육 방안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속담은 한 나라의 공동체적 삶 속에서 사람들의 정서와 가치관 그리고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마디로 그 나라의 문화를 짧은 문장 안에 압축시켜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글자를 익히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문화까지도 익히는 것이다. 따라서 속담을 통해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도 익힐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어 속담에 내포된 의미 이해를 어려워하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교수해야 좀 더 효과적일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속담을 교수할때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목표 속담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이야기를 먼저 접하게 함으로써 속담이 전하고자 하는 내포된 의미를 좀 더 쉽고 흥미롭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스토리텔링을 한국어 속담 교육에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가 속담을 이해하는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 효과를 입증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eek an effective proverb education method using storytelling in Korean proverb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Proverb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motions, values and culture of people in communal life of a country. In a word, proverbs are to compress culture of the country into short sentences. Learning language is related to learning not only letters but also culture. Therefore, proverbs help in learning language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from a consideration on a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foreign learners, who have a difficulty understanding meanings of Korean proverbs. Using storytelling for teaching proverbs enables foreign learners to understand meanings of proverbs more easily and interestingly by providing sto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roverbs. Based on this study,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prove the learning effect of Korean proverb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on proverb comprehension in learners.

      • KCI등재

        『내사랑뿌뿌』: 그림책을 통해서본 아동의 분리불안 스토리텔링

        이지수(Lee, Si-sue),이영준(Lee, Young-zu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8 No.-

        『내사랑뿌뿌』는 글과 그림을 통하여 아동들이 느끼는 기쁨, 슬픔, 두려움 등과 같은 정서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스토리텔링이다. 어린 아동들은 두려움뿐만 아니라 걱정, 염려 등과 같은 분리불안적인 정서들을 내보인다. 양육자인 애착대상으로 부터의 이탈로 인해 일어나는 분리불안은 예상되는 미래의 위협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심리적 반응이다. 『내사랑뿌뿌』노란담요를 소재하여 분리불안을 스토리텔링 해주고 있다. 이 노란담요는 오웬이 어릴 때부터 가지고 있던 것으로 그가 잠 잘 때나 식사 할 때, 화장실 갈 때, 미장원이나 치과에 갈 때도 항상 가지고 다니는 친구 같은 존재이다. 뿌뿌가 없이 한시도 견딜 수 없는 오웬은 비록 평소 명랑하고 쾌활하게 생활을 하고 있지만 사실상은 분리불안을 겪고 있는 아이이다. 불리불안을 가진 오웬은 발달단계에 비하여 담요인 뿌뿌에게 지나친 애착을 가지고 있다. 유치원은 양육자와 물리적 분리뿐 아니라 심리적 분리까지 요구하는 공간이다. 낯선 아이들로 가득한 유치원에 가야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아동들에게 근심과 걱정을 불러일으킨다. 오웬 역시 담요인 뿌뿌를 떼어놓고 유치원에 가는 일은 불가능해 보인다. 뿌뿌는 초기전이대상으로 무의식적으로 어머니와 합체를 이루게 하여 불안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오웬은 뿌뿌와 절대로 떨어질 수 없다. 그러나 엄마는 지혜로운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오웬에게 상처주지 않고 뿌뿌를 분리해낸다. 뿌뿌와 오웬을 강제로 분리시키는 것이 아니라, 뿌뿌를 조각내어 손수건으로 만든 후 계속 지닐 수 있도록 한 발상의 전환이었다. 유치원이라는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오웬에게 담요 뿌뿌는 손수건으로 전치되는데, 이러한 뿌뿌 손수건은 후기전이대상과 같은 역할과 기능을 한다. 후기전이대상은 아동에게 엄마와 일체감을 제공하는 초기전이대상과 다르다. 정서적인 발달과 더불어 등장하는 후기전이대상은 아동과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는 상징화된 대상을 뜻한다. 오웬은 후기전이대상인 손수건과 상호적인 친분관계를 만들어 냄으로써 자신의 불안을 극복하는 점이 유아들의 태도와 매우 다르다. 손수건은 유치원에서 오웬의 걱정과 불안을 완화하고 해소하는 매체인 동시에 타인과 교류하기 위한 사회적인 도구이다.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과 스토리텔링

        고경민(Ko, Kyoung-m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7 No.-

        이 글은 상호문화의 관점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교육을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의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상호문화교육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속한 사회에 대한 이해와 함께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한 점은 그간의 문화교육이 바탕을 두고 있었던 ‘다문화주의’와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이 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갖고 한국에 온 유학생들이 한국사회와 한국문화를 경험하고, 한국 사람을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기 위해서는 ‘상호문화’의 관점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출발하였다. 이러한 전제를 밑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소통을 훈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문화 이력서’ 스토리텔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문화이력서’ 작성은 문화의식화 교육의 하나로 상대방과의 문화적인 차이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와 나에게 익숙한 문화가 상대방에게 얼마나 다르게 느껴질 수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는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 이력서’ 스토리텔링을 통해 상호문화교육에 조금 더 가깝게 다가설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Using ‘storytelling’ as a pedagogical concept and a teaching tool, this paper aims to examine a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South Korea. Intercultural education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host society and people in the society. This perspective differs from multiculturalism, which has been prevalent in cultural education research and curriculum. This study assum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should have an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order to experience Korean culture and society, understand the people, and mutually communicate with them. Based on this assumption, the study suggests a ‘cultural resume’ storytelling as a means of mutu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a cultural consciousness activity, it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see how cultural differences may affect mutual communication and how their own culture would be felt differently by ot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ultural resume’ storytelling can offer students an opportunity for inter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 방안

        고경민(Ko, Kyoung-mi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5 No.-

        이 연구는 현재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해 결혼이주여성의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말하기 활동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 전반에 걸친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과 열기는 이제 어린이나 다문화가정을 대상으로 한 교육방안이나 외국어를 배우기 위한 방법으로까지 그 영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말하기 교육이라는 주제 아래 효과적인 말하기 방안을 모색하던 중 스토리텔링이 갖는 접근성과 소통을 바탕으로 한 상호 작용성에 주목했으며, 이에 교실 상황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말하기 교육이 이루어지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몇 가지 말하기 활동을 제시하고자 했다. 2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과 말하기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3장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을 의사소통 중심교수법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speaking activities to improve speaking abiliti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using story-telling which is being discussed actively, currently. Storytelling not only objective of itself was caused by with combination different medium and there was possibility of meeting with lots of other fields. In addition to its traditional forms (fairytales, folktales, mythology, legends, fables etc.), it has extended itself to representing history, personal narrative, political commentary, and evolving cultural norms. Contemporary storytelling is also widely used to address educational objectives. The interest and enthusiasm for story-telling in the society are gradually expanding the scope to education, 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children or multi-cultural families. This paper focused on the interaction, based on the accessibility and communication of story-telling, as an effective plan for Korean speaking education, and proposed some activities for married immigrant women who receive speaking education in the limited space such as a classroom. In chapter 2, the educational efficiency of story-telling and speaking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in chapter 3, speaking activities using story-telling were examined, based o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 KCI등재

        공간과 역사의 스토리텔링 : 윌슨의 『마 레이니』 다시읽기

        윤소영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8 No.-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fro-American playwrights in American contemporary drama, August Wilson shows a series of plays, which represent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Wilson is somewhat inclined to present male characters as protagonists. However, in Ma Rainey’s Black Bottom male characters such as black players lead secondary roles to support Ma’s singing. The four members, Cutler, Toledo, Slow Dreg and Levee have their own stories respectively. In Ma Rainey’s,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control room and band room. Visually the control room is in a upper story in contrast to the band room. The control room is for white men; however, the band room belongs to the black male players. In particular, the band room is of importance because it functions as a space for storytelling of Afro-American males. In terms of storytelling, their individual stories interwoven from male characters restructure their history as slaves and different Americans. Also, we can find the inevitable relationship to the space they play the instruments for singing the blues, their unique songs and stories. On top of that, their experience as Afro-Americans in American society is a kind of patchwork for reproducing a whole story of their own. 현대 미국 흑인 극작가 중 어거스트 윌슨은 시대별 특수성을 반영하는 극을 연대기적으로 생산해내는데, 그의 텍스트는 곧 흑인의 역사성과 공간적 담론을 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집중하는 바는 192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마 레이니의 검은 엉덩이』에 나타난 공간의 정치학과 스토리텔링으로 구현된 그들의 역사다. 윌슨의 이 극에는 네 명의 흑인 남성 연주자가 등장한다. 그들은 모두 자신의 이야기를 악기처럼 가지고 등장한다. 특히 공간적 의미 추구에 있어 블루스는 가장 중심적인 축으로 작동하고 있고, 블루스를 생산해내는 스튜디오의 상층에는 백인의 공간인 컨트롤 룸을 아래층에는 흑인 연주자가 자리하고 있는 밴드룸을 무대에 설치하고 있다. 시각적으로도 상하의 관계를 보이는 이 구조에서 관객은 아래층이 곧 무의식의 공간처럼 작동함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점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그 공간이 의식의 공간으로 전이하고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드라마 〈마더〉에 재현된 스토리텔러의 위상

        윤소영(Yoon, So-young)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5 No.-

        현대사회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많은 독자/관객을 동원하는 매체는 TV라 할 수 있다. 특히 주 2회 연속극의 경우 정돈된 이야기 속에 인물의 성격구현이 이루어지고, 압축적 진행을 통해 시청자에게 많은 울림을 남기기도 한다. 짧지만 강렬했던 드라마〈마더〉는 화면에 담긴 특별한 내용을 통해 다양한 지평을 만들어 내고 있다. 우선 모녀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발생할 수 있는 면모를 가진 드라마라는 점에서 연구의 목적을 찾을 수 있다. 특히 딸의 이야기 뿐 아니라, 아들의 이야기 역시 중요한 장치로 작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더불어 스토리텔러로서의 혜나의 역할은 극을 더욱 탄탄하게 이끌어주는 기제라는 점에서 궁극적인 연구의 목적이 된다. 두 딸의 이야기가 가장 중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가운데, 그들의 각기 다른 두 엄마의 이야기 역시 엄마 되기의 스토리텔링 미학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아동에 대한 학대를 일삼는 폭력의 공간에는 설악이라는 인물이 존재하고 있다. 사람들은 설악에 대해 공감할 수 없으나 그의 이야기 역시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하는 면이 있다. 이렇게 희생양도 아닌 채 의미 없는 죽음을 맞게 되는, 학대당한 아이들은 모두 “호모 사케르”라 부를 만하다. 호모 사케르로 전락하는 상황에 놓인 혜나의 스토리텔러 역할은 많은 공감과 슬픔을 이끌어내면서 이 극의 의미와 주제를 고조시킨다. Recently a TV serial drama, Mother, stuck a deep chord. In this, a variety of social issues, such as child abuse and domestic violence, are well-wrought in order to cover main characters’ life stories. Shown in the title, we can find interwoven stories between four main mothers and their daughters, as well as a story from a mother-son relationship. Dumped into a plastic bag, Hyena, a main storyteller of this drama, was found by Su-jin, who would be her genuine mother. Their escape from reality means to form and develop a mother-daughter relationship by kidnapping Hyena. However, after being kidnapped by Seorak(Hyena’s biological mother’s man), Hyena appears as a storyteller for floating Seorak’s sad story buried in his subconsciousness onto the surface of consciousness. In the end, Su-jin was arrested but Ja-young’s guilt revealed altogether. Thus, in the process of being a mother, stories of daughters-Su-jin and Hyena—are disclosed on court. Moreover, good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s of importance for child’s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