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학에서의 ‘돌봄’(caring)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현상학이 간호학 등 다른 학문 분야에서 방법론으로 응용되고 있다는 점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전반부에서는 간호학과 현상학의 관계, 즉 간호학이 현상학을 어떻게 연구 방법론으로 응용하고 있는가를 다루게 된다. 간호학에서 질적 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현상학 역시 하나의 연구방법론으로 수용된다. 실험이나 통계적인 분석, 표준화된 관찰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양적 연구와는 달리, 질적 연구는 현상학이나 해석학적 방법, 근거이론, 사례연구 또는 역사연구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수행된다. 간호연구자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자인 환자나 보호자, 혹은 간호사들이 겪는 경험의 의미를 근원적으로 밝히고자 시도한다. 후반부에서는 간호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생활세계적 지평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밝히고자 한다. 과학화나 전문화 이전에 이미 돌봄은 생활세계에서 일상적이고 자연적으로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을 통한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힐 수 있다. 돌봄은 무엇보다 한국인의 오랜 전통과 함께 이어 내려오는 ‘정’개념을 통해 해명된다. 한국문화의 특징을 ‘정’의 문화라고 규정할 수 있을 만큼, ‘정’은 한국인의 생활방식이나 사고방식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개념이다. ‘정’은 타자와의 관계를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에서 타자와의 관계적 구조를 지닌 돌봄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어서 주목해야 할 현상이다. 아무리 전문적인 간호행위를 수행한다 할지라도 ‘정’이 담겨져 있지 않은 돌봄을 통해 환자나 보호자는 정서적 만족감이나 위안을 얻을 수 없다. 그러므로 돌봄은 근원적으로 대인관계의 토대를 이루는 ‘정’의 표현이며 ‘정’은 궁극적으로 하나가 됨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돌봄은 돌봄을 행하는 사람과 돌봄을 받는 사람의 구분이 사라지면서 하나가 되는 통일적 경험이다. It is well known that an ever-increasing number of discipline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for methodological inspirations. This paper will unfold in a way that focuses on the following two main topics; first, the meaning of phenomenology as a research method in nursing science; and secon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caring as a core concept in nursing science. The former is about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re focusing on laboratory experiments, formal methods and numerical methods, wherea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developed in the social sciences to enable researchers to study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most frequently used in social sciences are ethnographic research, historical research, critical social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and phenomenology. The latter takes the form of shedding a phenomenological light on the traditional Korean meaning of caring. Phenomenology helps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through procedures geared toward an understanding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caregivers (nurses) and patients or their caretakers (e.g., members of family). In Korean society, jeong brings the members of a group together to the point where a collective and communal inclination among the members is readily perceptibl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Caring means not simply a meeting between individual subjects: patient and nurse, but the practice of jeong as an ultimate foundation of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becoming ‘one’ A separation between care-providers and care-recipients would disappear if jeong took hol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and patients.

      • KCI등재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Jeong in Relation to Caring in Nursing Science

        Seongha Hong(홍성하) 한국현상학회 201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5 No.-

        이 논문에서 간호학에서의 돌봄이 한국인의 심성을 상징하는 ‘정’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미 간호학에서 현상학이 중요한 연구방법론으로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간호학의 핵심개념인 돌봄의 근원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현상학적 방법을 활용하는 것은 간호학이나 현상학 모두에게 유익한 작업이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논문은 두 가지 방향에서 돌봄의 문제를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였다. 먼저 돌봄과 간호와의 관계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한국 사회와 문화에서의 ‘정’을 돌봄과 연관하여 어떻게 성찰할 수 있는가를 현상학적으로 해명하였다. 간호사와 환자와의 만남을 현상학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돌봄 자체라는 현상학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돌봄은 간호사가 환자에게 행하는 직업적으로 의무가 아니라 ‘정’을 기반으로 한 인간적 상호관계의 실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정’은 한국민의 정서를 이해하고 한국 사회와 가족의 구조를 밝히는 전제조건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jeong, a Korean word, and caring in nursing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n ever-increasing number of nursing research projects have turned to phenomenology, of which an interpretive approach constitutes a major methodological structure in these projects. Aiming to clarify how phenomenology has expanded into the area of nursing science, this paper develops the following two key aspects related to the expansion: 1) a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ing and nursing; 2) caring as an expression of jeong in Korean culture and society. Operating under the notion of a phenomenological encounter between nurses and clients, phenomenology helps to reveal the nature of ‘caring’ itself. An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caring shows that ‘caring’ is not simply related to performing a professional duty for clients, but it also encompasses the realization of a jeong-bas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jeong is almost a prerequisit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human emotions and its role in the family and social structures in Korea.

      • KCI등재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현상학의 비판

        신호재(Ho-Jae Shin)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0 No.-

        본고는 자연주의 심리학에 대한 후설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비판을, 방법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다. 자연과학의 인과적 방법으로 심리적 현상을 탐구하고자 했던 19세기 심리학은, 실상 믿고 싶었던 것처럼 철저한 실증학문으로서의 경험과학이 아니라, ‘자연주의’라고 하는 철학적 선입견 위에서만 성립할 수 있었던 ‘형이상학’이었다. 심리적인 것을 물리적인 것으로 치환하는 자연주의는, 데카르트가 씨앗을 뿌린 이래 로크, 버클리, 흄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으로 문제시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참된 심리학의 수립을 위해서는, 심리적인 것의 ‘본질’이 무엇이며, 또 심리적인 것을 그 본질에 맞게 탐구하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밝혀야만 한다. 후설에 따르면, 심리적인 것의 본질인 ‘지향성’은 자연주의에 오염되지 않은 순수 심리적인 것을 확보하는 데에서만 파악될 수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의 연구는, 그 방법인 ‘현상학적 심리학적 환원’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제시하지 않았다. 이것이 해명되어야만 지향성의 진정한 의미, ‘판단중지’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날 뿐만 아니라, ‘현상학적 심리학’이 자연주의 심리학과 어떤 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지, 더 나아가 ‘초월론적 현상학’으로 어떻게 전환될 수 있는지도 드러난다. 현상학적 심리학의 방법을 취해 신체의 ‘행동’을 지향성의 표현으로 파악하는 메를로-퐁티가, 명시적으로 자신의 방법을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적 환원”이라고 규정하는 이유는, 바로 위 문제를 해명함으로써 밝혀지게 되는 것이다. Focusing on the clarific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this paper will examine Husserl and Merleau-Pontys’ criticism of the naturalistic psychology. In fact, various movements of 19sup{th} century’ psychology were not rigorous positive experiential sciences as what they wanted to believe, but mere metaphysics of philosophical prejudice only on which naturalistic method could be established. Since Descartes sowed the seeds of this naturalism, no one, including Locke, Berkely, and Hume, raised a question on the fundamental fact that it transposes the psychological into the physical. In order to found the truly authentic psychology, therefore, we have to determine what the essence of the psychological is and what the method of investigation is. According to Husserl’ phenomenological psychology, the former is intentionality and the latter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But the hitherto existing researches did not explicitly manifest what th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reduction is, as the method of apprehending the pure psychological not being polluted by the naturalism. Shedding light on this problem, this paper will reveal the true meanings of intentionality and phenomenological epoche, and what the fundamental difference is between phenomenological psychology and naturalistic psychology. Furthermore, to understanding how phenomenological psychology can transfer to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bsolutely depends on the clarification of this problem. By examining this, the reason why Merleau-Ponty, who consider the corporal behaviour as the expression of intentionality from the point of view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explicitly define his own method as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reduction” can be explained.

      • KCI등재

        일상사의 방법론과 해석학적 현상학

        송석랑(Suck-Rang S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9 No.-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日常史)의 ‘역사인식이론’적 관계를 통해 ‘역사주의 이후의 역사주의’를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예비논의로 쓰여졌다. 따라서 이 논문의 논지는 해석학적 현상학과 일상사의 연계성[이론↔실천]을 ‘생활세계’와 ‘일상’이라는 고리를 통해 역사주의적 관점에서 규명한 후, 일상사의 방법론에 떨어진 주요 현안들, 즉 ‘반(反)이론’성, ‘파편성’, 그리고 ‘비(非)정치’성 등에 걸려 있는 문제들을 지적하며 그 문제들을 해소할 방도를 제시하는데에서 그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논문은 해석학적 현상학의 존재론적 역사이해를 대안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의 요체로 제시하는 가운데 다음의 두 사항을 논증하는 성취를 갖게 될 것이다. 즉, (1) 해석학적 현상학은 일상사에게 전통 역사주의의 역사이해를 지양하는 새로운 역사이해의 존재론적 토대를 명확히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리고 (2) 일상사는 기존의 유력한, 그러나 “역사개념의 퇴락”을 초래했던, ‘역사적 사회과학’의 역사인식을 능가하며 해석학적 현상학의 역사주의적 역사인식이론을 예증하는 역사일 수 있다. Being a preliminary discussion for the study on philosophical (hermeneutic-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istorical cognition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die Alltagsgeschichte], this paper contents itself with making a sketch of overcoming and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Hence the drift of this paper’s argument in which the ontologically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examined from a renewed historicism’s point of view through the mediation, so to speak “life-world”[die Lebenswelt] and “everyday life”, is restricted within a limitation. And because of this limitation the outstanding problems (for instance the anti-theoretical attribute, the splintered or non-total point of view, and the nonpolitical nature) that have been bound to the microscopic methodology of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are indicated only with an outlet of those without being solved. However despite of that limitation the above mentioned facts this paper will be a thesis that gets an achievement of demonstrating the following facts: (1) Hermeneutic phenomenology can suppl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with a ontological foundation of up-to-date historical cognition that sublimates[das aufheben] epistem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2) Overcoming the “the historical sociology”[die historische Sozialwissenschaft] that impaired the vivid conception of history, the history of everyday life can be the history that illustrates a renewed historicism’s historical cognition of hermeneutic phenomenology.

      • KCI등재

        후설철학에 나타난 동일성과 타자성 문제 고찰

        이은주(Eun-Joo Lee) 한국현상학회 2005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26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동일성과 타자성 문제와 연관이 있는 후설의 제 이론들을 고찰하는 한편 통일성 문제에 대한 ‘치료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인도철학적 관점에서 후설철학을 재해석 내지 보완한다. 이 논문에서 다뤄지는 주된 후설의 철학이론들은 『성찰』의 제5장에서 다뤄진 상호주관성의 현상학과 『위기』에서 다뤄진 생활세계를 사는 자아의 초월론적 기능에 관한 것이다. 『성찰』에서는 타자에 대한 현상학적 구성이 유비적 경험에 바탕을 둔 것으로 설명되고 『위기』에서는 생활세계를 사는 현상학적 주체는 자연적 태도와 초월론적 태도 사이에서 태도변경을 취하면서 자아의 이중적 구조를 이루는 자아의 세속적 차원과 초월론적 차원으로의 전이를 꾀하는 초월론적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연구를 통하여 타자성은 생활세계를 사는 자아가 자연적 태도를 취하면서 경험적 자아로서 타자성을 수용하면서 타인을 자기와는 다른 하나의 인격체(Mensch)로 존중하면서 더불어 사는 측면에 해당하고 동일성은 생활세계를 사는 자아가 초월론적 태도를 취하면서 자신과 타자의 동일한 측면, 즉 자아의 이데아를 현상학적으로 구성해가는 측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필자는 인도의 절대적 일원론의 관점에서 타자의 신체 속에 작용하는 자아에 대한 유비적 경험방식에 의해 설명되는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이론을 일종의 이원론으로 재해석한다. 마치 전통적인 이원론사상이 물질과 정신을 궁극적 형이상학적 원리로 보듯, 후설은 신체에 작용하는 자아라는 “궁극적으로 단순한 초월론적 사실”에 귀착하며 이것은 일종의 이원론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자아’라는 이데아의 현상학적 구성과 상호연관이 있는 후설의 상호주관성을 초월론적 현상학적 구성이 이론적 관념화의 문제를 안고 있지 않음을 초월론적 현상학적 구성의 ‘실천철학적’ 성격을 부각시켜 해명한다. In this essay the author surveys Husserl's phenomenological theories related to the problem of identity and alterity on the one hand, reinterpret them from the Indian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n an attempt to suggest a 'therapeutic' solution to the problem of identity on the other hand. The main Husserlian phenomenological theories considered are the notion of intersubjectivity as in the fifth chapter of Cartesian Meditations and that of the transcendental function of the 'I' living in the life-world as in the Crisis of the European science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e result of the present survey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problematic of alterity is correspondent to the aspect of the life of the 'I' living in the life-world that taking the natural attitude live with others respecting the other as a person different from it and accepting the otherness. The problematic of identity is correspondent to the aspect of the life of the 'I' that taking the transcendental attitude constitutes phenomenologically the Idea of the ego, the identical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the other and itself. Furthermore, the author reinterpret from the Indian absolute monistic point of view the Husserlian theories of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intersubjectivity explained in terms of the analogical experience of the other ego governing in the body of the other as a kind of dualism consisting in the ego governing in the body. The author also brings to light by emphasizing the 'practical' philosophical character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that his theories of the transcendental phenomenological constitution of intersubjectity is not subject to the criticism of the theoretical idealism.

      • KCI등재

        후설의 타자이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영향 그리고 대응전략

        이종주(Jong-Ju Lee)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우선 후설의 타자이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적 타자이론을 검토하고, 하이데거의 타자이론이 싸르트르, 레비나스, 메를로-퐁티의 타자이론에 끼친 영향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정리하고, 끝으로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의 입장에서 대응전략을 재차 세 측면에서 제시한다. 먼저 하이데거가 후설의 타자이론을 검토하면서 특히 문제로 삼았던 것은 세 가지이다. 첫째, 타자이론에서 현상학적 반성은 방법적으로 한계를 갖는다. 둘째, 원초적 자아로부터 타자구성, 세계구성은 불가능하거나 무의미하다. 셋째, 후설의 타자이론은 자아구성에서 타자의 우위 내지 결정적 영향력을 간과하고 있다. 그에 따라 하이데거의 주도하에 싸르트르, 레비나스 그리고 메를로-퐁티가 제시한 대안적 타자이론은 세 가지 특징을 갖는다. 첫째, 현상학적 반성에 선행하는 비반성적 경험, 특히 기분의 방법론이 필요하다. 둘째, 자아와 타자구성에 대해 세계구성이 선행한다. 셋째, 자아구성에서 타자의 우위 내지 결정적 역할을 해명할 수 있어야한다. 이에 대해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서 대응할 수 있는 전략도 재차 세 가지이다. 처음 두 가지는 후설의 현상학의 발전적 심화를 통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선반성적 경험으로서 기분에 대한 반성의 반성으로서 현상학적 반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둘째, 타당성 정초에서 타자와 세계에 대해 원초적 자아는 여전히 우위에 있으며, 발생적 정초에서 자아에 대한 세계의 선행성이 밝혀질 수 있다. 그러나 세 번째 측면에서 기존 후설의 현상학은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제한적이나마 타자경험 이전의 원초적 유아(아기)에 대한 후설의 논의를 실마리로 삼아 타자경험이 어떻게 자아구성에 결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해명해야 한다.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Heidegger’s criticism on Husserl’s theory of other and secondly gets into three shapes the effects which Heidegger has on Sartre, Levinas and Merleau-ponty’s theory of other, finally proposes three countermeasures from Husserl’s point of view. To begin with Heidegger criticizes Husserl’s theory of other from three aspects. Firstly phenomenological reflection in theory of other has methodological limitations. Secondly it’s impossible and meaningless to constitute other, world out of my primordial self. Thirdly Husserl’s theory of other overlooks other’s superiority or decisive effect on the constitution of my self. Therefore Heidegger’s, Sartre’s, Levinas’s and Merleau-ponty’s alternative theory of other take three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ly the method of unreflective experience, especially mood is necessary for theory of other. Secondly the constitution of world precedes that of other, my self. Thirdly, the theory of other have to explain the superiority or decisive role of other on the constitution of my self. As a result Husserl’s theory of other can seek three countermeasures. Two of three countermeasures can be proposed through the developmental deepening of Husserl’ theory of other. Firstly,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s reflection of reflection still holds good in comparition with moods. Secondly, in the foundation of validity, the primordial self has still the superiority on the constitution of world and other, and in the genetic foundation world’s preceding on that of self can be explained. But in the third aspect Husserl theory of other has limitation. This study proposes some clues to explain the decisive role of other on the constitution of my self from Husserl’s texts.

      • KCI등재

        The Conception of the Pre-objective Body in Heidegger and Merleau-Ponty

        Peter Ha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인간의 고유한 존재방식을 의미하는 하이데거의 “실존”개념 속에서 전제되고 있는 신체개념을 메를로-퐁티의 “현상적 신체”, 즉 전-객관적인 신체와 연관지어 해명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존재분석에서 하이데거는 현존재(인간)의 본질은 “실존”에 있다고 주장하며, 실존개념을 강조함으로써 의식에 기초해 있는 근대 주체개념을 극복하고자 한다. 그런데 근대 주체개념 비판에서 그는 “실존” 외에도 현존재가 본질적으로 신체에 결부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현존재가 육화된 존재자로 있다는 사실은 현존재가 일상적인 세계를 구성하는 도구들을 이론적인 사유에서가 아니라 실천적인 행동 속에서 관계한다는 점에서 제시될 수 있다. 현존재의 신체성을 전제하지 않고서는 현존재는 도구들을 그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하이데거가 현존재 분석에서 현존재의 신체개념을 비중 있게 다루지 않았기 때문에 “실존”과 “신체성”의 관계뿐만 아니라 신체개념 자체도 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다. 그런데 메를로-퐁티 “현상적 신체” 개념은 하이데거가 자신의 현존재분석에서 전제하고 있는 신체개념을 이해하게 해주는 단초를 제공한다. 메를로-퐁티에 있어서 인간의 신체는 “생리학적 신체”와 “현상적 신체”로 구분된다. 전자가 주제적인 차원에서 탐구되는 객관적 신체라면, 후자는 전-주제적인 차원에 있기 때문에 객관화될 수 없는 신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 “현상적 신체”는 근육, 힘줄, 관절의 운동에서 전달되는 감각의 흐름이 하나의 복합성(unit)으로 체험되면서 구성되는 “신체도식”을 의미한다. 메를로-퐁티에게서 “실존”이란 다름 아니라 “생물학적 신체”처럼 세계 속에 존재하지만 해부학의 대상으로 있는 “생물학적 신체”와는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현상적 신체”의 존재방식을 의미한다. 그리고 실존의 영역에서 “현상적 신체”는 주관적인 세계와 객관적인 세계로 환원되지 않은 제3의 세계를 열어 밝힌다. 하이데거의 육화된 현존재와 이 존재자의 “실존”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현상적 신체”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body” that is presupposed in Heidegger’s concept of “existence” of Dasein(man) in respect to Merleau-Ponty’s “phenomenal body.” In the analytic of Dasein, Heidegger seeks to overcome the modern concept of subjectivity based on consciousness by emphasizing that the essence of Dasein lies in its existence. But in his criticism of the modern subjectivity, other than mentioning existence he also stresses that Dasein is essentially fettered in body. The fact that Dasein is regarded as an incarnated entity can be shown in Dasein’s comportment towards equipment that is grasped not i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but in the practical activities. Without presupposing the bodiliness of Dasein, Dasein is unable to use a piece of equipment in the everyday world. However, since Heidegger avoids discussing the concept of body in the analytic of Dasein, the relation between “existence” and the “body” and furthermore the concept of body itself remain ambiguous. We can overcome this lacuna discovered in Heidegger’s thoughts by investigating Merleau-Ponty’s “phenomenal body.” According to Merleau-Ponty, the body of man is distinguished between the “physiological body” and the “phenomenal body.” While the former refers to the objective body in the thematic dimension, the latter means the pre-objective body. And this “phenomenal body” is nothing other than the “body schema” that is formed by unifying the movement of muscle, tendon. In the “body schema,” these sensible flows are experienced as a unit. For Merleau-Ponty, the “physiological body” and the “phenomenal body” are both in the world; yet “existence” signifies only the mode of Being of the “phenomenal body.” And in the realm of “existence,” the “phenomenal body” unveils the third realm that is situated between the subjective world and the objective world. The meaning of an incarnated Dasein and its existence in Heidegger’s philosophy can be concretely understood in the analysis of the “phenomenal body.”

      • KCI등재

        팬더 현상학에서 나타난 의욕과 동기에 대한 연구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1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8 No.-

        이 연구를 통해 팬더의 현상학적 심리학에서 다루어지는 의욕과 동기의 문제를 분석하고자 한다. 팬더는 후설 현상학의 이념을 수용하지만 선험적 관념론을 근본적으로 거부하면서 현상학적 심리학을 구상하게 된다. 현상학적 심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의욕’과 ‘동기’ 개념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의욕은 단순한 추구와 행동으로 구분하여 다루어지는데 우리가 표상된 체험을 단순히 추구하지만 이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전자가 단순한 추구라는 심적 현상이라면 후자는 자아에 의해 수행되는 의지행위라 한다. 표상된 체험을 추구할 때 비현재적인 대상을 주목하게 되고 예상의 근접 정도에 따라 그 관계도 비례한다. 즉 주목하는 관계의 긴밀성 정도에 따라 즐거움이나 불쾌가 증가할 수도 있고 감소할 수도 있다. 즐거움이나 불쾌에 따라 추구와 기피가 발생하고 이런 심적 현상들이 대립된다 할지라도 근본적으로 추구라는 현상에 속하면서 동시에 어떤 성향을 띠는 감정을 품고 있다. 왜냐하면 기피는 추구하는 심적 현상이 전혀 없음을 의미하지 않고 미워하거나 두려워하거나 혹은 ‘하려고 하지 않음’처럼 일종의 추구와 관계하기 때문이다. 의욕은 표상된 체험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믿음에 근거하면서 궁극적인 행동의 목표를 지향하게 된다. 행동을 통한 목표 추구가 곧 의욕이 아니고 우리가 목표에 도달하고자 하는 의욕을 지닐 경우에만 행동하게 된다. 만약에 의욕이 행동을 수반하지 않는다면 표상된 체험을 실현할 수 없고 단순하게 추구하는 소원의 차원에 머물게 될 것이다. 우리가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취하고자 하는 의욕에는 그 근거가 되는 동기가 존재한다. 팬더에 따르면 최종목적이 추구의 대상이 되더라도 동기가 추구의 대상 그 자체는 아니다. 왜냐하면 동기는 표상된 최종목적을 추구하면서 이 목적에 도달했을 때 비로소 충족되기 때문이다. 추구와 기피의 관계처럼 의욕은 ‘하고자 하지 않음’과 대립되는데 ‘하고자 하지 않음’은 의욕 자체가 없는 심적 현상이 아니라 하고자 하는 의욕의 또 다른 측면에 속한다. 이처럼 의욕은 소원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현시킬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는 행동이 수반된 심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 『제6성찰』에서 나타난 핑크의 현상학적 현상학

        홍성하(Seong-Ha Hong) 한국현상학회 200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핑크의 『제6성찰』에서 다루어지는 주요개념들을 해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여기서 논의되는 주제는 현상학적 환원으로, 이 환원에 자아론적 환원으로부터 상호주관적 환원까지 포함된다. 핑크에 따르면 소급적 현상학이 자아론적 환원을 통해 선험적 주관성에 머무르지 않고 선험적 타인을 제시하는 상호주관적인 공동체로 나아가기 위해 상호주관적 환원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나 소급적 현상학이 환원에 의해 주어진 선험적 주관성을 그 주제로 삼는 것과는 달리, 구성적 현상학은 다양한 선험적 인식내용을 직관이 아닌 구성을 통해 방법적으로 통일한다. 현상학적 환원의 구조를 분석해 보면 자아를 세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자연적 태도로 살아가는 인간자아와 선험적으로 구성하는 자아, 그리고 마지막으로 선험적으로 현상학 하는 자아를 의미한다. 현상학 하는 자아는 환원을 통해 다루지 않았던 자기 자신에 대한 앎을 주제로 삼는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연적 태도에서 은폐된 세계를 구성하는 선험적 주관성이라는 영역을 발견하게 된다. 현상학 하는 행위의 주제는 세계에 대립하는 선험적 주관성과 같은 영역이 아니라, 선험적 주관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세계에서 끝나게 되는 구성과정이나 생성이다.

      • KCI등재

        현상학적 환원과 현상학의 미래

        이남인(Nam-In Lee)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4 No.-

        이 글의 목표는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현상학적 환원을 해명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식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실제로 그러한 방법에 따라 현상학적 환원의 정체를 해명하면서 현상학적 환원의 의의를 검토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표에 따라 우리는 우선 1장에서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후설의 해명 방식을 살펴보고 그러한 방식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볼 것이다. 거기에 이어 우리는 2장에서 현상학적 환원에 대한 효과적인 해명 방식이 무엇인지 살펴볼 것이며, 3장에서는 이러한 효과적인 해명 방식을 통해 무엇보다도 현상학적 환원이 사태 개시 기능을 지니고 있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해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현상학적 환원이 현상학의 미래에 대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글은 “현상학적 환원의 현상학”에 대한 하나의 기여를 하고자 한다.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clarify the functio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by assessing Husserl’s strategy to clarify the method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is paper understands itself as a contribution to “the phenomenology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that Husserl attempts to develop in his later phenomenology. In section 1, I will delineate the main features of the strategy Husserl adopts to clarify the method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and show the difficulties that it has. In section 2, I will show the appropriate strategy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n section 3, adopting the appropriate strategy discussed in section 2 to clarify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I will show that phenomenological reduction is not a method of abstraction or exclusion, but a method to disclose the matters and to discover the truth. In section 4, I will sketch some important tasks for phenomenology in the future that are related to the issue of the phenomenological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