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경 예술철학과 동양예술사상

        민주식 ( Joo Sik Mi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조요한은 서양철학과 서양미학에 주력했던 보편성을 지향하는 리버럴리스트였다. 그런데 우리는 그에게서 한국인의 정감과 체취를 느끼고 동양적 사유를 만나게 된다. 그는 동양의 고전과 한국의 예술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고 있었다. 그의 예술철학에서 동양예술사상이 갖는 의미는 ‘한국미의 체계화’를 위해 필요한 밑거름이었다. 동양예술사상은 결국 한국미의 해명을 위한 기반이었고, 한국예술의 자기 위상을 파악하는 잣대였다. 그가 추구한 동양예술정신은 청년시절 그에게 많은 감화를 가져다준 김환기 화백의 예술세계와 상통하는 것이었고, 곧 한국의 자연과 한국인의 심성에서 우러나오는 멋의 세계였다. 한국미에 관해 언급한 이전의 논자들은 거의 모두가 한국미의 원리를 일원적인 관점에서 조명했다. 이를테면 한국미를 비애의 미, 멋, 자연주의, 등과 같은 어느 하나의 개념으로 설명했다. 이에 반해, 조요한은 한국예술의 성격을 기본적으로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규정하고, 양자의 원리가 역사적으로 공존하면서 서로 보완해 간다고 보았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비균제성은 북방 유목민의 삶 속에서 형성된 무교적 영향에서 유래하는 것인데, 신나면 규칙을 무시하면서 도취하는 기질과 연관돼 있다. 그리고 자연순응성은 남방의 농경문화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지모신(地母神)을 섬기면서 형성된 자연신의 숭배에 따라 항상 자연을 주격으로 생각하는 가치관의 발로다. 이러한 토대에서 ‘신바람’과 ‘질박미’라고 하는 한국예술의 양대 특성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국미를 이원적 구조로 파악한 점은 의미 있는 지적이라고 생각된다. 조요한은 ‘비교연구’라는 관점을 줄곧 의식하면서 한국미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논하고 있다. 즉 거시적인 관점에서 동서 예술의 대비를 논하고, 세부적으로는 한국·중국·일본 각 나라 예술의 특성을 논하는 가운데 한국미의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한국미를 언급했던 일본 학자들과 서양의 연구자들의 견해를 항상 함께 고려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서술하고 있다. 이것은 다양한 사고의 지평을 수렴하고 있는 그의 열린 학문의 자세를 보여준다. 그는 동양의 직관적 철학과 서양의 과학적 철학이 상보적인 관계에 있음을 전제하면서, 동서 예술의 비교고찰을 시도했다. 이를테면 재현과 표현이라는 예술이념의 상위, 서양화의 원근법과 동양화의 삼원법, 동적인 활력성을 갖는 서양음악과 정적인 명상성을 갖는 동양음악 등을 논하면서 비교라는 관점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그리고 동양의 아름다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고졸, 소박, 기운생동과 같은 동양미학의 이해가 뒤따라야 함을 강조했다. 그는 지구촌의 한 복판에서 살아가야하는 지금 문화한국의 자기소개가 시급하며, 따라서 이 과업의 중요함과 치밀함이 더욱 요청된다고 지적하였다. 이러한 과제에 부응하기 위해 그가 행한 작업이 『한국미의 조명』이었다. 책이름이 말해 주듯이, 그간 충분한 빛을 받지 못한 채 어둠 속에 묻혀 있었거나 또는 희미하게 그 일면만을 드러내고 있었던 한국미에 대한 학술적 조명이다. Professor Yohan Zoh was a liberalist who aspired universalism, mainly studying and teaching western philosophy and aesthetics. And yet, we can find and feel something characteristic of Korean emotion and Eastern thinking from him. He had a peculiar affection on Chinese classical writings and Korean classical arts. For him, Eastern thoughts of art or Chinese theory of art was needed for him in the process of academic research on Korean aesthetics. It was not only a fundamental basis for illuminating Korean beauty, but also a measuring stick for surmising the phase of Korean art. His admiration for the spirit of Eastern art was greatly influenced from Hwanki Kim, a Korean modernist painter, corresponding to the world of Korean elegant beauty ‘meot’ which was sprung from natural environment and mental disposition. Most of precursors explained the principles of Korean beauty from a single viewpoint, for example, from the concept of ‘beauty of sorrow’, ‘naturalism’, or ‘unskilled skill’. On the contrary, Zoh stipulated two axis of ‘asymmetry’ and ‘adaptation to nature’, which have coexisted historically, supplementing each other. According to him, ‘asymmetry’ was originated from northern Shaman tradition built up by nomadic life and was connected with the temper of outbreaking and intoxication in excited situation. And ‘adaptation to nature’ was originated from southern agricultural tradition which worship the spirits of the terrain and has showed the sense of value estimating the nature as the nominative. The two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shinbaram’ or exulted spirits and ‘simple-hearted beauty’ could be molded by these bases. His grasp of Korean beauty in dual structure is significant for our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Korean artistic culture. Zoh has taken into consideration on the universality and peculiarity of Korean beauty, maintaining the comparative angle of vision. He argued some characteristics of Korean beauty, contrasting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rts comprehensively and amo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rts in detail. He showed an open-minded attitude to reflect on broad horizon of thinking. He premised the inter-complement relation between Eastern intuition and Western science, and examined som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rt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viewpoint,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concept of art, perspectives of painting, and the discrepancy of musical traits of meditation of the East and vitality of the West.

      • KCI등재

        한국미의 고유성 규명을 위한 비교미학적 고찰

        이주영 ( Joo 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1 No.-

        이 연구는 그간 한국미 연구를 통해 가장 중요하게 거론된 미적 관점들을 서양미학의 중심내용과 비교해 보면서 한국미의 고유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한국인들이 지향했던 자연관, 세계관과 이를 기반으로 한 고유한 미의식을 더 분명하게 부각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미의 범주체계를 새롭게 구성해 보고자 했다. 서양미학에서 거론되는 대표적인 미적 범주는 ‘미’, ‘비장’, ‘골계’, ‘숭고’, ‘우아’, ‘추’, 그 밖에 ‘특성미’ 등이다. 한국미의 중심 개념 중에서 ‘한(恨)’과 ‘해학’은 ‘비장’과 ‘골계’에 유사하게 대응하나 그 밖의 개념들은 서양미학의 범주로는 포괄이 안되는 독특한 미적 가치를 지닌다. 그것이 ‘멋’, ‘무심’, ‘일탈’, ‘신명’, ‘풍류’, ‘고졸’, ‘씻김’ 등이다. 이러한 한국미의 범주들은 중심에 자연을 두고 수직적인 방향과 수평적인 방향으로 순환하며 전체는 ‘구(球)’형과 같은 3차원의 체계를 이루고 있다. 이에 비해 서양미학의 범주구조에서 가장 많이 거론되는 데스와의 원환적 범주체계는 서로 성격이 다른 범주들이 마주보고 있는 평면적인 도식을 이루고 있다. 또 그의 범주체계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범주들의 중심지대는 자연보다는 인간에 중점이 놓이는데 비해 한국미의 모든 범주들을 포괄하는 바탕은 자연이다. 한국미의 중심 범주들은 인간이 갖고 있는 모든 정서적 세계의 소우주속에서 위치하고 유동한다. 이 소우주는 수직계로 순환하는 원환과 수평계로 순환하는 원환으로 나뉜다. 또 각각의 원환은 정서의 밝은 쪽과 어두운 쪽으로 나뉘는데, 중심에 생명력으로서의 자연을 품고 있기 때문에 그 생명력의 힘으로 어두운 쪽에서 밝은 쪽으로 이행하고자 하는 운동성을 가진다. 수직계 순환범주로는 ‘한’, ‘해학’, ‘흥’, ‘신명’, ‘씻김’ 등이 있고 수평계 순환범주는 ‘풍류’, ‘멋’, ‘일탈’, ‘고졸’, ‘무심’ 등이 있다. 수직계 순환범주는 음악이나 연극, 문학 등 시간예술에서 주로 많이 나타나는데, 시간의 순차적 배열에 따라 정서가 운동하며 인간의 성정을 강하게 자극한다. 수평계 순환범주는 조형예술에서 주로 나타나며, 평온한 정서로 표현되면서도 유동적인 자연의 생명력을 담는다. 조형예술은 공간과 정지된 시간성 속에 모든 것을 담아야 하므로 극단적인 정서가 중화되고 대립과 모순이 화해된 자연 그대로의 상태를 표현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형예술은 자연성을 바탕으로한 관조적 미감이 지배적이다. 수직계 순환범주는 인간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발현되는 정서의 성격이 강하며 수평계 순환범주는 그 미적 특성이 자연 쪽에 더 가깝다. 이 전체 범주는 하나의 총체성의 체계 속에서 유동하기 때문에 다른 범주들과의 영역이 명확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의 중심위치의 성격은 뚜렷이 지닌다. 이를 통해 도출된 한국미의 고유성은 범주들이 상호통섭하면서 복합적인 미의식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미의식은 삶의 총체성을 더 깊이 있게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미적 범주는 순환하며 모든 정서를 총체성 속에 녹여내며, 슬픈 것과 기쁜 것, 속된 것과 성스러운 것, 일상적인 것과 초월적인 것, 아름다움과 추함, 늙음과 젊음 등은 함께 교호하거나 결합하여 전체의 미를 볼 수 있는 심미적 차원을 깊게 한다. 이러한 통일된 미의식은 정합적인 차원에서 닫혀있는 것이 아니라 순환적으로 움직이는 미의식이다. This research derived the peculiarities of Korean beauty by comparing the significant components of Korean aesthetics with those of Western aesthetics. In doing so, I tried to emphasize the standpoint to the nature, to the world and aesthetic consciousness of Korea. This aim required the establishment of a new set of Korean aesthetic categories. The representative aesthetic categories of Western aesthetics are Beauty, Tragic, Comic, Sublimity, Grace, Ugliness, and Characteristics. The Korean aesthetic categories Han and Humor are similar to Tragic and Comic, but the following Korean categories have no Western counterpart: Mut, Indifference, Deviation, Shinmung, Pungryu, and Shikim. The categories of Korean aesthetics circulate in both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they form a three-dimensional spherical system. In contrast, the circular categorical system of Dessoir forms a two-dimensional plane in which certain categories oppose each other. In his categorical system, the central point between opposing characteristics accentuates humanity, whereas the basis of the Korean aesthetic categories is nature. The central categories of Korean beauty exist and move in the microcosmos of the human emotional world. The microcosmos is divided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Each of these circles is then divided into bright and dark aspects of emotion. The latter moves toward the bright aspect from the dark aspect, embracing nature as a vital power. Han, Humor, Heung, Shinmung, and Shikim are the vertical categories. Pungryu, Mut, Deviation, Archaic, and Indifference ar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The vertical categories appear often in art that is based on tempo, stimulating human nature by moving emotion by the passage of time. Th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mainly in the formative arts, holding the floating life force of nature, are expressed by tranquil emotion. The formative arts have to embody every motive in space and the stopping moment, so they express the state of nature itself, in which extreme emotions are neutralized, and conflict and contradiction are reconciled. So in the formative arts, the contemplative sense of beauty is dominant, based on naturalness. The vertical circular catego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emotion that ari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tal circular categories are nearer to nature. No individual category can be divided clearly into a specific categorical domain, by reason of floating in a system of totality, but they distinctly reflect the character of their main position. To conclude, the peculiarity of Korean beauty appears as a complex aesthetic consciousness through the mutual interchange of categories. Therefore,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eeply reflects the totality of life. In this way, the aesthetic categories circulate and melt the individual emotions into totality. Sadness and pleasure, worldliness and the divine, daily life and transcendence, beauty and ugliness; they all alternate each other together, and deepen the aesthetic dimension to reveal beauty as a whole. This unified aesthetic consciousness is circular and moving, not enclosed in a fixed system.

      • KCI등재

        I. 칸트의 사유를 통한 한국 전통 조형미의 특성 재고

        권정임 ( Jeong-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7 美學·藝術學硏究 Vol.52 No.-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서 규정된 전통 조형미의 특성들을 칸트의 미와 예술에 관한 개념들을 통해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재 고찰함으로써 그 의미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미를 서구의 논의 틀로 이해될 수 있는 가능성이 탐색되며, 동시에 서구의 미학 개념의 재해석도 시도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조형미의 특성을 우현(又玄) 고유섭이 제시한 ‘무관심성’과 ‘무기교의 기교’의 개념으로 포괄하여 논하며, 선행 연구들에 의거하여 한국 전통 조형미를 ‘자연미’의 일환으로 이해한다. 방법론적으로는 이러한 ‘자연미’와 그 특성들의 근간을 한편으로 노장사상(도가사상)에서 찾으며, 다른 한편으로 그 특성들을 칸트의 사유와 비교 분석한다. 노장사상과 칸트의 철학적 구조 자체는 매우 상이하지만, 양 자가 논한 미(자연미)의 심미적 상태나 태도, 의식에서 유사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먼저 칸트의 자연미와 예술미에 관한 사유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 전통 조형미의 특성의 근거가 되는 개념들로 ‘천락(天樂)’과 ‘허정(虛靜)’을 살펴본다. 이 개념들은 고유섭의 한국미 개념과 칸트의 ‘미감적 쾌’ 및 ‘무관심성’ 개념의 비교 근거가 된다. 또한 고유섭의 ‘무작위적 예술미’의 개념적 뿌리를 노장사상에서 찾는 동시에 그 의미를 칸트의 예술미(천재 개념) 규정과 비교 분석하며, 마지막으로 한국 전통 조형미의 기초인 자연미가 추구하는 진선미 사상을 칸트의 ‘도덕성의 상징으로서 미’ 규정들과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를 재조명한다. 이러한 시도는 한국 전통 조형미의 고유한 특성을 서구의 대표적 미학이론 가운데 하나인 칸트의 미 개념과 사유를 통해 미학 일반의 지평에서 규명할 수 논거를 제시하여 향후 한국 전통적 조형미의 특성을 보다 다각적으로 논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Die vorliegende Ariebit zielt darauf ab, die Charaktere der Schonheit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bildenden Kunste durch I. Kants Gedanken uber Schoheit zu rehabiliteiren. Dabei wird versucht, die koreanische traditionelle Schoheit im Rahmen der westlichen Diskussion zu erortern und zugleich die Begriffe der westlichen Asthetik zu reinterpretieren. Die Gegenstande der Analyse sind hauptsachlich die Begriffe ‘Interesselosigkeit’ und ‘Technik ohne Technik’, die Yoo-Seop Ko als die Hauptcharaktere der Schonheit der koreanischen traditionellen bildenden Kunste gilt und die zu dem Charakter der koreanischen Naturschonheit gehoheren. Methologisch wird der Wurzel der koeranischen Naturschonheit aus dem Taoismus herausgefunden einerseits, und andererseits werden die Charaktere dieser Schonheit vergleichend mit I. Kants Gedanken analysiert. Es wrid dabei angenommen, dass es die Verwandtschaft zwischen Taoismus und Kant, besonders im Bezug auf den Gedanke uber den freien asthetischen Zustand und die reine asthetische Lust der Naturschonheit gibt, obwohl beide Gedanken struktuell verschieden sind. Damit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zunachst Kants Bestimmung der Natur- und Kunstschonheit erlautert. Und dann werden die Begriffe ‘die hochste Lust (天樂)’ und ‘das Leere und Ruhe (虛靜)’ im Taoismus, ‘Interesselosigkeit’, ‘Technik ohne Technik’ und ‘die Wahrheit-Gutes-Schonheit’ vergleichend mit Kants Bedtimmungen der Natur- und Kunstschonheit unter dem neuen Licht betrachtet.

      • KCI등재

        한국적 미의식의 다양성과 유형별 분류에 대한 연구

        이주영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지금까지 한국미에 대한 연구는 각 예술장르에서 뿐만 아니라 정신사적인 조명, 문헌학적 탐구, 종교 문화의 영향 등 여러 면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미의식이 도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했던 미의식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그럼으로써 한국적 미의식의 고유성을 보다 큰 시각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첫째, 정신사적 측면에서 한국적 미의식의 토대를 고찰해 보았다. 대립된 것의 통합을 지향하는 한국인들의 미적 지향성은, 모순되는 특성이 결합되어 있는 미의식으로 종종 표출된다. 가장 원숙한 기교와 소박하고 치졸한 상태가 상통하는 고졸미, 한의 내부에서 움직이며 한의 표피를 뚫고 나오는 신명 등은 대립된 것이 통일되어 더 높은 미적 차원을 이루는 좋은 예이다. 둘째, 미적 이념에 따른 유형으로써, 자연주의, 인간의 심성미, 민중의 삶에 뿌리 내린 예술의 중요성을 고찰했다. "자연주의"는 예술 속에 인간적인 것을 넘어서서 더 큰 것을 끌어들이려는 미적 이념으로 해석된다. 한국적 미의식에는 대상적 측면에서 보이는 감각적인 형식미보다는 대상을 파악하는 주체의 정신적인 미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국인들은 인간미의 이상에서 무엇보다도 내면적인 심성의 미를 중요시했으며 특히 민중의 삶에 뿌리내리고 있는 소박하고 솔직한 인간미에 높은 가치를 두었다. 셋째, 한국적 미의식을 표현하는 고유한 범주로는 "멋", "일탈", "신명", "풍류", "해학", "한", "흥", "무심", "고졸" 등의 개념들이 있다. 한국 예술은 삶의 희로애락을 승화시켜 표현하면서 다양한 미의식의 유형을 나타냈다. 밝고 즐거운 정서는 "흥"과 "신명"으로, 슬픈 정서는 "한"으로 표현했다. 한국적 미의식에는 즐거움이나 희열, 슬픔과 한, 노여움 등, 이 모든 것을 세상사의 일부이자 자연과 우주의 이치로서 포용하고자 하는 관조적 정신이 깃들어 있다. 밝은 정서를 바탕으로 한 삶에 대한 관조적 태도는 희극미에 속한 "해학"에서 나타난다. 삶의 현상 속에서 본질을 예리하게 간파하면서도 웃음을 통해 타자적인 것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잃지 않는 해학에서 공동체의 정신을 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모든 정서를 발로시키며 또 더 높은 차원으로 아울러서 승화시키는 미의식으로써 풍류가 제시된다. 풍류심이 한과 해학을 포괄한다는 견해 역시 비극미와 희극미라는 대립되는 미의식을 더 큰 우주적 미의식으로 통일시키고자 하는 관점으로 파악된다. 모든 극한되는 정서가 상호이행하며 승화될 때에는 얽매여 있던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감정의 순화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풍류는 "탈속"이나 "무심"의 상태까지도 포괄한다. 한국인들은 주어진 삶의 조건을 받아들이면서도 슬픔이나 한을 삭여서 즐거움으로 전환시키려는 강한 생명력을 예술을 통해 표현해왔다. 서로 대립되는 미의식의 상호교호 속에서, 희로애락을 삶이라는 총체성 속에서 해소·승화시키고 대립된 것을 공동체 속에서 통합시키려는 정신은 한국적 미의식의 고유성을 이룬다. Recent Studies on Korean beauty were carried not only in every genres of art, but also in many spiritual aspects of problem like philological inquires, and influence of religious culture, resulting in various aesthetic consciousness. This paper aims at collecting these research findings, categorizing the aesthetic consciousness commonly emphasized by researchers, and finally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Thereby we tried to grasp the uniqueness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a broad viewpoint. Firstly, we try to look into the basis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the point of spiritual view. The aesthetic directionality toward the intergration between oppositions in Korean people is often expressed as an aesthetic consciousness being combined with contradictory attributes. Taking examples for it, they could be expressed a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which the most masterful skill and rustic and artless state coexist, and deep sorrow and cheerful enthusiastic mind alternate with, enhancing aesthetic level higher than ever. Secondly, we looked into the important meanings of art rooted in the people's everyday life, what we call types of aesthetic ideas, Naturalism, beauty of human mind. "Naturalism" is interpreted as an aesthetic idea to drag much greater thing into the art beyond the humane. The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is strongly tend to take into more considerations the spiritual beauty of subject than the sensuous formal beauty of object. Particularly the Korean people place high values in simple and honest human beauty rooted deeply in the peoples life. Thirdly, there are specific categories that represent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are "Meot"(taste), "deviation", "Shinmung", "Poong Ryoo", "Humor", "Han", "Heung", "absence of the wordly desires", "archaic artlessness". These categories show that cheerful and pleasant emotions are expressed as "Heung"(excitement) and Shinmyung, sad emotion is expressed "Han"(sorrow) in Korean art.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exposes a certain contemplative spirit embracing all emotions as a part of ways of the world and reason of nature and universe. The contemplative attitude to life based on cheerful emotion is revealed in Humor. Humor is marked by seeing through essence of life, not losing sympathy and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nd is sublimated in the community spirit. Further more Humor tend to raise an aesthetic consciousness called Poong Ryoo that sublimates all the emotions into the higher dimension. Poong Ryoo is supposedly included in "Han" and "Humor" in connection th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s universal unifying contrasting emotions, like the tragic and the comic. Katharsis arises emotionally out of repressed feelings, when the conflicting emotions are interchanged and sublimated. Therefore Poong Ryoo is to include even unworldlineness, absence of the wordly desires. Accepting conditions of their life, Koreans had strongly expressed driving force in life that is capable of turning "Han"(sorrow) into Shinmyung (excitement) in art. This force represents Korean people's aspiration which integrates the conflicts in the community, interchanging contrasting emotions each other and sublimating all sort of human emotions in tot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太極陰陽論과 韓國傳統藝術의 美意識

        조민환 한국미학예술학회 2003 美學·藝術學硏究 Vol.17 No.-

        東洋的藝術作品通常都講究恒常之道。一般來說,東洋繪畵作品或是藝術作品都富含着藝術家超越豊富的思想,因此也稱之爲寫心畵。一介藝術家的思想根源來自于對天地自然的理解,而太極陰陽論是其核心理論。韓國從흔早以前就已將陰陽思想運用于傳統的藝術作品之中。我認爲太極陰陽的思想是體現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回顧過去的傳統藝術作品,大多是體現隨意,朴素等直接蘊含大自然氣息的作品。這正是太極陰陽論的立足点也是一種從天地萬物繁衍生長中獲得的對生命意識的感動。在此有三介具體實例。首先是繪?,例如鄭敾的「金剛全圖」。這一作品充分體現了太極的陰陽內涵,幷且含有「周易」中由剝卦到復卦的變化過程中天地自然的繁衍定理。這一作品綜合南北方的繪?手法,蘊含着李珥二氣之妙的繪畵意境。 第二是書法,例如李서的的「筆訣」。李서的書法藝術結合了陰陽論和河圖洛書論。령外李서以隨時處變爲基礎,以不同形式體現時代的變化,創造出富有自己獨特介性的書法體系--東國眞體。最后看一下韓國語字體的創作原理。韓國語字體的原理爲太極,陰陽及五行。發音中含有天地人三才思想。韓國語也正因爲含有太極,陰陽,五行以及天地人三才思想才會散發出與衆不同的氣息。綜上所述,太極陰陽論可謂是韓國傳統藝術美的根源。

      • KCI등재

        전체를 통한 예술의 성찰 -조요한의 한국미 탐구를 중심으로-

        목수현 ( Soo Hyun Mok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 美學·藝術學硏究 Vol.35 No.-

        이 글은 이경 조요한(1926-2002)의 10주기를 맞이하여 그를 추모하면서 그의 예술철학에서 한국미술에 대한 관심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조요한은 철학자로서 그리스철학에 천착하여 서양 고대 철학자들의 예술관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했지만, 그가 현재 마주 하고 있는 한국미술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예술을 대할 때 이론으로서보다는 작품을 중심으로 한 예술론을 추구하였다. 그가 작품을 중심으로 예술을 생각한 것은 화가 김환기나 미술사학자 최순우 등과의 교유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 그는 미술사학자고유섭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았으며 무용가 최승희의 춤, 안견과 정선의 그림, 성삼문과 박팽년의 시조, 정철의 가사 등 다양한 방면에서 한국예술에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조요한은 한국적 조형미의 역사성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이 한국미에 대해 이야기한 ‘무기교의 기교’ 개념에서 ‘비균제성’과 ‘자연순응성’ 개념을 추출해 내었으며, 한국문화의 뿌리가 무교(巫敎)에 있다고 보고 ‘신바람’ 개념을 이끌어내었다. 따라서 그의 이러한 연구는 한국미술사와 미학을 연계하는 미술사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하는 데로 나아갔다. 그는 한국미술사에서 양식적 흐름에서 시대를 관통하는 정신을 찾아내고자 하였으며, 한국의 미술을 자체의 흐름만으로 보고 독자성을 주장하기보다는 일본, 중국 등 주변국은 물론 동양과 서양의 비교를 통해 객관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thesis attempted to examine Yohan Joh`s interest in Korean arts in his philosophy of art, commemorating the memory of Yohan Joh(1926-2002) in the 10th anniversary of his death. Although he, as a philosopher, began with observing Western ancient philosophers` concept of art by searching the philosophy of Greeks, he had a keen interest in Korean arts that he faced. Yohan Joh sought the essay on art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rather than theories while facing art. His association with Whanki Kim, a painter, Soonwoo Choi, an art historian or etc.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im think of art by focusing on the works of art. In addition, he was influenced from Yuseop Goh, an art historian and interested in Korean fine arts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dance performed by Sunghee Choi, a dancer, paintings by Angyoun and Jungsun, the shijo by Sammoon Seong and Paengnyun Park, the words by Jungcheol and etc. Yohan Joh made efforts to arrange the historicity of Korean aesthetic value. He abstracted the concepts of ‘asymmetry’ and ‘natural adaptation’ from the concept of ‘skills of non-skills’ in which Yuseop Goh mention Korean beauty and drew the concept of ‘excitement’ by considering that Korean culture had originated from Shamanism. Therefore, his such research was centered in establishing the methodology of art history that linked Korean art history and aesthetics. He attempted to the spirit penetrating a time in the flow of styles in Korean art history and insisted for the objectification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urrounding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etc. as well a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rather than maintaining the identity by observing the flow of Korean art itself.

      • KCI등재

        "미를 바라봄": 플라톤과 플로티누스를 중심으로

        이순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이 논문의 의도는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서 "미를 바라봄"의 의미를 모색하는 가운데, 감각적인 미에 대한 시각적 경험에서 예지적인 절대미에 대한 관조로 나아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감성계의 아름다움에 눈을 돌리는 "보는 힘"이 바로 진정한 아름다움, 즉 진리의 원천을 인식하는 출발점임을 강조하는 데 있다.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미는 사물이 미의 형상에 참여함으로써 아름답게 되는 사물의 한 속성이다. 그래서 영혼은 아름다운 사물을 바라보면서 영혼이 이전에 보았던 미의 형상을 상기함으로써 미를 시각적으로 경험한다. 감성적인 미의 원인은 예지적 원리이다. 모든 감성적인 미는 일자로부터 유출된 형상에의 참여에 근거하므로, 오직 조화, 균제, 비례와 같은 단일성의 현상 형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적 특질을 지닌 감성적 미는 아름다움의 원인인 비가시적인 근원을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따라서 감성적 미의 원인이 본질적 의미에서 아름답다. 우리의 영혼이 감성적 미로부터 그것의 원인인 예지적 원리를 보는 것은, 스스로가 단일한 존재인 형상 혹은 지성이 되는, 자기 자신으로의 상기적인 회귀 즉 영혼의 정화를 통해서이다. 이때 모든 덕들은 영혼을 자신의 고유한 원리로 인도해 가는 일종의 정화로서, 영혼을 단일하고 아름답게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영혼은 덕의 미에 의한 정화를 통해서 감성적 미를 벗어나 예지적 미를 볼 수 있다. 스스로 지성이 된 덕스러운 영혼은 더 나아가 모든 미의 원천인 절대적인 미 즉 일자를 추구한다. 영혼은 정신적 수양을 통해 육안을 닫고 심안을 떠야 마침내 단일한 절대적 미를 관조할 수 있다. 심안을 통해 영혼은 자기 자신을 확인할 뿐 아니라 내적으로 아름답게 된다. 일자는 절대적 미이며 모든 미의 초월적인 원인으로서, 모든 존재자들에게 단일성을 부여하며 그와 동시에 모든 것을 아름답게 만든다. 이때 미는 자신의 원인인 일자의 비가시적 초월성을 매우 투명하게 비쳐 보인다. 즉 미는 일자의 가시화이다. 따라서 영혼은 미를 봄으로써 미의 현상적 특징인 단일성을 단서로 하여 감성적 세계에서 예지적 세계로, 더 나아가 자신의 원천인 일자에 도달하는 정신적 상승을 성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예술도 가시적인 상을 통해 예지적 원리를 비쳐 보임으로써, 우리 영혼에게 미의 원천을 상기시켜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플라톤과 플로티누스에게 있어서 "미를 바라봄"은, 우리 영혼이 감각적 세계로부터 예지적 세계로 나아가 진리에 이르는 애지의 출발점이자 "디딤돌"이며, 따라서 영혼은 감각적 미를 바라보는 경험을 동인으로 하여 감각계와 예지계의 매개를 성취할 수 있다.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mphasize that the sight's ability to turn one's eyes to the sensible beauty is the starting point to apprehend the true beauty, the source of truth by examining the process of proceeding from the visual experience of sensible beauty to the contemplation of the intelligible and absolute beauty, in exploring the meaning of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For Plato and Plotinus, beauty is a property of things which are made beautiful by participating in Form of beauty. So the soul perceives visually beauty by recalling the Form of beauty which the soul have seen before, in looking at a beautiful thing.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the intelligible principle. Every sensible beauty is based on the participation in the Form which is emanated from the One and therefore it appear only in the phenomenal form such as symmetry, proportion and harmony. The sensible beauty of this phenomenal quali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origin, or the cause of beauty. Therefore the cause of the sensible beauty is intrinsically beautiful. Our soul attains from the sensible beauty to its intelligible principle, or its cause through purification that is its anamnestic return to its original self by which soul itself becomes the Form or intellect(vovs) as single being. Here all virtues make soul single and beautiful as a purification of soul bringing it back to itself and its origin in intellect and the Forms. So soul is able to leave the sensible beauty and see the intelligible beauty through purification by the beauty of virtue. Further the virtuous soul which itself has become intellect seeks the absolute beauty, or the spring of all beauties, the One(τo εν). When soul shuts its eyes and wakes the inner sight through a spiritual discipline, just then it can contemplate the single and absolute beauty. By the inner sight soul goes back into itself and further makes itself beautiful internally. The One is the absolute beauty and the transcendent cause of all beauties, and so it gives unity to all beings and makes all things beautiful at the same time. Here beauty is transparent about the invisible transcendence of the One, its own cause. In other words, beauty is the visibility of the One. Therefore soul can ascend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further to the One, or its own source by seeing beauty and making the unity that is a phenomenal character of beauty its motive. In this way, soul achieves the spiritual ascension. In this sense, art is also able to play a role in helping soul go up to the intelligible world. For works of art are transparent about the intelligible principle through their visible image, they are fully capable not only of recalling the source of beauty but of providing direct access to intellect and the One. Thus, "the seeing beauty" on Platon and Plotinus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stepping stone for "philosophia" which goes from the sensible to the intelligible and then toward the truth. So, soul realizes the link between the sensible and intelligible, by being provoked from the experience to look at the sensible beauty.

      • KCI등재

        한국 근현대미술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 자연모티브를 중심으로

        이주영 ( Joo-young Lee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연구는 한국 근현대미술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한국미의 고유성을 이루는 시각기호의 상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첫째, 기호학적 미학의 연구 성과를 수렴하고 유형별로 그 특성을 논하면서 미적 가치가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논의되는가를 탐구하였다. 둘째, 그 결과를 한국 근현대미술의 미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시각기호에 적용하였다. 자연은 한국 근현대미술을 관류하는 가장 중요한 미적 가치이다. 자연을 표현한 기호들은 그 자체가 미적인 것이 아니라 근원적 자연을 상징하는 기호의 의미작용 때문에 미적인 것이 된다. 한국 근현대작가들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의 형상을 아름답게 형상화해내는 것 보다는 이러한 자연의 소재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보여준다. 이들은 작품을 통해 자연을 암시하는 시각기호를 통해 자연의 근원적 의미를 묻는 미적 가치를 표현한다.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는 도상성의 정도 차이에 따라 자연을 구체적으로 드러낼 수도 있고, 상징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고 자연과의 어떠한 외적 유사성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기호의 의미가 수용의 맥락에서 자연으로 이해되고 가치를 갖는 것은 기호해석의 규약성과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한다. 한국 근현대미술에서 자연을 암시하는 주된 기호적 특성은 점과 선, 원이다. 점과 선은 한국화가들에게 있어서 표현의 기본 단위로서, 특히 추상회화는 이 두 단위에 주로 기초하고 있다. 점은 무한한 것을 암시하는 최소한의 수단이다. 선을 반복적으로 활용하는 작가들은 이를 통해 삶의 리듬, 반복성, 우주의 무한성 등을 표현하고자 한다. 원은 점에서 출발한 것이고 점이 확장된 것이며 모든 것을 포괄한다. 우연성은 인간의 의도가 전적으로 개입되지 않는 자연적인 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예술적 제스츄어이다. 여백은 자연의 발언이며 표현할 수 없는 것을 담고 있는 정보이다. 작가들은 흙, 모래, 돌, 나무, 한지 등의 자연적 재료를 선호하며, 이를 활용하여 자연의 가장 내재적 속성이 드러나게 만들고자 한다. 작가들은 작품에서 완벽한 것을 만들어낸다는 의도에서 거리를 두고 언제나 자연이 침투하게 만드는데, 이는 인간이 자연의 일부라는 기호적 표현이다. 한국 근현대 작가들은 시각기호를 통해 보이는 자연에서 보이지 않는 자연을 표현하고자 하는데, 이는 자연의 본질로서의 생성과 변화이다. 자연은 궁극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메타포로 나타난다.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 semiotic study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and explores the symbol as a visual sign that forms the uniqueness of Korean beauty. To do this, the researcher first explored, through types of research into semiotics aesthetics, how the aesthetic values are discussed from the semiotic point of view. Those results were then applied to the field of visual signs for an analysis of the aesthetic value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Nature is the most important aesthetic value flowing through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igns, which express nature, are not themselves aesthetic but become so for the signification of signs that symbolize fundamental nature. Korean artists show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nature`s motives more than they form a nature beautifully surrounding us. They express the aesthetic value of nature, asking about its fundamental meaning through visual signs that suggest it. When this meaning of sign is understood and its value viewed in the context of acceptance, it can occur in the context of conventions for sign interpretation and of society. The main semiotic characteristics suggestive of nature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re point, line and circle. Point and line are basic units of expression for Korean painters; their abstract paintings are mainly based on these two units. Point is a minimum means to imply the infinite. Artists make use of the line repeatedly, seeking to express the rhythm and repetition of life and the infinity of the universe. Circles, begun and expanded from the point, embrace everything. Contingency is an artistic gesture to express that human purpose is not entirely involved. Blank space is nature`s speech as well as information, both including what cannot be expressed. Artists prefer natural materials such as clay, sand, stone, wood, and hanji, and use them to reveal the most intrinsic properties of nature. They keep their distance from the intention to create the perfect work and let nature penetrate at any time. This attitude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that humanity is a part of natur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s want to express through visual signs creation and change, the invisible essence of nature. Nature appears as a metaphor for what ultimately cannot be expressed.

      • KCI등재

        칸트 미 규정에 대한 헤겔의 수용과 비판: 취미판단의 네 계기를 중심으로

        권정임 ( Jeong-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칸트와 헤겔의 미 규정의 출발점과 특성, 그 의미들을 살펴보고, 양자의 차이와 공통점을 분석하여 헤겔 사유에서 고찰되는 칸트 사유의 발전과 확장을 논한다. 이는 형식주의와 내용주의 등 상이한 점만 부각되었던 칸트와 헤겔 미학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칸트와 헤겔의 사유와 미 규정은 상이하지만, 당대 철학의 과제였던 바인 주관과 객관, 보편과 특수, 이성과 감성 등 대립적 사태들의 통합 가능성과 그 원리를 찾으려는 시도의 연장선에서 미를 규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헤겔은 칸트 미 규정의 주관성과 추상성을 비판하였지만,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따른 미의 특성(무관심성, 보편성, 무목적적 합목적성, 필연성)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신의 예술미 규정에 수용하여 발전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칸트의 취미판단 및 미규정의 맥락과 규정 근거들을 고찰하고, 미의 인식론적, 도덕적 의미들을 논한다. 이어 칸트 사유에 대한 헤겔의 비판과 그의 미 규정, 그리고 헤겔이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대한 고유한 해석을 통해 칸트 미 규정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킨 점들을 분석하고, 양자에게서 보이는 미 고찰의 의미를 조명한다. 칸트와 헤겔이 보여주는 미 고찰은 양자의 이론철학적 및 실천철학적 함의를 보여준다는 점, 그리고 대상과 주관의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대상과 자기인식, 진리 직관 및 진리 생성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많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tarting poi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 Kant’s and G. W. F. Hegel’s definitions of beauty. Also discussed are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ant’s thought in Hegel's discussion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both philosop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association between Kant’s and Hegel’s aesthetics, which are mostly interpreted from the view of the opposition of formalism and contents centered on thoughts. Although Kant’s and Hegel’s philosophical thought and definitions of beauty are different, there is certainly the same point in how they define beauty in the contexts of an attempt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ifying opposite situations such as object and subject,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reason and sensibility. Furthermore, Hegel criticized the subjectivity and abstractness of Kant’s definition of beauty, while we can see that Hegel activel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according to four moments of Kant’s judgement on taste. He accepted and developed it in his definition of beauty of art. The meaning of the contemplation of beauty that Kant and Hegel showed is important even today in that it implicates the issue of Kant’s and Hegel’s theoretical and practical philosophy and enables the recognitions of objects and oneself, the intuition, and the production of truth in the free state of being of objects and subjects.

      • KCI등재

        이우환의 <관계항>에서 최정화의 <인류세>까지: 비인간 행위자로서의 플라스틱과 한국적 모더니즘의 물성(物性)

        우정아 ( Jung-ah Wo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3 No.-

        본 논문은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사용해 온 미술가 최정화의 작업을 통해 플라스틱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적 모더니즘의 역사적 맥락에서 사물이자 물질로서 플라스틱의 위상을 재고한 시론이다. 본 문에서 주목한 것은 1960년대 후반, 한국 미술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이우환의 미술론과 1970년대 전반까지 활발했던 한국의 실험미술에서 일상적인 사물과 물성에 천착했던 경향이다. 이우환은 근대성과 인간중심주의, 이원론적 가치관에 대한 대안적 태도로서 ‘있는 그대로의 세계’를 마주할 것을 주장했고, 이는 1970년대 초, 한국의 설치 및 오브제 미술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문에서는 이를 최근의 사회과학계에서 주목받는 신유물론과 특히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연결망 이론의 관점에서, ‘물질적 전회’의 형태로 새롭게 보고자 했다. 인간중심적인 서구 근대의 사고방식에 도전한 라투르의 기획과 2000년대에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일어난 ‘물질적 전회’가 1960년대 후반부터 서구 근대주의의 폐단에 대한 대안이자 저항으로서 일원론적 주객일치에 천착해온 한국 현대미술의 큰 흐름과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처럼 행위자-연결망 이론에 근거하여 플라스틱을 재고하면 이는 단순히 인공의 제품이 아니라 본연의 성질에 충실한 물질이자 질료로서 최정화의 작업에 지금까지 대단히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개입해왔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된다. 나아가 한국미술의 물성(物性)의 계보를 단지 한국성의 추구나 정신성의 발현으로 보지 않고, ‘비인간 행위자’로서 물질 혹은 질료의 관점에 주목하여 21세기 신유물론의 기획으로 읽는다면, 1960년대 후반의 실험미술과 한국의 동시대 미술을 새로운 틀에서 바라볼 수 있는 단초가 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plastic based on the works of Choi Jeonghwa, and reconsiders the status of plastic both as object and material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Korean modernism. It specifically focuses on Lee Ufan’s artistic practices and critical discourses, which became highly influential in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al art of Korea in the late 1960s that was inclined to emphasize materiality and sheer objects. Lee argued for encountering the “world as it is,” as an alternative to European modernism’s anthropocentrism and the bipolar value system.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 of materiality of Korean modern art in terms of new materialism and the Actor-network theory (ANT) of Bruno Latour, as a way to avoid the essentialist perspective of Dansaekhwa that emphasized spirituality and “Korean-ness” in its promotion. If we reconsider materiality not only as an artistic medium, but also as a “non-human actor,” as suggested by Latour, it will shed new light on the progress of Korean art from the experimentation of the 1960s to Choi Jeonghwa’s active involvement with plastic as a primary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