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김태균(Tae-Goun Kim),김환성(Hwan-Seo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0년 녹색성장기본법을 재정하고 국가 Green Port 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각 항만별 그린포트 구축계획의 수립 및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오일허브 항만을 지향하는 울산항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울산항의 Green Port 정책방안의 수립에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친환경 항만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 해양선진국의 그린포트구축 사례분석과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울산항 그린포트 구축을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정책대안에 대하여 전문가 AHP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울산항에 도입 가능한 그린포트 구축 정책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울산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그린포트 정책의 시행을 위하여 하드웨어 정책으로 LED 교체와 AMP의 구축, 그리고 소프트웨어 정책으로 항만환경관리부서의 신설이 최우선 정책대안으로 나타났다.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seaports have expanded their Green Port Policy, which can promote the public welfare by reducing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ports. Accordingly, in 2010,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had pushed for all Korean p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ir own green port poli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reen Port Policy Plan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riendly operations and developments of Ulsan port, which plans to be the oil hub port of Northeast Asia. To this end,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sues in Ulsan Port and international-&-domestic case studies on establishment of green port policy. With these studies, Ulsan green policy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experts advice, and then were prioritized by adopting AHP survey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ified that LED lights replacement and AMP establishment as the hardware policy and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as the software policy were equally important policy o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lsan Green Port Policy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정부대응체계 구축 : 녹색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김정해,조성한,윤경준,이혜영,김도균,정래권,나태준 한국행정연구원 2009 기본연구과제 Vol.2009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연구의 배경 ○ 기후변화정책을 통해 경제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들이 많은 OECD국가들을 중심으로 발생함. 대표적인 선도적 국가로는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델란드 등을 꼽을 수 있음. - 최근 기후변화정책에 다소 소극적이었던 미국에서도 오바마 정부의 출범을 계기로 기후변화에 대한 선도적이고 국가적인 전략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이들 국가들은 기후변화와 관련된 입법을 개정하거나 마련하여 보다 적극적인 대응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음. ○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8. 15경축사에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청정에너지, 녹색기술에 대한 총력투자를 강조하며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비전으로 제시하고 이를 국가적 아젠다로 추진하기로 천명하였음. □ 연구의 목적 ○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형성과 집행을 위한 수평적 정책조정메카니즘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한 정부의 녹색거버넌스 구축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하는 정책의 정부내 수평적 정책조정체계 및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수행 - 우리나라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한 여러 가지 대응 현황과 실태를 파악 - 선도적인 국가인 영국, 프랑스, 일본에 대한 벤치마킹 - 기후변화협약에 대한 정부내 협력 및 정책조정체계의 구축과 중앙과 지방정부는 물론이고 민간 및 기업간 협력적 녹색거버넌스 구축 방안 제시 ○ 본 연구는 현황분석과 벤치마킹을 위한 분석틀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였음. ○ 우선, 각 국가의 녹색거버넌스 체계에 대한 사례 비교에 앞서 국가별 기후변화대응정책(I)의 내용과 맥락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기후변화대응정책은 정책의 기본원칙, 주요정책, 종합계획으로 구분하여 살펴 보았음. ○ 다음으로 녹색거버넌스 체계 구축에 대한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정부내 정책조정메카니즘과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력을 분석의 초점으로 삼았음. 이를 구체적으로 구분해 보면 <그림 1>의 중앙정부간 정책조정(II), 중앙-지방간 정책조정(III), 중앙-지방간 협력(IV), 민-관 협력(V)으로 나누어 볼 수 있음. Ⅱ. 주요 연구문제와 분석 결과 □ 한국 기후변화 정책추진체계와 녹색거버넌스의 문제점 ○ 기후변화 정책조정체계의 효과성이 미흡함. - 녹색성장위원회는 종전의 기후변화대책위원회, 국가에너지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통합하여 2009년 초에 대통령 직속으로 설치되어 외관상으로는 강력한 정책조정기구의 형태를 지니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체제 하에서의 정책조정은 그다지 효과적이지 않음. 녹색성장정책의 컨트롤타워인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것, 그리고 녹색성장위원회가 권위 있는 정책조정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임. - 아울러 녹색성장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는 위원들의 전문성 부족 역시 향후 개선되어야 할 것임. ○ 녹색성장위원회의 지속가능성이 취약함. - 당분간은 대통령의 강력한 드라이브와 국무총리의 전문성에 의해 녹색성장위원회가 어느 정도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조만간 이전 정부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마찬가지로 쇠락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 녹색성장과 관련된 법과 계획의 중복 및 상충성 문제로인한 일관된 계획추진의 어려움. - 현재 녹색성장기본법에는 녹색성장5개년계획 수립에 대한 논의조차 없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함. - 또한 계획들 중 수립주체가 불분명해진 계획들에 대해서는 수립주체를 명확하게 지정할 필요가 있음. ○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기후변화 정책연계성 취약. -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정책의 추진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중요하고, 중앙과 지방의 연계성 확보가 중요함. - 그러한 연계업무를 담당하는 주요 경로가 필요하다면 현재와 같이 개별 사업에 따라 이루어지는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정책연계만으로는 부족할 수있음. - 중앙정부-지방정부 간 협력체계 구축은 행정안전부의 역할이 강화되는 동시에 환경문제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환경부와의 연계를 통해 이 문제에 접근하는 시각이 필요할 수 있음. ○ 기후변화 정책에 대한 대국민(시민사회) 캠페인 또는 홍보의 효과성 부족. - 기후변화정책의 성공은 개인 및 시민사회의 적극적 동참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여러 정부부처들이 각종 캠페인이나 홍보활동을 추진하여 왔음. - 우리나라의 캠페인 및 홍보 전략은 해외 선진국에 비해 동기유발 측면, 효율성 측면, 능동적 실천 유도 측면 모두에서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음. □ 선진국의 기후변화 정책추진체계와 녹색거버넌스의 분석 ○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영국, 프랑스, 일본의 기후변화 정책, 정책기구 및 조정체계,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한 벤치마킹을 수행하고 이를 비교하여 보았음. 그 결과를 요약하면 <표 1>과 같음. Ⅲ. 정책대안 □ 중앙정부 수준의 녹색거버넌스 개편방안 ○ 본 연구에서는 환경 분야의 대표적인 선진국이면서도 서로 다른 정책조정체 계를 구축하고 있는 영국, 프랑스, 일본의 사례를 분석함. 분석 결과 중앙부처간 정책조정과 관련하여, 두드러진 특징은, 세 국가 모두에서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환경 부처와 산업 부처의 정책조정 문제가 핵심적 사안으로 다루어져 왔고, 이에 따라 최근 새로운 형태의 정책조정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임. 이상의 세 국가들과 우리나라의 정책조정체계가 지니는 특징을 제시하면 <그림 2>와 같음. ○ 위와 같이 다양한 정책조정체계에 입각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중앙정부 간 기후변화정책의 조정체계를 개선한다면 <표 2>와 같은 대안들이 도출될 수 있음. ○ 대안1:기존 부처의 관련 기능 통합에 의한 전담부처 신설 - 중앙정부 수준에서의 정책조정능력 강화를 위해 기후변화정책과 에너지정책을 전담하는 새로운 부처를 신설하는 대안. 이는 영국의 기후변화ㆍ에너지부를 모델로 하는 부처신설 방안이라 할 수 있음. - 우리의 경우 영국과 유사한 방식으로 부처를 신설한다면 <그림 3>과 같이 두 가지 형태를 생각해 볼 수 있음. 첫 번째 안(1-1안)은 환경부의 기후변화관련 기능, 지식경제부의 에너지 관련 기능을 묶어 `(가칭)기후변화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임. 두 번째 안(1-2안)은 환경부와 지식경제부의 관련 기능뿐만 아니라 차재에 교육과학기술부의 원자력정책 기능까지 묶어 `(가칭) 기후변화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임.1) - 이와 같은 개편이 현재 체제에 비해 갖는 장점은 첫째, 하나의 부처에서 기후변화정책과 에너지정책이 수행됨으로써 대부분의 국가에서 제기되고 있는 환경 부처와 산업 부처 간 정책갈등은 크게 감소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자체의 예산, 인력, 조직을 갖춘 중앙부처에서 정책이 수행됨으로써 정책의 전문성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일관성 있고 강력한 정책 추진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들 수 있음. 반면 단점은 첫째, 현재 관련 기능(기후변화, 에너지, 원자력)을 수행하고 있는 기존 부처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에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 없이는 개편작업이 표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 둘째, 부처신설이라는 대안이 현 정부의 `작은 정부, 대부처주의` 기조에 역행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지적될 수 있음. ○ 대안2:기존 유관 부처의 통합에 의한 부처 신설 - 기후변화정책의 효과적 조정을 위해 유관 부처들의 전면 통합 방안도 검토해 볼 수 있음. 프랑스의 경우 2007년 기존의 부처들을 통합하여, 생태·에너지·지속가능발전·도시계획부(MEEDDAT)를 신설하였음. - 우리나라의 경우 만일 프랑스와 같은 부처 통합을 시도한다면, 그 통합 대상은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이라 할 수 있을 것임.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후변화정책의 핵심 부처인 환경부와 지식경제부를 통합하거나(2-1안),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등 세 부처를 통합하는 안(2-2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장점으로는 부처 간 정책갈등은 상당 부분 제거될 수 있을 것이며 부총리급 장관의 임명에 따라 여타 부처와의 정책조정도 수월해 질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음. - 반면, 실현 가능성이 적고 기후변화정책과 관련이 적고 그 성격도 판이한 많은 기능들이 한 부처에 혼재됨으로써, 이른바 `분업`에 의한 `전문성 향상`이 훼손될 수 있음. 또한 물리적 통합으로 인한 부처 간 정책갈등이 부처내부의 정책갈등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충분히 예측됨. 본질적인 측면에서 현재 우리나라 중앙 부처들의 위상을 고려할 때, 이와 같이 통합이 이루어질 경우 `친환경적` 정책 추진은 크게 훼손될 가능성도 존재함. ○ 대안3:부처 신설 없이 관련 기능의 이관에 의한 통합 - 물리적 통합에 따르는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정책을 하나의 부처에서 전담하게 하는 방안으로는 부처 신설 없이 기능만 이관함으로써 관련 기능을 통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음. - 환경부나 지식경제부가 핵심부처라는 점에 입각하여 <그림 5>와 같이 환경부의 기후변화정책 기능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원자력정책 기능을 지식경제부에 이관하는 안(3-1안)과 지식경제부의 에너지정책 기능과 교육인적자원부의 원자력정책 기능을 환경부에 이관하는 안(3-2)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이러한 통합 부서는 일반 실국보다는 그 위상이 높은 `본부` 급으로 설치하고 차관급을 본부장으로 임명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예를 들면 외교통상부의 통상교섭본부와 같은 형태를 의미함. - 이러한 방안은 부처 신설 등과 같은 구조적 개편 없이도 부처 신설과 유사한 수준의 정책조정능력 강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반면, 이러한 방안이 지니는 단점은 다음과 같음. 첫째, 기능을 이관하게 되는 부처의 반발이 예상됨으로써 정치적으로는 현실화되기가 쉽지 않다는 것임. 둘째, 기후변화 또는 녹색성장 정책 추진에 있어 가치의 쏠림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음. 환경부에 기후변화본부가 구성될 경우에는 `환경`이라는 가치가, 지식경제부에 기후변화본부가 구성될 경우에는 `성장`이라는 가치가 각각 정책추진 상의 지배가치로 부상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사회적 합의가 전제되어야 할 것임. ○ 대안4:녹색성장위원회의 정책조정능력 강화 - 구조적 개편 없이 조정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현재 대통령 소속으로 설치되어 있는 녹색성장위원회의 정책조정능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음. 이와 관련한 방안은 크게 나누면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현재보다 효과적인 조정기구를 두고 합당한 조정권한을 부여하는 안(4-1안)과 녹색성장위원회가 좀 더 강력한 조정능력을 지닐 수 있도록 위원회의 조직적 위상을 강화시키는 안(4-2안)이 있음. - 대안 4-1:녹색성장위원회 내에 강력한 정책조정기구 설치 - 녹색성장위원회 내부에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하는 정책조정기구를 설치하고 합당한 권능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문제는 이러한 정책조정기구의 구성주체를 누구로 할 것 인가임. 비록 녹색성장정책이 범부 처적 성격을 띠고 있기는 하지만, 정책조정기구는 이른바 `선택과 집중` 논리를 적용하여 핵심 부처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 환경부,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이상 세 부처들로 구성된 정책조정협의회를 두고 공식적인 정책조정 권능을 부여하는 방안(4-4-1안)을 일단 생각해 볼 수 있음. 공식적인 정책조정 권능 부여와 관련하여 고려될 점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녹색성장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관한 규정`에 이들 세 부처로 구성되는 `(가칭)정책조정협의회`를 규정하고, 협의회에 의한 정책조정을 명시해야 할 것임. 둘째, 녹색성장 추진에 있어 핵심계획들을 재규정하고2) 세 부처들이 이러한 핵심계획의 수립주체임을 명시해야 할 것임. 현재 `녹색성장기본법(안)` 제15조에는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 에너지기본계획, 지속가능발전기본계획 등 세 가지가 핵심계획으로 규정되어 있음. 이 중 그 의미가 퇴색되었고 수립주체도 명확하지 않은 지속가능발전계획은 그 수립을 중단하고, 대신 현재는 연관계획으로 되어 있는 국토종합계획을 핵심계획으로 규정한 후에, 기후변화대응기본계획은 환경부가, 에너지기본계획은 지식경제부가, 국토종합계획은 국토해양부가 각각 주무부처임을 명시할 필요가 있음. - 이와 같은 방안은 선택과 집중의 논리에 따라 부처의 설치목적이나 현재 추진 중인 사업과 예산 측면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처 중심으로 조정기구를 설치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일단 비용-효율적인 대안이라 할 수 있음. - 하지만 좀 더 깊이 들여다보면 이러한 세 부처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주요정책 또는 관리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음. 온실가스 감축목표관리, 온실가스 종합정보체계 구축, 기관평가를 통한 공공기관의 녹색성장 노력 유도, 녹색성장에 필요한 예산의 획득 및 배분, 진정한 녹색성장사업을 구분하기 위한 녹색인증제도 실시,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녹색금융제도, 지방자치단체의 녹색성장 노력 유도 및 지방추진체계 구축, 국제사회의 기후변화레짐 협상 수행 등의 업무들은 이러한 세 부처에 의해 독자적으로 수행되기 어려운 영역들이라 할 수 있음. - 이러한 기능들은 대략 모니터링, 재정계획, 지방거버넌스, 국제 기후변화레짐 등의 네 가지로 분류될 수 있을 것임.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들을 국무총리실(monitoring), 기획재정부(finance), 행정안전부(local government), 외교통상부(global regime)에 부여하고, 이들 네 부처와 앞서 제시한 핵심부처를 포함하여 모두 7개의 부처가 조정협의회를 구성하는 방안(4-1-2)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임. - 이처럼 7개(3+4)로 정책조정협의회를 구성할 경우, 3개 핵심 부처에 의해 커버될 수 없는 주요 정책영역이 함께 논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개 부처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수단을 겸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반면 당초 의도했던 선택과 집중 논리는 다소 희석될 수 있음. 이상과 같은 두 가지 대안은 <그림 7>과 같이 표현될 수 있음. - 대안 4-2:녹색성장위원회를 장관급 행정위원회로 전환 - 현재 녹색성장위원회와 같은 대통령 소속의 자문위원회정부 출범 초기에는 기존 중앙행정부처를 능가하는 권위를 갖지만 대부분 정권 말기로 갈수록 점차 형식화되는 모습을 보여 왔음. 따라서 녹색성장위원회 역시 그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임. - 따라서 만일 녹색성장정책이 국가의 한 단계 도약을 위해 지속되어야 하는 정책이라면, 현재 자문위원회로 되어 있는 녹색성장위원회를 행정위원회로 개편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음. 현재 국무총리 산하에 합의제행정기관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공정거래위원회,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하고 대통령령인 직제에 의해 그 조직을 구성하는 것임. - 이와 같은 방안이 지니는 최대의 장점은 정권의 변동과 관계없이 정책의 연속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임. 아울러 이처럼 행정위원회로 환 되고 자체의 조직, 인력, 예산을 가지게 될 경우, 녹색성장위원회는 현재보다 훨씬 높은 전문성을 지닌 단위조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임. 반면, 이러한 방식을 통해 녹색성장정책이 효과적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임. 기존의 공정거래위원회, 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의 공통적 특징은 이러한 위원회들이 공히 규제기구라는 점임. 그렇다면 녹색성장위원회가 녹색성장정책의 조정을 위해 규제`라는 수단만으로 충분할 것인가에 대한 사전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뜻임. ○ 대안들의 평가 - 실현가능성 측면에서 다른 대안들에 비해 특히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것은 안4-1-2, 4-1-1라 할 수 있는 반면 대안2, 대안3은 실현가능성 면에서 매우 약할 것으로 평가됨. - 정책조정능력 향상 효과는 대안3과 대안1이 높을 것으로 판단됨. 특히 대안3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부처로 기능의 수직적 통합(일원화)이 이루어지는 형태라는 점에서 대안2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보임. 실현가능성과 정책조정능력 향상 측면에서 각 대안의 점유하고 있는 개념적 지형은 <그림 9>와 같이 표현될 수 있음. □ 지방정부 수준의 녹색거버넌스 개편방안 ○ 중앙-지방 연계를 위한 선도부처의 역할 강화 - 지방정부 수준의 정책조정체계 개선방안으로 중앙-지방 연계를 위한 선도부처의 역할 강화를 제안하였음. 녹색성장위원회 산하에 선도부처를 두고 이들 부처를 통해 부처간 협력이나 지방과의 공식적 연계를 추진하도록 전달체계를 보다 명확하게 하는 작업이 필요함. - 선도부처를 정한다면 행정안전부가 주도적으로 녹색성장책임관 임명 등 지방과의 연계작업을 녹색성장의 협조요청 없이도 당연히 주어진 업무가 될 수 있으며 훨씬 효율적인 전달체계가 만들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임. 선도부처로 3개 부처가 중심이 되면 기후변화와 녹색성장과 관련된 정책집행의 컨텐츠는 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가 책임지고 중앙-지방간 연계에 대한 채널은 행정안전부가 담당하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정책조정과 연계가 용이해 지고 공식화될 수 있음. ○ 기후변화 및 녹색성장 정책의 모니터링을 위한 지방평가제도 - 지방정부에서 중앙정부와 일관된 정책수행을 이끌기 위한 제도적 수단 중가장 비용-효과적인 것 중 하나는 평가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방정부에 대한 평가제도로는 합동평가가 있는데 이는 행정안전부 및 관계앙행정기관이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추진 노력과 추진성과를 종합적으로 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도록 되어 있음. - 녹색성장의 경우 분명한 정책영역이 존재하고 여기에 다양한 중앙부처가 관련되는 정책이라는 점에서 자치단체의 전반적 수준과 삶의 질을 측정하는 존의 합동평가 방식이나 지표 속에 포함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보임. 즉 기존의 합동평가 지표 중 하나로 녹색성장지표를 포함시키는 방식보다는 녹색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새로운 형태의 합동평가(가칭 녹색경쟁력평가, 녹색성과평가 등)가 도입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평가위원회는 행정안전부를 간사로 하여 선도 부처들(환경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음. - 다음으로 평가지표의 문제임. 이와 관련하여 최근 제시된 바 있는 여러 지표들을 활용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삼성경제연구소가 국가들을 평가하기 위해 제시한 녹색경쟁력지수, WEF의 지속가능성지수(ESD), 독일 Greenwatch의 기후변화성과지수(CCPI) 등에 포함된 지표들을 지방자치단체에 맞게 선별하여 활용하는 것임. 또 다른 예로는 영국의 국가지표(National Indicator) 중 관련지표를 활용할 수도 있을 것임. ○ 지방정부를 위한 지침서와 안내서 작성 - 현재 지방자치단체를 위한 [지차체 기후변화 대응 업무안내서](환경부, 2008)가 환경부에서 발간됨. 그러나 이 안내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적인 동향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관련 지식 및 용어에 대한 정리에 그치고 있어 실질적인 정책수행을 위한 지침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못함. - 중앙정부는 정부종합대책을 수립하거나 예산 지원 및 지역 온실가스 배출통계를 제공하는 등의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중요한 것은 정책이 잘 전달될 수 있는 지침서와 안내서를 개발하여 배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 사안별ㆍ지역특성별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 - 기후변화협정을 위한 거버넌스는 산업별로 구분되며 산업 밑에는 분야별로 세분화되고 각 분야별 협회 등에 개별 사업자나 기업들이 협정에 가입하는 형태로 조직화하여 치밀하게 연계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이러한 그물망과 같은 네트워크가 형성될 때 실질적인 참여와 협력이 가능할 수 있으며 사안별 이슈별 대응이 가능할 수 있음. 이러한 대안을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음. ○ 지역특성을 살린 실질적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 기업들뿐 아니라 일반시민들과의 협력적 거버넌스에 있어서도 대도시, 소도시, 공업도시, 상업도시, 농어촌 등을 구분하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주택형태, 지역에너지공급,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 기타 에너지소비생활패턴이 지역의 특성마다 다르기 때문임. ○ 협력적 거버넌스 구성의 내실화 -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위원회나 단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현재와 같이 기업의 CEO나 연구소의 소장, 시민단체장들과 같은 명망가 위주로 위원들을 구성하는 것은 실익이 없음. 영국이나 프랑스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분야의 실질적 전문가와 이해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여야 할 것임. ○ 지역 간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필요 - 현재 16개 시도를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지방녹색성장협의회는 기존의 지방자치단체장협의회(시도지사협의회, 시군구청장 협의회 등)의 성격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따라서 이를 통해 지역 간 협력적·실천적 노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중앙정부의 정책을 전달하는 형식적 자리가 될 가능성도 높음. - 이와 같은 형식적 협력체보다는 단위 지역 내에서의 소규모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것임. 이러한 협력체제가 더 현실적으로 유용함.3) 특히 도시지역과 인근 농어촌지역 간에는 MOU체결 등을 통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같이 협력적으로 할 수 있음. 탄소포인트제도, 탄소캐쉬백 등 최근 탄소감축량에 대한 개인에 대한 인센티브제도가 대표적인 수단으로 적용되고 있음. 거주지가 달라지면 이전 거주지에서의 포인트를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행정안전부 인터뷰). ○ 기후변화정책에 대한 전국적 홍보 및 캠페인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확립 및 홍보강화 - 분산된 각 부처의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를 통합하여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하여 단일화된 네트워크 통합안, MOU체결안, 환경부와 지식경제부가 네트워크의 역할을 분담하는 안을 제시하였음. ○ 초정부적이고 거국적인 환경담론의 형성하는 (가칭) `4천만의 환경라운드` 형성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각국의 사례를 볼 때도 각 나라들이 지속적인 협력과 대화를 통해 초정부적인 거버넌스 (governance)를 지향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음. - 우리의 경우도 향후 거국적인 환경라운드의 형성을 제안해 볼 수 있다. 지속가능한 환경 발전에 국가, 사회, 지역, 노조, 전문가 및 환경보호연합 등 일상적으로 관계된 모든 행위자들을 연합하는 것임 ○ 환경 인센티브의 활성화 필요 - 각국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현황을 통해 볼 때, 우리의 경우 환경 주체들의 행위를 변경시킬만한 유인이 다양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에코 마일리지 등 환경관련 인센티브 수단들이 이제 막 도입되고 적용되고 있으나 그 범위와 방법은 제한적임. - 따라서 우리의 경우도 좀 더 다양한 환경 인센티브제도를 발굴하고 도입 및 활용할 수 있을 것임. 이를 통해 거버넌스 주체의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임. - 그 중에서도 `환경대출제도`의 도입을 제안하고자 함. 환경대출제도는 고효율에너지형 건물 건축에 있어서 제로금리 또는 저금리로 일정부분 대출을 허용하는 것으로 주거, 건축 및 생활 부문에서의 거버넌스 주체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할 수 있음. The release of greenhouse gases from human activities has contributed to global warming. As a result, global temperatures will increase 2 ℃ higher than pre- industrial times by 2050, and 4- 6 ℃ higher by 2100. Because climate results in wide economic and environmental uncertainties and risk, many countries try to tackle it with cooperative approaches and policy instruments. The British government put in place the world`s first ever legally binding target to cut emissions 80% by 2050 and a set of five year "carbon budgets" running to 2022 in order to keep the UK on track. Japan proposed to share globally the long- term goal of halving total global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50 from their current level of emissions to achieve a lowcarbon society. Many OECD countries such as France, Germany, and the Netherlands also have tri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At the 6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15, 2008, President Lee Myung- bak proclaimed "Low Carbon, Green Growth" as Korea`s new national vision. For achieving this vision, the Presidential Commission on Green Growth was established in February 2009 and a National Strategy for Green Growth was adopted along with the Five- Year Plan for Green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for an inter- governmental coordination system and to build cooperative green governance for effectively implementing the national vision of green growth. Climate change policy cannot succeed without cooperative governance that horizontally coordinates policies of various public institute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nclude in- depth focus group interviews, a literature review, and benchmarking. The key ele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oblems of the climate change policy coordination system in Korea ○Insufficient measures to coordinate climate change policies -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is working as a control tower on the climate change issue. However, the committee does not possess effective measures to coordinate multi- level governance on this policy issue. ○Structural vulnerability of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Green Growth - For now, the Green Growth Committee leadership is supported by the President`s strong drive and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ime Minister. However, we have learned from past experience that a change in regime inevitably leads to discontinuities with the former president`s agenda and committee structure. ○Overlaps and conflict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limate change - There are many duplications and conflicts within the regulations, laws, and institutions in this sector. This situation would tend to hinder government from implementing climate change policy effectively. The Government should resolve these problems and harmonize the regulations and plans for green growth. ○Insufficiency of the policy linkage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orean governments have insufficient and token climate change policy delivery systems. A more effective delivery system and broader engagement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needed to address climate change effectively. ○Lack of PR and campaign activities for climate change policy - More PR activities to gain public support on climate issues need to be executed to proactively reduce CO2 emissions. Finally, the following is suggested to improve the inter-governmental coordination system and to build green governance in Korea. □Four alternatives for effective policy coordin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hree alternatives for good policy coordination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Choosing leading departments and empowering them to coordinate local governments ○Introducing an assessment system for local governments to monitor climate change policy implementation ○Providing a manual and guidance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 It is important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prepare the guidelines or information book for better understanding of policies by local parties. □Seven alternatives to build cooperative green governance ○Building green governance by issue, nature, field, etc. ○Building regional green govern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c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ies. ○Insuring substantiality of structures and members of green governance ○Building intra- regional green governance ○Enlarging the network of campaign and public information about climate change policy ○Making “The Whole National Environmental Round” to discuss climate change issues ○Introducing environmental incentives for green growth

      • KCI등재

        Green시대 e-Government 정책과제의 탐색적 고찰 : AHP 기법을 이용한 정책우선순위 분석을 중심으로

        한세억,고영삼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정보화정책 Vol.16 No.3

        본 논문에서는 녹색성장시대의 상응한 e-Government 정책추진을 위해 중요성과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AHP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현 시점에 필요한 정책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양한 전문가의 지식 및 AHP 적용을 바탕으로 얻어진 정보에 대한 분석결과, 녹색성장시대에 중요하며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서 Green e-Government 계획수립과 Green IT기본계획 수립, 그리고 실태조사 등이 높은 비중을 나타냈다. 아울러 공공추진단과 추진단의 활동을 지원하는 예산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장차 이명박 정부의 국가운영 기조와 맥락에서 기존 IT사업에 대한 성찰의 바탕에서 실용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Green IT를 통한 국가정보화 고도화 전략이 모색되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licy priorities to spur e-government policy corresponding to the era of green growth.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paper i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rankings, which is a methodology effective in obtaining domain knowledge from numerous experts and representing knowledge-guided indexing. The knowledge about the extent to which the ranking of the policy alternatives is sensitive to the nature of the pairwise judgments should be valuable implication into the green IT policy and priorities are crucial factors for future green IT policy direction. The analysis using AHP showed that policy priorities important for the era of green growth include the formulation of green e-government policy and green IT master plan and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green IT. Furthermore, it found out that the budget for supporting the green IT taskforce and its activities should be secured. Strategies to enhance the national informatization through green IT have to be sought, considering the basis and context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national governance, reflecting on existing IT projects and in the aspects of utility and efficiency.

      • KCI등재

        메타프레임으로서 녹색성장(Green Growth) 정책 -딜레마 대응 방안으로서 메타프레임 구성-

        하민철 ( Min Cheol Ha ),윤견수 ( Gyoun Soo Yoon ) 한국정책학회 2010 韓國政策學會報 Vol.19 No.1

        이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을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의 충돌, 즉 딜레마를 극복하기 위한 메타프레임(meta-frame)으로 이해하고, 프레임의 관점에서 녹색성장 정책 추진을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연 ‘녹색성장 정책’이 메타프레임으로서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 사이의 충돌로 인한 딜레마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추진되고 있는가? 이명박 정부는 ‘대운하사업’으로 인한 딜레마 상황에서 녹색성장 정책을 발표하여 그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녹색성장 정책은 발표 초기에 성장 프레임과 보호 프레임을 통합하는 메타프레임으로서 성공적으로 작동하였다. 그러나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대안으로 정책과제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하면서 다시 프레임 충돌이 심화되기 시작하였다. 녹색성장 정책의 핵심 정책과제로 ‘4대강 정비사업’이 부각되면서 기존의 ‘대운하사업’을 둘러싼 프레임 충돌이 재현되었다. 결국 녹색성장 정책은 녹색성장이라는 가치의 통합을 이루는 데는 성공하였지만 ‘4대강 정비사업’이라는 대안을 둘러싸고 찬성(4대강 살리기)과 반대(4대강 죽이기) 프레임 사이의 충돌에 갇혀버림으로써 다시 딜레마 상황에 빠질 위험에 처하였다. 본 논문은 녹색성장 정책을 둘러싼 담론의 재해석 과정을 통해 향후 녹색성장 정책이 메타프레임으로서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고려하여야 하는가를 검토하였다. This article is for understanding the Green-growth Policy in terms of frame. The authors assumed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for overcoming a dilemma caused by frame collision between growth oriented frame and protection oriented frame. Was the Green-growth Policy really overcoming the dilemma and is now progressing smoothly? In the early stage of issuing the Green-growth policy, Lee Myoungbak Administration could break away from the dilemma caused by the Grand Canal Project. That is,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was working well in the early stage. But as detailed programs for the Green-growth Policy were being specified, another frame collision was beginning to deepen. Especially as the 4 Major Rivers Project was being magnified, the past frame collision caused by the Grand Canal Project was reemerged. Summing up, the Green-growth Policy succeeded in the value integration of 'Green-Growth', but it is now faced with another frame collision between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and 'the 4 Major Rivers Killing Project'. It is expected easily that this new frame collision would bring about another dilemma. In this context the authors reviewed the discourse about the Green-growth Policy and seek for some solutions for effective functioning of the Green-growth Policy as a meta-frame.

      • KCI등재

        우리나라 항만특성에 맞는 그린포트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 AHP를 이용한 울산항 그린포트 정책 우선순위 개발

        김태균,김환성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8 No.5

        국제무역지수의 증가로 인한 해상운송 및 항만개발수요의 증가는 국제해사기구(IMO)를 중심으로 선박기인 대기오염, 특히 온실가 스 배출규제의 강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국제환경규제에 대응하고 선박 및 항만기인 환경오염 저감을 통한 자국민의 후생증진을 위하여 미 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Green Port 정책의 시행이 점점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0년 녹색성장기본법을 재정하고 국 가 Green Port 구축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각 항만별 그린포트 구축계획의 수립 및 이행을 촉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시아 오일허브 항만을 지향하는 울산항의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운영을 위한 울산항의 Green Port 정책방안의 수립에 있다. 이를 위해 울산항의 친환경 항만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외 해양선진국의 그린포트구축 사례분 석과 선행연구 조사, 전문가 자문을 통하여 울산항 그린포트 구축을 위한 정책대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정책대안에 대하여 전 문가 AHP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울산항에 도입 가능한 그린포트 구축 정책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울 산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그린포트 정책의 시행을 위하여 하드웨어 정책으로 LED 교체와 AMP의 구축, 그리고 소프트웨어 정책으 로 항만환경관리부서의 신설이 최우선 정책대안으로 나타났다. The increasing demand of maritime transportation and port development especially due to increased international trade resulted in a strengthening of regulating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mainly from ships by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Responding to thes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nforcement,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seaports have expanded their Green Port Policy, which can promote the public welfare by reducing pollution caused by ships and ports. Accordingly, in 2010,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Framework Act on Low Carbon, Green Growth” and had pushed for all Korean ports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ir own green port polici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Green Port Policy Plan for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 friendly operations and developments of Ulsan port, which plans to be the oil hub port of Northeast Asia. To this end, we stud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environmental policy issues in Ulsan Port and international-&-domestic case studies on establishment of green port policy. With these studies, Ulsan green policy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that through the experts advice, and then were prioritized by adopting AHP survey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ified that LED lights replacement and AMP establishment as the hardware policy and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department as the software policy were equally important policy op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Ulsan Green Port Policy to meet port’s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전통시장 상인들의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인식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연구

        양회창,김성일,박영호,이상남 한국유통과학회 2011 유통과학연구 Vol.9 No.3

        Since the Korean retail industry was made accessible to the big conglomerates and foreign retail companies, local traditional markets have faced serious problems. To sustain the local traditional markets’ survival,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various remedial policies for addressing, and many scholars published articles to suggest how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 Unfortunately, the results have not been satisfac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other way to help the Korean traditional retail market, from the view point of the Green Growth Policy, an initiative designed to address environmentally balanced economic growth in Korea. In order to survive and to maintain sustainable growth, it is incumbent upon retailers in the traditional marke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Green Growth Policy. A survey was conducted as a means of test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as well as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awareness and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the retailers in the local traditional markets. Interestingly, we were able to detect some of the features (e.g., they were distinguished by the elderly and the young, as well as low level of education and high level of education) in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 utilized the analysis of variance (ANOVA) statistical method to simultaneously compare the differences in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veral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the degree of trust in the government’s policy, levels of self-efficacy, and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higher with the older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than the younger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pecifically, the degree of trust in government policies (F=9.964,p < .05), levels of self-efficacy (F=5.532,p < .05), and level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F=5.697,p < .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in the portion of the study that addressed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 levels, all the variables were averaged in the higher education category of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pecifically, awareness levels of the Green Growth Policy (F=8.564,p < .005) and levels of self-efficacy (F=6.754,p < .0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in order to realize their poli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1)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it related to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2) The degree of trust of the government’s policy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and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awareness of the government’s Green Growth Policy will show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higher levels of trust of the government’s policy. 3) It also revealed that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self-efficacy was fully mediated between the awareness of the Green Growth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show an interest in showing traditional market retailers how to enhance their traditional marke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 The Green Growth Policy of the Lee Myungbak Government

        Jieun Seong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STI Policy Review Vol.2 No.2

        S&T policy has been traditionally regarded as a sector policy; however, it is now evolving into an infrastructure innovation policy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diverse types of policies. Simultaneously, environmental and energy policies formerly considered as sector policies are now being expanded and integrated into a higher level poli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se changes underway, the importance of policy integration has increased. Efforts are being made to minimize contradictions between environmental, social, and innovation policies that emphasize proactive linkage among policies or place the highest priority on environmental policy following the theory of Environmental Policy Integration (EPI). Confronted with these policy changes,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nnounced “Low-Carbon Green Growth” in 2008 as national agenda for development that focus attention on environmental and energy issues. Economic policy and environmental policy have been traditionally seen in a conflicting relationship with different paths of policy development.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President Lee is now emphasizing the synergy effect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with the concept of green growth. The green growth policy of the Korean government has great significance as it has built a momentum for incorporating social goals such as environmental values or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economic growth-oriented policies; however, there remain many challenges due to the legacy of the development period that has dominated Korean society. The Korean government says it reflects “EPI” or “environmentalism” in policy goals; however, in reality it prioritizes development over the environment.

      • KCI등재

        농업․농촌 녹색성장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결정: 계층분석과정(AHP)의 적용

        김창길,문동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농촌경제 Vol.35 No.5

        There are a lot of policy instruments of green growth which is defined as economic growth that creates new growth power and job opportunities while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reenhouse gases. Green growth policies in agriculture and rural districts are classified into six policies: climate policy, energy policy, policy for creation of green space, resource management policy, green industry policy, and green technology policy. This paper analyzes the priority of policy instruments of green growt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determines priorities of policy programs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policy evaluation based on survey of expertise. The result shows that efficiency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evaluation criterion and so improving energy use efficiency, establishing an efficient R&D system and promoting bio-industry are very crucial policy measures.

      • KCI등재

        경제의 생태적 전환: 독일 녹색일자리 정책을 중심으로

        정연미 한국유럽학회 2015 유럽연구 Vol.33 No.1

        The green jobs policy in Germany is analyzed as a model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conomy. German society has experienced the growth of green jobs and positive economic effects through green jobs creation for the last 20 years.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Germany has been developed including ecological perspectives in trend to fi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world and ecological modernization in Europe. Green jobs policy in Germany has been started by the coalition between Social Democracy Party and Green Party in 1998, and has been integrated with ecological industry policy area since 2006. The green jobs in Germany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localization of jobs through local circular economy by citizen participation, cooperative investment model and dualistic vocational education. The poli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society from German green jobs polic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green jobs policy should be formulated ecological transformation of economy beyond the last paradigm in which employ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are to be solved through the economic growth. Secondly, quantity and quality of jobs including social and public sphere should be considered in green jobs policy making. Thirdly, green jobs should be created energy transition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in local level. Fourthly, the institutional platform should be established systematically for the continuous enforcement of green jobs policy. 본 연구는 경제의 생태적 전환 모델로서 전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는 독일의 녹색일자리 정책을 분석하였다. 독일 사회는 지난 20년간 녹색일자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경제의 생태적 전환이 일자리를 창출하고 긍정적인 경제유발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경험하였다. 1990년대 이후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세계적 흐름과 유럽의 생태적근대화 풍토 속에서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는 생태적인 측면을 포용하면서 발전되고있다. 이 과정에서 고용, 성장, 환경을 연계하는 녹색일자리 정책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독일의 녹색일자리 정책은 1998년 사민당-녹색당 연합정부 출범 이후 추진되기 시작하였고, 2006년 이후 생태산업정책으로 통합 발전되고 있다. 독일의 녹색일자리는 시민이 참여하는 일자리의 지역화, 협동조합 투자모델, 이원적 직업교육을 주요특징으로 한다. 한국 사회에 독일의 녹색일자리 정책이 주는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첫째, 녹색일자리 정책은 경제성장을 통해 고용과 환경문제를 해결하려는 기존의패러다임을 넘어 에너지와 환경의 소비를 줄이는 경제의 생태적 전환 차원에서 추진될필요가 있다. 둘째, 일자리의 양뿐만 아니라 질을 고려하여 사회 공공적 의미를 포괄하는 것으로 녹색일자리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 시민이 주체가 되는 에너지전환을 통해 녹색일자리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녹색일자리에 대한 체계적인 제도적 틀을 마련하여 녹색일자리 정책이 연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정책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촌경제 : 농업,농촌 녹색성장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결정 계층분석과정(AHP)의 적용

        김창길,문동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농촌경제 Vol.35 No.5

        There are a lot of policy instruments of green growth which is defined as economic growth that creates new growth power and job opportunities while minimizing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reenhouse gases. Green growth policies in agriculture and rural districts are classified into six policies: climate policy energy policy policy for creation of green space resource management policy green industry policy and green technology policy. This paper analyzes the priority of policy instruments of green growth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determines priorities of policy programs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policy evaluation based on survey of expertise. The result shows that efficiency is the most important policy evaluation criterion and so improving energy use efficiency establishing an efficient R&D system and promoting bio-industry are very crucial policy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