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rade Linkage and Transmission of Geopolitical Risks: Evidence from the Peace Progress in 2018

        김태현,김용준 한국무역학회 2022 Journal of Korea trade Vol.26 No.3

        Purpose – Using unexpected changes in geopolitical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quasinatural experimental setting, we examine whether and how geopolitical risks travel across borders through firm-level imports and exports linkages. We also test whether the effects are driven by either imports or exports and assess whether firms can effectively hedge themselves against geopolitical risks. Design/methodology – We focus on a series of unanticipated geopolitical events taken place in Korea in 2018. Making use of the shocks to geopolitical climate, we identify five milestone events toward peace talks. We employ the event studies methodology. We examine heterogenous firm-level stock price reactions around key event dates depending on firms’ exposure to geopolitical risks. As a measure of firms’ exposure to geopolitical risks in Korea, we utilize a text-based measure of firm-level trade links. When a firm announces and discusses its purchase of inputs from Korea or sales of outputs to Korea in their annual disclosure filings, we define a firm to have a trade relationship with Korea and have exposure to Korean geopolitical risks. Similarly, we use a measure of a firm’s hedging policies based on a firm’s textual mention of the use of foreign exchange derivatives in their annual disclosure. Findings – We find that U.S. firms that have direct trade links to Korea gained significantly more value when the intensity of geopolitical risks drops compared to firms without such trade links to Korea. The effects are pronounced for firms purchasing inputs from or selling outputs to Korea. We find that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exchange hedging against geopolitical risks is limited. Originality/value – We document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geopolitical uncertainty through trade linkages. Export links as well as import links serve as important nexus of transmission of geopolitical risks across borders. Hedging strategies involving foreign-exchanges derivatives do not seem to insulate firms again geopolitical risks. With the recent movements of localization and reshuffling of the global value chain, our results suggest a significant impact of geopolitical risks in Korea on the construction of the global value chain.

      • KCI등재

        지정학적 위험과 경영진 보상의 위험감수유인

        김채현(Kim, Chaehyun),김선미(Kim, Seonmi),이은서(Lee, Eunsuh) 글로벌경영학회 2020 글로벌경영학회지 Vol.17 No.5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risk-taking incentives in executive compensation. To measure geopolitical risks, we use Geopolitical Risks Index measured by Caldara and Iacoviello (2019). In order to measure risk-taking incentives, we use Vega, which is defined as a sensitivity of the managers’ equity wealth to change in the stock return volatility. Our analyses find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geopolitical risks and risk-taking incentives in executive compensation. Further analyses confirm the results, specifically, terror or threat of wars tend to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increase the risk-taking incentives in executive compensation. Additio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geopolitical risks and risk-taking incentives in executive compensation remain positive when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s controlled. Our study contributes to managers’ compensation literatures by showing the external determinants of risk-taking incentives, such as geopolitical risks. 본 연구는 미국의 지정학적 위험과 경영진 보상 위험유인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는 것에 있다. 주가변동성 대비 주식·옵션 포트폴리오 보상 민감도(Vega)를 보상의 위험감수유인의 대용치로 하여 지정학적 위험으로 미래에 대한 기업 경영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경우 최고경영진들의 위험회피적인 의사결정 행태를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경영진 보상의 위험감수유인(Vega)을 높일 수 있다는 예상이다. 분석결과, 지정학적 위험 지수와 베가(Vega)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강건성을 위해 다른 외부불확실성 요인인 경제정책 불확실성 지수를 통제하거나, 지정학적 위험을 하위 구성요소로 나누어 추가분석을 수행하였다. 추가 분석결과, 지정학적 위험 구성요소 중 테러나 전쟁위협이 경영진 보상의 위험감수유인에 중대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또한, 다른 외부불확실성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기존 결과가 일관되게 양(+)의 관련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와 달리 경영자 보상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 SCOPUS

        The Impact of Geopolitical Risk on Financial Conditions of Emerging Economies

        Namarta Kumari BAJAJ(Namarta Kumari BAJAJ ),Tariq AZIZ(Tariq AZIZ ),Sonia KUMARI(Sonia KUMARI ),Marim ALENEZI(Marim ALENEZI ),Naif Mansour MATHKUR(Naif Mansour MATHKUR ) 한국유통과학회 2023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10 No.1

        The detrimental impacts of financial instability on the world economy during the financial crisis highlighted the requirement to understand the existing financial circumstances. Stability and developments in financial conditions are important for economic prosperity. This study analyses the impact of geopolitical risk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some specific emerging economies using monthly data from January 1999 to September 2016 by applying a fixed-effects panel data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geopolitical risk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financial conditions. It shows geopolitical risk could be seen as a key factor that contributes towards financial conditions. Further, it implies that negative shocks of high geopolitical risk experienced by emerging economies are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e financial conditions’ deterioration.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nsights for governments, policymakers, and investors. For instance, governments and politicians should refrain from expressing or producing tension, economic discomfort, or news that is likely to increase a high geopolitical risk. Maintaining a close eye on geopolitical risk and its sources may also help to stabilize financial conditions and develop a well-functioning financial system. As a result, investors would be better informed about an economy’s economic and financial conditions, allowing them to diversify their international portfolios and devise investing strategies during uncertain economic times.

      • KCI등재

        지정학적 위기가 항만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남형식,Stephane Ahoua,김치열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geopolitical risk on port throughput in Korea. With a high trade-to-GDP ratio, Korea has an open economy. The vast majority of its exports and imports are serviced by maritime transport. Therefore, cargo volume of Korean seaports is highly likely to be affected by changes in global economy resulting from escalation in geopolitical risk.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opolitical risk and port throughput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95-2022. Results indicated that the impact of geopolitical risk on port throughp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relationship varied by export, import, and ports. Especially, it was revealed that cargo volume of Korean port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geopolitical risk.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geopolitical risk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unit price of Korean import.. 본 연구는 지정학적 위기가 우리나라 항만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은 대외의존적인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수출입의 대부분이 해상운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지정학적 위기로 인하여 세계경제에 변동이 생기면 우리나라 항만 물동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이론적 예상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는 1995년~2022년 기간 동안 지정학적 위기가 우리나라 항만 물동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정학적 위기가 우리나라 항만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은 일부 항만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정학적 위기가 항만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은 수출과 수입에 따라, 그리고 항만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정학적 위기는 수출 물동량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만을 통한 수출입 단가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 지정학적 위기는 수입단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IUSCT상 사정변경과 통화문제의 쟁점에 관한 고찰

        김서림 한국무역경영학회 2023 한국무역경영연구 Vol.- No.30

        In the sense that although a significant number of cases were decided in IUSCT, in-depth decisions were not made in various forums after that, what is still considered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act on future arbitration is the judgment on force majeure, frustration and a change of circumstances(rebus sic stantibus). what is still considered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influence on future arbitrations is force majeure, frustration and It is a judgment about a change of circumstances (rebus sic stantibus). Considering that contract default is the most common cause of claims in international transactions, examining whether or not they are recognized in specific cases in the light of examples surrounding political turmoil such as revolution and hostage detention, this is an important task to keep in mind when developing business in and with countries with geopolitical risks. On the other hand, it can only be said that IUSCT's various decisions on contract default and currency issues were results of trial and error, far from past decisions. Some decisions reached non sequitur becaus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with the accumulation of judgments at the microscopic level, a certain degree of common decision has been made regarding force majeure and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As for the currency issue, there is a strong feeling that the decision was in the middle. 코로나 사태는 발생한 지 1년 반이 넘었지만 여전히 상거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코로나 초기에는 국가마다 출입국 제한이나 입국 시 자가격리, 통행시간 제한 등을 실시함으로써 코로나 사태에 대응해 왔는데 이는 국제거래에 있어 인력 이동 및 자재 조달에 지연을 초래하는 등 계약 이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백신이 개발돼 보급되고 있지만 변이 등의 출몰로 인해 계약 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여전한 상황이다. 이 같은 코로나 사태는 계약 당사자들의 지배영역 밖에서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다. 즉 코로나 사태로 인해 계약 이행이 불가능하거나 지연됨에 있어 계약당사자들의 책임이 기본적으로 부정되고 그렇다면 이 경우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결과를 어떻게 해결하고 리스크를 배분하는 것이 법적으로 합리적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한편 이란·미국 청구권 중재판정부(Iran-United States Claims Tribunal: IUSCT)는 1978년부터 1979년에 걸친 이란 혁명 및 1979년 11월 4일에 발생한 재이란 미국대사관 인질 사건에 의해 극단적으로 혼란한 미국·이란 간의 국제거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질사건 해결을 한 1981년 1월 19일의 알제합의(Algiers Accord)에 근거하여 헤이그에 창설된 특별 중재기관이다. IUSCT의 관할권은 ①미국민의 이란에 대한 청구 및 이란 국민의 미국에 대한 청구이며 채무, 계약, 수용 또는 재산권에 영향을 주는 다른 조치로부터 발생한 것(알제 합의의 일부를 이하는 청구권 해결 선언 제2조 제1항), ②미국 및 이란에 의한 상대국에의 공적 청구로서, 물품 및 용역의 구매·판매를 위한 양자간의 계약상의 합의로부터 생긴 것(동 제2항) ③알제합의의 일부를 이루는 일반선언의 조항의 해석 또는 이행에 관한 분쟁(동 제3항)이다. ①에 대해서는 피고는 정부뿐만 아니라 정부의 하부조직 및 국영기업·정부계 기업과 같은 관련조직도 포함된다(제7조 제3항 및 제4항). 한편, 당사국의 일방의 사인으로부터 타방의 사인에 대한 청구는 관할외이다. IUSCT에서는 2016년 5월 9일의 커뮤니케에 의하면, 3936건의 사례가 판정·결정·명령에 의해 종결하고 있지만(그 후도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간의 사례가 남아 있어 2020년 3월 10일에도 부분 판정이 내려지고 있다), 그 대부분은 ①이며 3844건(그 중 2844건은 청구액 25만 달러 미만), ②가 72건, ③이 20건이다. ①의 대부분은 미국 기업에 의한 이란 정부나 이란의 국영기업에 대한 청구이다. 이란 측에서 미국 측으로 지불하도록 판시된 총액은 약 21억6700만 달러에 달하고 있다. IUSCT는 국제법, 미국법, 이란법 등 다른 법계의 ‘연결고리’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국제거래법에 관한 판단의 보고이기도 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임의의(ad hoc) 투자 중재와 달리 약 40년이라는 장기간 존속해 온 기관이며 다수의 사례를 저명한 국제법조를 포함한 중재인이 판단해 왔다. 어느 정도 일관된 판례법이 형성되어 일정한 선례 가치를 가진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단, 소중재판정부[Chamber, 3명의 중재인으로 구성]에 의해, 또 사안에 의해 판단에 동요가 보이는 것은 사실이다). 국제법학에 있어서 IUSCT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수용의 보상기준에 관한 것이었다(부수적으로, 국적과 외교적 보호, 혁명·추방과 국가 책임에 대한 판단이 관심을 가졌다). 당연히 수용의 보상기준에 대해서는 그 후 다수의 투자중재에서 판단이 이루어지게 되었기 때 ...

      • KCI등재

        지정학적 위험과 원가의 하방경직성

        김채현(Kim, Chaehyun),김선미(Kim, Seonmi),이은서(Lee, Eunsuh) 한국회계정보학회 2021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21 No.1

        [연구목적] 지정학적 위험(geopolitical risks)은 미래성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이고 기업운영과 그 효율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지정학적 위험이 기업의 원가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은 기업운영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금융업과 공공재 산업을 제외한 1985년-2019년 미국상장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지정학적 위험지수와 원가비대칭성의 관련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지정학적 위험은 기업의 원가 하방경직성을 완화함을 발견하였다. 즉, 지정학적 위험이 클 때는 전년 대비 매출액이 감소하는 경우 매출액이 상승하는 경우보다 원가의 변동 폭이 크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매출액과 관련성이 높은 매출원가와 운영원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추가로 고려하지 못한 기업특성을 기업 더미로 통제한 분석결과에서도 기존결과가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정학적 위험을 지정학적 위협과 지정학적 행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도 지정학적 위험 구분과 상관없이 원가 하방경직성을 완화함을 발견하였다. 이는 경영자들이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유휴자원 유지비용을 유지하려는 유인보다 원가를 감소하려는 유인을 더 강하게 가지기 때문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기업 외부요인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원가관리 측면에서 경영자의 비대칭적 원가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발견하여 기존 연구에 추가적인 의미가 있다. 또한, 투자자들의 기업평가 요인으로 지정학적 위험이 기업의 자원활용 측면에서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미가 있다. [Purpose] Geopolitical risks are known to influence managerial decisions by raising uncertainty on future firm performance. Thus, investigating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the cost behavior of firms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Methodology] Using a sample of 123,177 U.S firm-year observ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1985 to 2019, we examines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s on cost stickiness. Specifically, we conduct regression analyses with change in sales and general administrative cost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geopolitical risk as the key variable. [Findings] We find that geopolitical risks mitigate cost stickiness. Results are robust when we control for firm fixed effects and use different types of costs, such as total operation costs and cost of goods sold to measure cost stickiness. We also decompose geopolitical risks into geopolitical threats and geopolitical acts and find that both types of risks affects firms’ cost stickiness behavior in similar way. [Implication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geopolitical risks are one of important determinant of firms’ cost behavior. In addition, our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 to investors that they should aware of geopolitical risks when they truly understand cost behavior of firms.

      • KCI등재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에너지 시장에 미친 영향

        김화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본 연구는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Geopolitical Risk)가 국제유가 등 에너지 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지정학적 리스크는 정정 불안 등 예상치 못한 비경제적인 요인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와 기업 경영에 주는 위험을 의미한다. 자스민 혁명으로 시작되어 리비아, 이집트 등으로 전이된 MENA사태, 2012년 이란의 핵개발 제재에 따른 호르무즈 해협의 군사적 긴장, 2014년 IS의 이라크 북부 장악으로 인한 이라크 사태 등 3가지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의 영향을 분석했다. 지정학적 불안이 발생하면 에너지 생산 감소와 물류 차질이 발생해 공급 불안이 생긴다. 사건분석(Event Study) 모형 분석 결과, 지정학적 리스크는 국제유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나 그 영향의 정도는 언론 등에서 예상하는 것과는 달리 제한적이었다. 2011년 MENA 사태 때는 국제유가의 2개월 누적 순 가격 변동은 5.2%, 2012년 이란 사태 때는 4.3%, 2014년 이라크 사태 때는 1.4%에 그쳤다. 지정학적 리스크의 영향력이 약해진 것은 미국, 러시아 등 공급이 다변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IS 등에 의해 중동에 불안이 발생하더라도 저유가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geopolitical risks in the Middle East on energy markets including the crude oil price. Geopolitical risk means the danger imposed upon the global economy and corporate management due to unexpected uneconomic factors such as political instabilities. Three geopolitical risks dealt with in the paper are turmoils in Libya and Egypt caused by Arab Spring, military tension in Hormuz caused by fortified sanctions on Iran, instability in Iraq caused by IS’s occupation on Northern part of Iraq. If geopolitical instability occurred energy supply would be disrupted because of energy production reduction and logistics setbacks. According to estimation results using Event Study analysis, the geopolitical risks acted as the factor increasing the oil price but the extent of the effect was much less than the expectation of the media or other practical articles. Net change of oil price for 2 months just after the commotions of MENA in 2011 was 5.17%, and those after the conjunctions of Iran in 2012 and Iraq in 2014 were 4.31% and 1.39%, respectively. This result is mainly because the energy supply sources such as U.S. and Russia have been diversified. Therefore low oil price would continue with considerable time even if geopolitical instabilities by IS, etc in the Middle East are kept on.

      • KCI등재

        Geopolitical Risk and Trading Patterns of Foreign and Domestic Investors: Evidence from Korea

        박근재,김영식,권오병 한국증권학회 2019 Asia-Pacific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Vol.48 No.2

        We examine how geopolitical risk affects investors’ investment strategies in the Korean market. The information advantage hypothesis predicts that foreign investors become more reluctant to invest in the portfolios of foreign countries due to increased information asymmetry following geopolitical risk escalation while the international diversification hypothesis predicts that foreign investors will not reduce the size of their foreign portfolios because their wealth portfolios are sufficiently diversified. Using a novel measure of geopolitical risk, we find evidence consistent with the information advantage hypothesis: when North Korea risk is highly escalated, foreign investors reduce while domestic investors increase the value of their Korean portfolios, and domestic institutional investors significantly outperform foreign investors due to increased information asymmetry.

      • KCI등재

        지정학적 위험이 관광수요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소연,류수열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022 관광레저연구 Vol.34 No.7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geopolitical risk on tourism demand using panel data of 14 countries with geopolitical risk index (GPR) from 1997 to 2019. We use the CS-ARDL (Cross-sectionally Augmented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s Model) estimation method considering the cross-sectional dependence and slope coefficient heterogeneity of panel data to analyz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long-term and short-term effects of tourism deman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The effects of geopolitical risk index (GPR) and income on the number of inbound tourists are positive (+)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he effects of exchange rate and pandemic on the number of inbound tourist are negative (-)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st inbound tourists prefer to visit countries with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ecurity, which means that the mitigation of geopolitical risk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tourism deman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establish policies to mitigating the negative impact that geopolitical risks can have on tourism demand.

      • KCI등재

        The Impact of North Korea Threats on Stock Return Volatility

        김영식,박근재 통일연구원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28 No.2

        We use media news reports concerning North Korea threats from 2016 to 2017 to measure the magnitude of geopolitical risk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 geopolitical risk on the risk components of Korean stocks. Our result shows that the North Korea risk significantly increases the volatility of domestic stock returns, which is mainly attributable to an increase in systematic risk rather than unsystematic risk of the stocks. This finding remains robust when alternative measures of the systematic risk are used. The evidence in this study suggests that geopolitical risk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ffect stock prices by increasing the systematic risk of stoc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