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70년 통일 분야 연구: 동향과 과제

        전현준 통일연구원 2015 統一 政策 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 unification studies for 70 years following the independence from Japan by using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s is required for effective research,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as collected by multiple means and from multiple sources such as related books/book chapters, journal articles and academic theses (3,000 papers in total).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exploring the nature of the study and it is analyzed based on the related study areas of ‘unification policy’; and ‘social and cultural research’; as well as ‘economic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unification policy accounted for 39 percent of the study with 1,235 papers. It was followed by social and cultural research with 841 papers (26.6percent). The majority of the papers were published in 2000, the year which held the first inter-Korean summit; 773 papers were published in Kim Dae-Jung regime. Among 3,000 papers, 1,753 of them were published in journals. As a result, while the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plan papers take up the mainstream of the study, a sufficiently increased number of social and cultural studies have been published when it was compared with economy-related one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tudies of the unification issues are being diversified in addition to politics as this paper demonstrated. However, the trend also shows that unification related studies have been decreased there after Kim Dae-Jung regime. Also, the interest in unification has been declined among scholars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All the best future research will be to increase interests and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dialogue of the unification. 본 연구는 해방 이후 70년 동안 한국에서 이루어진 통일 분야 연구가 어떤 추세(trend)를 보이고 있는가를 연구물의 계량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단행본, 등재(예정)지, 학위논문 등 3,000여 편이다. 분석 결과, 통일정책 분야가 1,235편(39%)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문화 분야가 841편(26.6%)으로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제1차 남북 정상회담이 있었던 2000년에 185편이 출간되었다. 통일문제 관련 논문은 1,753편이 실린 등재(후보)지가 1위를 차지하였다. 정부별로는 김대중 정부 시기에 773편이 발간되어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통일정책이나 통일방안 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사회문화 분야 연구가 경제 분야보다 많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정치학 이외의 학문 분야에서도 통일문제 연구가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러나 김대중 정부 이후 전반적으로 통일 관련 연구가 점차 줄어가는 추세가 나타났다. 이는 국민들뿐만 아니라 학자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다는 증거이다. 따라서 향후과제는 연구자들이 어떻게 좀 더 현실적인 연구를 하여 통일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시키느냐 하는 문제이다.

      • KCI등재

        대학 통일교육의 현황과 개선방향 연구

        배영애 ( Bae Young-a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7 통일과 평화 Vol.9 No.1

        본 연구는 대학 통일교육의 현황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학 통일교육의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들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최근 우리 구성원 중에서 20대인 대학생들이 대체적으로 통일에 대한 관심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통일문제에 대해서 당위성보다는 실리주의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대학생들의 통일문제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대학 통일교육을 소홀히 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 통일교육은 통일을 준비하고 통일미래 세대를 양성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현재 대학 통일교육은 학교 통일교육과 사회 통일교육에서 두 가지 영역 어디에서도 교육 대상으로서 위치를 명확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그 위상이 매우 미약하다. 따라서 대학 통일교육의 위상 강화와 활성화를 위한 몇 가지 개선방향이 필요하다. 우선 대학 통일교육은 북한·통일 관련 교과목의 확대와 다양화를 통해 많은 학생들에게 통일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체제 중심의 내용에서 벗어나 사람, 생활세계의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일 수 있고, 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 방법을 활용해야 한다. 무엇보다 대학이 자율적으로 통일교육 프로그램이나 교육 과정과 교육 콘텐츠 개발, 북한·통일관련 강좌 개설을 운영하고,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선택과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 확립과 다양하고 현실적인 인센티브제의 도입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through status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and seeks to improve the way in order to strengthen and activate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Recently,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e lowest interest in unification. They is recognized as a more realistic necessity of unification. Because our society was neglecting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unification.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can be a very important step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foster future generations.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did not get the position and the weak phase. Therefore, it is expanding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any students through a quantitativ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curriculum in order to strengthen and activate the phase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The content of education must change from the system to the social integration of people, living world. In addition, to increase th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and should use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 The government is required to introduce a proactive administration, financial support and various incentives to operate autonomously university education programs and training content development, North Korea or unification opening lecture of university.

      • KCI등재

        북한주민의 통일의식 조사 연구: 북한주민 100명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강동완,박정란 통일연구원 2014 統一 政策 硏究 Vol.23 No.2

        Given that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ims at building better life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ns, South Korea’s policy direction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n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We wonder how much North Koreans currently want to unify the Korean Peninsula and what kind of unification they des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North Koreans think of the unification and what responses South Korean should take. South Korea has continuously conducted an examination on Sou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unification. However, so far few examinations have been carried out involving NorthKoreans, another party directly involved in the unification, about their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Given that South Korea’s policy direction for the unification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North Korean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an examination on Nor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should be conducted urgently. This study, therefore, presented quantitative statistics on 100 Nor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and explored their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Furthermore, the study compared North and South Koreans’ consciousness of the unification and presented policy tasks. 한반도 통일이 남북한 주민들의 ‘함께 잘 살아가기’라면 현재 분단된 상황에서 북한주민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에 따라 우리의 통일정책 방향 역시 달라질 수밖에 없다. 현재 북한주민들은 통일을 얼마나 원하고 있으며 그들이 바라는 통일조국은 어떤 모습일지 궁금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주민들은 과연 통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우리는 이에 따라 어떠한 대응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한 통일의식조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통일의 또 다른 당사자라 할 수 있는 북한주민들에 대한 통일의식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않았다. 북한주민들의 통일에 대한 인식에 따라 우리의 통일정책 방향이 달라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북한주민들의 통일의식 조사는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연구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3국에서 북한주민을 직접 만나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북한주민 100명을 대상으로 통일의식에 대한 양적통계를 제시하고 심층면접을 통해 통일의식에 대해 조사하였다. 아울러 남북한 주민들이 상호 통일의식에 대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한반도 통일의 외적 거래비용에 관한 시론적 연구

        이수형 ( Soo Hyung Lee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통일과 평화 Vol.4 No.2

        분단 반세기 이상 상이한 정치·경제·사회체제로 지속되어 왔던 남북한의 제도와 인식을 하나로 묶어내는 한반도 통일 과정은 필연적으로 통일 비용이라 할 수 있는 거래비용을 동반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즉, 통일을 위한 이러한 거래비용은 남북한 차원에서 새로운 한반도 정치공동체를 창출하는 데 소요되는 유무형의 내적 거래비용과 한반도 통일에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주변국과들의 외적 거래비용이 그것이다. 특히, 한반도 통일 과정 및 그 결과에 있어서 어떤 측면에서는 내적 거래비용보다 외적 거래비용이 보다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반도 통일은 기본적으로 동북아 역학관계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현상타파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의 목적은 한반도 통일과 관련해서 통일을 계획, 준비하고 통일과정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할 수밖에 없는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외적 거래비용이라는 통일 비용의 주요 쟁점들을 시론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외적 거래비용이란 통일 과정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동북아 역내 주변 국가들과의 이해관계와 한국이 이들의 이해관계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면서 통일과정을 보다 원만하게 추진하는데 소요되는 유무형의 거래비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외적 거래비용에 초점을 두고 향후 한반도 통일 및 통일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주변 국가들과의 주요 쟁점들이나 항목들을 제시하여 우리의 외적 거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코자 하는 것이다. Korean reunification poses two distinct yet interdependent conundrums: reunification itself, which is the immediate challenge; and the strategic landscape that emerges from reunification, which has the potential to fundamentally transform strategic relationships in Northeast Asia. The process of Korean reunification essentially brings about questions about the costs of such a reunification. We can divide these costs into two categories: an internal cost which onl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and an external cost, related to the politics of Northeast Asia. In this contex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y to examine the external transaction cost in the process of Korean reunific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external transaction cost. There are three main issues: the general military forces of Korean reunification, the ROK-U.S. alliance and the territory of Korean reunification, and the unsolved problem of the recent history.

      • KCI등재

        논문 :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2013년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정은미 ( Eun Mee Jeo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통일과 평화 Vol.5 No.2

        통일의식은 남북한 주민이 통일에 대해 갖는 사상·관념·감정뿐만 아니라 통일에 대한 의지와 열망을 포함한다. 이 연구는 남북한 주민 간 통일의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통일의식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들을 남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된 3년간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통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분석 자료로 사용된 조사 데이터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이 2011년~2013년에 실시한 『통일의식 조사』와 『북한이탈주민 의식조사』이다.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남북한 주민의 통일의식을 비교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점차 약화되는 반면에 북한 주민이 느끼는 통일의 필요성은 절대적으로 높다. 남한 주민의 통일 인식은 전반적으로 남북관계의 상황적 요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반면에, 북한 주민의 경우 일관되게 통일에 대한 높은 열망을 보였다. 둘째, 통일이 가능한 시기에 대해서는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더 가까운 미래에 통일이 실현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남북한 주민 모두에게서 통일이 불가능하다고 보는 견해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셋째, 통일이 가져다 줄 이익에 대해 남한 주민에 비해 북한 주민이 훨씬 더 기대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남북한 주민 모두 상대방을 협력대상으로 보는 인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남북관계가 악화되고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경계대상, 적대대상으로서의 인식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상호 수용성의 격차는 통일 이 후 사회통합을 방해하는 주요한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다. 이는 북한 주민보다 오히려 남한 주민의 배타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오랜 분단체제는 남북한 간의 상이한 정치체제의 수준을 넘어 실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의 양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남한 주민의 북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은 북한 주민이 남한 문화 접촉 경험 수준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변국에 대해 남북한 주민이 상이한 인식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는 국가로서 남한 주민은 북한을, 북한 주민은 미국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includes not only thoughts, ideas, and feelings about reunification, but also the will and desires for reunification. The surveys conducted over the last three years using the sample of North and South Koreans try to examine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changes of and the development of the attitude toward reunification and its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s. In this study, the data of “Unification Attitude Survey” and “Attitude of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conducted by Institute of Peace and Unif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2011 to 2013 are used. According to the data, first, while the need for reunification by South Koreans has gradually been decreased, North Koreans have shown a strong desire and the need for reunification. Second,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opinion about the time for the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with South Koreans, North Koreans are more likely to expect to unify the two Koreas in the near future.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ns see the once-conceivable prospect of reunification on the peninsula as increasingly unrealistic. Third, not surprisingly, the findings show that North Koreans have higher expectations of reunification benefit. Forth, North and South Koreans recognized each other as a cooperative partner. But, with the antagonistic rhetoric and nuclear threats from North Korea reaching unprecedented heights, a hostile attitude has significantly been increased in the last couple of years. Fifth, political and social differences have been developed between the North and South since the division of the peninsula. Finally, North and South Koreans have a different view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Note that North and South Koreans are likely to consider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respectively as a nation which threatens the peace of the Korean peninsula.

      • 분단과 갈등, 그리고 통일: 독일, 예멘,베트남의 갈등관리 사례 비교

        이동윤 통일연구원 2002 統一 政策 硏究 Vol.11 No.2

        본 연구는 이미 통일을 이룩한 독일, 예멘, 베트남의 통일과정을 갈등관리의 차원에서 비교고찰함으로써 남북한 통일에 보다 합당한 제반 여건과 갈등관리 방법들을 살펴보고 보다 효과적인 남북한 통일정책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와 통일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각 사통일 유형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분단국의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 유형을 각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이를 통하여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와 통일과정을 고찰함으로써 어떤 갈등관리 방법이 남북한 통일과정에 보다 효과적일 것인가를 각 단계별로 점검하였다. 우선 흡수형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경우 갈등의 예방과 타결, 해소관리를 통하여 장기적인 갈등관리가 이루어진 결과이며, 합의형 통일을 이룩한 예멘의 경우 단기적인 갈등관리가 상호간의 갈등을 완전하게 치유하지 못함으로써 통일 이후 또 다시 무력적인 방법으로 완전한 통일이 추진된 사례이다. 또한 무력형 통일을 이룩한 베트남의 경우 무력이라는 갈등관리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통일 이후 또 다른 내부적 갈등이 초래된 사례이다. 결국 우리는 이러한 개별 국가들의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에로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남북한 분단의 갈등을 해소하고 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단계적 갈등관리 방법과 통일정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Theological Typologies of Religious Groups And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

        Masuda, Yoshihiko 선문대학교 통일신학연구원 1996 통일신학연구 Vol.1 No.-

        [요약] 종교집단의 신학적 유형톤과 통일교회의 정체성 유형론적 용어와 개념은 비교적 관점으로부터 종교집단들의 특성을 분류하는 도구이다. 그래서 유형론적 개념과 분류범주를 아는 것은 통일교회나 어느 종교집단에 대한 성숙한 논의를 위한 선행조건이다. 이 논문에서는 9가지의 신학적 유형론을 간략하게 검토하고 이 관점에서 통일교회의 특성을 논의하였다. 그럼으로써 이 연구는 퉁일교회를 이해하고 종교집단들에 중요한 신학적 유형론을 아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신의 수에 따른 유형에는 일신론, 다신론, 무신론이 있는데, 통일교회는 일신론을 주장한다. 둘째, 신 존재의 양태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신을 초월적인 신과 내재적인 신으로 구분하는데, 후자에는 범신론과 범재신론이 포함된다. 통일신학은 전통적 서구신학에서 신을 완전타자로 이해하는 것을 배격하고 신이 우리 안에 계심을 강조한다. 통일 교회의 신관을 범재신론으로 말 할 수 있다. 세째, 신의 성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신이 남성 신, 여성 신, 양성 신으로 분류된다. 통일신학은 창조주 하나님이 양성과 음성의 특성을 가진 분이라고 주장한다. 네째, 기독론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는 위로부터의 기독론과 예수의 인성을 강조하는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이 있다. 통일교회는 아래로부터의 기독론을 주장하되 극단적 입장을 견지하지 않으며 성서해석에서 자유주의 신학보다 그리스도 중심적이다. 다섯째, 자유의지에 대한 관점에 따른 유형이 있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자유의지가 존재한다고 하는 입장과 이를 부정하는 입장이 있다. 통일교회는 자유의지의 존재를 주장하여 역사에 대한 결정론적 관점을 배격 한다. 역사의 목적은 결정되었으나 그 과정 또는 그 목적실현은 결정되지 않고 신의 인도를 따르는 인간의 책임분담에 좌우된다고 본다. 여섯째, 라인홀드 니이버의 유형론이 있다. 여기에는 신화적 또는 계시적 종교와 신비적 또는 문화적 종교가 있다. 전자는 직선적 역사관을, 후자는 순환적 역사관을 가진다. 통일교회는 신화적 계시적 종교에 속하여 기본적으로 직선적 역사관을 가지나 순환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일곱째, 종말론적 관점에 따른 유형론이 있다. 천년왕국파와 비천년왕국파가 구분되는데, 전자는 전천년왕국파와 후천년왕국파가 있다. 통일교회는 메시아가 구원사역과 지상천국 건설을 완성하려고 강림한다고 봄으로 전천왕국설을 지지한다. 여덟째, 그리스도와 문화 간의 관계에 따라 분류한 리차드 니이버의 유형론이 있다. 그 유형은 문화에 대한하는 그리스도, 문화적 그리스도, 문화 위의 그 리스도, 역설적 그리스도, 문화의 변혁자로서의 그리스도로 나뉜다. 통일교회는 문화의 변혁자로서의 그리스도를 지지한다. 아홉째, 교회에 대한 Dulles의 유형론이 있다. 제도로서의 교회, 신지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성사로서의 교회, 선구자로서의 교회, 종으로서의 교회가 교회의 5모델이다. 일반적으로 통일교회도 이 5가지 요소를 가진다. 이처럼 이 논문은 종교집단에 대한 9가지의 신학적 유형론을 검토하였다. 더불어 이러한 유형론에 비춰서 통일교회의 정체성을 드러내보려 하였다. 최근에 와서 신의 수와 성 및 존재양식, 기독론, 자유의지의 존재와 같은 주제에서는 통일신학의 방향에 일반신학의 흐름이 수령되고 있다. 통일신학에는 문선명 선생님의 메시아 선포와 같은 혁명적인 내용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의 개념에서 기독교 정통 신학의 중심이 변해와서 지금은 통일신학의 신 개념에 수렴하고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신의 개념과 사회윤리의 측면에서 통일교회를 중심된 교회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다른 종교집단이 통일교회에 일치되어올 것이라고 믿을 수 있다.

      • KCI등재

        박근혜 정부 대내적 통일정책의 평가와 인식론적 성찰

        송영훈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fication policy through the evaluation and reflection on the domestic unification policy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the breakdown of inter?Korean relations, the Park Geun-hye government tried to make its unification policy heard to the domestic audience by emphasizing bonanza and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for unification. However, the unification discourse, which was mediated through the preparation for unification, caused social tensions, and the negative effects of the unification discourse becoming abstract and ambiguous.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this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pistemological transformation to allow unification of various levels and forms more than to assume unification as a final event. Based on the discussions on the epistemology of unific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new government unification policy are deriv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reparation for unification, the social acceptance of the unification discourse, the evaluation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policy and the necessity of the transition to unification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박근혜 정부의 대내적 통일정책에 대한 평가와 성찰을 통해 통일정책 개발을 위한 논의의 확장에 기여하는 것이다. 남북관계의 경색으로 인하여 박근혜 정부의 통일정책은 국내적 지향성이 매우 강했으며, 그로 인하여 통일대박론이 대두되고 통일준비위원회 등을 통해 전 사회적 통일준비의 확산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런데 통일준비를 매개로 추진된 통일담론은 오히려 사회적 긴장을 초래하였으며, 통일담론이 추상적이고 모호하게 되는 부정적 영향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종적 사건으로서의 통일을 가정하기보다 다양한 수준과 형태의 통일을 중첩적으로 허용하는 인식론적 전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통일에 대한 인식론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통일준비의 제도화, 통일담론의 사회적 수용성, 통일교육 정책의 평가와 통일교육의 전환 필요성 등 평가를 바탕으로 새정부 통일정책의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 A Discussion on Miscellaneous Typologies of Religion and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

        Masuda, Yoshihiko 선문대학교 통일신학연구원 1997 통일신학연구 Vol.2 No.1

        이 소논문은 종교적인 그룹에 대한 다섯 가지의 다양한 유형을 재검토하고 논의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섯 가지의 종교 유형을 동일교회에 적용시켜 봄으로써 통일교회의 독특한 성격과 정체성을 조명해 본다. 종교적 통치 형태에 근거한 첫 번째 유형학에서 볼 때 종교적 그룹에는 감독제 통치형태, 장로제 통치형태, 회중제 통치 형태의 세 유형이 있다. 통일교회는 카리스마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는 감독제 통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종교적 그룹의 두 번째 유형은 성별에 근거하고 있는데 남성 중심적인 그룹, 여성 중심적인 그룹, 양성 중심적인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통일교회는 전형적인 양성 중심적인 그룹에 해당한다. 이것은 하나님이 남성과 여성의 두 성을 가진 존재라고 믿는 통일교회의 신학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창시자인 문선명 목사는 중요한 행사나 회의에 항상 부인 한학자 여사와 함께 참석하고 "참아버지와 참어머니"로서 통일교회의 중요한 의식을 공동으로 집전한다. 그리고 통일 교회 신도들은 "예수(남성) 이름으로"가 아닌 "참부모의 이름으로" 기도를 드린다. 민족성에 근거한 종교적인 그룹의 세 번째 유형에 따르면, 통일교회는 기성 세계종교나 민족적인 종교가 아닌 신흥 세계종교이며 초민족적인 종교에 해당한다. 통일교회는 국가와 인종을 초월하는 국제결혼을 적극 추진하교 있다. 또한 세계 180여개의 각 한 나라마다 한국인, 일본인, 미국인, 유럽인을 국가 메시아로 파송하였다. 통일교회는 1995년 36만 쌍의 축복결혼식을 TV위성중계로 거행하였고, 1997년에는 워싱톤 D.C.에서 TV위성 생방송으로 360만 쌍의 축복결혼식 을 이미 선포했다. 이것은 통일교회가 새로운 세계종교로 향 해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종교적 그룹의 네 번째 유형에 의하면 통일교회는 병약한 영혼의 종교로부터 건전한 정신의 종교로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 있다. 즉 통일교회의 1세는 개인의 죄악성과 그 탕감을 강조하여 '중생'과 '구원주의' 그리고 '자기부정'의 특징을 갖고 있다. 이에 비해 축복2세와 3세는 두 번 태어난 필요가 없고 원죄가 청산된 본성주의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1993년 성약시대에 선포된 통일신도들의 신앙고백문인 '가정맹세'에는 그 이전의 '나의 맹세'에 나타났던 '사탄'이나 '중생과 탕감'의 필요성에 대한 언급 없이 '건설하고 실체화하고 완성할 것'에 대한 맹세가 강조되고 있다. 종교적인 그룹의 다섯 번째 유형학에 의하면 통일교회는 내재적이고 계약적인 종교이다. 과거 가혹한 박해의 역사 속 에서도 통일교회는 그들의 믿음에 대한 신학적인 확신을 가지고 꿋꿋이 이겨내 왔다. 그러나 일부의 사람들은 사회적인 편의 즉, 외부적이고 합의적인 믿음 때문에 통일교회에 가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은 교육을 통해 후에 실질적인 개종이나 신학적인 확신을 얻을 수 있다. 필자는 이 소논문이 통일교회에 관한 몇몇 중요한 특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낳기를 희망한다. One of my academic interests is the typology of religion, and I have gathered and evaluated various typologies of religion for mort than ten years.¹ This paper will present five typologies of religion and attempt to illuminate the identity of the Unification Church(hereafter UC) by applying these typologies to it. I selected the following five typologies because I believe them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C. As a matter of course, I acknowledge that there exist many other renowned typologies that are no less helpful than the following five. Typological terms and concepts are intellectual tools to compare various religious groups and to identify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refore, many scholars consider them very important in religious studics.² I hope the following typological discussions will be of help, not only in understanding som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UC, but also in getting acquainted with some of the renowned typologies of religion.

      • KCI등재

        이명박 정부의 통일세 제안 배경과 향후 추진과제

        김정수 통일연구원 2010 統一 政策 硏究 Vol.19 No.2

        With respect to a ‘unification tax’ proposed in a congratulatory speech by President Lee Myung-bak on the 65th anniversary of National Liberation, this thesisis to provide basic discourses that are needed form or eproductive debates in our society and to help build aright policy direction. This thesis gives four reasons that President Lee proposed unification tax. One of the reasons is to raise people’s awareness on unification. The second reason is related to the increased instability of North Korea. The third one is to prepar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along with implementing May 24 measures. The last one is to induce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participate in the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o br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by absorbing the ongoing debates on unification tax into more broad frame work of ‘unification financing’ in the course of discussions over unification tax, the discussions on the unification tax will build a public consensus. The highest priority should be put on building a public consensus in order to secure unification financing. To do this, we need to focus on more systematic calculation of unification cost and measures to minimize the cost. We need to make more efforts to demonstrate “unification benefits,” which are far larger than unification costs, in the politics, security, economic, and social sectors. Second, the measure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should be deliberated because unifying the two Koreas is not just an issue of the South and the North. We should take a less on from the experience of the West Germany that took various measures to induce cooperation from the neighboring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as well as the United States and the U.S.S.R in the process of the German unification. Third, we need to prepare for gradual and stage by stage unification process. The unification financing should be prepared in both ways – before and after unification of two Koreas. In short, a road map for unification financing should be made. From now o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discussions on unification cost will be presenting feasible visions for unification. Only when people share the vision and are willing to bear unification cost, the era of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begin.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지난 제65주년 8.15 광복절을 맞이하여 이명박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제안한 바 있는 ‘통일세’와 관련하여 우리 사회에서 보다 생산적인 토론과 대화에 필요한 기초적인 논의를 제공하여 올바른 정책방향을 수립하도록 돕기위함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통일세 관련하여 언급한 배경으로 네 가지를 꼽았다. 그것은 ① 통일에 대한 국민의식 고취, ② 북한의 불안정성 증대, ③ ‘5.24’조치와 함께 한반도 미래준비, ④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참여 및 한반도 평화관리 등이다. 따라서 향후통일세 관련 논의과정에서는 ‘통일재원’ 마련이라는 보다 큰 틀에서 수용하는 태도를 취함으로써 찬반을 넘어 사회적 합의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일재원 마련을 위한 가장 우선 고려 대상은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통일비용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산출과 최소화를 위한 방안에 초점을 맞추어 나가야 한다. ‘통일비용’ 보다 훨씬 더 큰 ‘통일편익’을 정치안보 차원·경제적 차원·사회문화적 차원에서 보여주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통일코리아는 남북한만의 과제가 아니므로 국제사회와의 협력 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독일통일 과정에서 서독은 미국과 소련은 물론 주변국인 프랑스와 영국 등의 협력을 얻기 위한 다양한 조치들을 이행한 점을 교훈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셋째, 점진적이고 단계적인 통일과정을 준비해야 한다. 재원 마련도 통일이전의 방안과 통일과정에서의 방안 등을 구분하여 대비해야 한다. 한마디로 통일재원 마련을 위한 로드맵을 만들어야 한다. 향후 통일비용 논의의 전개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일에 대한 실현가능한 비전 제시가 될 것이다. 그 비전을 국민들이 공감하면서 통일비용을 감내할 의지가 확고할 때 비로소 한반도의 통일시대는 활짝 열리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