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이상아 ( Lee Sang-ah ),최진혁 ( Choi Jin-hyeo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4명의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독립변인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과 함께 환경 조절 전략과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을 포함한 것으로, 각 전략의 세부 절차를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진행되었다. 중재는 연구 대상 아동들이 내원하고 있는 아동발달센터 내 일대일 중재가 이루어지는 언어치료실에서 15회기씩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 ‘시작 발화’와 ‘반응 발화’를 포함하는 자발화와 ‘요구하기, 반응하기, 객관적 진술하기, 주관적 진술하기’의 기능적 의사소통의 유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으며, 중재 전 기초선, 중재, 유지와 일반화를 위한 중재 후 기초선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중재 전 기초선에 비해 중재기간과 중재 후 기초선에서 나타난 연구 대상들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이 나타나는 빈도가 증가하였다.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발화와 기능적 의사소통을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ability related to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structured intervention room setting for Enhanced Milieu Teach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fou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or this study,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identify a potential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embedded in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situa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ncluded the frequency of the exact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emitted by the participants.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participants’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The effects of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maintained in the follow-up post-intervention probe phas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the spontaneous language and function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통합 상황에서 실시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Enhanced Milieu Teaching)가 자폐 유아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

        김기옥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7 특수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the spontaneous utterance for children with autism in inclusive setting.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autism were selected an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Spontaneous utterance measured through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The intervention was composed of 7-39 sessions and occurred in classroom during the child-selected play activities. The 3 generalization s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across setting.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in 3 children with autism increased through enhanced milieu teaching. Second,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period was generalized in two children with autism. Third,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period was maintained after stoping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s that EMT(Enhanced Milieu Teaching) used in inclusive set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pontaneous utterance of children with autism. 자폐 유아들의 의사소통 영역에서의 결함은 자폐를 진단하는 주요 진단 기준으로, 자폐 유아들의 절반 이상이 기능적인 언어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자폐 유아들은 의사소통적 의도를 갖고 타인과 자발적으로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러한 의사소통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연적 중재의 일환으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제안되었고, 최근에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한 연구자들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통합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세 명의 자폐 유아들의 자발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은 통합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자폐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대상 유아가 소속된 학급의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진행되었으며, 놀이 활동 속에 삽입된 목표 발화를 아동이 습득하도록 중재하였다. 일반화는 중재가 종료된 후 강당 놀이 시간에 아동의 자발화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유지는 중재가 끝난 2주 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통하여 대상 유아들의 자발화가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자발화는 대상유아3을 제외하고 일반화 되었고, 연구에 참여한 자폐 유아들의 중재효과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유아들의 자발화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통합된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적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어머니 매개 중재방법의 일반화 효과 연구

        민정원 ( Jung Won Min ),황복선 ( Bog Seon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어머니와 아동과의 상호작용 행동은 아동의 언어와 사회성, 인지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지시적이고 통제적이며 과도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머니 매개 중재방법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아동의 목표행동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고있을 뿐, 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의 일반화된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어머니 행동평정척도를 활용하여 어머니 매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에 참여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에 있어서 어떠한 긍정적인 일반화 효과(반응 일반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4명의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과 어머니들이 본 연구의 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어머니 행동평정척도 내 12개의 어머니상호작용 행동을 기초선-중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평정척도의 기초선-중재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의 형태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발견되었다. 어머니 매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습득한 후,어머니들은 자신의 아동에게 더욱 긍정적인 감정과 성취행동,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덜 지시적으로 반응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어머니 매개 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내용을 구안하는데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generalized changes in interactive behavior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 who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a parent-implemented Enhanced Milieu Teaching. Four children with PDD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scores on 12 maternal behavior subscales of the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was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overall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during baseline and intervention sessions using the global rating approach. In particular, mothers of children with PDD exhibited more frequent positive affect, responsiveness, and achievement behaviors and displayed less directive behaviors toward their children. The results might be interpreted that mothers of children with PDD acquired positive and optimal features of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PDD.

      • KCI등재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과 발화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에 미치는 효과

        조윤미,최상배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2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s study compared the vocabulary,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after 20 interventions in 5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ocabular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During the 20th session, not on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the target vocabulary improved, but also the vocabulary development age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he equivalent age of acceptance improved by 9~21 months, and the equivalent age of expression improved by 2~18 months. Second,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influenced the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ost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had more utterances than before intervention and used multiple words rather than single words. Compared to the limited type of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 types before intervention, various types of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s were used after intervention.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 of enhanced milieu teaching using children’s so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suggesting that the enhanced milieu teaching is meaningful in improving vocabulary and semantic patterns and semantic relationships. 이 연구의 목적은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발달지체 유아 5명을 대상으로 중재 전후의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어, 20회기 동안 목표어휘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중재 후 어휘발달연령도 증가하였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발화 의미유형과 의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대부분의 발달지체 유아는 중재 전보다 발화수가 증가하였고 단단어보다는 다단어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중재 후 다양한 의미유형과 의미관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동요를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효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어휘력과 발화의 의미유형 및 의미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운이 ( Kim Un-i ),최상배 ( Choi Sangb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3명의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선정하여 5개월간 총 24회기의 몸짓상징 중재를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요구하기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유아 A는 중재 이후 요구하기 빈도가 높아졌으며, 유지 단계에서도 회기별 차이는 있었지만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유아 B는 중재 초기에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는 정체되었다. 유아 C는 요구하기 빈도가 증가되는 회기도 있었으나 중재 후기와 유지 단계에서 정체되었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반응하기 기능 향상에 제한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대상 유아 간 차이가 컸다. 유아 A와 B의 경우에는 반응하기는 낮은 빈도를 보였으나, 대상 유아 C의 경우에는 반응하기 빈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결론: 강화된 환경중심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대상 유아의 요구하기에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대상 유아의 반응하기에는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났으며, 대상 유아 간 효과 개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를 위한 몸짓상징 중재를 적용할 때는 각 유아의 개인적인 특성과 차이, 중재에 대한 반응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communicative function of nonverbal infants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Three non-verbal infants with ASD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for a total of 24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s for 5 months. Results: First,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demand of infants with ASD. Infant A became more demanding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somewhat to some extent, even in the maintenance phase. Infant B increased in frequency of demanding early in the intervention but stagnated in the late and maintenance phases. Infant C had sessions with increased frequency of demand, but stagnated during the lat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Second,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the responding of infants with ASD,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infants were large. Infants A and B showed a low frequency of responding, but in the case of Infant C, the frequency of respondi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gener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ing but had a limited effect on the responding of the target infant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among the target infants were large. Th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infant, an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lying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ASD.

      • KCI등재후보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와 반향어에 미치는 효과

        노은호,김은경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1

        이 연구에서는 통합상황에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 아동의 자발화의 증가와 반향어의 기능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언어연령이 만2-3세이며 생활연령이 만7세의 자폐 아동 1명이었다. 실험 설계로는 ABAB 설계를 사용하였고, 중재는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통해 자폐 아동의 자발적 발화의 빈도가 증가되었다. 시작발화가 반응발화에 비해 빈도가 더 증가되었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통해 자폐 아동의 즉각 반향어와 지연 반향어의 증가 되었으며 기능별 결과로는 반향어의 상호작용 기능보다는 비상호작용 기능이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on spontaneous utterance and echolalia of the autistic child in an Inclusive Setting. For this study, one autistic child was ABAB design has been used. The intervention was practiced in preschool classroom. Data was collected by frequency recor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hanced Milieu Teaching increased in beginning utterance and response utterance of the autistic child. Second, Enhanced Milieu Teaching increased in immediate echolalia and delayed echolalia.

      • KCI등재후보

        증강현실을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적용 및 개발 효과: 말늦은 다문화가정 영아를 대상으로

        이미숙,이하원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2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hanced milieu teaching program using augmented reality and apply it to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late talkers to verify its effect on their language development(vocabulary, language abil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 The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the survey of the needs of staff at the childcare center. After that, the final program was confirm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in related field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 total of 30 2-year-old infants in a daycare center in Ward G of S City were subjected to an experiment. Of these, 10 are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late talkers(experimental group), 10 are inf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ithout late speech (comparison group 1) and infants from monocultural families (comparison group 2). The study period is 16 sessions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research tools are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and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SELSI), and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Kruskal-Wallis and Mann-Whitney U test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through Bonferroni corr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receptive vocabulary change than the comparison groups 1 and 2.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change in language competence than the comparison groups 1 and 2. Third, based on teachers' journals, it was found that they acquired various communication function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enhanced milieu teaching program using augmented reality in Korean childcare center,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late talkers are rapidly increasing, can improve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말늦은 다문화가정 영아에게 적용하여 언어발달(어휘력, 언어능력, 의사소통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보육현장 교직원의 요구조사를 기초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후 관련 분야의 전문가 협의를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시 G구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2세 영아 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중 10명은 말늦은 다문화가정의 영아(실험집단)이며 10명은 말늦음이 없는 다문화가정의 영아(비교집단 1) 그리고 단일문화가정의 영아(비교집단 2)이다. 연구기간은 주 2회, 8주간으로 총 16회기이다. 연구도구는 수용·표현 어휘력검사(REVT)와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도구(SELSI)이며 통계방법은 Kruskal-Wallis,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한 후, 유의 수준은 Bonferroni correction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1, 2보다 유의한 수용어휘 변화량을 나타냈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1, 2보다 유의한 언어능력 변화량을 나타냈다. 셋째, 교사들의 저널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습득하였음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문화가정이 급증하고 있는 현 대한민국의 보육현장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강화된 환경중심 프로그램이 말늦은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자폐 유아의 의사소통 특성과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에 관한 연구

        노은호(Noh, Eun Ho) 한국보육학회 2009 한국보육학회지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자폐 유아의 의사소통 특성과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자폐 유아에게 적합한 언어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자폐 유아와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한 문헌 연구를 하였다. 결론으로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자폐아에게는 적합한 중재 방식이라는 점이다. 즉 자폐아의 일상생활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친밀하게 반응해주고 정교화된 의사소통의 모델을 보여줌으로써 의사소통 시도에 대한 촉진과 기능적 후속 결과를 제공해주어 의사소통 기술을 가르치는 자연적인 접근이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utistic children's communication and enhanced milieu teaching and to present the research data about language intervention for autistic children. This study has been reviewed previous researches about appropriate language intervention of autistic children for literature review. In conclusion, enhanced milieu teaching is an effective language intervention for autistic children. The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enhanced milieu teaching relative to natural and appropriate method of autistic children's communication in daily setting.

      • KCI등재

        무발화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능 습득을 위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 교수의 사례 연구

        백현미,최양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1 No.4

        본 연구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 교수가 무발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중 요구하기와 반복하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지닌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 5명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단계 순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요구하기와 반응하기의 매 회기당 이루어진 총 횟수에서 정반응하는 발생률을 구하였으며 유지 검사는 중재가 종료된 2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 교수가 무발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중 요구하기와 반응하기 능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기초선에서 요구하기와 반응하기에 반응이 전혀 나타나지 않다가 중재를 적용한 이후에 요구하기와 반응하기 수행률 모두 전반적으로 증가를 하였다. 둘째,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 교수가 종료되고 2주 후에도 의사소통 기능 효과가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 교수가 무발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 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중 요구하기와 반응하기의 습득과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 대상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 연구 분석

        신주원,박지영,안아현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is study analyzed single-subject studies in Korea that applied enhance milieu teaching(EMT) for developmental delays,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disorders. The aim was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mestic studies on EMT and analyze their qualitative levels using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CEC) qualitative indicators(QI). [Method] This study included 14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23, that targeted children diagnosed with Developmental Delay,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ad a single-subject design in which the arbitrator directly mediated the subject.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were assessed publication year, study subject, study design,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evaluated using the CEC's eight areas and 22 qualitative indicators. [Results] EMT, conducted on DD, ID, and ASD, was the most common study in preschoolers diagnosed with ASD. Regarding study design, most of the studies used a multiple baseline designs(across setting and subject).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ll elements of EMT, including environmental control, reactive interaction and milieu teaching strategies. Improvement in spontaneous utterance was the most common dependent variable. The analyzed studies exhibited a somewhat low qualitative level, with an average fulfillment rate of 65.6% for the CEC's QI. None of the studies met all of the CEC's qualitative indicators. [Conclusion] The number of studies on EMT for individuals with DD, ID, ASD is limited. Existing studies, primarily focus on presch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pand the subjects to elementary school, adolescent student. Additionally, the qualitative level of existing studies is low, necessitating efforts to improve study quality. High-quality studies are essential to apply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children with DD, ID, and ASD. [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적용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을 파악하고 CEC에서 제시한 질적 지표에 따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대상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이며, 중재자가 대상자에게 직접적인 중재를 실시한 단일대상 연구로 설계된 논문이며 2000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4편을 선정하였다. 발행연도, 연구 대상자, 연구 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으로 구분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CEC에서 제시한 질적지표의 8개 영역, 22개 지표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결과]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수행된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는 자폐성장애아동을 대상으로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설계로는 대부분의 연구가 중다기초선 설계(상황간, 대상자간)를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환경 조절, 반응적 상호작용, 환경중심 언어중재 전략의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며 종속변인으로는 자발적 발화 향상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된 논문의 질적 수준은 CEC의 질적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평균 65.6% 충족률로 다소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의 수가 적으며 미취학 아동에게 집중되어 있어 초등기, 청소년기까지 대상자를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아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높은 질적 수준을 갖춘 연구를 통해 발달지체,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아동교육 및 중재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