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 현황 및 개선과제에 대한 고찰

        심정미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2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n society, which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suggest improvement tasks through policy problems.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were examined. Next, the main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and related laws and systems are summarized. In addition, we looked into multicultural policies abroad.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the issue of improvement measures was considered, and improvement tasks for each issue we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n Ko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policies, which are increasing due to the influx of various foreigners such as marriage migrant women, migrant workers, and mid-immigrant youth.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정책의 문제를 통한 개선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과 관련된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족정책의 주요 내용과 이와 관련된 관련 법이나 제도를 정리하고, 해외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족정책의 현황을 바탕으로 개선방안에 대한 쟁점을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다문화가족정책의 발전을 위한 쟁점별 개선과제를 제시하면서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 이주노동자, 중도입국청소년 등 다양한 외국인이 유입되면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적 제언과 실천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황희봉,주은선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s of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between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upport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among youths from multicultural famil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9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from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cases are 1,075 which are high school third-year student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nily becomes higher. Second,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becomes higher. Third, if the parental support is stronger, self-esteem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becomes higher. Fourth, there are parallel and double mediating effects of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parental support has positive effects on national identity and self-esteem of the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as a result, they strengthen achievement motivation. 본 연구는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다문화청소년패널 9차년도 자료이며, 분석 대상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 1,075명이다. 본고에서는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국가정체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자아존중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지지가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은 병렬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 다문화가족에서 부모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국가정체성과 자아존중감은 높아지고, 이는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성취동기를 높이게 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정책의 시기별 변화양상 분석 (2013년 ~ 2022년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을 중심으로)

        조수경(Sukyung Cho),홍상욱(Sangook Hong)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2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대상별 정책 대상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맞춤형 다문화 교육 실현’, ‘학부모 다문화 교육활동 참여 확대’,‘교원의 다문화 역량 강화’로 그 특징을 요약할 수 있으며,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과 유사한 방향으로 경상북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이 추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을 바탕으로 대상별 관련정책의 문제점을 확인하면 다음과 같다. 다문화 학생과 일반학생을 구분하여 정책을 추진한다는 것이 다문화의 개념을 우리나라를 제외한 문화적 특정 국가의 문화를 축소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으며, 다문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수에 비해 학부모와 교원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수는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 모두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부와 경상북도 교육청의 다문화 교육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다양한 문제점이 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우리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정책을 수립하고, 다문화 가정 학부모와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교육정책을 제시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olicy target change process by targe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its characteristics were summarized as "realization of customized multicultural education," "expansion of parents' multicultural education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eachers' capabiliti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and the Gyeongsangbuk-do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olicy were similar. Based on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the problems of related policies for each target are as follow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shrinks the culture of specific cultural countries except Korea when policies are promoted separately between multicultural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the ca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the number of policies for parents and teachers wa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polic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As such,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ie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our region and present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parents and teac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후보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레질리언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강화(Hua Jiang),배은경(Eun-kyung, Bae)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1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문화적응스트레스, 레질리언스가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으며,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 차별스트레스)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는 정신적 웰빙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이 한국어수준을 높게 인식할수록, 레질리언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신적 웰빙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적 웰빙에 관한 관련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레질리언스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한국어수준, 문화적응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정신적 웰빙을 지원할 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s the effects of general characteristics,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resilience on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in adjustment process and stress from discrimination.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resilience among multicultural youth, which is a the higher factor of mental well-being, the better school adaptation.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on mental well-being of multicultural youth was the highest in resilience, followed by the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acculturation stress.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전문가집단의 심층면접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탐색적 연구

        손화희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2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4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aching techniques, and the method of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they perceiv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advance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of the professional group at elementary schools, junior schools, and high schools. For this, 19 multicultural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at elementary schools, junior high schools, and senior high schools in the Gyeonggi-do region had been recruit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using interview questionnaire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prepared as transcripts and used for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urpo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ollowing were proposed: Cooperation and respect for human beings through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 contribution to social integration through equal educational opportunity, The adaptation to the society and the pride, The guarantee of the opportunity equality and the basic rights, Second, regarding the class technique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ollowing plans had been emphasized: The utilization of the educational media and the sufficiency of the suppl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need to develop the teaching techniques, The management of the practical education and the field experience, Etc., Third, regarding the method of th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act that integrated education and separated education must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and the need for the public multicultural alternative school had been proposed. It is expected that this qualitative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교의 현장 전문가 집단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그들이 지각한 다문화 교육의 목적, 수업기술, 운영방법을 분석하고 다문화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 초·중·고교 가운데 다문화교육을 실천한 경험있는 전문가 1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면접질문지를 활용한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면담내용은 녹취록으로 작성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가들은 다문화 교육의 목적으로 ‘국제 이해를 통한 상호협력과 인간존중’,‘평등한 교육기회를 통한 사회통합의 기여’,‘사회 적응 및 자부심’,‘기회균등 및 기본권의 보장’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수업기술에 대해 ‘교육매체의 활용 및 교수학습자료의 보급 강화’, ‘수업기술의 개발 필요’,‘실질적 교육운영과 현장체험’등의 방안을 강조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운영방법으로 통합교육과 분리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과 공립 다문화 대안학교와 같이 제도권 내 수용할 수 있는 대안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질적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베이비부머의 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김현정(Hyun-Jung, Kim),유두련(Doo-Ryon, You)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0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baby boomers in aging multiculturalism.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pathy is mediating role in baby boomer s self-esteem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For the analysis, a total of 29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baby boomers living in Daegu. As a result, first, self-respect, empathy abil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baby boomer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educational attainment, economic level, overseas travel status, immigrant contact status, Media exposure status, Group self-esteem,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are affecting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 baby boomer s empathy is shown to b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effect of baby boomer s self-esteem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adaptation to the aging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ntegration of our society by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baby boom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다문화사회에서 베이비부머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을 살펴보고, 베이비부머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능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분석을 위한 조사는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총 290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고,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다중회귀분석, 상관관계분석, 매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아존중감, 공감능력은 베이비부머의 다문화 수용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학력, 경제수준, 해외영행 유무, 이주민 접촉유무, 미디어 노출유무, 집단자아존중감, 인지적공감능력, 정서적공감능력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베이비부머의 공감능력은 개인 및 집단자아존중감과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베이비부머의 고령다문화 사회의 적응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향후 다문화사회에 대한 새로운 공감대 형성과 폭넓은 수용 및 공존을 통해 사회통합에 기여함에 있어서도 시사 하는 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 고찰

        모아라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oblems in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by mak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 direction of improving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citizens living in the S city, and analyz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hift in perception from stereotypes and prejudices. Second, there was the mass media which conveying correct contents about multiculturalism. Third, there was an expectation of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Fourth, there was a paradigm shift in policy. Fifth, there was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that embraces divers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the need for more proactive community interest and participation, a systematic administrati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support organization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and provided the suggestion that the entire society should make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ism.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and may contribute to its settlement. 본 연구는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에 대하여 심도 있게 분석함으로써, 한국 다문화 사회에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에 살고 있는 시민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고정관념 및 편견으로부터의 인식전환, 둘째, 대중매체에서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내용 전달, 셋째, 교육을 통한 효과 기대, 넷째,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다섯째, 다양성을 포용하는 문화 정착으로 나타났다. 한국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보다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 국가·지자체 및 관련 지원기관 등의 체계적인 행정관리 시스템이 필요함을 파악하였으며, 다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을 위해 사회 전체의 노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 개선방향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실력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영주(Young-joo Jeong),신원식(Won-shik Shin)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19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1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ffects of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n their school life. With 20 statements related to ‘Korean’, Q sorting was conducted 8 subjects. The result of Q factor analysis revealed 3 types. They are recognition of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enhance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assive inhibition and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hindrance and no alternatives”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ir insufficient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aused difficulties including learning, friendship, and emotional issues. Therefore, the necessity of education methods that reflec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was suggested in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실력과 그에 따른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문화가정 자녀를 지원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 8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실력과 학교생활과 관련된 2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Q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첫째,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않고 알림장 내용 이해가 어려워 준비가 불편하다는 ‘언어능력 부족 인정-한국어교육 강화형’이다. 둘째, 학교생활 적응도 쉽지 않아 정서적인 측면까지 힘들어하는 ‘소극적 억제-한국어교육 실천형’이다. 셋째, 학교수업 내용이 이해되지 않고, 선생님과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는다는 ‘학습저해-대안 부재형’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실력 부족이 학업문제, 교우관계, 정서적 문제 등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에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이 반영되는 교육방법과 개별화된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에 관한 종단적 연구: 건강 발달궤적과 사회적 관계 발달궤적을 중심으로

        권미영(Mi-young Kwon),박보영(Bo-young Park)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건강과 사회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우울뿐 아니라 주관적 건강상태와 자아존중감까지 포괄하여 건강의 구성요인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종단적 분석을 위하여 건강 변화율과 사회적 관계 변화율을 파악하였고, 나아가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은 비(非)다문화청소년들과 달리 분절적 동화의 영향으로 학년이 올라가도 건강이 나빠지지 않았고, 중학생 때의 사회적 관계가 이후의 사회적 관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건강상태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사회적 관계가 좋았고, 사회적 관계가 좋은 다문화청소년들은 건강이 지속적으로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학생 때 사회적 관계가 취약했던 다문화청소년들은 처음엔 건강도 좋지 못했으나, 학년이 올라가면서 건강이 빠르게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사회적 관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많은 관심과 지지를 받으면, 건강상태 역시 빠르게 좋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런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특히, 양질의 사회적 관계가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적 관계 지원프로그램을 중학교 저학년 때부터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analysi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Unlike preexisting studies, this study expanded the components of health to include not only depression but also self-rated health and self-esteem. And, for longitudinal analysis, the rates of change in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was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multicultural adolescents, unlike non-multicultural adolescents, did not deteriorate in health even as they grew older due to the influence of ‘Segmented assimil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continued to affect later social relationships.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health had good social relationships, 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good social relationships tended to continuously improve their health. On the other hand,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had poor social relationships in middle school had poor health at first, but their health tended to improve rapidly as they went up in grade. It shows that if adolescents receive a lot of attention and suppor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their health could also improve rapid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high-quality social relationships have a positive effect on health, this study argued that ‘social relationship promo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be provided from the lower grades of middle school.

      • KCI등재후보

        「2019 개정 누리 과정」에 기초한 유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김주희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eachers' need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Based on the infant and play-oriented Nuri cours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whether it shows differentiated results from before the revision were investigated, and teachers' requirements for organically linking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vised Nuri course's "childhood and play-oriented" guidelines partially improved the perform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trengthened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verall, early childhood teachers acknowledged the usefulness and justifica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guidelines, but suggested that in order to establish more efficient and interesting multicultural education for infants, abundant educational resources (video, play content, experiential learning, etc.) must be used,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 guidelines must be provided. In addition, it additionally demanded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es or program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games, and the promot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ies. 본 연구는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유아 다문화 교육의 인식 및 실태와 「2019 개정 누리 과정」에 기초한 유아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실질적, 세부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아·놀이 중심의 누리 과정을 준거로 삼아 유아 다문화 교육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개정 이전과 차별화된 성과가 나타나는지에 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개정 누리 과정의 지침과 다문화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교사들의 요구사항을 함께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정 누리 과정의 ‘유아·놀이 중심’ 지침은 다문화 교육의 성과를 부분적으로 향상시키고 유아교사들의 교육적 열의를 강화하는 데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유아교사들은 개정 누리 과정 지침의 유용성, 당위성 등은 인정하지만, 그 같은 지침과 유아 다문화 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보다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다문화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풍부한 교육적 자원(동영상, 놀이 콘텐츠, 체험 학습 등) 활용, 프로그램 개발, 교사 지침서 제공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지역 사회와 연계한 다문화 교육 수업 또는 프로그램 구성, 다문화 놀이의 개발·보급, 교사 연수 기회 증진 등을 추가적으로 요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