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멘토 및 수퍼바이저제도를 연계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 특수교육교사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복선 ( Bog Seon Hwang ),민정원 ( Jung Won Min ),김계전 ( Kye Jeo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실무능력을 갖춘 특수교육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지역사회 현장교사의 멘토제도 도입과 지역대학 내 실습수퍼바이저제도 도입을 연계한 협력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 특수교육교사의 수행능력에 미치는 그 영향을 살펴보고자 모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 지역대학 내 특수교육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특수교육교사 27명이 대상이었으며, 설문조사의 분석결과 (1) 지역사회 현장교사와 대학이 연계한 협력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실시후, 예비 특수교육교사의 수행능력 즉, 특수교육관련 기초지식, 특수아동 특성분석 및 교수방법, 긍정적인 환경지원에 대한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 세부항목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항목은 학생관련 정보와 학교관련 기밀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보장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항목으로, 본 실습프로그램 실시 전부터 연구대상자들이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를 높게 평가한 결과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을 통하여, 지역사회 현장교사와 대학이 연계한 협력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정착을 위하여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실무-중심형 특수교육교사 양성과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In order to produce compet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resent study desig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teacher training practicum program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performance competencies by introducing a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mentors within a local community and introducing supervisors within a local university. A total of 27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who were sophomore in a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ithin Choongchung school district serv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s results of our survey``s data analysis, we found that (1)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llaborative practicum program connected with active mentors and supervisors within the local community,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performance competencies including foundation knowledge related on special education, analysi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positive learning environment support; and (2) one sub-item including abilities to maintain confidential communication about students and school related informations,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because the research participants rated high scores on the needs of those skills even before implementing the practicum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and concerns of practice-based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 to establish an collaborative teacher training practicum program connected with special school mentors and university supervisors within a local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어머니 매개 중재방법의 일반화 효과 연구

        민정원 ( Jung Won Min ),황복선 ( Bog Seon Hwa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1

        어머니와 아동과의 상호작용 행동은 아동의 언어와 사회성, 인지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상호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는 지시적이고 통제적이며 과도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어머니 매개 중재방법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아동의 목표행동의 변화에만 초점을 맞추고있을 뿐, 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의 일반화된 변화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어머니 행동평정척도를 활용하여 어머니 매개 환경중심 언어중재 연구에 참여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상호작용 형태에 있어서 어떠한 긍정적인 일반화 효과(반응 일반화)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4명의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과 어머니들이 본 연구의 대상으로 참여하였으며, 어머니 행동평정척도 내 12개의 어머니상호작용 행동을 기초선-중재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평정척도의 기초선-중재 평균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의 형태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가 발견되었다. 어머니 매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습득한 후,어머니들은 자신의 아동에게 더욱 긍정적인 감정과 성취행동,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며,덜 지시적으로 반응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반적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어머니 매개 조기중재 프로그램의 교육적인 내용을 구안하는데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generalized changes in interactive behaviors of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PDD) who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a parent-implemented Enhanced Milieu Teaching. Four children with PDD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mparison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scores on 12 maternal behavior subscales of the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was employe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in overall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during baseline and intervention sessions using the global rating approach. In particular, mothers of children with PDD exhibited more frequent positive affect, responsiveness, and achievement behaviors and displayed less directive behaviors toward their children. The results might be interpreted that mothers of children with PDD acquired positive and optimal features of maternal interactive behaviors. Thes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ntents of parent-implement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PDD.

      • KCI등재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이 교과목을 수강한 예비특수교사의 학습능력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복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이 특수아 초등 수학과지도를 수강한 예비특수교사의 포괄적 학습능력 인식 변화에 미치는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지역 대학 내 특수교육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28명이 대상이었으며, 사전-사후 설문조사의 결과 자료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 특수아 초등 수학과지도와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 후, 예비특수교사의 포괄적 학습능력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 방향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역별 세부항목 중 ‘수업내용에 대한 이해 및 적용’ 영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영역에서 크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성적 등급에 따라서는 ‘A등급’과 ‘B등급’의 경우 포괄적 학습능력 인식이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을 통하여 유의미하게 변화된 반면에 ‘C등급’의 경우는 전체 학습능력 인식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업과 연계한 학습 포트폴리오 체계의 적용을 통하여 예비특수교사의 학습능력 인식 변화를 긍정적으로 유도해 나갈 수 있도록 실제적이고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learning portfolio-based program on learning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student teachers during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urse. A total of 28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junior and senior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ithin Choongchung school district serv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To analyze statistically pretest-posttest survey’s data results, the matched pair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results of the survey’s data analyses, I found that (1)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portfolio-based program connected with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urs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mprehensive learning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five sub-items showed less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except one sub-item including ‘knowledge and application abilities on instructional contents’. (2) According to grades, ‘grade A’ and ‘grade B’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learning competencies’ perception through the learning portfolio-based program connected with ‘Mathematical Teaching Methods for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Students’ course. There were, however, no statistically positive differences in learning competencies perceived by ‘grade C’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positively changes of learning competencies perceived by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learning portfolio-based program connected with university courses.

      • KCI등재

        The Effects of Peer-Mediated Training on Increasing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Hwang, Bog-Seon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장애아동은 긍정적인 사회적응과 취업의 결과, 학업성취를 유도하는데 상당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사회성 문제로 야기되는 장애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취업부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아동을 또래매개로 활용하는 중재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각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또래매개 중재방법의 구성요소와 적용방법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매개 중재방법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이르러서야 연구되고 있기 때문에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증진에 미치는 또래매개 중재방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철저한 분석이 필요한 영역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또래매개 중재방법을 적용한 실험연구의 대상아동 특징과 연구방법론적인 양상, 또래매개 중재방법의 효과를 분석하여, 본 중재방법의 효과적인 실제 적용과 관련된 가능한 변인을 발견해 보고자 모색하였다. 관련 실험연구의 문헌분석 결과에 의하면,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적인 상호작용 능력 증진에 일반아동을 활용한 또래매개 중재방법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연구방법론적인 제한점과 아울러 일반화 및 유지효과 분석에 대한 심각한 제한점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장애 고등학생의 사회성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의 방향과 교육적인 실제의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Social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y be promoted by interaction with their general education peers. Although many peer-mediated strategies shared common features in regard to measuring social interaction as an outcome variable, variability existed in regard to the components of the interventions and how they were implemented. To identify possible factors relating to intervention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f peer-mediated strategies utilized to promote social interaction with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ological issues, and findings. Based on the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the progress were made in the development of peer-mediated strategies to facilitate social interac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re were some methodological limitations including lack of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measures.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ritical variables that may relate to intervention effectiveness in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efforts.

      • KCI등재

        여가활동에서의 또래-친구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황복선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2 특수교육 Vol.11 No.1

        본 연구는 여가활동의 맥락 속에서 장애대학생(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과 비장애대학생을 연계한 또래-친구 프로그램이 장애대학생의 포괄적인 사회적응 능력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청지역 내 대학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6명이 대상이었으며, 사전-사후 설문조사의 결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비장애대학생과 연계한 또래-친구 프로그램의 실시 후, 장애대학생의 사회적응 능력에 대한 인식 즉, 사회적인 상호작용 및 사회적인 수용도, 심리적인 만족감, 자기 결정권 및 선택권, 자기 효능감 및 지역사회 적응능력에 대한 모든 문항에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문항들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은 문항들은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친구나 동료들 사이에서 중요한 구성원으로서 인식되는 사회적인 수용성과 여가활동에 참여하면서 인식하는 행복감과 관련된 문항으로, 또래-친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에도 장애대학생들이 외롭다거나 고립감을 느끼는 결과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비장애대학생과 연계한 또래-친구 프로그램의 지원을 위한 실제적이고 정책적인 시사점을 개선 방안과 협력 체제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eer-buddy program conne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perception to social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naturally existing leisure activities. A total of 16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e., physical disabilities, visual impairments, hearing impairments) who were enrolled in an university within Choongchung district served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the matched pair t-test was used to analyze statistically differences of pretest-posttest survey’s data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were tha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eer-buddy program conne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perception to social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luding social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sonal satisfaction, self-determination and personal choice, and self-efficacy and community adjustment. However, two sub-items including perception to social acceptance as an important member among peer buddies and feeling of happiness in participating leisure activities showed less significant effects than other items because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elt loneness and isolation during implementing the peer-buddy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supporting a peer-buddy program connected with university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future directions and collaboration system.

      • KCI등재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교사-일반교사간 협력 모형 : 구조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소현,황복선 국립특수교육원 2000 특수교육연구 Vol.7 No.-

        통합환경 내에서 장애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의 성공적 실행을 위해서는 교육 현장에서 교과과정의 지원과 중재를 담당하고 있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이 하나의 포괄적인 체제로 적용되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영역간 협력적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는 전통적인 교육 모형의 구조적인 측면의 개편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협력관계 형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교사들의 구체적인 역할과 역할 수행에 필요한 기본 기술 및 역동적인 협력과정의 조직을 위한 전략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두 영역의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서비스 제공자와 협력자로서 이중적인 역할들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함께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포괄적으로 시간을 배당하는 방법과 배당된 시간동안 효율적인 상호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셋째, 협력교사들의 역할 수행시 요구되는 세 가지 특별한 기본 기술들(정보나 기술을 교환하는 기술,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 의견일치에 의해 결론을 유도하는 기술)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훈련 방법들을 모색해 보았다. To accomplish the ultimate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tegrated school and community environments, the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most directly involved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or monitoring the daily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addressed in one cohesive and comprehensive system. According to this view, organizational shifts in traditional service provision models should be accompanied in order for such collaborative educational program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clarified the primary functions of collaborative educational teachers, discussed the important interpersonal collaboration skills required for engaging in their role release, and presented the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organizing their time in dynamic change process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was discussed: (1) the dual functions as service provider and collaborator of collaborative educational teachers in two educational disciplines; (2) the use of block scheduling to allocate time to work together and strategies to collaborate effectively during the block scheduled time; and (3) training methods for developing specific collaboration skills required for effectiv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collaboration (i.e., exchanging information and skills, solving problems, making decisions by consensus, resolving confli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