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마케팅 연구의 효과 크기 (Effect Size)에 대한 메타 분석

        나운봉(Woon Bong Na),박찬욱(Chan Wook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06 마케팅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소비자 연구에 있어서, 단순히 유의성에 대한 통계 분석을 보고하는 것 이외에 연구 효과의 크기(effect size)를 측정함으로써 연구의 내적ㆍ외적 타당성을 높일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효과의 크기의 측정은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을 보다 원활하게 해줄 뿐 아니라 연구 성과를 비교 평가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수단임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효과의 크기 측정을 위하여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ω2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특이한 점 중의 하나는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 학술지의 경우에는 효과의 크기가 상당히 크게 나왔지만 대부분의 학술지에서는 미국의 기존 연구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전체적으로 미국의 경우에 비해 효과의 크기가 약 0.03 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의 경우는 대학생과 실험실 상황에서 높은 연구효과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국의 연구 결과와는 상반된 것으로 매우 한국적인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주 연구주제와 상호 효과에서는 한국에서도 미국의 연구 결과와 같은 패턴을 보였다. 즉, 미국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연구자의 관심이 많은 부분에 좀 더 효과의 크기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측정 방법론적인 문제에서는 ω2, r의 경우는 체계적인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d의 경우는 분포가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분석 방법에 따른 효과의 차이에서도, 한국의 경우 t분석의 경우에 F보다 효과크기의 큼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지적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이 한국의 특유 상황으로 보아야 할 것인지의 여부도 지속적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esent investigation provides insights into the benefits of using effect size measurements with tests of significance; showing that effect size is a useful index of exactly what an experiment has accomplished across experiments. Effect size can not only facilitate the interpretation of research findings but can also allow valid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studies. Here, the most widely used index of effect size in marketing studies, Hay`s Omega Squared (ω2), has been employed to measure effect size across a range of marketing experiments reported in Korean journals. Although there are a few exceptions, most results surveyed show only a small effect size. Compared to the results of American studies, however, Korean studies report higher effect sizes, by about .03. We find that Korean data demonstrates higher effect sizes in the case of college students and laboratory studies while USA data have higher effect size for non-college student samples and field studies. Main effects in Korean studies show high ω2 values than interaction effects;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USA. It is not surprising that larger effect sizes are associated more with main effect than interaction effects probably because researchers are generally more interested in the main than the interaction effect. The alternative effect size indexes Pearson`s coefficient (r) and Cohen`s index (d) were also calculated. Pearson`s r shows a very similar distribution to ω2 but d shows a rather different distribution. The study also compares the effect size distribution for various test statistics such as t, F and Chi2 The effect size for t test statistic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for the F cases.

      • Quantitative model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ize effects in microscale coining process of copper

        Kim, Hong Seok,Nam, Jung Soo Elsevier 2018 Precision engineering Vol.51 No.-

        <P><B>Abstract</B></P> <P>This paper investigated size effects of copper in microscale coining process.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s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FEA), the type and contribution of size effects could be identified. We found that the deformation size effect is the most pronounced in microscale coining where grains must be introduced into relatively small die cavities through severe plastic deformation. The magnitude of the deformation size effect was determined by the relative ratio of the grain size to the die cavity, and smaller size factor produced greater effect. We also found that feature height in microscale coining was related to grain size and flow stress of the material. Therefore, size effects could be quantitatively modeled and compensated by calculating equivalent grain size and flow stress correction. After compensating for size effects, the FEA model could accurately predict material forming performance.</P> <P><B>Highlights</B></P> <P> <UL> <LI> The feature size effect was insufficient to predict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scale forming processes. </LI> <LI> The deformation size effec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formability in microscale forming. </LI> <LI> By modifying the flow stress level, the size effects in microscale forming could be quantitatively modeled. </LI> <LI> The reliability of FE analysis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compensation for size effects in microscale coining process. </LI> </UL> </P>

      • KCI등재

        유·아동 대상 동화구연프로그램 효과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박인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A Meta-analysis of Effective Factors ofStorytelling Program for ChildrenInja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size of the effects of the storytelling program for childre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control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38 articles that can be analyzed among the thesi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March 2022.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showed a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 by reg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areas.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by cognitive area characteristics, all of them showed a large effect size, among which the drawing funct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language ability and creativi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by affective domain characteristics, the learning ability showed the intermediate effect size, the psychology and emotion showed the large effect size, 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showed the larger effect size than the learning ability.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size of sub-factors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standard pronunciation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followed by speaking expression attitude,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peaking ability, language ability-integration, language comprehension, and listening ability. Sixth, the children showed greater effect size tha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torytelling program were discussed. Key Words: Children, Storytelling, Storytelling Program, Effect Size, Meta Analysis 유·아동 대상 동화구연프로그램 효과요인에 대한 메타분석박 인 자*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동 동화구연프로그램 효과요인들의 효과크기를 확인하고, 효과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요인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방법은 메타분석방법이다. 연구 내용: 분석대상은 검색 가능한 시점인 1999년부터 2022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38편이다. 결론 및 제언: 분석 결과, 첫째, 전체효과크기는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역별 효과크기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모두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셋째, 인지적 영역 특성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모두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 중 그림그리기능력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그다음 언어능력, 창의성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의적 영역 특성별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학습능력은 중간효과크기를 심리・정서는 큰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상대적으로 심리・정서가 학습능력 보다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지적 특성별 하위요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표준발음이 가장 큰효과크기를 나타냈고 그다음 말하기표현태도, 언어표현력, 말하기능력, 언어능력-통합, 언어이해력, 듣기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대상별 효과크기는 유아가 초등보다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동화구연프로그램 효과성 증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유・아동, 동화구연, 동화구연프로그램, 효과요인, 메타분석 □ 접수일: 2022년 6월 21일, 수정일: 2022년 7월 14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수료(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KyungHee Univ., Email: storyin5@hanmail.net)

      • KCI등재후보

        논문 : 합병기업 규모효과의 산술적 요인에 대한 연구

        오승현 ( Seung Hyun Oh ),송치승 ( Chi Seung Song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0 금융지식연구 Vol.8 No.1

        합병공시에 따른 합병기업의 주가수익률 행태에서 합병기업 규모효과라는 현상이 존재하고 있음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합병기업의 규모효과를 `절대수익형 규모효과`와 `상대수익형 규모효과`로 구분한다. 절대수익형 규모효과는 합병공시로 인하여 소규모기업은 양(+)의 비정상수익률을 보이지만 대규모 합병기업은 음(-)의 비정상수익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고, 상대수익형 규모효과는 합병공시로 인하여 소규모 합병기업과 대규모 합병기업은 모두 양(+)의 비정상수익률을 보이지만 소규모기업이 대규모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정상수익률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대수익형 규모효과의 대부분이 경제적 요인이 아닌산술적 요인에 의해서 유도될 수 있음을 논리적으로 밝히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후, 산술적 요인이 제거된 합병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도로서는 합병성과를 CAR로 측정할 경우 비경제적인 산술적 규모효과가 개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효과를 제거할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산술적 규모효과를 제거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abnormal stock price return of an acquiring firm shows `the size effect` around the M&A announcement date. The effect says that the abnormal return is negatively related with size of the acquiring firm. This study classifies the size effect into two categories such as `the size effect in absolute form` and `size effect in relative form`. The size effect in absolute form denotes the case where the average abnormal return of a group of small sized acquiring firms is positive while that of a group of large sized acquiring firms is negative. The size effect is categorized as `relative form` when the average abnormal returns of both groups are positive. This study shows that the size effect in relative form might be distorted by arithmetic factors involved in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the acquiring firm, which has no economic meaning. Empirical evidence supporting that the arithmetic factors are the major driver of the size effect in relative form is also presented. As a result, it is claimed that the arithmetic factors have to be removed to obtain real economic meaning of the size effect. The study suggests a procedure to remove the arithmetic factors from the size effect and applies the procedure to measure `true` size effect which has economic meaning. After the arithmetic effect is factored out by the procedure, it is foun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cquiring firm around the M&A announcement date i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size of the firm. This finding is contrary to the existing literature reporting size effect in relative form.

      • KCI등재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김윤희,김진숙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is meta-analys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mpathy training programs in Korea. A total of 48 studies published from 1985 through 2015 were sele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351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nd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rograms was 1.026, indicating a large effect size. Secondly, effect sizes of programs with different models, dependent and other moderator variables were compared. As a result, programs based on Feuerstein and Feuerstein's model had the largest effect size; In the case of dependent variables, programs focused on increasing self-concept were the most effective. With regard to other moderator variables, journal articles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thesis; high school student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voluntary participants had a larger effect size than involuntary participants; non-homeroom teacher supervisor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group members of 10 or les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61-90 minutes session operating time had the largest effect size; operating duration within 4 week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operating 3 times per a week had the largest effect siz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ementation for developing empathy program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메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진행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5년부터 2015년까지 실시된 연구 가운데 총 48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48편의 논문에서 산출한 351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평균 효과크기는 1.026으로 효과크기 값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모형과 종속변인 및 중재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 모형에서는 Feuerstein과 Feuerstein의 모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을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에서는 자아개념 관련 변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일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중재변인에서는 학술지 논문이 학위논문보다, 고등학생이 다른 학교급보다, 자발적 참여자가 비자발적 참여자보다, 지도자는 비담임일 때, 참가인원수는 10명 이하일 때, 회기 운영시간은 61∼90분일 때, 운영기간은 4주 이내가, 운영주기는 주 3회 이상일 때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감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손미 ( Mi Shon ),하정문 ( Jung Moon 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메타분석법을 적용하여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효과(인지영역, 정의적 영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연구된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49편을 대상으로 총 9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고 효과크기에 대한 변인 간 차이는 ANOVA검정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이 학습 효과의 향상에 미치는 평균 효과크기는 .81로 큰 편이었고, U3값이 79.16%를 나타내어,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교수-학습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29.16%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은 사회, 과학, 실과 등 비교적 전 교과영역에서 학습효과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 중등, 고등, 성인 교육에서 비교적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면대면 학습환경 뿐만아니라 웹기반, 불랜디드 학습환경에서도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대상 인원과 관련하여 문제중심학습은 학습대상의 인원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중심학습의 종속변인에 대한 평균효과크기는 인지적 효과가 .69, 정의적 효과가 1.10로 나타나 문제중심학습은 인지적 학습효과 및 정의적 학습효과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양적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되었지만 보다 명확한 결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자료에 대한 메타분석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of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using meta-analysis method. Forty nine MA and Ph.D degree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analyzed and 93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e verifications of the differences among variables were carried out with F-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ing-learning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in improving learning effect. The total mean effect size was as big as .8819 and the value of U3 was 79.16%. The teaching-learning group that adopts problem-based learning increased learning effect by 29.16%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ognitive domain was .69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medium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ird, the mean effect siz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affective domain was 1.10 and all each effect size of sub variables of cognitive domain showed high effect siz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Forth, in terms of subjec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for social studies, science, home economics, and others.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for elementary, secondary,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medium effect size of over .68. Fifth, in terms of learning environments,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s to be used for all face-to-face, computer-mediated,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6591. Also, it was prov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method regardless of the treatment duration with the effect size of over .74.

      • KCI우수등재

        정보비대칭과 합병기업의 규모효과

        나영(Young Na),노희성(Hee Seong Roh)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3

        Until now,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has been analyzed as the anomaly of the stock market through many studies. However, there is no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asymmetry on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there is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Furthermore, we find that the main cause of merger firms’ size effect is information asymmetry, and the difference of information asymmetry by company size and stock market is one of various different causes. In this study, among the listed companies in Korea Stock Exchange (KSE) from 2003 to 2017, 385 samples are selected for closing date of the fiscal year-December firm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cumulative average excess return for five days before and after the merger disclose date for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period. In addition, independent variables are firm size and stock market dummy variable. Also, information asymmetry variables are stock volatility and stock trading volume turnover rate, and we analyze whether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asymmetry by firm size and stock market size variable can further explain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the size effect of the merged firm is set as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the previous year, it can be find that the size effect of the merged firm is existence. However, dividing them into stock markets did not find a size effect. In addition, it can be find that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their stock market is one of the various reasons for explaining the size effect of merged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for which we analyze whether information asymmetry by firm size is the cause of the merger firm size effect, suggesting the followings. First, from 2003 to 2017,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exist to domestic listed firms. Second,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which is an anomaly of the stock market,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asymmetry due to firm size and stock market. This suggests that the difference in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 size and stock market is the main cause of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subsequent researchers to study the size effect of merger firms.

      • KCI등재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국내 음악치료 연구를 중심으로

        이원아,문지영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quality of life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f 27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2017.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and the category-size effec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a total of 97 was 1.410 which showed a large effect size. As a result, music therapy was found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e average effect size in age-related difference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the elderly adults (2.083) was far higher than that of the adults (0.912). In relation to gender, men (2.999)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followed by mixed-gender (1.080), and women (0.984). As for the symptoms, general adults and elderly adults (2.318)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ffect size, followed by the groups with chronic illnesses (2.275), with neurological illnesses (1.583) and with mental illnesses (0.669). The first three groups showed high levels of effect size. Only the group with mental illnesses showed a moderate level of effect size. As regards the intervention methods, active (1.843), mixed (1.324), and receptive (1.115), all these three methods showed very high levels of effect sizes. A close look at the intervention program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high when over 21 sessions (1.794) were carried out. The same conclusion could be drawn when each session lasted less than 50-60 minutes (2.003). Last but not least, therapy sessions given by a therapist with a music therapy degree (2.326)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and showed an effect size far higher than those given by a therapist with a degree in a different field (0.753). 본 연구는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93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의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2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전체 평 균 효과크기와 각 범주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97개의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1.410으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음악치료는 삶의 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에 따른 연령별 평균 효과크기는 노인(2.083), 성인(0.912) 순서로 나타났으며, 노인이 성인보다 월 등히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성별에서는 남성(2.999), 혼성(1.080), 여성(0.984) 순서로 나타났으며, 남성 이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증상별로 보면, 일반 성인 및 노인(2.318), 만성질환자(2.275), 신경학적질환 자(1.583), 정신질환자(0.669) 순서로 나타났으며, 일반 성인 및 노인, 만성질환자, 신경학적질환자는 큰 수준 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정신질환자는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 방법에서는 적극적(1.843), 혼합 적(1.324), 수용적(1.115) 순서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세 가지 방법 모두 큰 수준의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중재 특성을 살펴보면, 총 회기 수에서는 21회기 이상(1.794), 회기별 소요시간은 50분-60분미만(2.003)일 때,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음악치료 전공자(2.326)가 실시한 음악치료가 기타 전공자 (0.753)보다 월등히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 KCI등재

        합병기업 규모효과와 상대적 규모효과의 상호통제에 의한 합병성과 분석

        송치승,오승현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6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보고되는 합병기업 규모효과가 합병기업의 규모와 피합병기업에 대한 상대적 규모를 통제한 이후에도 나타나는지 아니면 상대적 규모효과가 합병기업의 규모통제 이후에도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자하였다. 평균수익률기준의 합병성과 측정은 합병거래와 손익의 단순평균화 과정에서 왜곡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익률뿐만 아니라 금액기준의 합병성과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익률기준의 합병성과는 합병기업의 규모효과는 물론 피합병기업의 상대적 규모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합병기업의 규모와 상대적 규모를 서로 통제한 경우에도 기업합병의 규모효과와 상대적 규모효과가 서로 강하게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합병성과를 수익률이 아니라 금액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중앙값을 비교한 결과, 상대적 규모통제 이후 합병기업의 규모효과가 사라졌다. 반면 상대적 규모효과는 규모효과통제에 관계없이 강력하게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상대적 규모의 존재는 우리나라 합병시장에서 합병기업들이 최적의 상대적 규모보다 작은 피합병기업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이러한 금액기준의 본 연구결과는 합병성과 측정에서 수익률 기준으로 측정된 기존 연구결과들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relative size between an acquiring firm and an acquired firm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acquiring firm in a merging deal after controlling the size effect. The topic is important because the relative size effect helps to find out the whether the acquiring firms merged target firms of which size is less than the optimal relative size. The abnormal return and the dollar abnormal return in local currency are use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an acquiring firm in a merging deal. The data set consisted of 359 merging cases conducted in Korean market from 1991 to 2006.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there exist the size effect after controlling the relative size effect and the relative size effect after controlling the size effect based on the abnormal return method. Second, when the merging performance is measured by the dollar abnormal return, there is the strong relative size effect while the size effect disappears. These findings implies that the acquiring firms have an inclination to select target firms less than the optimal relative size in merging deals.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merging deals based on only the abnormal returns have to be reviewed from the point of view which is based on the dollar abnormal return.

      • KCI등재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김진희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larify which factor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since 2000. Method: For experimental studie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rom 2000 to August 2020, data search and selection proces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suggested by PRISMA. Finall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94 research results of the 15 papers selected,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oderationg variable was analyzed using meta ANOVA. Results: The average effect size of all the analyzed studies was 1.355, indicating that program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very effective. In detail, first, in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s, the age of 30s and group number of 10 or more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Secone,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the place of intervention was welfare faciliti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tervention period was 8 weeks or less,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was 21 sessions or more,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twice a week, and the execution time was 60-65 minutes, was the greatest effect size. Third,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enjoyment of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ype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and in the conten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art therapy program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Fourth,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effect variables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behavior management area, and the smallest effect size in the physical strength and body function area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vidence-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2000년 이후 국내에서 수행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관련 실험연구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어떤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 8월까지 발표된 실험연구들에 대해 PRISMA에서 제시한 지침에 따라 자료검색 및 선정과정을 거쳤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15편 논문들의 94개 연구 결과들에 대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메타 ANOVA를 이용하여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분석대상 연구들의 평균효과크기는 1.355로 나타나 문화예술교육 관련 프로그램들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연구대상자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에서 연령은 30대, 집단원 수는 10명 이상이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재방법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에서 중재장소는 장애인복지시설, 중재기간은 8주 이하, 총진행 회기수는 21회기 이상, 주당 회기수는 주2회, 시행시간은 60~65분이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셋째, 중재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에서 문화예술교육 유형은 문화예술향유가 가장 효과크기가 크고, 중재프로그램 내용에서는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넷째, 효과변인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행동관리 영역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체력 및 신체기능 영역이 가장 낮은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성인을 위한 근거기반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