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원아,박영경 한국색채학회 202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8 No.1
The colors of paintings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to the mid-Joseon Dynasty maintained the same tone, but changes can be seen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was also the time when the use of imported color pigments began. The change in color began with the discovery of synthetic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in the West in the 19th century. CIELAB L*, C*ab, and hab were analyzed by measuring digital data from Goryeo Buddhist paintings and mid-Joseon Dynasty court paintings that used the same traditional pigments, and court painting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used imported red, green, and blue pigments. After the transformation of the pigments, the red color and green color changed to clean and bright, blue color to deep and strong, and the color angle of blue also changed. Although it is an analysis of a digitized work,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actual pigment measurements, so it is enough to see changes in color. The colors of traditional pigments are medium lightness and medium chroma, and the colors of synthetic inorganic and organic pigments are low/medium lightness and high chroma. Pigment development has shifted toward increasing chroma. The red, green, and blue colors of 19th century court decorative paintings and record paintings are more brighter and more colorful than those of paintings before the 19th century.
기업가치 평가모형과 세후 가중평균자본비용 추정모형에 관한 연구 - 법인세, 도산확률, 이익조정 하에서의 모형도출 -
이원흠,Lee, Won-Heum 한국재무관리학회 2006 財務管理論叢 Vol.12 No.1
본 연구는 기업가치를 측정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는 두 가지의 새로운 모형을 개발하였다. 두 가지 모형은 모두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가중평균으로 기업의 본질가치를 표현할 수 있다는데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첫째 모형은 도산확률 하의 세후 기업가치 가중평균모형이다. 현금흐름할인법으로 알려진 전체기업가치 평가방법론(entity approach)에 기초한 기업가치 평가모형인 이원흠 최수미(2002)의 지식자산가치 평가모형 및 이원흠 최수미(2004)의 가중평균 가치평가모형으로부터 도산확률 하의 세후 가중평균 기업가치 평가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은 기업가치는 수익가치 및 실물자산의 가치와 지급이자의 절세효과, 예상도산비용 등 4부분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모형은 이익조정에 의한 비정상발생액을 감안한 기업가치 가중평균모형이다. 회계학 분야에 주로 발전한 발생액을 고려한 이익의 질(quality of earnings)을 기업가치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이다. 이익의 질을 고려한 기업가치 평가모형도 첫째 모형의 도출논리에 의거하여 세후 혹은 도산확률 하의 세후 기업가치 평가모형으로 확장할 수 있다. 새로이 개발된 가중평균 가치평가모형을 통해 추정한 수익가치와 자산가치의 가중치, 가중평균자본비용 등의 정보는 상장주식의 목표가격 평가, 투자등급 판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규상장주식의 공모가, 비상장기업의 합병가액산정, 지주회사의 가치평가 등 비상장기업의 가치평가 분야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주요수종별 직경생장량 분석 - 강원도 산림을 대상으로 -
이원아,신주원,최정기,이우균,이영진,김성호,정동준 강원대학교 산림과학연구소 2011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Vol.27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characteristics for major 11 tree species using the data for Gangwon province of the National Forest Resources Inventory in 2007. The annual diameter growth of coniferous species was 5.02 mm, 4.70 mm, and 3.90 mm in Korean white pine, Japanese larch, and Korean red pine, respectively. In growths of the deciduous trees, dogwood, basswood, and cork oak had 3.55 mm, 3.48 mm and 3.01 mm, respectively. Average of the annual diameter growths for all species was 3.38 mm. The relationship between diameter growth and age class showed that the growth rate decreased for all species as age increased. The age class II had the highest annual diameter rate. In relation of the stand density(trees per hectare) and diameter growth, the diameter growth tended to decrease as the stand density increased for most species, especially Korean white pine, cork oak, and basswood. Finally age had the highest value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easurement factor and growth rate regardless of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