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 diagram을 활용한 탐구 수업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소양 및 과학적 태도, 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동렬(Kim, Dong-Ryeul)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T diagram을 교육대학의 자연과학 탐구 수업에 활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소양,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T diagram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광역시 소재 교육대학교 1학년 자연과학개론을 수강하는 87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T diagram을 활용한 수업을 위해 초등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생명영역의 기본 지식과 초등 과학교과서 생명영역과 관련된 탐구 주제 14개를 선정하여 매주 1시간씩 14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T diagram 활용탐구 수업은 준비, 탐구시도, 결론, 적용 단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 diagram을 활용한 탐구 수업이 초등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소양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 diagram을 활용한 탐구 수업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T diagram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T diagram은 탐구 기반 학습에 유용하며 특히, 탐구과정 요소인 실험설계와 자료변형, 자료해석 측면에서 유용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T diagram을 구성하는데 필요 이상의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반응도 있었다. 넷째, T diagram을 활용한 탐구 수업의 특징에 대해 설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코딩수를 기록한 것은 스스로 탐구 할 수 있다는 점이었으며, 다음으로 다양한 배경지식 요구, 활기찬 수업, 일상생활과의 연관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s of T-diagram applied inquiry lessons on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literacy and attitude, and their perception of T-diagram through actual application of T-diagram in natural science inquiry lessons at a teachers' colleg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87 freshmen subjects enrolled in a natural science introductory course at a teachers' college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The T-diagram applied lessons were conducted one hour a week over 14 trial sessions and covered 14 inquiry themes related to life science area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and basic knowledge in life science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The T-diagram applied lessons were carried out in four steps; preparation, inquiry trial, conclusion, and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diagram applied inquiry lesson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scientific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econd, examining the effects of T-diagram applied inquiry lessons on pre-service teachers' scientific attitud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scientific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ird, analysis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diagram indicated that pre-service teachers viewed T-diagram useful for inquiry-based learning, and especially beneficial in aspects of inquiry process such as experimental design, data modification, and data interpretation. Fourth, according to survey analysis regarding the features of T-diagram applied inquiry lessons, results showed that 'Enables self-inquiry' topped the list with the highest coding score, followed b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Animated lessons,' and 'Connected to daily life.'

      • KCI등재

        DML(Diagram Markup Language)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김성근,김영철,유재우,Kim Sung keun,Kim Young chul,Yoo Chae woo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3B

        다이어그램은 직관성과 간결성을 갖는 장점이 있어 현재의 컴퓨팅 환경에서 많은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이어그램 작성에 대한 표준화된 방법의 부재(不在)로 소프트웨어 상호간의 자료공유가 어렵고 다이어그램 컴포넌트와 규칙을 직접 프로그래밍 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표준화된 문서규약인 XML을 이용해 다이어그램 컴포넌트의 형태와 행위를 정의하는 방법, 다이어그램의 규칙과 의미를 기술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 제안한 XML 문서가 실행될 수 있는 다이어그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논의한다. 본 다이어그램 시스템에서는 DML 그래픽 편집기를 제공하여 WYSWYG 방식으로 다이어그램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자동으로 DML 문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새로운 다이어그램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DTD를 이용해 다이어그램에 대한 문법을 정의함으로써 문서의 구조를 정의하는 DTD에 대한 의미적 일관성을 유지하였으며 Semantic Definition XML을 이용하여 의미를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다이어그램 시스템에서 다이어그램 문장에 대한 문법검사와 의미실행의 방법은 VPL(Visual Programming Language)의 여러 개념들을 이용하였다. The diagram has a intuition and simplicity So,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in current computing environment. But, because of the absence of a standard diagram specification method, we have difficulty in exchanging the diagram data between different diagram software and besides, we spend much money and time to code diagram component, rules and semantics to which diagram would be applied. So We propose a method for defining diagram component's shapes and actions, diagram's rules and semantics using XML. And We design and implement the diagram system which execute XML document specifying diagram. In the diagram system, We can define diagram component in WISWIG manner and generate DML document automatically. So We can develop diagram system more efficiently. And by defining diagram rules using DTD, we also achieve the consistency of DTD meaning. And We propose Semantic Definition XML for specifying diagram semantics. So, diagram sentence which drawn by users could be given semantics and executed in diagram system. In this thesis, many VPL(Visual Programming Language) concepts were adopted to implement diagram system environment.

      • 60년대 공간적 이론과 <diagram>의 상보성에 관한 연구

        오훈근,조벽호,정만영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본 논문의 출발점은 60년대에 제기된 공간과 관련된 사유의 중심은 결과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program)과 달리 사유 과정으로서의 다이어그램(diagram)을 중시했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한다. 즉 60년대 diagram의 이론적 요인들이 현대공간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diagram은 표면의 심층에 자리하는 자기생성의 진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60년대 공간이론과 diagram의 상보성 요인을, 1. 다이어그램의 균열과 흔적 2. 사유체계의 창발성과 도구의 변화 3. 자기생성과 발화 로 규정하고 있다. 즉 diagram은 도전적 물음이며 실험적 전복으로 습속의 묶음이 아닌 산만의 <산란>인 방출이며, <멱?>이다. In the'60s,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raised the center of the space-related reasons for the results of the program and the diagram as a more important reason for the fact that the process will start from. This means that the theoretical diagram of 60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space has a direct impact will be watching. The in-depth to the surface at this diagram the evolution of his generation he can do it.This paper is a theory and '60s space diagram of the complementary factors, 1. Trait of diagrams 2. Reason for the change of systems tools and emergence 3. Differenciation and Autopoiesis Diagram is a question that is challenging experimental overturn the habits of the bundle is not a distraction, the release of the spawning and <potentialit'e pure> said.

      • KCI등재

        『聖學十圖』수록 圖像에 대한 星湖 李瀷의 實學的 變容

        이원준 퇴계학연구원 2023 退溪學報 Vol.154 No.-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Sungho Yi Ik, a Confucian scholar in Geunginamin, understands and transforms various diagrams contained in Toegye Yi Hwang's Sunghaksipdo. Through this analysis, it will be confirmed that Seongho's Silhak style of diagram production, which respected Toegye and developed practical learning, a new academic tre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ongho thought that there were shortcomings in the various diagrams included in the Sunghaksipdo, and thus reconstructed five diagrams, which are half of the Sunghaksipdo. In addition, his diagrams was shared with senior scholar Siksan Yi Manbu to refine his interpretations on Confucian concepts and Classics via diagram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Sohakdo, Daehakdo, Simtongseongjeongdo, Gyeongjaejamdo, and Sukheungyamaejamdo, he judged that existing diagrams were insufficient to intuitively grasp the structure of the propositions, concepts, and original text that the diagrams wanted to show. Thus, he reconstructed Simtongseongjeongdo so that only the Neo-Confucian proposition "Heart-mind commands nature and feelings" could be schematically understood, and simplified the structure of Sohakdo and Daehakdo. Additionally, he highlighted the consistency of “Focus on One Thing” and “Diligence all day”, the core values of Gyeongjaejamdo and Sukheungyamaejamdo. In other words, his diagrams are designed to enable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 propositions and structures of original texts, promoting practical applications in everyday life. Unlike Sunghaksipdo's continuous composition of ten iconography with ‘Gyeong’ as its core, Seongho's diagrams seem to lack connectivity between each other. However, given that four diagrams sent to Siksan, Sohakdo, Daehakdo, Gyeongjaejamdo, and Samuljamdo are arranged sequentially, and two diagrams can be woven into education-practice structure. This arrangement partially validates the conceptual framework of origin-education-practice envisioned by Toegye in Seonghaksipdo. The iconography of Seongho shows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men who respect Toegye but aim for a practical academic style. Seongho's diagrams reveal the scholarly characteristics of Geunginamin scholar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who revered Toegye while embracing the practical and scholarly traditions of Silhak.

      • KCI등재

        ‘천명도’와 ‘천명도설’의 판본문제에 대한 재검토

        김상현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6 No.-

        이 글은 ‘천명도’와 ‘천명도설’의 판본문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재검토한 후, 수정 ㆍ보완할 점이 있다면 새로운 근거를 통해 기존 주장을 수정 ․ 보완하기 위한 목적에서 쓰였다. 정지운이 제작하고 이황이 수정한 ‘천명도’와 ‘천명도설’은 기대승과 이황 간의 ‘사칠논변’을 야기한 근원으로써 조선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 도식과 도설은 권근의 『입학도설』을 이어서 이황의 『성학십도』로 나아가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므로 권근으로부터 정 지운을 거쳐 이황으로 이르는 조선 성리학의 심성론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천명도’와 ‘천명 도설’의 저자 및 저작시기, 그리고 도식과 그에 대한 해설인 도설의 관계를 정확하게 규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천명도’와 ‘천명도설’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어떤 것이 언제 쓰였는지, 무엇이 무엇에 해당하는 해설인지에 대한 검증이 완료되지 않았고, 몇몇 주장의 경우 여전히 문제의 소 지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천명도’는 매우 다양한 이름과 판본을 가지고 있으며, ‘천명도설’ 역시 그렇다. 대략적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천명도’의 경우 『천명도해 본의 「추만정선생천명도」, 「퇴계이선생천명도」, 『천명도설』 본의 「천명구도」, 「천명신도」, 『퇴계전서 본의 「천명구도」, 「천명신도」, 『양선생사칠리기왕복서』 본의 「천명도」 등이 있다. ‘천명도설’의 경우 『천명도해』 본에 「천명도해」와 「천명도설」이 있고, 『천명도설』 본에 「천명도설」, 『퇴계선생속집』에 「천명도설」이 있다. 여기서 제기되는 문제는 먼저, 각 저작의 저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그 저작물이 언제 작성 되었는지, 각 도설에 해당되는 도식은 무엇인지, 두 저작물을 짝 지운다면 그렇게 짝 지울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만약 ‘정본’(正本) 및 ‘정본’(定本)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무엇인지 등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 선행연구를 수정 ․ 보완함으로 서 현재까지 미확인된 ‘천명도’ 및 ‘천명도설’ 관련 문서의 연대를 확인하고, 도설과 짝이 되는 도식이 무엇인지, 정본을 찾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issue of the editions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and to revise and supplement existing arguments on a new basis if there is anything to add to it. Produced by Jung Jiwoon(鄭之雲) and modified by Yi Hwang(李滉),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have a very important valu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Joseon as the source of the ‘Four-Seven Debate'(四七論辨) between Gi Daeseung(寄大升) and Yi Hwang. This explanation of Diagram and diagram serve as a bridgehead from Yi Hwang's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to Kwon Geun's A Study on Confucian Diagrams and Explain for Beginner(『入學圖說). While studying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o trace the stream of the simseonglon(心性論) in Joseon from Kwon Geun to Jung Ji Woon via Yi Hwang, I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ly studied research. For this reason, We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reveal the year of the works. Currently, ‘Diagram of Heavenly Mandate' has a wide variety of names and editions, and so does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o list them, the following. First of all, We talk about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here are “ C h u m a n j e o n g s e o n s a e n g c h e o n m y e o n g d o " ( 「秋巒鄭先生天命圖」) , “Toegyeiseonsaengcheonmyeongdo"(「退溪李先生天命圖」) of Th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edition, and there are “cheonmyeonggudo"(「天命舊圖」), “cheonmyeongsindo"(「天命新圖」) of The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edition, and there are “cheonmyeonggudo"(「天命舊圖」), “cheonmyeongsindo"(「天命新圖」) of The Toegyejeonseo(『退溪全書』) edition, there is “cheonmyeongdo"([天命圖]) of The Yangseonsaengsachilligiwangbogseo(『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 edition. Next, We talk about the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天命圖說). There ar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Cheonmyeongdohae(『天命圖解』) edition, and there is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edition, and there is “Cheonmyeongdoseol"(「天命圖說」)" of The Toegyeseonsaengsogjib(『退溪先生續集』) edition. The issues raised here are as follows: Who is the author of each work? When was the work written and if it was possible to select the original, what is it? What are the explanation of Diagram corresponding to each diagram? By looking for answers to such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check the year of the works related to ‘Explanation of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Diagram of Heavenly Mandate' that have not been known to date, and to find out what the explanation of Diagram and matching diagrams are.

      • 중학교 생물영역에서 관찰 및 실험수업을 위한 교수-학습전략으로서의 Vee Diagram 적용 효과

        박민화,심규철,김현섭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중학교 생물 교과의 관찰 및 실험 수업에 Vee diagram을 사용했을 때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탐구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평택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들로서 실험 집단은 1개 반의 31명(남학생:15명, 여학생:16명), 통제 집단은 1개 반의 33명(남학생:17명, 여학생:16명)이었다. 2000년 5월에서 6월 사이의 약 1개월간 실험 집단에 Vee Diagram을 적용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전통적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에 대해 사전 사후에 Vee Diagram 사용수업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WIN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업성취도에서 실험 집단의 평균이 높게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남녀 학생별 통계에서는 실험 집단 여학생의 학업성취도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44). 또한 두 집단을 수준별로 분석한 결과, 상위 30%에 해당하는 집단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탐구능력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사전 점수에 비해 성취도가 높아졌으나 집단 간 그리고 남녀 학생들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탐구영역별 분석에서 추리영역에서만 남학생들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31). 3. Vee Diagram 사용 수업에 대한 실험 집단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학생들은 Vee Diagram을 전통적인 실험수업 비해 흥미 있어 했으며, 사용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degree of accomplishment and scientific inquiry aptitude in applying Vee Diagram to the instruction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for graders of middle school. Two classes of second-grade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Pyongtaek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Experimental group class(31members; 15 boys, 16 girls) were instructed with Vee Diagram and the control group(33members 17 boys, 16 girls) were instructed with traditional method without Vee Diagram from May to June, 2000. Scientific achievement tests and scientific inquiry aptitude tests were administrated to thos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Also after instructio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about using the Vee Diagram in class. SPSSWIN statistic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 and pre-test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used as covari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accomplishment test,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girl students' accomplishment score in experimental group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p=0.044).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upper 30% from each group revealed that the Vee Diagram is significantly effective. 2. In the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aptitude,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higher achievement than the previous analysis. However,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between the boy and girl students. Only in the deduction area, the lower level of scientific inquiry field,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boy students. 3.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interest and preference using Vee Diagram in class and students attitude to Vee Diagram was positive.

      • KCI등재

        퇴계(退溪)「천명도설(天命圖說)」과 <천명도(天命圖)>에 대한 철학적,도상적 재검토

        이정환 ( Jung Hwan Lee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5 No.-

        정지운이 제작하고 퇴계가 수정한 <天命圖>와 「天命圖說」은 고봉과 퇴계 간의 ‘사칠논변’이라는 조선성리학의 본격적인 철학화를 촉발시킨 원인이었다. 더 나아가 <천명도>는 성리학 일반의 하나의 난제, 즉 ‘과연 至善無惡한 근원으로서의 천명과 본연의 성으로부터 어떻게 不善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그 동양철학사에서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지금까지 <천명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退溪全書에 수록되어 있는 「天命圖說後敍」와 「天命圖說」의 내용을 근거로 하였으며, 도상으로는 <天命新圖>를 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사칠논변이 진행되기 전에 수정된 「天命圖說」이 과연 퇴계의 완숙한 천명·심성관을 얼마만큼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그리고 여러 판본이 남아있는 <天命圖> 중 무엇이 가장 定本에 가까운가? 라는 두 가지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사실을 밝혀내었다. 첫 번째, 退溪先生續集에 포함되어 있는 「천명도설」은 1555년 봄 퇴계가 귀향하여 개정한 것인데, 여기서 언급된 七情의 배치에 대한 설명은 <天命舊圖> 상의 칠정의 배치와 일치하며 이에 대한 개정은 1560년 중반에 이루어진 것을 근거로 <천명구도>는 정지운의 원도가 아닐 뿐만 아니라 1560년 중반까지 <천명도>의 저본은 <천명구도> 혹은 이와 유사한 것이었으며, 당시까지 <천명신도>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음을 밝혔다. 그리고 퇴계는 사칠논변 등의 지속적인 토론의 과정 속에서 「천명도설」에 노정된 문제점을 수정해 나갔고, 이를 바탕으로 <천명도>도 점차적으로 수정해 나갔다. 따라서 「천명도설」은 비록 퇴계에 의해 개정된 것이지만, 퇴계의 완숙한 심성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는 자료로서의 한계를 갖는다. 두 번째로 현존하는 여러 <천명도>의 판본 중에 퇴계문집에 남아있는 <천명신도>와 1786년 奇大升의 6대손인 奇彦鼎에 의해 출간된 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에 수록된 <天命圖>의 도상적 차이를 퇴계의 문집과 고봉과의 사단칠정 논쟁 왕복서, 주자의 四書章句集註와 朱子語類 등 다양한 방증 자료를 통해 비교·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천명신도>에는 여러 가지 오류가 있음과 퇴계 및 주자의 언급과 서로 상충되는 내용이 수록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 판본보다 兩先生四七理氣往復書에 수록된 <천명도>가 사칠논변 이후 더욱 완숙된 퇴계의 심성관, 더 나아가서는 주자의 심성관을 비교적 더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re originally created by Chong Chi-un and revised by Yi Hwang. They triggered the in-depth philosophization of the Choson Neo-Confucianism and also tackled the most difficult question inherent in Neo-Confucianism, that is, how no-good phenomena can generate from the purely good origin of Heavenly Mandate and the original state of human nature. Up until now, studies on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re textually based on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A Postscript to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diagrammatically o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cluded in Yi Hwang`s literary collection. However, first, to what degree is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which was revised before the four-seven debates, reliable for understanding T`oegye`s mature views on Heavenly Mandate and the mind-nature theory? Second, which version, among many, can be regarded as the standard edition of the diagram? The present paper has addressed these two questions. First, "the Explanation of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Appendant Part of T`oegye`s literary collection was revised by T`oegye in 1555 at his native place. The arrangement of the seven emotions in this explanation corresponds to "the Old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dicating that this old diagram is not the original version of Chong Chi-un but that which T`oegye firstly revised around 1555 and was still revising until the mid 1560s. In other words,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was not completed up until then, and T`oegye constantly amended the explanation and on this basis kept revising the diagram as well. This tells us that the explanation is not appropriate to understand T`oegye`s mature views on Heavenly Mandate and the mind-nature theory. Second, the present paper has compared the diagramma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and "the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Collection of the Exchanges of the Two Masters on Four and Seven as well as Li and Qi, which seems published in 1786 by Ki Taesung`s descendant, Ki On-cheong. A cross examination of various textual sources of Yi Hwang, Zhu Xi, and so forth, the present paper has illuminated that the diagram in the collection of the exchanges better represents the mature views not only of T`oegye but also of Zhu Xi than "the New Diagram of Heavenly Mandate" in the literary collection.

      • KCI등재

        현대 조경설계의 전략적 매체로서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배정한,Pae Jeong-Hann 한국조경학회 2006 韓國造景學會誌 Vol.34 No.2

        In contemporary design conditions, the focus of landscape architecture has shifted from 'form' to 'process.' Various experimental diagram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form-oriented landscape design.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theoretically and critically the modes and mechanism of diagrams in recent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It also explores the operational capabilities of diagram in design process. Although the traditional diagram has served as explanatory and representational graphics in design, contemporary designers emphasize the generative function of diagram on the basis of Gilles Deleuze's theory of 'diagram as abstract machine.' They manifest and practise that diagrams call generate forms and proliferate spaces in their design development. This paper examines current examples of generative and constructive diagrams produced by leading designers. However, the author illuminates another significance of diagram: the diagram as strategic media of design. Contemporary environments and conditions of design, such as the complexity of city and the interactivity of new economy, call for new design intelligence and strategic design. These situations require alternative media in design process. In this context, the diagram can function as strategic media of dynamic and flexible design. This is why contemporary landscape theory and practice have to give attention to diagrams.

      • KCI등재

        An Automatic Simulation Technique for UML State Machine Diagrams based on Abstract Scenarios in Sequence Diagrams

        곽휘(Hui Guo),이우진(Woo Ji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6 No.6

        시스템 개발 초기 단계에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이 제대로 반영되었는지를 검사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시뮬레이션은 순차도에 나타난 추상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상태머신을 직접 또는 랜덤으로 수행하는 행태로 진행된다. 시뮬레이션은 분석자가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이 논문에서는 순차도 기반의 상태 머신의 시뮬레이션의 자동화 기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순차도와 상태머신의 추상화 레벨이 달라서 순차도에서 상세 시뮬레이션 트레이스를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상태 머신을 LTS 모델로 변환하여 합성적 분석, 트랜지션 축약 등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순차도와 동일한 추상화 레벨로 변환한 다음, 시나리오 포함여부를 검사한 후 해당시나리오의 상세 시뮬레이션 트레이스를 생성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트레이스는 순차도에 기술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자동으로 수행할 뿐만 아니라, 특정 시스템 상태까지 자동 시뮬레이션할 수 있으므로 시뮬레이션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In an earlier development phase, the simulation technique is one of the key analysis methods for checking the correctness of system’s functional requirements. In general, simulation is manually or randomly performed by executing state machine diagrams according to the abstract requirement scenarios. Therefore, simulation is one of the most effort-consuming tasks. In this paper, an automatic simulation technique of state machine diagrams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abstract scenarios of the sequence diagrams. It is not easy to generate detailed simulation traces from sequence diagrams due to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between sequence diagrams and state machine diagrams. In order to adjust for different abstraction levels, state machine diagrams and sequence diagrams are transformed into LTS models and compositional analysis and transition reduction are performed. After checking behavior conformance between them, detailed simulation traces for the state machine diagrams are generated. These simulation traces are used not only for performing automatic simulation but also for assisting analyzers to reach a specific system state in order to guide further efficient simulation.

      • KCI등재

        『성학십도』에 내재된 인성교육 연구

        김회숙 ( Kim Hoi-sook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내면적 자기수양을 추구하면서 참된 자아를 실현하려는 퇴계의 사상은 오늘날 이 시대에 필요한 인성교육의 내용이자 한국적 인성교육의 표본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학자퇴계의 주저(主著)인 『성학십도』의 체제와 내용을 살펴서 『성학십도』에 내재된 인성교육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학십도』의 체제와 내용을 기반으로 `『성학십도』에 내재된 인성교육`을 세 가지 소주제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주제는 인성교육의 근본과 교육의 내용으로, 『성학십도』의 제1도부터 제5도까지의 내용이 여기에 해당된다. 제1도와 제2도는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인간의 근원과 표준을 설명하였고 제3도에서 제5도까지는 교육과 연관 있는 『소학』, 『대학』 그리고 `백록동 서원의 규칙`을 통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답으로 학문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주제는 심성교육으로 제6도에서 제8도까지의 내용이 해당된다. 인성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심성교육은 마음공부로 귀결된다. 사사로운 욕심을 절제하고 공동체의식을 고양하여 사랑의 마음을 확충하고 보존하는 마음의 수양이 필요하다. 세 번째 주제는 실천교육으로 제9도와 제10의 내용이 여기에 해당된다. 『성학십도』 전체를 관통하는 `경(敬)`은 실천덕목이다. `경`은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정신 훈련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훈련이며 이 공부는 마음의 안정과 자기주체를 이루게 되어 자신이 주인이 되는 주체적인 삶을 살게 된다. 전체를 종합하면 『성학십도』에 내재된 인성교육은 나에 대한 존재론적 인지와, 삶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여 그 앎을 마음공부와 실천교육인 행(行)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n the flow of Korean history, begun humanitarianism as founding principle, the Humanistic Education of T`oegye, to seek internal self-discipline and realized true self, can be content of Humanistic Education necessary for this age and specimen of Korean Humanistic Education. This article is to suggest the Humanistic Education inherent in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by examining the system and content of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book of T`oegye, scholar representing Korea. Suppose it examines the system of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and content in structure, it structuralized the sub-themes into three, at `Humanistic Education inherent in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The first theme is about the source of humanistic education and content of study, and it applies the contents from 1 diagram to 5 diagram. In diagram 1, 2, it explains the source and standard of humans for `who am I『`, and it examines the 『Sohak』, 『Daehak』, and `Rule of Baekrokdong auditorium` relevant to education about `how do we live』` from diagram 3 to 5. The second theme is the Mind Education, contents from diagram 6 to 8. Mind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in Humanistic Education, concluded to mind study. Mind encompasses nature and emotion, and nature is revealed as emotion. By preventing selfish desire, it requires cultivating heart to expand and preserve the mind of `perfect virtue` learned by sense of community. The third theme is the Practice Education, applying the contents from diagram 9 to 10. `Concentrate` is the Practice Education going through the whole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Concentrate` is not the ideal and abstract mental training but training to straighten out the body and mind in everyday life. This study makes the stability of mind and self subject, so one can live an independent life which self is the owner. To integrate the whole, Humanistic Education inherent in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makes realize the realistic realization for myself, meaning and value for life, and it connects the knowing to Practice, learning of mind and practi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