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탈사회주의 이행체제에서의 민주주의 공고화와 비공식 정치과정 : 그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Analysis
배정한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1 유라시아연구 Vol.1 No.2
이 글은 탈사회주의 이행체제에서의 민주주의 공고화와 비공식 정치과정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를 체계적이고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탈사회주의 이행체제의 민주주의 공고화를 둘러싼 최근 연구경향을 검토하면서 논문은 민주화 이행이 반드시 민주주의의 공고화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라는 인식이 점차 확산되어 갔으며, 이와 더불어 "비공식 제도화" 혹은 비공식 정치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한다. 특히 새로 도입된 민주적 제도가 이전 시대로부터 물려받은 비공식 제도와 관행에 의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그 형태만 남아 있게 된 불완전한 민주주의를 개념화, 이론화하려는 시도가 눈에 띈다는 점에 주목한다. 따라서 공고화이론에서 개념적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비공식 제도화의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논문은 탈사회주의 국가, 그 중에서도 특히 러시아가 소비에트 시대로부터 어떠한 형태의 비공식 제도나 관행을 물려받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위계적이고 중앙집권적인 단일 당-국가체제로 여겨진 사회주의 체제가 실제로는 비공식 제도에 의해 보완되고 심지어는 대체되었다는 주장을 폈던 다양한 이론적 견해들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에서 정치주체들이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비공식 제도적 제약을 정치주체의 조직형태를 예를 들어 살펴보면서 소비에트 시대로부터 내려오는 비공식 정치제도와 과정이 탈사회주의 민주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형태와 내용을 단편적이나마 가늠해 본다.
배정한,조정송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7 No.3
This paper examines the conventional notion of natural beauty and its legacy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in terms of critical perspective. We can take its clue for discussion from the our routine convention of experiencing natural beauty from the picture-like nature. We often equate natural beauty with superficial representations of nature shown in pictures. However, it is no more than a by-stander's nature seen purely through the eyes of the outsider. Problems of the picture-like nature can be summarized as the contemplative and visual-oriented aesthetic experience of landscape, which has had its influence not only on the ways of seeing the natural beauty but also on the ways of making it. The tradition of the picture-like nature has been transplanted into the real world through the practice of landscape architecture. It has been mass-producing superficial beauty of nature, focused on visual form. Landscape architecture in such a form is just a static means of decoration devoid of meaning and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