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의생활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조윤주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4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 강좌 중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기초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태도 등을 함양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의 의생활교육의 지도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발전교육 요소를 선정하고, 실과 심화과정 강좌의 의생활교육 내용요소를 추출한 후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분석-설계-개발 단계를 거쳐 완성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을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적용하여 정량적, 정성적 평가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 요소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태도의 3가지 요소로 선정하였다. 교육대학교의 실과 심화과정 중 의생활 관련 강좌를 분석하여 초등의생활교육 이해, 의복구성, 의복관리와 환경, 의생활 문화의 4가지 요소를 추출하였다. 둘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7개의 주제로 구성되었다. 각 주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이해,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의생활, 교수학습 전략-견학, 친환경소재를 활용한 의생활 및 생활용품 만들기, 재활용을 이용한 의생활 및 생활용품 만들기, 의생활 문화, 전시와 발표’이다. 셋째, 예비 초등교사들에게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인식과 태도가 함양되었으며, 의생활교육 역량 역시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평가는 적용 전 3.44점에서 적용 후 4.04점으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였으며, 의생활교육의 평가는 적용 전 3.69점에서 적용 후 4.13점으로 점수가 향상되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의생활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프로그램의 확대, 학교현장에서 쉽게 접목할 수 있는 재미있는 교육 프로그램 등을 개발, 보급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초한 의생활영역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based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part of an introductory major curriculum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Moreover, this program is intended to help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 and form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ile enhancing their teaching abilities for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These are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ttitude towards the environment, the economy, and the society were selected to be the three compon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analyzing introductory major university curriculum courses related to clothing and textiles, four elements could be extracted: elementary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organizing clothing, managing clothing, and clothing and textile environment. Second, the program intended to underst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hance abilities for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was formed with 8 subjects. These subjects include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ractical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lothing and textiles using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making clothing and textile goods), clothing and textiles using recycl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lothing and textiles culture, and exhibiting and presenting.’ Third, when applying the program to pre-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economical, and social attitud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formed and abilities for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also became stronger. For clothing and textil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o work effectively, understanding its concept and principles is first needed. Thus, increasing training programs for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and efforts to maximize the effec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y developing and spreading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asily fit according to the size of individual schools are needed.

      •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분석 및 학습 내용 탐색

        이윤정(Yun-Jung Lee)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학습 내용을 탐색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와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의생활 분야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인간 발달과 주도적인 삶,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의 두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에서는 옷의 기능과 옷차림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건강과 웰빙’이, 환경적 관점에서는‘기후변화 대응’과 연계성이 있다.‘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에서는 생활 자원의 제한, 재사용과 재활용, 간단한 수선, 생활용품 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환경적 관점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직, 간접적으로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 경제적 관점에서는‘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에서 노동자들에 대한 윤리 문제를 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요소에서 두 영역 모두 [지식·이해], [과정·기능]이 [가치·태도]보다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학습 내용은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두 영역에 있는 성취기준을 주제 중심으로 통합하여 5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학습 내용은 학생들이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주제에 대해 선택 활동을 제시하여 다양화하였고, 각 활동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도 제시하여 초등학생들이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실천하는 역량을 기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지속가능’의 개념이 더욱 표면화됨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의생활 분야에서 지속가능교육을 할 수 있는기초자료를 제공하고,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교과서 개발 및 구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well-known that the 2022 revised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follow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is research tries to see if the curriculum completely reflects the value of sustainable clothing education, and consequently explores correspon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ustainable clothing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2022 revised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show that they are related to‘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and‘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is about the function of clothes and attire, and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health and well-being’is linked to‘climate change response’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consists of contents such as limiting living resources, reuse and recycling, simple repairs, and making household items.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evenly included directly and indirectly. From an economic perspective,‘quality jobs and economic growth’indirectly includes ethical issues for worker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both areas of the content system, [Knowledge·Understanding] and [Process·Skill] included more content than [Value· Attitude]. Second, f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lothing education were presented by integra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two areas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nd curriculum around the topic. The contents of the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practice them in connection with their daily lives, and various‘optional activities’were presented for each topic to identif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at should be focused on in each activity. The aim was to cultivate th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actice sustainable clothing. As the concept of‘sustainability’becomes more apparent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in school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help development and composition in classroom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함양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연구: 생활화 영역을 중심으로

        윤관기(Gwan Ki Yu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속에 지속가능발전의 접근 가능성을 다뤄봄으로써 음악교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과 정의를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3가지(환경적, 사회적, 경제적)관점의 핵심내용과 타 교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을 토대로 음악과 교육과정 생활화 영역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사회적 관점의 요소(음악과 행사, 음악과 건강, 문화유산)가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 경제적 관점보다 사회·문화적 관점의 SDGs(3번, 4번, 7번)에서만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SDGs 요소들 일부에서 생활화 영역의 요소와의 관련성을 찾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21년 4월 교육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소양 및 역량 함양 교육을 강조한다는 보도자료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새로이 개발되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핵심내용 및 가치방향을 이해하고, 생활화 영역을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ubject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is being newly develope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awareness and necessity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meant to provide direction.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reviewed, and the core contents of the three (environmental, economic,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applied to other curricula were summarized, an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ield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was applied to music an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the curriculum was newly revised, the elements of social perspective (music and events, music and health, cultural heritage) were clearly presented. Second, the relevance was found only in the SDGs (No. 3, 4 and 7)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ly, some of the SDGs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ggest the possibility to find and apply the relevance to the elements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As can be seen in the press relea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basic literacy and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to prepare for a sustainable future in April 2021, in the newly developed music an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e content and valu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ke It needs to be revised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music a way of life.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 분석 -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

        성경희,황미영,박선운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3 시민교육연구 Vol.55 No.3

        As the ne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s intensifying global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ES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uring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in Korea. To this en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a was conducted using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SD domains and content element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ncouraging to se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rformance standards in Area I, which covers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ten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t all school levels, and an apparent strengthening of the ESD trend in high school 'Integrated Social Studies.' However, a decrease was found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which is critical for the formation of young people’s values, attitudes, and perspectives. Secon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SD-related content was fragmented, such as the curriculum outline, curriculum goals, and performance standards for each school level. Therefore, in future curriculum design, it is necessary to set ESD as one of the main goals of social studies and then organize the scope and sequence of ESD appropriate for social studies so that a balanced and integrated view of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developed across all school levels. Third, Areas of ‘Ⅲ. Sustainable Society and Civic Life’ and ‘Ⅳ. Sustainable Economy and Civic Life’, considered as the general social areas, showed a clear trend of shrinkage. How to make decisions in the tension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s a matter of political and economic decision-making in our society, so the role of general social studies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 it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n integrated perspective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by identifying the points where social studies can be linked with other subjects, centering on Area III, which has been shown to be the strength of social studi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in ESD.

      • KCI등재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 농업생명과학 영역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및 적용방안

        정남용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기에 실과교과 내 농업생명과학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 및 적용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연구에서는지속가능발전교육의 변화, 우리나라의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실과교육과정, 그리고 실과 내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실과교과 내 농업생명과학 영역에서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을 선정하고 적용방안을 마련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결과 선정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은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 실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매우 합목적적이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 적용방안으로 첫째, 이 연구 결과로 선정된 내용을 기반으로 실과교과서를개발하는 것, 둘째, 실과교과와 타 교과 간의 통합적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수행, 셋째, 교과내 통합 방법으로 K-SDGs에 근거한 초등 실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for apply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for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area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national curriculum.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was utilized for the study. In the study, the changes in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the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are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theoretical basis of perform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tents and the applying methodolog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were developed by each achievement standards for 2022 Revised Practical Arts national curriculum.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content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are very fit to the purpose of 2022 revised Korean national curricululm,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Second, the methods for apply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were firstly, the developing the practical arts subject matter based on the contents developed in the study, secondly, develop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program by integrating the practical arts and another subject matters, thirdly, develop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K-SDGs,

      • KCI등재

        독일, 영국,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분석과 학교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에의 시사

        김은정(Kim, Eun-Jung),유영의(Yoo, Yung-Eui),신은수(Shin, Eun-Soo),박은혜(Park, Eun-Hw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을 국가 정책의 기본원리로 삼고 그 토대 위에서 교육을 개선, 체계적으로 정착시키는데 적극적 노력을 하고 있는 독일, 영국, 호주의 사례를 통하여 한국의 학교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에서의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독일, 영국, 호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정책 및 제도 배경,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분석하였고, 각 나라별로 고찰된 내용에서 특징적인 점을 중심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서 연구문제의 수행을 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자료와 연구논문, 인터넷 자료 등 다양한 국내?외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학교 교육과정 및 유아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학교 교육과정과 유아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목표에 대한 명확한 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및 경험의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사회의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센터의 설치 및 연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s objective is to clearly determine the notion of educ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gating the education systems of countries trying to establish it as a national policy. The study also seeks practical methods employed to this en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 in England, Germany, and Australia - the concept and role of education in sustainable development as well as the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se countries. The study analyzes the literature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o implement prope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termine the objectivity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can be done by considering the varying local and nat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nclud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econd, to strengthen the power to integrate curriculums, educators must actively seek out and apply the content i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rd, instead of presenting it as a particular project, educators must make more detailed and practical efforts at teaching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살펴본 0-2세 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의 내용 분석

        유영의,김은정,신은수,박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세계 교육선진국들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심을 갖고, 국가적 차원에서 적극적 추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비추어 2013년부터 유아교육기관에 적용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유아교육과정의 재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0-1세 보육과정, 2세 보육과정, 3-5세 누리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이 모든 연령대에 나타난 영역은 기본생활 및 신체운동·건강 영역과 자연탐구 영역이었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은 주로 사회문화적 내용과 환경적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유아교육과정은 사회문화적 내용, 환경적 내용, 경제적 내용에 관한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 재정향될 필요가 있고, 교육내용 및 표현의 검토가 필요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가치 및 태도, 사고, 행동의 변화를 요구하므로, 통합적인 간학문적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0- to 1-year-olds’ Child Care Curriculum, 2-year-old Child Care Curriculum and 3- to 5-year-olds’ NURI curriculum should be applied from 2013 based on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orient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0- to 1-year-olds’ Child Care Curriculum, 2-year-old Child Care Curriculum and 3- to 5-year-olds’ NURI curriculum generally include the social cultural content and environmental conte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basic-living, physical·health domain and nature-inquiry domain. The results suggest the reorienting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reconstructing the content related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tents.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reviewed. Because of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quires the change of values, thinking and action,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

      • KCI등재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 분석 및 비교

        오윤정(Oh Yoon jeong),장지영(Jang Ji young),유효숙(Ryu Hyo suk),김성원(Kim Sung won),이현주(Lee hyun ju),최경희(Choi Ky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의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지속가능발전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건강, 기후 변화, 대기, 물, 생물 다양성, 생태계, 숲, 에너지, 재해 예방 및 축소, 토양의 총 10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다. 분석 결과 2007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10개 준거 가운데 6개의 준거가,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는 7개의 준거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주제가 통합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었으며 2~3개 단원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과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발전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필요성을 명시하고 과학과에서 추구하는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정의와 관점을 진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적합한 지속가능발전 교육 영역과 내용 체계, 학습 목표, 주제, 교수-학습 프로그램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자들이 지속가능발전 교육에 관련된 지식과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원에서 다양한 주제와 접근 방식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of 2007-revised and 2009- revised. Analyses criteria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This study developed 10 criteria such as health, climate change, atmosphere, water, biodiversity, ecosystem, forest, energy, disaster reduction and management and soil. The results showed that 2007-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6 criteria, and 2009-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7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developing systemized teaching material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by pursuing the following tasks: First, the go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need should be stated in the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class content, themes, objectives, teaching-learning program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be produced. Third, within science curriculum, the content should deal with perspectives and topics beyond environmental perspective, to issues such as economical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so as to earn better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concept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관광전공자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대한 수요 분석

        민창기 한국관광학회 2017 관광학연구 Vol.41 No.10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important in tourism as its various forms of are closely related to this concept. They all appear under the name of sustainable tourism. However, there are very few courses teaching this concept within the tourism curriculum and only a small number of tourism departments provide these cours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need for 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ithin the tourism major and suggest directions for ESD in tourism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of 766 students from 5 universities was conducted using quota sampling and these showed a high demand for ESD themes in general (M=3.78) It also showed that the current teaching level of ESD however was low (M=2.81). The major themes in ESD and the themes in socio-cultural domain ar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multi-cultural understanding, conflict resolution, and civil education. These themes all showed high demand followed by theme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ible consumption in economic domain. The themes concerning environmental domain showed relatively low demand, but themes like eco-friendly energy, waste disposal/recycling of resources, and disaster prevention showed relatively high demand when compared with the current level of teaching. In conclusion, the need for a holistic approach through ESD in sustainability education in tourism is paramount. A follow-up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ustainable tourism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ecotourism courses in tourism curricula is also recommended. 관광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중요한 개념이며 다양한 형태의 관광이 지속가능한 관광(sustainable tourism)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관광교육과정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가르치는 교과목은 매우 적으며, 이를 개설한 관광관련 학과도 적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논문은 지속가능발전교육(ES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에서 강조하고 있는 다양한 주제에 대해 현재 교육수준은 어떠하며, 관광관련 전공자들의 ESD 교육수요는 어떤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과 향후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을 대상으로 할당표본추출에 의해 관광학과를 개설한 대학 중 5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실증조사를 한 결과 ESD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높은 수준(M=3.78)인 반면 현재의 교육수준은 평균 이하(M=2.81)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여러 주제 중 국제이해, 다문화 이해, 갈등해결, 민주시민교육 등 사회부문의 주제와 기업의 사회적 책임 등 경제부문의 주제에 대해 특히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문에서는 친환경에너지, 쓰레기 처리와 자원재활용, 재해예방 등의 주제가 현재 교육수준에 비해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교육 강화가 요구되는 주제로 밝혀졌다. 결론으로 ESD를 통한 사회, 경제, 환경부문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관광의 지속가능성교육에 필요함이 강조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생태관광 등 지속가능관광 관련 교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두 개념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SDGs에 기반한 세계시민교육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프로그램 개발

        조재용,최신일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3 초등도덕교육 Vol.- No.85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program that applies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o moral education classes in the form of project classes. Today, global issues in the global era and globalization have a pan-national characte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education that fosters the ability to deal with a variety of topics beyond countries and regions, such as pan-national and global perspectives and responsibilities, cultural understanding,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clude global challenge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ust cooperate to sol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carrying out the task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We would like to develop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SDGs for students living in this era and apply it to moral education classes. It is conducted in the form of a project class centered on moral subjects and is also conducted in connection with clubs on campus. Surveys, interviews, and portfolio methods a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based on SDGs have a positive impact on cultivating students' global citizenship. Students accepted individuals as members of the global community rather than being isolated from the world, and based on their new awareness of SDGs, their active attitudes and abilities to put them into practic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