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 현장을 위한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 개발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발된 여러 실행연구의 내용을 종합·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 현장의 맥락과 상황에 알맞은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서구를 중심으로 한 기존 실행연구 모델의 단계와 구체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행연구에서 공유되는 핵심적인 절차와 내용을 규명하고, 한국적 실행연구 모델에 포함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실제 수행된 실행연구 사례들을 토대로 핵심적인 4가지 요소에 따라 진행되는 실행연구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합한 실행연구 모델을 개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 확인과 구체화 단계에서는 실행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문제를 확인하고 연구의 방향을 설정한다. 둘째, 실행 계획 단계에서는 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잠정적인 방안을 구상하고 준비한다. 셋째, 실행 단계에서는 준비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하고 그 결과에 관한 증거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다. 넷째, 성찰 단계에서는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실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검토하여 연구의 의미와 가치를 규명하고, 연구를 종결할지, 재실행할지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토대로 연구자의 역량과 현장의 맥락에 적합한 다채롭고 심도 있는 실행연구 사례들이 축적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ut together and analyze the content of many action researches developed so far and propose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proper for the context and situation of the education field. The study analyzed the stages and specific content of the old action research models mainly from the West to generate findings before identifying the core procedure and content shared among action researches and extracting the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a Korean-style action research model. Finally, the study proposed an action research procedure according to four core elements based on real action research cases. The study developed an action research model fit for the education field of South Kore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checking and specifying a problem checks out the most important initial problem in action research and sets the research direction; second, the stage of planning an implementation designs and prepares a tentative plan to solve the initial problem; third, the stage of implementation practices the prepared solution firsthand and collects evidence about its outcomes in various ways; and finally, the stage of reflection investigates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value by review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outcomes in-depth and determines whether to end or rerun the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colorful and profound action research cases will be accumulated fit for the competence of a researcher and the context of the field based on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 초등학교에서의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조재성(Jae-seong Jo)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실천가인 교사가 직접 연구를 설계하고 실행한 협력적 실행연구로서 그 목적은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수업과 평가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을 설계하기 위해 과학 교과를 선택하였고,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하여 A 초등학교의 상황에 적합한 전자 포트폴리오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후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협력적 실행연구 절차에 의하여 직접 실행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A 초등학교의 맥락과 학습 상황에 적절한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 모델 및 3단원 36차시에 이르는 수업과 개별적인 루브릭을 제작하였다. 둘째,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행한 결과 교사들은 수업 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다음 수업 시간에 다시 반영하는 순환적 교수·학습 과정을 통해 전자 포트폴리오 평가를 구현했다. 셋째, 연구자로서 교사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처음에는 실행연구에 대하여 상당한 불안감을 보였으나 실행연구의 여러 연구 과정에 몰입하게 되면서 보람과 희열을 느끼게 되었다. 본 연구가 앞으로 더욱 가속화될 평가의 맥락화, 탈중심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designed and conducted directly by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s to deduce implications for class and assessment aspects by apply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in the classroom. Also,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improving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nsciousness by analyzing participating teacher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designed an appropriate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for an elementary school’s context and learning environment.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ecuting an electronic portfolio assessment model, the teachers implemented electronic portfolio evaluation through a cyclical teaching·learning process of re-searching the instruction process and reflecting on the next class.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eachers’ experiences as a researcher, teachers initially had considerable anxieties and doubts about the action research. However, they became immersed in various research processes of action research. As a result, they could solve real problems around them and develop their ability and feel worthwhile and great joy. This change worked as the power that helped to search for another action research topic. The researcher intends to contribute to contextualizing and de-centering educational assessment that will be more accelerated in the future. Various assessment models that applied action research are expected to be discussed.

      •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이용숙(Yongsook Lee, Ph.D.)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이 글에서는 연구목표가‘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일반화’인 실행연구(action research)설계에서의 고려사항들을 논의하였다. 우선 새로운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과정 중 1차 프로그램 개발(수업디자인)의 단계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또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개선을 목표로 하는 실행연구를 할 때 커다란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는 액션러닝(action learning)과 연계시킨 실행연구에서의 고려사항들을 구체적인 연구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다음에는 현장 적용 단계의 연구설계 시 고려할 사항들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교육실행 연구에 알맞은 주기/기간, 그리고 하나의 프로그램을 여러 교과목/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This paper discusses considerations in the action research design aimed at "developing new educational programs and their generalization." Firstly, it explores important considerations during the initial stage of program development and course design when creating a new educational program. Additionally, the paper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action research and action learning, highlighting the potential for a synergistic effect when conducting research to develop or improve educational programs. The following section reviews factors tha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research for the field application stage. Lastly, the paper discusses the appropriate cycle/duration of action research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one program to multiple subjects or circumstances.

      • STS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다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양연지(Yeonji Yang),장인실(Insil Ch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과학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증명이 된 지식만을 다루는 것으로 여겨져서 다문화 인식이나 태도 등을 기를 수 없는 영역과도 같아 보인다. 하지만 Banks(2008)는 과학 교과에 있어 신체적 특징을 활용하면 다문화적 내용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STS(Science-Technology-Society)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을 변화시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과학 중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한 개 학급으로 구성된 25명이며, 본 연구를 위해 STS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 수업 소감문, 학습지의 분석을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실행 전과 초기에는 학생들이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에 대해 고정관념과 거부감, 무관심 등의 태도를 보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중기 과정에서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 바라보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주변에서 볼 수 있는 과학과 관련된 기술적, 사회적 문제들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후기 과정에서 학생들은 과학적 지식과 함께 문제 해결 방법을 탐색해보고 성장한 다문화 인식 수준을 바탕으로 책임 있는 의사결정을 내리는 태도를 갖추어나가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문화교육이 과학 교과와도 연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과학뿐만 아니라 타 교과 교육과정 및 창의적 체험활동과의 통합·연계를 통해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Science is considered to deal only with knowledge that has been proven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ment, so it seems like an area in which multicultural awareness or attitudes cannot be developed. However, Banks(2008) suggests that using physical characteristics in science subjects can include elements of multicultural cont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STS(Science-Technology-Society) chang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awareness. To this end, this study seeks to reorganiz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section of science in the second semester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into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 students from one 6th grade class at S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and for this study,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sing STS was designed and applied. The analysis method was to collect and analyze research data throug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class impressions, and analysis of workshe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efore and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students showed stereotypes, resistance, and indifference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milies. During the mid-term of the program, they broke away from their existing perspectives and showed an attitude of respecting diversity by looking at other culture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addition, students began to recognize technological and social problems related to science that they could see around them and felt the need to solve them. In the later stages of the program, students explored problem-solving methods along with scientific knowledge and developed an attitude toward making responsible decisions based on their developed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achieved in connection with science subjects, a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achieved through integration and connection not only with science but also with other subject curriculum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 중 · 고등학생이 지닌 난민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경윤영(Yunyoung Kyung), 장인실(Insil Ch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22년 법무부가 난민심사 지침을 공개해야 한다는 원심판결이 확정된 사건을 배경으로 교사가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여 주도권 토론으로 중·고등학생이 지닌 난민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학생들은 난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둘째, 난민 수용에 있어서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학생들은 난민 신청자를 난민으로 인정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이다. 학생들은 난민인정기준 심사에 포함될 평가 항목으로 경제력, 재능, 가족 여부, 출신국, 건강 이상의 다섯 가지 중 두 가지를 중요도 순으로 고른 후 한 가지를 더 제안하는 형태의 주도권 토론을 실시하였다. 토론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다섯 가지 평가 항목 이외에도 자국민 보호, 난민 구호의 시급성, 자국 이익, 신뢰성, 난민 신청자의 태도 등을 세 번째 인정 심사 평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학교급별에 따라 난민인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고등학생들은 난민의 무조건 수용에 대하여 자국민 보호를 우선 혹은 전제로 두고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중학생은 난민 입장을 우선 생각하는 팀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이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조금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계산에 더 많이 마음을 기울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난민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refugees through a discussion of a hypothetical scenario proposed by a teacher in light of a court decision confirming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publish refugee screening guidelines in 2022.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what do students think about refugees? Second, wh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cessary for refugee acceptance? Third, what elements do students think are essential for recognizing refugee applicants as refugees? After listing economic status, talent, family background, country of origin, and health as possible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proposes that each team should choose two criteria based on importance and suggest another one. During the discussion, students highlighted the need to expand the evaluation criteria to include national protection, urgent refugee relief, national interest, reliability, and the attitude of asylum seekers. High 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protection over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refugee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establishing criteria from a refugee's perspec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be more pragmatic and focuse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 into the differences in thinking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refugees and to encourage them to consider the issue of accepting refugees from various perspectives.

      • Recent Trends i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hoon-Sig Lee(이춘식 )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The new technology curriculum was revised and published in December 2022. The design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revision directions of “learning in connection with life” and “reflection on the 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he content elements of an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urriculum design were organized before and after its revisio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n the technology area of the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1) the unit with the largest reduction and dele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w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2) the new contents in terms of connecting technology education at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wer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3) the robot unit was changed to emphasize robot convergence technology. 4) a unit of construction technology was newly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5) in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unit, the content was reduced and changed from existing software to digital technology. 6)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opic was newly established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새로운 기술과 교육과정이 2022년 12월에 개정되어 고시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교육과정 설계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초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이 개정 전후의 내용 요소를 비교하여 어떻게 편성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여 초등 기술교육의 동향과 교육과정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정된 2022 기술과 교육과정의 문헌을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초등 실과의 기술교육 내용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유지, 변형, 이동, 축소/삭제, 신설의 차원에서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른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축소와 삭제가 크게 나타난 단원은 정보통신이었다.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과정을 체험하며, 간단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에서 순차, 선택, 반복 등의 구조를 이해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내용이 디지털 기술과 기기의 활용으로 대체되었다. 둘째, 초등과 중등의 기술교육 연계성 차원에서 신설된 내용으로는 건설기술과 인공지능이었으며, 발명과 지식 재산 단원에서는 기존의 발명과 문제해결에서 발명 사고기법과 특허의 개념으로 변형되고 신설되었다. 셋째, 수송기술 단원에서는 기존의 수송기술과 수송 수단에서 수송 수단에 초점을 두어 선택과 집중을 하였으며, 로봇 단원에서는 로봇 융합기술을 강조하도록 변화되었다. 넷째, 건설기술의 단원이 신설되어 초등학교와 중학교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였으며, 정보통신 단원에서는 내용이 축소되고 기존의 소프트웨어에서 디지털 기술로 변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주제는 새롭게 신설되어 초등과 중학교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였다.

      •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 분석 및 학습 내용 탐색

        이윤정(Yun-Jung Lee)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학습 내용을 탐색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목표와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의생활 분야의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인간 발달과 주도적인 삶,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의 두 영역과 관련되어 있다.‘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에서는 옷의 기능과 옷차림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건강과 웰빙’이, 환경적 관점에서는‘기후변화 대응’과 연계성이 있다.‘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에서는 생활 자원의 제한, 재사용과 재활용, 간단한 수선, 생활용품 만들기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는데, 환경적 관점과 사회·문화적 관점에서의 지속가능발전목표가 직, 간접적으로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 경제적 관점에서는‘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에서 노동자들에 대한 윤리 문제를 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내용 요소에서 두 영역 모두 [지식·이해], [과정·기능]이 [가치·태도]보다 더 많은 내용을 포함하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 의생활교육을 위한 학습 내용은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두 영역에 있는 성취기준을 주제 중심으로 통합하여 5개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학습 내용은 학생들이 일상생활과 연계하여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주제에 대해 선택 활동을 제시하여 다양화하였고, 각 활동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도 제시하여 초등학생들이 지속가능한 의생활을 실천하는 역량을 기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에서‘지속가능’의 개념이 더욱 표면화됨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의생활 분야에서 지속가능교육을 할 수 있는기초자료를 제공하고,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교과서 개발 및 구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well-known that the 2022 revised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follow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This research tries to see if the curriculum completely reflects the value of sustainable clothing education, and consequently explores correspon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ustainable clothing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2022 revised practical education curriculum, show that they are related to‘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and‘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is about the function of clothes and attire, and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health and well-being’is linked to‘climate change response’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s’consists of contents such as limiting living resources, reuse and recycling, simple repairs, and making household items. From an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evenly included directly and indirectly. From an economic perspective,‘quality jobs and economic growth’indirectly includes ethical issues for worker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 both areas of the content system, [Knowledge·Understanding] and [Process·Skill] included more content than [Value· Attitude]. Second, f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lothing education were presented by integra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two areas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and curriculum around the topic. The contents of the presen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design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and practice them in connection with their daily lives, and various‘optional activities’were presented for each topic to identif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at should be focused on in each activity. The aim was to cultivate the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practice sustainable clothing. As the concept of‘sustainability’becomes more apparent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sustainable education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living in school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practical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help development and composition in classrooms.

      •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분석 :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접근법에 근거하여

        김지나(Ji Na Kim),장인실(In Sil J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2

        초등 학령인구는 매년 줄어들고 있지만 다문화 학생의 수는 해마다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서울과 안산에는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90%가 넘는 초등학교가 있으며, 농어촌에는 이미 다문화 학생들로만 채워진 분교도 있다. 다문화 학생과의 공존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되어버린 교실 현장에서 학생들의 학습과 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담임교사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된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이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의 접근 방법에 의거하여 어느 수준인지를 진단하고, 이에 따른 교실에서의 실행이 어떤 행동 유형으로 나타나는지 고찰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의 인식은 인종과 문화를 드러내는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사례지 응답 분석의 방법으로 교사 15인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또한 Sleeter와 Grant의 다문화교육 접근 방법의 단계별 양상을 명확하게 드러낸 교사 6인을 선별하여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교실에서 적용하고 있는지 심층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으로 다른 학생 가르치기 단계의 결핍 지향적 입장을 가지고 있는 교사는 그들의 인식과 실행이 일치하였다. 둘째, 단일집단 연구 및 다문화사회정의교육의 단계를 가지는 교사는 발견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이론 및 다문화교육적 접근 단계의 교사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교실에 적용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문화학생 대상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교과서를 포함한 교육 자료의 다국어 지원 서비스,다문화 학생 지도와 관련한 교육 실습 기회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iagnose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Sleeter and Grant'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types of behaviors that are manifested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The teachers' awarenes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ase study response analysis, which consists of open-ended questions, to 15 teachers. In addition, six teachers who clearly revealed the step-by-step pattern of Sleeter and Grant's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see how they are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eachers who have a deficiency-oriented position at the stage of special student and culturally different professors have a consistent awareness and practice. Second, no teachers who have the stages of single group research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were found. Final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tages sometimes have a mismatch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The study suggests the provision of customized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multilingual support services for educational materials including textbooks, and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related to guidance of multicultural students during student teaching.

      • 보편적 학습설계 분석을 통한 과정중심평가 구현 방안

        조호제(Hoje Jo), 김혜숙(Hyesook Kim)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에서는 보편적 학습설계가 과정중심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과정중심평가를 계획(수업 전)하고, 실천(수업 중)하며, 평가(수업 후)하는 일련의 구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기준을 살펴보고, 보편적 학습설계에 의한 영역별 교수‧학습전략 틀을 바탕으로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 4가지 관점에서 교수‧학습전략을 제시하여 과정중심평가의 구현 방안을 제안하였다. 목표 설정에서 교사는 목표를 학습자 수준에 맞게 설정해야 하고, 목표의 수준별 다양화를 통해 학습자는 차별화된 학습내용을 선택할 수 있다. 내용 선정은 목표와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학습자가 선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학습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방법 선정은 학습 내용에 적절한 수업 모형을 적용하되 학습 내용에 대한 수정이나 변경, 개선이 언제든지 가능해야 하고, 학습자의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평가 선정에서는 다양한 과정중심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적절한 평가를 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수정 및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며, 교사도 평가결과를 통해 자신의 교수‧학습을 반성하고 교수학습설계를 수정할 수 있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과정중심평가를 계획, 실천, 평가하는 전 과정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기준에는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각 단계별 지침에서 과정중심평가를 위해 교사가 고려할 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목표, 내용, 방법, 평가는 상호배타적 개념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 일관된 방향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i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provide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planning (before class), practicing (during class) and evaluating (after class). To this end, the standards associated with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are reviewed, and th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 are provided based on the teaching & learning strategy frameworks by domain based on the UDL. Teachers should set the goals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and the learners should be able to select differentiated learning content through diversification of the goals by level. Considering consistency between the content and the goal, various levels of learning cont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learner can reach his/her selected goal. When selecting the method, it should be possible to change, modify or improve the learning content while applying an appropriate teaching model for the learning content. Information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for the learner’s individual learning and attaining the goal set by the learner. When selecting the evaluation, the appropriate evaluation for the goal set by the learner is evaluated by utilizing various process-based evaluation methods. The learner can have an opportunity to modify and improve the learned content through the teacher’s feedback, and the teacher can reflect on his/her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the evaluation results and modify th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The UDL provides many suggestion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lanning, practicing and evaluating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2015 revised general guidelines for school curriculum provide what the teacher should consider and how the teacher should do for the process-based evaluation in each step of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e goals,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stently established by being closely correlated and not mutually exclusive.

      • 다문화 학생의 학습 만족도 향상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 모델

        정광자(Kwangja Jeong), 김혜숙(Hyesook Kim)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가정의 자녀인 다문화 학생들이 비대면 환경에서 진행되는 학습 활동이 누적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 학습에 대한 만족도가 점차 감소한다. 다문화 학생들은 온라인에서 자기 주도 학습을 하면서 무기력한 학습 환경에 노출된다. 이로 인해서 온라인 학습에서 관심과 흥미가 떨어지면서 집중도가 낮아진다. 일부 다문화 학생들은 가정에서 온라인 학습 시 학습주제 파악과 학습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주어진 학습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해하기 어려운 학습 내용에 대해서는 즉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학습 과정이 필요하며, 학습자, 교수자, 학습콘텐츠,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이 유기적으로 상호작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의 장점을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 모델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다문화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 주도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국어와 도덕 과목을 선정하였다. 두 과목의 교과를 중심으로 총 10차시의 블렌디드 러닝 기반 수업 모델을 설계하여 활용하였다. 다문화 학생들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수업 모델을 설계하여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사전・사후 설문 조사 결과의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 다문화 학생들은 학습 활동에 관심과 흥미를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그로 인해서 학업성취도가 향상되고 학습 만족도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children of international marriages and foreign families), satisfaction with learning gradually declined due to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from the increased use of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Multicultural students were left helpless as they lacked guidance navigating self-directed learning in online courses. As a result, their interest in online learning subsided. There was a need to provide immediate feedback for content tha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Learners, instructors, learning contents,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need to interact organically because multicultural students cannot grasp learning topics, know how to learn, and solve difficult learning problems. To effectively resolve these problems, a blend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that utilizes the advantages of online and offline learning was designed and applied. This research process aimed to promote interests in positive learning among multicultural students. In this study, ten blended learning-based teaching models were designed to improve multicultural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focusing on Korean and moral subjects.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signed to be appli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five stages. First, the curricula of Korean and moral subjects were analyzed. By associating and integrating the Korean language and moral subjects of the relevant grade, learning was devised according to the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learning activ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elem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equality, anti-bias, and diversity) were added to the design of the instructional model. Third, online learning activities were conducted through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with an e-learning center and Zoom. Offline learning activities included discussions, role plays, experiments and practices, and group activities. Fourth, online learning tools such as Padlet, Tinkerbell board, annotation, bulletin board, KakaoTalk, and Classting were used in online learning activities. Fifth, in connection with life, the environment, and humans and animals, learning topic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them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centered on daily materials. Pre-and post-survey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result of designing and applying the blended learning class model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dding a class reflection journal and interviews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the research conducted o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y designing and applying a blend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suitable for multicultural students, multicultural students participated with interest in learning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