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자원봉사의 봉사학습론에 대한 비판적 탐색

        김미란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3 청소년시설환경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oaden the theoretical debates on youth volunteering by examining the terrains of the debates on the nature of youth volunteering that revolves around the discourse of 'service-learning' and revealing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the meaning of service-learning. Already, interest of many researchers in volunteering has moved beyond the practical and pragmatic and has been theorized around the concept of 'service learning'. Service-learning has emerged from the institutionalizations of youth volunteering and has driven the enactment of volunteer legislations. Meanwhile, critical service-learning theories have been rais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policy discourses and mainstream service-learning theories. Both of the existing service-learning theory, which sees youth learning citizenship as a responsibility and duty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volunteering, and the critical service-learning theory, which recognizes the structural inequalities of neoliberalism and seeks critical citizenship for social justice, require an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context surrounding youth volunteering.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dialogues between the two perspectives, youth service learning for democratic citizenship will be explored.

      • KCI등재

        서비스-러닝과 장소 기반 지역 협력을 통한 대학교육의 변화 지향

        권상철(Kwon, Sangcheol),오정훈(Oh, Johnny)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교육과학연구 Vol.23 No.4

        대학은 교육과 연구 그리고 비교적 늦게 미국 주립대학의 공공서비스 전통에서 시작한 봉사를 핵심 이념으로 하고 있다. 세계화와 더불어 경쟁 심화와 경제 변화 상황에서 대학은 순위와 취업 경쟁에 치중하며 본연의 역할과 거리를 두었다. 그러나 대학은 최근 교육의 내실을 기하며 사회 공헌도 확대하는 서비스-러닝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서비스-러닝은 1990년대 미국에서 대학교육이 사회 문제에는 무관심한 체 학생들의 개인 역량에만 주력하는 상황에서 대학의 자성적 노력과 정부, 사회기관의 지원으로 확대 되었다. 대학의 사회적 책무와 관련하여 서비스-러닝은 사회문제에 대해 비판적 안목으로 지역사회와의 호혜적 관계를 강조하고, 한정된 지역을 대상으로 대학과 지역사회가 종합적인 협업을 강조하는 장소 기반의 지역 협력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국도 교육 현장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강조하며 최근 일부 대학에서 서비스-러닝을 현장과 연계한 지역기반학습으로 진행하는데 아직 특정 지역, 학과에 한정되어 있다. 대학은 보편적으로 지역사회와 특정 문제를 중심으로 협력하는데, 지역사회의 협회, 기관, 기반시설 등 자산에서 잠재력을 찾는 새로운 안목과 시도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대학의 서비스-러닝과 연계한 지역의 수요와 자산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학습 효과를 높이고 지역 변화를 이끌어 내는 또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서비스-러닝과 대학-지역 협력은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한 대학의 변화 노력이다. Universities pursue teaching, research and service as central roles in which the service was added lately from the public service tradition in US state university. As university education became popular, students devoted their time to individual capacity building, and increased competition with globalization put universities into ranking and employment pressure. In the 1990s, universities distanced from social issues bega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to emphasize practical experience and service to communities. Governments and social organizations supported such change to take place in numerous universities. With regard to the university social responsibility, service-learning emphasizes critical approach to social issues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Place-based community engagement is another approach university cooperates with specified place diverse activities with long-term commitment. Korea has emphasized volunteering activities for education, but service-learning has been adopted by only a few universities and majors. Community engagement often has taken problem-focused approach. New perspectives and efforts are needed to find the potential in the assets of the community such as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A research activity of local assets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service-learning would increase the effects of learning and regional change. Service-learning with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is a transformational efforts at universities for a better world.

      • KCI등재

        봉사학습론과 적극적 시민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3의 길 정책의 ‘적극적 시민성’과 그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중심으로

        김미란(Mi Ra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6

        목적 본 연구는 영국의 제3의 길 정책에서 제시된 적극적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봉사학습론의 문제의식과 주요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한국 사회 봉사학습에 관한 이론적 실천적 이해를 넓히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원봉사에 관한 국내연구를 검토한 후 이들이 이론적 배경으로 삼는 ‘적극적 시민성’ 정책과 봉사학습 담론에 관한 논쟁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영국 블레어 정부의 제3의길 정책을 중심으로 한 ‘적극적 시민성’과 이에 대한 비판적 봉사학습론의 이론과 실천적 논의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적극적 시민성과 봉사학습 담론은 신자유주의 개혁으로 인한 사회불평등과 갈등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전략으로 의제화되었다. 둘째, 비판적 봉사학습론은 봉사학습 관련 정책담론이 사회구조적 문제를 개인적 책임감으로 대체한다는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적극적 시민성과 봉사학습의 의미를 사회구조적 차원에서 재구성하고자 했다. 결론 봉사학습의 제도화로 인한 문제점, 봉사학습에서 무형식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중심으로 비판적 봉사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한 후 본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service learning in Korea society by examining major issues of critical service learning on active citizenship presented in the UK’s Third Way policy.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literature on active citizenship and volunteerism policies presented in the Third Way policy and research papers on the theory and qualitative researches of critical service learning. Results First, the discourse of active citizenship and service learning was brought to the agenda as a national strategy to cope with social inequality and conflicts caused by neoliberal reform. Second, critical service learning sought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active citizenship and service learning based on the critical consciousness that existing service learning policy discourse replaces social structural issues with individual moral responsibility.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critical service learning are presented, focusing on the problems caus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ervice learning and the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 KCI등재

        하브루타 러닝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권미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9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8 No.4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havruta learning on pre-service infant special teacher’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havruta learning was conducted on 13 second-grade students taking the course 'Problem Behavior Management and Behavioral Modifi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f the pre-child special teachers, the change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by conducting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tests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emes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increased meaningfull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havruta learning.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collaboratively solve problems i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by discussing topics related to problem behavior through critical thinking.Moreover, it shows the necessity of havruta learning in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raining process. 본 연구는 하브루타 러닝이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N대학교 유아특수교육과 전공 교과목인 ‘장애유아 행동관리 및 행동수정’ 강의를 수강하는 2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 검사점수를 하브루타 러닝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변화를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하브루타 러닝 후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협력적 자기효능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특수교사들이 하브루타 러닝을 통해 장애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된 주제를 비판적 사고로 토론함으로써 특수교육 현장에서 협력적으로 문제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비유아특수교사 교육에서 하브루타 러닝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인문학적 성찰의 기획으로서 매체 문식성 학습

        이원영 ( Wonyoung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고는 인문학적 성찰의 기획으로서 생태주의 기반의 매체 문식성 학습을 구성하고, 그 가능태를 예시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학적 성찰의 기획으로서 매체 문식성 학습의 문제를 논구하였다. 이를 통해 매체 문식성 학습의 핵심이 비판적 문식성이며, 매체 문식성 학습이 인문학적 성찰의 기획이 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매체 문식성 학습 설계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매체 문식성 학습 설계의 핵심이 내용과 제재임을 확인하고, 생태주의와 자연 보호 공익 광고를 학습의 내용과 제재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매체 문식성 학습을 구성하고 가능태를 예시하였다. 예시한 학습 활동은 학습자들이 자연 보호 공익 광고를 대상으로 생태주의에 기반한 성찰적 문식 활동을 수행하는 형태다. 본고는 매체 문식성 학습 설계의 한 방향으로 인문학적 성찰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n ecologism-based media literacy learning as a project of humanistic reflection and to illustrate its potentiality. To this end, we first discussed the problem of media literacy learning as a project of humanistic reflection.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of media literacy learning is critical literacy, and that media literacy learning should be a project for humanities reflection. Next, the problem of such media literacy learning design was review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of media literacy learning design was content and sanctions, and ecologism and nature conservatio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were suggested as the content and sanctions of learning. Finally, media literacy learning was constructed and potential was exemplified. The exemplified learning activity is a form in which learners perform reflective literacy activities based on ecologism for nature conservation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humanistic reflection as one of the directions of media literacy learning design.

      • KCI등재

        전환학습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반성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박선미 ( Sun Mi Park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반성에 초점을 맞춘 학습경험을 정규 수업과정에 포함시킴으로써 예비유아 교사가 전환학습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그러한 경험이 그들의 현직 교사생활에서 어떠한 반성적 사고와 인식의 변화로 이어지는지를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B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학생 22명으로, 학생들에게는 유아교사론 강좌의 수업시간 동안 이론 강의, 소그룹 토론, 자서전 작성 및 발표, 수업사례 분석 및 토의, 매 주별 반성적 성격의 주제에 따라 비판적 자기반성을 야기하기 위해 고안된 질문을 포함한 저널쓰기가 과제로 주어졌다. 학생들의 저널은 학기말에 수집되었고 이는 내용분석법을 통해 범주화되었다. 범주화된 내용으로부터 도출된 학습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자신이 속한 사회와 교육의 전반적인 이슈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해 나가면서, 그리고 동료들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신이 지금껏 당연시 해온 관점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이를 다른 관점에 의해 상대화시키거나 더 포괄적인 관점으로 전환시켜 나가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었다. 수업에 참여했던 예비유아교사들 중, 졸업 후 생존기를 경험하고 있는 3명의 현직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추후연구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역시 기관 내질적 수준에 따라 반성의 초점에 있어 차이가 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교사나 교사 스스로 자신의 교육과 관련된 가정과 신념들을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주변의 타인과 합리적인 의사소통의 기회를 열어 나갈 때에 전환학습이 가능함을 타진해 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실제 교육현장에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의사소통의 부재 역시 한계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ndergo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s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junior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the city of B. The students took a course in the theory of early childhood teaching, which involved theoretical lessons, small-group discussions, writing and presenting life stories, case analysis of instruction and discussion about that, and weekly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ey performed all the assignments, and they replied to the questions prepared to stimulate critical self-ref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themes while they kept journals. Their journals were collect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a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ategorize what was written in their journals to find out what kinds of learning experiences they acquired and what the experiences meant for th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me to think of general social and educational issu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When they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they began to doubt their existing perspectives that they had just taken for granted, and tried to replace the perspectives with more objective or comprehensive ones. After three beginning teache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ubjects of the study, follow-up research was implemented, and they appeared to be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in the focus of refle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to which they belong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bo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ble to do transformative learning when they reflected on their own assumptions and beliefs related to education from a critical viewpoint and had a rational communication with others. Actually, however, there was something to curb transformative learning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was the very lack of communication that could possibly lead to transformative learning.

      • KCI등재

        유아 봉사학습의 의미와 실천 방향 탐색

        이경화,김정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5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4 No.2

        The researchers aimed to bring conceptual clarity and pedagogical ideas to the Service-learning (S-L)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paper, the following questions are asked: "What does mean ‘S-L in early childhood' in terms of philosophical and theoretical perspective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How can early childhood teachers transform the S-L into pedagogical practice in their site?"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found that the S-L in early childhood holds several conceptual meanings such as 1) experiences in real-world and reflections on them 2) learning opportunities for becoming a ethical and participatory global citizen, and 3) the subject’s actions toward transformative pedagogy. Accordingly, several practical suggestions for effective S-L connected with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were discussed. 봉사학습(Service-Learning)은 학습자의 사회봉사와 학습을 결합한 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형식적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봉사학습을 체계화 하여 실천하고 있는 국외 현황과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는 어린 학습자들의 봉사학습에 관한 이론적 탐구나 그 교육적 실천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유아교육 분야에서 봉사학습에 관한 연구나 교육적인 실천을 활성화하기 위해 그 선행 작업으로서 철학적, 이론적 관점에서 봉사학습의 의미나 가치를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적 실천 방안에 관한 다양한 대화 또한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보주의적 교육철학, 세계시민교육론, 비판적 교육학의 관점에서 유아봉사학습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의 경험과 반성적 사고를 지향하며, 인류의 보편적 윤리와 사회 참여를 추구하고, 학습에서의 유아와 유아교사의 주체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유아 봉사학습의 교육적 의미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유아 봉사학습의 실천을 위한 주요 요소로 참여성과 반성성에 관해 기술하면서, 유아교육과정에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봉사학습의 실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원봉사활동을 넘어서는 봉사학습과 시민교육의 홀리스틱 결합 모색

        심성보(Sim, Seong B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8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2 No.3

        민주주의 쇠퇴에 대응하는 시민성(권)의 개념 변화와 함께 봉사학습의 개념도 변화하였다. 첫째, 체험학습의 한 형태인 봉사학습은 시민이 필요한 민주적 성향의 형성을 소개하는 교육이다. 둘째, 봉사학습은 학생들이 민주적 삶의 중심에 있는 공적 공간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한다. 셋째, 인종, 종족, 계급의 노선을 넘어선 함께 활동하는 봉사학습은 단일문화주의를 허무는 데 도움을 준다. 이제 자원봉사활동의 한계를 넘어서는 홀리스틱 봉사학습은 시민교육과의 이념적 결합을 할 필요가 있다. 우선 ‘자유주의적’ 시민성에 근거한 봉사의 첫 번째 이념은 한 시민으로서 ‘권리’의 담지자가 되는 Locke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런데 집단의 파편화, 책임없는 개인의 권리 무한주장은 공동체의 이상과 공동선의 위기를 불러와 제2의 ‘공동체주의적’ 시민성이 다시 요청되었다. 그러나 공동체적 시민성에 바탕한 봉사학습은 현대의 복잡한 문제 해결을 기피하기에 실천적 문제해결에 관심을 두는 제3의 ‘비판적(실용주의적) 시민성(권)’을 요청하고 있다. 이제 공민적․참여적․성찰적 봉사학습이 통합된 홀리스틱 봉사학습을 필요로 한다. In the wake of complex decline in our democratic faith, service learning offers a promise of renewal. Holistic service learning as a form of experiential learning can work in three different ways toward counteracting the forces of democratic deterioration. First, holistic service learning is a pedagogy that address directly the formation of the democratic disposition that citizens need. Second, holistic service learning places students in direct contact with the kinds of civic associations and civic spaces as central to vibrant democratic life. Third, holistic service learning to the extent that it involves people working together across ethic, racial, or class lines, can help to break down the competing monoculturalisms. Service in the large community allows and often requires, students from diverse background and experience to work on projects or to reach common goals. Holistic service learning offers one of the more effective vehicles for concretely and meaningfully engaging issues concerning democracy. The first conception of citizenship, what is these days often called a liberal view of citizenship is based on the idea that a citizen is a bearer of rights. However, fragmentation of groups and rights responsibilities have led to the resurfacing of a second - essentially communitarian - view of citizenship, grounded in ideas of moral community and deliberation about the common good. In this way it tends to overlook extraordinary lessons for civic renewal from history. This lessons in turn, helps us revitalize a third conception, called a critical(pragmatic) view of citizenship, one more attentive to practical problem solving, the public dimensions of work and the very idea of public work itself.

      • KCI등재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권연정(Kwon, Yeon-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1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실행된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룹기반보다는 짝 기반으로 진행된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력을 더 크게 향상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실시간 원격수업에서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실시간 원격수업에서는 집단유형에 따른 협력학습이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확대될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실행되는 소집단 협력학습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group vs. pairs) on the logical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end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al-time video classes conducted due to the COVID-19. To this end,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with 4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o conduct ANCOV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in real-time video classes affects the logical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u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operative learning conducted in pairs rather than group-based significantly improved the logical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egre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epending on the group type. In other words, in real-time video classe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group type did not affect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implemented in a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that will be expanded after the COVID-19.

      • KCI등재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Critical English Language Teacher Education

        신현정,전미현 한국영어교육학회 2018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3 No.4

        In this paper, we explore how English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ld be envisioned in different ways if one were to adopt a ‘social’ approach toward English language education. More specifically, drawing on our experience, which we gathered as Korean faculty members of two Canadian universities, with the help of reflexive inquiry, we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critical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language teachers. Focusing on a small-scale case study of Korean teacher candidates who participated in a short-term community-based service learning in Canada, our analysis examines how to train English teachers to develop their ow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so they can better develop intercultural competence among their students. We argue that a critical understanding of linguistic and cultural diversit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English language teacher education in increasingly diverse EFL classrooms across South Korea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ransnationalism, and multilingual/ multicultur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