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재근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2 영어어문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of the development of the English textbooks in EFL situation. The 7th National English Curriculum(NEC) in 2001 which emphasized the curriculum-centered school education have had much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testbook-centered school educ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paradigmatic change of school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English textbooks were changed into the new types of students-centered classroom activities. For students' communicative activities, the English textbooks were developed by two types of syllabuses: process-oriented syllabus and product-oriented syllabus. The 7th NEC includes procedural syllabus and task-based syllabus as well as grammatical- structural syllabus and notional-functional syllabus. In short, unlike the English textbooks in former curriculums, learners' classroom activities and tasks have been emphasized in those to foster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 대한영어교육연구학회 2013년 공동학술대회
편집부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3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Vol.2013 No.-
A Perspective for Developing Dynamic English Teacher Education
Acquisition of Topic Representation in the EFL Class through the Integrated Skills Teaching
康美圭(Mi-gyu Kang)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 No.30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영어(EFL) 수업시간에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영어의 “주제제시(topic representation)” 방법의 습득에서 영어학습자들이 겪게 되는 이해의 난점들을 살피고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으로 ”통합기술교육“을 제시해 보았다. 우선, 영어와 한국어의 경우 모두에서 무표적 어순(un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에서의 주제제시 방법을 살펴 보았는데, 영어에서는 명령문(imperatives)을 제외하고는 주제어(topic word)를 주어 자리에 놓는 것으로써 그 주어자리에 놓인 명사가 담화(discourse)의 주제임을 암시해 준다. 반면에, 한국어에서는 은/는(un/nun)과 같은 주제어 표시 불변화사(particles)를 이용하여 주제어를 나타내 준다. 따라서 한국어에서는 문장의 주어가 곧 주제어일수도 있고 주제어와 주어가 서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유표적 어순(marked word order)을 취하는 구문의 경우, 주제어는 주제화(topicalization)되기 위해 문두로 이동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 때 두 언어 모두 의미 해석에 있어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데, 특히 양화사구(quantifier phrases)나 의문사구(wh-phrases)의 이동일 경우 문장 전체를 해석 범위로 취하는 넓은영역해석(wide scope readings)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담화(discourse) 속에서 ‘주제’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수동구문(passivized constructions)이 쓰이는데, 두 언어 모두에서 주제를 고수하기 위해 수동표현이 쓰임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법적 사항을 EFL 수업에서 학습자가 습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상어(target language)를 실제로 이용하면서 언어의 네 가지 기술을 적절히 균형을 이뤄 학습케 하는 통합기술(integrated skills) 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영어의 ‘주제어 제시’ 방법을 습득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기존에는 언어수업을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등 네 가지 언어기술(language skills)을 서로 분리하여 습득하게끔 하는 수업방식이었던 반면에, 통합기술교육은 대상언어 수업의 최종 목표가 무엇이든 간에 그 수업을 통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기술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대상언어에 대한 능력을 균형 있게 향상시키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통합기술교육의 실현을 위해 실제 교실 수업에서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와 Consciousness-Raising tasks를 이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영어 구사능력(communicative proficiency)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외국어 교육의 보다 획기적이고 효율적인 수업방식의 용기 있는 도입은 학습자들과 교육자 모두에게 보다 의미 있는 시간을 제공해 주리라 생각한다.
대면·비대면 혼합 수업 환경에서의 학생평가 지원 방안 탐색 :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도구 개발 및 시범적용
이문복 한국영어독서교육학회 2020 한국영어독서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0 No.11
본 연구는 역량 중심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학교 현장에 시범적용 하는데 목적이 있다.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해,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영어 교과 역량 간 관계, 영어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교과 역량별 하위 요소와 성취기준 간 연계성을 탐색하였다. 네 언어 기능(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을 상호 연계하고 다양한 기술공학적 기능(편집기, 피드백, 녹음, 메신저 등)을 구현한 역동적 평가도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영어 수업에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 교사 및 학생들의 컴퓨터 기반 영어 의사소통 역량 평가 도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같은 시범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영어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노승빈(Seungbin Roh)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17 영어교육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2년의 기간을 거쳐 한국 대학생 398명에게 창의적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학기 프로젝트 7개를 집중적으로 작성하도록 지도하고 개별활동지마다 점수와 피드백을 주었다. 이러한 발산적인 영어 학습 활동들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창의적인 사고행위를 촉진하도록 격려하였으며 학습자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영어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지도하였다. 일련의 발산적 영어활동들의 단계적 난이도를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학습자 스스로가 발산적 사고행위를 할 수 있는 능력함양과 환경 조성을 제공하였다. 수강학생들은 대부분 대학교 1학년과 2학년들로 구성되어 있고 11개의 설문문항을 질문하였고 각 문항별로 응답유형(주관식, 자유형식)으로 답하도록 하였다. 발산적인 영어활동의 목표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아이디어와 의견을 도출될 수 있도록 질문과 워크시트를 통해 유도하는 활동이므로 설문지 형식도 학생들의 자유로운 의견을 질문에 서술하도록 하였다. 본 설문결과의 분석은 주로 학생들의 주관적인 설문 응답을 텍스트 분석하였기 때문에 문항 간 교차 분석하는 부분은 크게 의미가 없었다. 긍정적으로 답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일관성 있게 긍정적이고 모르겠다/아니다 라는 부정적인 답변을 한 학생의 경우에는 대부분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과별/학년별/성별 차이에도 별다른 특이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상당부분의 발산적 영어 활동을 경험한 학생들은 창의적인 영어 학습을 위해 발산적인 영어 학습활동의 중요성을 인정하였으며 교실 현장에서의 수렴적 영어 학습활동과 더불어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통합적용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발전과 적용을 위해 학생들은 다양한 여러 가지 방법들과 제안을 하였으며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들이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려운 이유와 환경을 조목조목 설명하기도 했다. 설문 결과를 집계하면서 향후 발산적 영어 학습활동의 적극적인 도입을 위한 교과과정과 정책의 변화, 평가방법의 다양성 등 해결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도 제안하며 7가지 고찰해야 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asked 398 Korean college students to write down 5 or 7 worksheets as team work projects and homework regard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gave feedback on their responses per each semester. Through thes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learners themselves were encouraged to facilitate creative thinking behavior and guided to express their ideas and opinion in English. By applying the gradual degree of difficulty,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helped students think creatively and provided the environment they were able to freely express what they thought. The survey respondents mostly consisted of 1st and 2nd year college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one capital and two local areas. At the end of each semester after completing divergent English activities,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se the questionnaire including open ended 11questions. Since the purpose of the divergent English activity was to induce students free ideas and opinions via questions and worksheets, the style of the questionnaire was to describe their unconstrained ideas and opinions. Beca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ostly focused on tex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there were no meaning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each question. However, many survey respondents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for the creative English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vergent and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To develop the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each student understandably suggested variable methods and strategies and sharply explained the difficult reasons to apply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riented the con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as well as system of an college and company entrance examination. By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is study stressed the necessity of consider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the variability of evaluation and so on for introducing divergent English learning activi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