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8군부사령관 Coulter 장군의 독도폭격 연습기지 사용인가 신청에 의한 미국정부의 한국의 독도영토주권 승인

        김명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4

        1951년 6월 20일 미8군부사령관 John B. Coulter 중장은 대한민국 국무총리에게 독 도폭격연습기지 사용 인가를 신청한 바 있다. 미8군부사령관은 미국의 국가 기관이고 동 인가신청의 주체는 법인격자인 미국이다. 미국이 대한민국정부 당국에 독도폭격연습기지의 사용을 인가해 줄 것을 요청한 것은 미국이 대한민국의 독도영토주권을 묵시적으로 승인한 것이다.영토주권의 승인은 국제법상 금반언의 효과를 창출하므로 미국은 대한민국의 독도영토 주권의 승인과 모순⋅저촉되는 행위를 하지 아니할 국제법상 의무를 부담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대일평화조약”의 체결과정에서 Sebold의 “대일평화조약”안 에 대한 1949년 11월 4일의 권고적 의견에 따라 1951년9월 8일의 “대일평화조약”에서 독도를 대한민국의 영토로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아니한 것에 대해 국제법상 정치적⋅법적 책임을 부담한다. 한국 정부는 미국에 의한 한국의 독도영토주권의 승인을 국제관계에 있어서 외교정책에 반영하고 대일외교정책에도 반영하여야 한다. General, United States Army, Deputy Army Commander Eighth United States Army Korea, requested to use Dokdo(Liancourt Rocks) Bombing range to Chang Myun Prime Minister Republic of Korea, on 20 June, 1951. General Coulter is an organ of the United States. Therefore his request is a request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request means the implied recognition of the Korean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in international law that produces legal effect of the estoppel In spite of the legal effect of the recognition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did not stipulates the Dokdo as an island of the Korean territory in Draft Peace Treaty with Japan after Sebald’s recommendation on November 8, 1951. As a result of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Policy to accept Sebald’s recommendation, the Government violates the legal effect of international law of recognition, that is to say, estoppel. On account of the legal effect,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burdens not only political responsibility but also legal responsibility in international law. It is necessary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reflect the legal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the Korean territorial territory sovereignty over Dokdo by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in diplomatic Policy in international relations

      • KCI등재

        공·사립 공연시설의 지역별 형평성 분석

        박기원,고정민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2

        This article attempts to evaluate the regional inequity of public and private theater facilities by the Province in Korea. The estimation of the regional equity was measured by the Inequity Index of the Coulter(1980) which is a popular application in the calculating of the distributional equity at the public service. The target area to be measure the equity is 17 Provinces in Korea. The targets of equity are total seats of public and private theaters by each province and the number of the theater of the each theater size to be categorized on the number of seats(over 1000 seats, 300-999 seats, under 300 seats) at the each province. And the equity standards are total population, population by the age, population by the annual income, the number of performance company to use the theaters, and the ratio of actors and players at each province. The findings are the equity of the total seats by the total population is minor inequity(19.23), the equity of the private theater seats is severe inequity(43.45) and the equity of the theater to have over 300 seats is relatively more equitable than the theater to have bellow 300 seats. The equity by the population to be based on the age shows similar coefficients of inequity at the each age group, the population between 15-64 and the others. The equity to be based on the annual income level, the population below US$ 20,000, over US$80,000 and the others, is a minor inequity that does not have big differentiation between low and high income level. The equity by the employee ratio is more equitable than the one of by the number of company. According to the Coulter’s Assumption, the result shows theoretically that Seoul, Gangwon-Do, Chunlanam-Do and Chunlabuk-Do exceed theater facilities supply but Gyunggi-Do and Inchun need more theaters. 본 연구에서는 공연문화의 보편적 보급이라는 측면에서 공공 및 민간 공연시설의지역별 보급 형평성을 계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서비스 제공의 지역별 형평성 분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Coulter(1980)의 비형평성지수(inequity index)를 활용하였다. 형평성 비교지역은 광역시·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형평성 측정대상은 지역별·건립주체별 객석수와 지역별·공연시설규모별 시설수를 선정하였다. 형평성 측정기준으로는 공연시설의 수요측면에서 형평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별 전체 주민등록인구수, 연령별 주민등록인구수와 지역별 과세규모별 인구수를 이용하였다. 또한 공연작품의 공급측면에서의 형평성을 살펴보기 위해지역별 공연업체수와 지역별 공연종사자비율을 기준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수평적 형평성과 관련하여 광역시도별 주민등록인구수를 기준으로광역시도별 공연시설의 보급형평성을 분석한 결과 약간 비형평한 것(19.23)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간시설의 광역시도별 보급형평성은 매우 비형평한 것(43.45)으로분석되었다. 300석 이상의 중대형 공연장의 광역시도별 보급이 상대적 관점에서300석 미만의 소규모 공연시설보다 광역시도별로 형평하게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수직적 형평성과 관련하여 광역시도의 연령별 인구수를 기준으로광연시도별 공연시설의 보급형평성을 살펴보면, 연령 측면에서 공연시설에 대한 접근에 대한 상대적 취약계층이라고 할 수 있는 15세 이하 및 65세 이상의 인구에 대한 비형평성지수와 중간연령층의 비형평성지수간의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별 과세인구수에 따른 공연시설의 보급형평성 역시 과세구간별로 비형평성지수의 차이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연작품을 공급하는 공급자측면에서의 광역시도별 공연시설의 보급형평성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공연업체수에 따른 보급형평성보다 공연예술종사자 비율에 따른 지역별 형평성이 상대적으로형평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역시도별 공연시설의 보급형평성을 기준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광역시도별 공연시설 보급량의 조정필요값을 추정한 결과, 서울특별시, 강원도, 전라남북도는 공연시설의 보급을 축소해야 하고, 경기도 및 인천광역시의 공연시설의 보급을 확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노인체육 환경의 형평성 및 효율성 평가

        오상은,박재현,안우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quity and efficiency of sports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by province. To evaluate the equity and efficiency of the elderly sports environment, each province's financial, human resources, and facility resources were investigated in 2021, and equity and efficiency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 Coulter index an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Specifically, finances were confirmed through the finances for elderly sports in each provincial sports council, human resources were confirmed through the placement of senior sports instructors, and facility resources through the statu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in each province. Microsoft Excel 365 was used to calculate the Coulter index of each province's financial, human, and facility resources. DEA was conducted using EMS 1.3ver software developed by Scheel(2000) by selecting financial, human, and facility resources as input variables for efficiency evaluation.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status of sports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by province, there are ‘elderly sports support projects’ and ‘elderly sports competitions' conducted by the provincial sports council, and the financial status varies for each province. Seoul has the most senior sports instructors, and Gyeonggi-do has the most public sports facil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the Coulter index, the sports and leisure environment for the elderly, the finances are seriously inequity, and human resources and sports facilities are minorly inequity. Third,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elderly sports and leisure environment, it has higher competitiveness in the order of Seoul, Busan, and Ul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elderly sports environment of each province by confirming the equity and efficiency of the elderly sports and leisure environment of each province. 이 연구는 시도별 노인체육 환경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21년 각 시도의 노인체육 환경을 조사하였으며, Coulter의 비형평성 계수와 자료포락분석모형을 적용하여 형평성과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인체육 환경은 각 시도 공공 체육시설, 노인 생활체육지도자, 시도체육회의 노인 체육 관련 결산액을 통해 확인하였다. 각 시도 노인체육 환경의 형평성 분석을 위해 Microsoft Excel 365를 활용하였으며, 효율성 평가를 위해 노인인구, 공공 체육시설 수, 노인체육지도자 수, 공공 체육시설 수를 투입변수로 선정하고 노인건강지표를 산출변수로 선정하여 Scheel(2000)이 개발한 EMS 1.3ver을 활용해 자료포락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도별 노인체육 환경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 체육시설은 경기도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 어르신 생활체육지도자가 가장 많이 배치된 시도는 서울특별시이다. 시도체육회에서 진행하는 노인 체육 관련 사업으로는 어르신체육지원사업, 어르신체육대회 등이 있으며 재정 현황은 각 시도별로 상이하다. 둘째, 노인체육 환경의 형평성을 확인한 결과 공공 체육시설과 노인체육지도자는 약간 비형평인 상황이며, 시도체육회 결산은 심각한 비형평인 상황이다. 셋째, 노인체육 환경을 고려하였을 때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순으로 효율성 높은 운영을 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각 시도의 노인체육 환경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확인함으로써 노인체육 환경개선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형평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최현묵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5

        A public library is a social institute that preserves th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and provides the nation the chance to enjoy knowledge and information regardless of division of area. It goes without saying how important the role and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is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e public service of libraries should equally be provided to satisfy the public needs in every local.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lves into the equity of public service provided by the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and the budget with respect to local communities. Besides, these factors are analyzed by Coulter’s Index of Inequ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a significant gap between local public libraries in equality were discovered and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the number of librarians in Sejong should be adjusted referring to the cases of Jeju, Jeonnam, and Gangwon. Second, the number of library’s administrative staffs in Daegu, Daejeon, Ulsan should be adjusted referring to the cases of Jeju, Chungbuk, Sejong. Third, Sejong should increase the number of seats of the libraries. Fourth, the population per seat of every area needs to be decreased in the long-term referring to Jeju. Fifth, it needs to adjust the number of books per capita referring to the Jeju or Sejong. In conclusion, this analysis may help guide in developing better policies to provide equal library services.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격차 분석: 화성시 사례를 중심으로

        임정빈,홍근석,문소영 한국지방자치학회 2024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36 No.2

        이 연구는 화성시 소재 노인요양시설의 수요 대비 공급 형평성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화성시 노인요양시설의 지역 간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노인요양시설의 수요 대비 공급 형평성은 Coulter(1980)의 비형평계수와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시 노인요양시설의 수요 대비 공급은 약간 비형평적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와 공급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비형평계수의 값은 변화하며, 65세 이상 노인인구 수 대비 노인요양시설 정원(시나리오 2-A)으로 측정한 화성시 노인요양시설의 비형평성 수준이 가장 높았다. 둘째, 화성시 노인요양시설 분포는 공간적 자기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읍 지역을 중심으로 수요 대비 공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 및 요양서비스의 경우에 공간적 불균형이 곧 불평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시설 이용자를 고려하여 수요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지역에 우선적으로 신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The study measures the equity of demand and suppl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Hwaseong-si and assesses the degree of regional dispariti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in Hwaseong-si, Republic of Korea. The equity of supply and demand of long-term care facilities was measured using Coulter's(1980) inequality coefficient and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The primary findings indicate the following facts: Firstly, the level of equity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Hwaseong-si was slightly inequitable. The inequality coefficient varied depending on how demand and supply were defined, and the level of inequit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Hwaseong-si, measured by the ratio of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above to the capacit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scenario 2-A), was the highest. Secondly, the distribution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n Hwaseong-si exhibited spatial autocorrelation, with a relatively higher supply compared to demand, particularly centered around eup(towns). As spatial imbalance leads to inequality, it is important to measure demand considering facility user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policies need to be designed to prioritize the supply in regions where demand outweighs the supply, taking into accoun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emand and supply.

      • KCI등재

        노인요양시설서비스의 효율성과 형평성에 관한 연구

        문상호(Sangho Moon),김윤수(Yoon-Su Kim)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06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16 No.3

          본 연구는 DEA 효율성 지수와 Coulter의 비형평성 조정계수를 계측하고 시·군·구 노인요양시설서비스의 형평성과 효율성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요양시설서비스의 운영 효율성과 지역적 형평성은 형평성 측정지표를 다양하게 선정함에 따라 Okun(1975)의 상충관계뿐만 아니라 보완관계도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투입관련 측정지표를 사용하였을 때 Okun(1975)의 가설대로 형평성 조정계수와 DEA 효율성지수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산출과 관련된 지표로 변수선정을 변경하였을 때 Coulter의 비형평성 조정계수와 DEA 효율성지수간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정책함의로는 노인요양시설서비스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 수요측면인 기초자치단체의 노인인구규모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서비스 수요량에 부응하는 노인요양시설서비스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 KCI등재

        정부간 재정정책과 지방자치단체 재정형평성에 관한 연구

        이미애 한국지방정부학회 2014 지방정부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정부간 세원배분 및 재정이전 정책에 의한 지방재정의 변화가 지방재정의 형평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7년부터 2011년까지 15년 동안 226개 시, 군, 구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Coulter의 비형평계수 측정을 통해 지방재정의 형평성 수준을 살펴보고,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자치단체별 재정형평성의 조정계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패널교정표준오차(PCSE: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모형을 이용한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을 통해 정부의 재정정책과 지방정부 재정형평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Coulter의 비형평계수 측정결과 시, 군, 구 등 자치단체의 유형에 따라 정책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세원이양 정책의 경우 재산과세는 시, 군, 구 모두 형평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소비과세와 소득과세의 경우 자치단체별로 형평 수준에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비형평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세원이양은 지방정부 별 세원의 차등분포로 인하여 지역 간 차별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일부 국세 세목이 기존의 부유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심한 지역적 편재현상을 보이고 있어, 일부 국세의 지방이양은 지방재정력의 지역간, 자치단체간 불균형을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재정이전 정책에 있어서는 지방교부세, 보조금, 지방양여금 모두 시, 군, 구의 재정 불균형 완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재정정책과 지방재정 형평성에 대한 효과 분석의 결과, 재정이전 정책의 경우에는 재원의 재분배를 통해 지역간의 불균형을 완화시킬 수는 있지만,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원이양 정책의 경우에는 세원의 이양을 통해 지역간 불균형 완화에는 기여하지 못하지만,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원이양을 통한 재원의 배분이 전체 재원의 형평성에 기여하며, 이는 지방재정 운용의 효율성 제고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The study analyzes how the changes in local finance caused by central fiscal policy in relations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ffects equity of local fiscal. This study is the intergovernmental fiscal policy changes in local fiscal effects of local fiscal equity analysis. The data of 226 local governments from 1997 to 2011 were analyzed with the Coefficient of Inequity of Coulters. Next, it has been analyzed to see how revenue source of local government depending on central government's fiscal policy affects equity of local fiscal using PCSE(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model. The analysis result shows, First, different policy impact depending on types of local government such as city, county and district and capacity of each entity. Specifically, in tax revenue transfer policy, taxation on property is conducted equity across entire city, county and district but inequity has been detected in taxation on consumption and on incomes. On the other hand, in fiscal transfer policy, all city, county and district are found to contribute to mitigate fiscal inequity. Secondly, In the analysis result on equity of central fiscal policy and local fiscal, in fiscal transfer policy, imbalance among regions might be to mitigate with reallocation of tax revenue but it is known to have negative effect on equity of entire revenue source. On the other hand, in tax revenue transfer policy, the tax revenue transfer itself does not directly to mitigate regional imbalance but has positive effect on equity of entire tax revenue. The result indicates resource allocation through tax revenue transfer could contribute to ensuring equity in entire tax revenue and this in turn has important impact in enhancing efficiency of fiscal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저출생 시대의 아동돌봄서비스에서 지역 간 형평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ulter의 비형평성 계수의 활용을 통해

        조근식,서정욱 한국비교정부학회 2023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engage in discussions on crucial societal issues such as population imbalances and low fertility rat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quity levels in childcare services. Regional disparities in the use of child care facilities are currently occurring due to the limitations of physical accessibilit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attempts an empirical analysis of equity levels in childcare services within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using the Coulter’s Index of Inequity. Specifically, the study compared equity levels in childcare services across regions through an analysis of demand and supply levels of childcare facilities. (Findings) When population was used as the analysis criterion, it was observed that the overall supply level of childcare servic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was low. Furthermore, when the analysis criterion was based on area, it was found that the supply level of childcare services in the provincial region, including Gangwon, Gyeongbuk, and Jeonnam, was also low.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provision of adequate child care services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is directly linked to social equity and the resolution of the low fertility rate problem.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solutions to reduce regional disparities through an analysis of equity levels in childcare facilities across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서울시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형평성과 특화도에 관한 연구

        민연경(Min Youn-Kyoung),이명석(Lee Myung-Suk) 한국도시행정학회 2012 도시 행정 학보 Vol.25 No.3

        Recently, as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increases rapidly, the spec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now become a very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Considering financial burden, however,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equity rather than the total number of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equity refers to ‘equal access for equal need’.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quity and the degree of specialization of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mong autonomous districts(Ku) in Seoul by the Coulter’s Index of Inequity and Location Quotient(LQ). This study finds a great regional inequity of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mong autonomous districts(Ku) in Seoul.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 regional equity of in-home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지역 간 노인복지시설 공급 형평성 분석

        최은희,조택희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20 GRI 연구논총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인복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설치된 노인복지시설의 지역 간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방법으로는 비형평성계수(Index of Inequity), 입지계수(LQ) 및 상대집중지수(NOHI)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형평성계수 분석결과, 노인복지시설 중 ‘주거시설’이 가장 고르지 않게분포하였으며, ‘장기요양기관’이 가장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시설에 따라 상이하나 서울, 경기 등은 형평성이 낮은 반면, 세종, 울산 등은 형평성이 양호하였다. 둘째, 입지계수 분석결과 서울의 노인복지시설 입지계수는 낮았으나 ‘복지관’과 ‘ 주야간보호’의 집중도는 평균보다 높았다. 셋째, 상대집중지수의 경우 ‘복지관’, ‘방문요양’, ‘장기요양기관’ 등은 서울을비롯한 광역시에 상대적으로 집중되고 광역도 단위의 지자체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적으로 지자체는 과잉공급된 시설은 서비스 질적 제고를, 과소공급된 시설은 지역 여건에 맞게 추가 공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coming of super-aged society needs to increase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regional equity of the aged welfare facilities by using Coulter’s Index of Inequity(CII), Location Quotient(LQ), and Nam-Oh-Hong Index(NOHI).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equity of the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is the worst, and the supply of long-term care facilities is distributed equally when we use CII to determine the relative sufficiency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region, the level of inequity varies that it is generally good in Sejong and Ulsan, and is low degree of equity in Seoul and Gyeonggi. Second, LQ of senior welfare facilities in Seoul is overall low it indicates that the supply of the elderly facilities is below acceptable standards. Third, NOHI of Metropolitan City is higher than provincial government in senior welfare center, visitation care facility and long-term faci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sight for local government to consider optimal provision of service facilities depending on regional elderly welfare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