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의 추진과정과 정책문제 분석

        안선회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Since the Moon Jae-in government, the process of public debate is under way to improv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the social debate on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actual achievements are negligible. Thu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university entrance policy has changed by the regime change and what kind of policy problems were caused and intensified as a resul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the primary data published by the MOE. When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rimary data, relevant research reports such as academic papers or news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edge to improv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was sugges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was made right after the regime change. The curriculum was revised after the regime change, and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as changed again in the next regime when the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to the field. However,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despite the differences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the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The point is that the government has commonly regarde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 core cause of weakening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soar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was increased. This resul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teachers on student selection and the expansion of autonomy of universities. In other words, the current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is a system of co-ownership or division of students' selection authority for high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Second,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hinders selection of promising students, and fails to select qualified ones. In particular, weakness of fairness and objectivity, school record competition, increase of cheating on college entranc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inequality in the college admission selection are getting bigg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policy reflecting the public opinion as a way to prevent the excessive change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to correct the policy problems by the regime change. 문재인정부 집권 이후 최근 대입제도 개선을 위한 공론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학생부중심 대입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편 결과도 여전히 학생부중심 대입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 교체에 따른 대입정책의 변동 양태를 분석하면서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학생부중심 대입제도가 형성되고 추진된 과정과 그에 따른 정책문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연구대상 문헌은 주로정부에서 발표한 일차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일차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내용은 연구보고서와 학술논문, 당시 언론자료를 찾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권 교체에 다른 대입정책 변동을 분석한 결과, 정권 교체 직후 대입제도 개편작업이 반드시 이루어졌으며, 이전 정권의 교육과정 개정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대입제도가 또 변경되고 있었다. 하지만, 정권 교체와 정부 간 정치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는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계속 확대되었다. 이들 정부는 공통적으로 대입 문제의 핵심 원인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보고, 공교육 강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약화시키면서 학생부 중심의 대입제도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가 계속 확대된 이유를 학생 선발에 대한 고등학교 교원들의 영향력 확대와 대학의 자율권 확대를 모두 지향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즉,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는 고등학교 교원과 대학 교원의 학생 선발 권한 공동보유체제 또는 교사‧교수의 학생선발권한 분점체제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의 정책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행 대입제도는 창의인재의 선발을 저해하며, 적격자 선발에 실패하고 있다. 특히,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로 인하여 대입선발에서의 공정성과 객관성 약화, 내신 성적 경쟁과 입시부정의 증가가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현행 대입제도는 사교육비 증가, 선발 불평등 심화 등의 정책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대입제도의 지나친 변경과 정책문제 개선을 위해 국민 여론을 반영한 대입제도 법제화 필요성과 주요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국 대입제도 분석 및 시사점

        김천홍,홍수진 교육종합연구원 2018 교육종합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he UK, and then examine the implications in reconstructing it in the Republic of Korea. Adapting documentary analysis,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documents related with UK’s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erms of the governance, the selection factors, the type and process of college admission, and the influ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on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firstly, it was not only used to select potential applicant but also monitor school accountability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he UK. Secondly, it was embedded with the striking balance between the social mobility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system, even though the autonomy of universities in selecting the students was well granted. Thirdly, the purpose of teachers’ assessment gave more emphasis on assessment for learning to improve the students’ achievement, rather than assessment of learning to give information for the selection. Fourthly, regarding the contents and tools of assessment, the essay style test items were used to assess the level of competencies. Furthermore, controlled assessment and admission tests were supplementary used to measure knowledge and skills for the studying in the university. Fifthly, the simplified admission process and type of college admission system were running, mainly using the high-stake standardized test, A-level, and the applying first and selecting last system, which was closely linked with the students’ right of choosing the subject based on the future career. Lastly, the influence of private education was minimized because of the well aligned among the selection factors in the college assessment system. Considering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reconstruct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erms of reorganizing the responsibilities and roles among the stake-holders, simplifying the selecting process and factor, enhancing the alignment among the high-stake exams, and innovating the assessment tools to reduce the influ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normalize the public education.

      • KCI등재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의 정책 형성과정 비교분석 -민주성과 정당성 평가를 중심으로-

        윤혜원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의 대입정책 형성과정을 민주성과 정당성의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대입정책 형성과정의 종합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정책 참여자의 대표성과 포괄성’, ‘정책 논의과정의 소통성과 숙의성’, ‘국민의 정책 수용성’이라는 세 가지 평가항목에 따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입정책 참여자의 대표성과 포괄성은 대입제도 개선을 위한 별도의 전문기구를 구성하여야 확보될 수 있다. 둘째, 각 정부의 정치적인 성향과 상관없이 최근 들어 대입정책 논의과정에서 전 국민적 소통과 숙의 과정을 더욱 중요시 여기고 있다. 셋째, 대입정책 형성과정의 민주성이 국민의 정책 수용성을 반드시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민참여 정책숙려제’내실화, 대입정책 전문기구의 위상 제고 및 책무성 강조, 대입 3년 예고제 재정비, 학생의 대입정책 참여 법적 보장, 공익 실현 강조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Moon Jae-in government's college admission policy formulation. Also, through the evaluation process of democracy and justification, it derived comprehensive features of the policy formula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on of college admission policy participants can be secured only by forming a separate policy specialized agency. Second, the process of public communication and deliberation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college admission policy, regardless of the political tendency of each government. Third, the democratic nature of the process of forming a college admission policy does not necessarily guarantee public acceptance of th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pos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participation policy deliberation system should be substantialized. Second, the accountability of the college admission policy specialized agency should be emphasized. Third, the system that notic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three years early should be revamped. Fourth,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policy making should be legally guaranteed. Fifth, a democratic sense of citizenship that seeks to pursue public interests must be raised.

      • KCI등재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이수정,조원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llege-admission system focused on high-school GPA influences Korean high-school students’ use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1st?9th wave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focused on high-school GPA was effective in reducing Korean parents’ expenses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for their high-school children.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college-admission system that high-school GPA was applied as a major criterion, had spent less money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in high school days than those admitted through the system th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applied. The findings imply that the college-admission system, where high-school GPA is a major criterion for admission decision, is effective in reducing high-school students’ use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학교 3학년(2004년) 코호트에 대한 1차 자료(2004년 조사), 4차 자료(2007년 조사, 고 3), 5차 자료(2008년 조사, 대학 1년), 9차 자료(2012년 조사, 대졸)까지의 추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반영 비중이 큰 ‘수시모집’과 ‘특별전형’ 방식을 적용할 때 고3 학생의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비중의 강화’가 고교 사교육비 경감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수시모집 학생이 정시모집 학생에 비해 사교육비를 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나, 대입전형에서 수능성적의 비중을 약화시키고 학생부 자료의 반영 비중을 높이면 고교생의 사교육비 경감에 일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일반전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성적 이외의 다양한 전형 자료를 활용하는 특별전형의 경우에는 사교육비 경감에 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최근 ?201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2013.9)?에 발표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실시할 학생부의 비교과 자료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해서는 사교육비 유발 문제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KCI등재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최지은,유평수 교육종합연구원 2015 교육종합연구 Vol.13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at high school teachers have perceived which elements of college admission system would make proper curriculum in their schools. In order to this research, these authors have analyzed how college admission system may have influenced in the curriculum plans of eight high schools located in Chonlla-buk-do, after having asked school teachers on paper or in person. These two authors have found that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have influenced how to make high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these authors have realized that especially admission officer system have contributed to build up various non-subject domains of curriculum, such as creative experiences and read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gh school teachers have perceived that there have been problems, such as evaluating students’ high school grades in college entrance exams, and many students’ not caring of non-subjects in their college entrance exams. Teachers have had negative opinions on preparing for special college admission documents, such as students’ transcripts and portfolio, because such preparation would bring up adverse effects on high school curriculum. They have especially criticized that students’ personal statements may be inadequate requirement for their college admissions. However, these author have found that high school teachers have highly expected that students’ interviews would work well for college admission system.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수도권 소재 D종합대학 사례 연구 중심으로

        이영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ge adap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of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e two step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2016 at th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37 open-ended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37 students by both of group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as the first step of research in order to compare and contrast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groups of students. The second step of qualitative research wa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 for the 6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in order to analyze their concret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followed. Overall,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tyle are similar in the two groups of students from both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college entrance exam, college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career are relative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are influenced by their academic interest and needs when they applied for the university and deciding their majors. And they were active to participate in many kinds of activities in both academic and non-academic fields in colleges.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admission officer system think of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and try to be involved in the groups activities while they are in college. Third, the students also think that having a lot of experiences in the college life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competency which is critical to be prepared for the future career. Thus, they want to be involved in many different types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in college. These findings are aligned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was conducted previously by the researchers.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의 대학생활, 학업, 정서, 그리고 진로 영역에 대한 특성을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6학년도에 입학한 대학 3학년 재학생들 대상으로총 2단계 걸친 분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37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및 정시전형으로입학한 학생들로 구분하여 대학생활 전반에 대한 개방형 설문을 통하여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응답 특성 및 차이를분석하였다. 2단계 분석에서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이 보이는 구체적인 특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과 정시전형 입학생들은 학업 관련 부분의 특징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대학생활, 정서, 진로 영역에서 보이는특징들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첫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 재학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주요 특징은 자신의적성을 바탕으로 학문적 호기심과 전공에 대한 관심을 갖고 대학 진학 및 전공 선택을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활에서의가장 큰 만족도 또한 자신들의 학문적 욕구에 대한 충족감이라는 점이었다. 둘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은 정서영역에 대한 주요 특징으로 대학생활 전반에서 다양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활동 참여를 통하여 타인과 공감 및 소통하는인간관계를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이 보이는 진로 영역에 대한 특징은 전문 분야로 진출하고자하는 확고한 의지와 이를 위하여 다양한 활동과 경험을 통한 적극적 진로 준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양적 연구 방식으로 수행되었던 선행 기초 연구(임현정, 이영희, 2017)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결과로써, 질적분석을 통하여 결과에 대한 배경 및 이유, 그리고 변인들 간의 상호 연관성 등의 맥락적 해석을 할 수 있었다. 학생부종합전형의 궁극적 취지를 살리고 전형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종단 연구를 통하여 학생부종합전형입학생들의 성장과 잠재력 발현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통한 학생부종합전형의본질적 목적과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입학사정관제도와 사교육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김승태 한국거버넌스학회 201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7 No.1

        The system of the college entrance process stand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tters in the education system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Therefore, bringing change to the college entrance system is perceived as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whole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system, even though of it's positive results, has brought about negative effects such as bubbling of grades and bigger grade barriers between schools. The academic reports of individual schools has become unreliable and colleges have depended mostly on college entrance exam scores in selecting students. Due to this, middle school education has become an earlier base for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To eliminate these negative effects,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introduce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for college entrance.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give admission to students by evaluating the potential knowledge and skill of students. One of the key factors of the system is that it will make it possible for each college to consider it's own ideology and the specific quality of their recruitment group. However, this system which was made to relieve the severe competition of college entrance and the explosive cost of private education, brings about both expectations and worries. Students and parents are worried that they are not ready enough for a sudden new system. As the time being, evaluation of universities that have been selected to run an example model of this Adimission Officer System in 2007 is very important. This research gives insight on how the system is run, looks into the problems, suggests improvements to safely settle and revitalize the system. For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to safely slide into the education process, research on this subject should be carried on consistently and also on a regular cycle. 현행 대학입학제도가 그 성과에도 불구하고 성적 부풀리기 현상, 학교 간 학력차이 등으로 인해 학교 내신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에 의존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로 인해 중등교육이 대학입시교육으로 전락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정부는 대학입학전형에서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 대학의 설립이념과 모집단위의 특성 등을 고려하는 선진화된 전형방법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따라 새로운 대학입학전형 방식으로서 입학사정관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개개인의 잠재력과 성장가능성을 위주로 학생을 선발함으로써 과다한 대학입시경쟁과 사교육을 완화하자는 취지에서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는 대학의 준비 정도와 고등학교와 학생·학부모의 준비 정도와 맞물리면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갖게 하고 있다. 이러한 기대와 우려 중 하나는 사교육과 관련된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입학사정관제도가 사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즉 한국의 입시문제를 개혁하기 위해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가 사교육을 경감시키는지 아니면 새로운 사교육 수요 증대를 야기하는지에 대해 논의한 후 입학사정관제도가 사교육 증가 요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입학사정관제도에 대한 연구는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주기로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배제의 법칙으로서의 입시제도: 사회적 계층 수준에 따른 대학 입시제도 인식 분석

        문정주,최율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class and the degree of trust in Korean society on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system. The key findings are threefold. First, this study finds that upper class are more likely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current college entrance system, which implies that different social classes may have different influences on the formation of public discourses on the college entrance system. In terms of preferred college entrance system, while upper class has tendency of preferring general admission system, the group which has high degree of trust in the society more likely to prefer the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Lastly, upper class prefer general admission system for three educational values – equal opportunity, fairness in evaluation, and substantiality of secondary education; and the group with high degree of trust prefers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for the three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tradictory to the public awareness that comprehensive school report policy is more advantageous to upper class. We discuss that not only the meritocratic values such as equal opportunities or fair evaluation, but also the social class-struggle, which is to place more advantageous system to each of them for college admission, may cause and force the changes in the college entrance system. 본 연구는 계층 수준과 한국 사회에 대한 신뢰 정도에 따른 입시제도 이해 여부와 입시제도 선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계층의식의 경우, 상층일수록 입시제도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입시제도와 관련된 담론 형성에서 계층 간 영향력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둘째, 선호하는 입시제도의 경우, 계층의식이 상층일수록 정시전형을 선호한 반면, 신뢰 정도가 높을수록 학생부종합전형을 선호하고 있었다. 셋째, 공정한 평가, 교육기회의 평등, 중등교육의 내실화 등 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관련된 입시제도 선호의 경우, 계층과 신뢰의 효과는 선호하는 입시제도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부종합전형이 금수저 전형이라는 비판 담론과는 배치된다. 이러한 결과는 입시제도의 변화를 추동하는 힘이 기회의 평등이나 평가의 공정성 같은 능력주의 가치뿐만 아니라 입시제도를 보다 유리하게 변화시키려는 계층 간의 전략적 투쟁의 결과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디자인 대학입시에서 입학사정관 전형의 도입에 대한 탐색 - 입학사정관들을 대상으로

        길임주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The research is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for implementing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college admission screening, specifically for design majors.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urpose for implementati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decisive factors for admission screening and the psychosocial factors surrounding college admissions.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57 Admission Officers concerning the suitability and the related issues for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 screening.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Admission Officers generally agreed upon implementing the system in design majoring colleges, showing more emphasis on portfolio, interview, study pla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an the scores of SAT or high school GPA. They also thought the system needs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llege's distinct features and the founding ideology. They thought the role of professor important when interviewing for screening, and the desirable ratio for the interview is 30 to 40%. Finally, they suggested a few points for settling down the Admission Officer Systems in design majoring college admission screening. 본 연구는 디자인대학 입시가 기존의 변화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새로운 전형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최근 확대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 전형을 디자인대학 입시에 도입하기 위한 탐색적인 연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입학사정관전형을 도입목적, 고교 교육과정의 운영, 대학입학허가 결정요인, 대학진학을 둘러싼 사회심리적 요인의 측면에서 미국의 경우와 비교하였으며, 국내 한 디자인대학의 입학사정관전형의 실시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입학사정관 57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전형 도입과 관련된 논의점들을 조사한 결과, 첫째, 입학사정관들은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찬성하면서 포트폴리오, 면접, 학업계획서, 비교과활동 등의 질적인 자료를 수능이나 내신 성적과 같은 양적인 자료보다 더 중요한 전형요소들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면접관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대학의 특성과 건학 이념에 따른 전형이 바람직하며 면접의 반영비율은 30∼40%가 적당하다고 하였다. 셋째, 입학사정관전형의 가장 큰 문제점은 공정성 및 신뢰성과 사회적 인식과 공감대의 부족으로 지적하였다. 넷째, 디자인 전공분야의 입학사정관제 정착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교수들이 인식하는 대입전형별 입학생의 학업, 대학생활적응,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한 연구

        이현우,김효선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In our county,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is very critical issue not only for universit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but also our whole society. Korea government continuously has tried to improve this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From 2008, Korea government provided a new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system, admission officer system in high school education. The system in revised 2015 considers students’ high school GPA, teacher’s evaluation,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etc.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e system. such as a decline in the scholastic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fabricating documentary evidence. Based on these issues, Korea governmnt tried to re-modified the university admission proc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in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university life adjustment, career preparation based on faculty’s cognition. To pursue it, the study occupied FGI with 14 professors who have teaching experiences at least 5 year and consulting with their students about their college life and career. The results of study provide the students by admission officer system have good academic and career attitude more than the students by regular admission process system. The students by admission officer well-adjusted campus life and activities. This study concluded university faculty need careful concern on students based on university admission types and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admission strategies in higher education are discussed. 우리나라에서 대학입학전형은 대학교육과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와 관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로 파장도 크다. 이에 의거하여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학입학전형을 개선하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 대입전형을 개선하여 고등학교 교육을 정상화 하자는 취지에서 2008년 학생부중심전형 대입정책을 시작으로 2015년에 학생부종합전형제도가 도입되어 내신성적과 함께 수상실적, 교사의 평가, 자기소개서 등 다양한 항목을 평가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맞추어 학생을 선발하고 있지만 다양한 전형에 따른 학생들의 학력 저하 및 대학생활 부적응, 학생부종합전형 관련 서류를 조작하는 사례가 발생하여 대입전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논의선상에서 제외되어 있는 것은 과연 전형별 학생들이 대학에서 어떻게 성장해 나가고 있는가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양적연구에 치중해 있었던 것과 달리 질적인 접근을 통해 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에서의 성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목적은 대입전형별 입학생들의 학업, 대학생활, 진로준비행동을 교수자의 인식을 통해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5년 이상 대입전형별 입학생들의 교육추이에 대해서 이해하고 있는 A대학의 14인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수업시간이나 교내활동, 상담 등을 통해 교수자와 학생들이 만나는 접점에서 전형별 입학생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수시학생들은 학업태도는 좋았지만, 정시에 비해 학업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활동에서 보여지는 사회성은 수시학생들에게 대해 교수자들이 인식이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전형별 입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은 대입전 관련 전공경험이 있는 수시학생들의 적응도가 뛰어난 것으로 교수자들은 보고하였다. 수시로 입학한 학생들은 진로에 대한 신념과 준비활동은 고등학교때 경험이 대학교때 진로준비행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험이 필요로 하는 취업준비에 대해서는 정시학생들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나 전형별 학생들의 특성에 맞춘 학생지도 및 상담이 제언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