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 설계 및 개발

        류은수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problem-solving online education system for blended PBL that can be used in university education field. It overcomes the environmental limitations such as the burden of the teachers in the offline PBL classroom operation and the concurrency and circularity of the learning units required in the teaching method. This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foundation that will improve the problem-solv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capabilities required of college students toda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we can provide more dynamic problem-solving learning by going further than existing e-learning.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firstly, Rapid prototyping ISD model, which is effective in developing online education system, developed prototype-I rapidly by analyzing, designing, prototyping, and developing it nonlinearly and simultaneously. Based on continuous interactions and feedback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developer, I have reflected the practical requirements for developing a problem-solving online education system for the final version of Blended PBL. Second, the operation principle and main function of the problem-solving online education system for blended PBL developed according to Rapid prototyping ISD model's step-by-step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are centered on student mode and manager mode. Third, in order to review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instructional desig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was evaluated through the usability evaluation of the expert council, and both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and the inter relater agreement (IRA) of the evaluator were met and I have summarized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online education system for blended PBL in response to descriptive qu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were searched and the meaning of the problem-solving online education system for blended PBL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오프라인 PBL 수업운영에서 발생하는 교수자의 부담과 수업방식에서 요구되는 학습단위의 동시성 및 순환성 등의 환경적인 제한점들을 극복하고, 대학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것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문제해결능력 및 협력학습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기여를 하며, 기존의 e-러닝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보다 역동적인 문제해결형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첫째, 온라인 교육시스템 개발에 효과적인 대안적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분석−설계−프로토타입−개발 단계를 비선형적이고 동시적으로 진행되도록 해, 빠르게 prototype-I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교수자와 개발자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및 피드백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버전의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실제적인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였다. 둘째, 대안적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단계별 교수설계 전략에 따라 개발한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주요기능은 학습자 모드와 관리자 모드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교수설계의 준거타당도 검토를 위해 전문가협의회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타당도 분석결과 문항별 내용타당도비율(CVR) 및 평가자간 반응일치도(IRA) 모두 기준치를 충족하였으며, 서술형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의 개선점을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탐구하고자 했던 결론을 도출하고, Blended PBL을 위한 문제해결형 온라인 교육시스템 설계 및 개발이 갖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융합 전공의 계열별 차이가 학습자 만족도와 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Blended-PBL을 적용한 대학의 게임 그래픽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신미현,이영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major fields of convergence major student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tng outcomes awareness in Blended PBL classe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rt basic competence before clas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step-selec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investigating the components of Blended PBL class,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wareness after cla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art basic competence between major field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ajor fields in overall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wareness after class. However, a difference between majors could be confirmed in the component factors, and Collaborative Learning Competence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awareness of learning outcomes in art major. Among the components, the factor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wareness in common is concentration of attention. As a result of variable item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Blended PBL teaching method increased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non-art major, and worldview storytelling in art major. It was found that the interest of and the Blended PBL teaching method had an effect on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attention. In this study, in the basic 3D modeling class of convergence majo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main components and variables of the influence between majors on learner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wareness, and this part was considered lat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major fields It can help with class design. 본 연구는 블렌디드 PBL 수업에서 융합 전공 학생들의 계열 간 특성이 학습자 만족도와 성과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 전 미술 기초 역량을 설문 조사하였으며, 수업 후에 블렌디드 PBL수업의 구성 요소와 학습자 만족도, 성과 인지도를 조사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단계 선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인 학습자 만족도와 성과 인지도에서는 전공 계열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구성 요인에서 계열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협력학습 역량이 예체능계의 성과 인지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구성 요인 중 공통적으로 학습자 만족도와 성과 인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요인은 주의집중력이며, 변인 문항 분석 결과 비예체능계는 블렌디드 PBL 교수법이 주의집중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체능계는 세계관 스토리텔링의 흥미성과 블렌디드 PBL 교수법이 주의집중력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융합 전공의 3D 모델링 기초 수업에서 계열 간에 학습자 만족도와 성과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의 주요한 구성 요인과 변인들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 부분은 추후 계열 간 특성 연구와 학습 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 설계와 개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제 수업의 구상-

        박하나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Blended PBL” model to effectively apply problem-based learning to social studies classes, and to develop economic classes utilizing online programs. Based on the review of PBL and e-PBL,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designing a blended PBL was developed. First, the Social Studies Blended PBL is defined as ‘a model that reflects the principles of PBL and combines various learning elements.’ Second, while realizing constructivist learning principles, the stages and activities of the blended PBL model were materialized to apply to the school field. In this proces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face-to-face PBL and the structure and core elements of e-PBL were extracted and reflected. Third, it suggested how to use online programs as a strategy to support teachers and to facilitate interaction. Fiscal Ship game and Mint software were analyzed and examples of blended PBL economic classes were presented.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By providing a blended PBL design guide, it is argued that teachers need competencies as instructional designers. Also,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digital learning resources in cooperation with design professors, focusing on subject education experts. Third, school systems must be prepared to build a future digital learning environment, and extensive follow-up studies on how to utilize online learning are also need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업에 문제 중심 학습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을 설계하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 이를 적극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경제 수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BL과 e-PBL의 특성 및 한계를 검토하고, 블렌디드 PBL 모형 설계를 위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첫째, 사회과 블렌디드 PBL 수업이란 ‘사회과 수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PBL이 추구하는 학습의 원리를 반영하되, 학습의 방법 및 프로세스, 상호작용 방식, 교수자의 역할 등 다양한 학습 요소들을 결합한 수업모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학습자 중심, 실생활 연계, 자기 주도적 학습 등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실현하면서, 학교 현장에 확산 적용하기 위해 블렌디드 PBL 수업모형의 단계와 주요 활동을 구체화하였다. 이 과정에서 면대면 PBL의 주요 특성과 e-PBL의 구조 및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반영하였다. 셋째, 블렌디드 PBL 수업의 성공 요인인 교수자 역할을 지원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온라인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실제 개발된 온라인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블렌디드 PBL 경제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블렌디드 PBL 수업 설계 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교사가 개별 교수설계자로서 역량을 갖추어야 함을 주장한다. 둘째, 외국의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함으로써, 교과 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와 온라인 프로그램의 개발을 촉구한다. 셋째, 미래형 디지털 학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학교 시스템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온라인 러닝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폭넓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대학 특수체육수업에 대한 Blended-PBL의 적용 가능성 탐색

        강유석,조가람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5

        본 연구에서는 특수체육교육과의 전공교과목에 오프라인 수업과 웹(web) 기반의 교육환경, 현장실습, 협력학습 등이 혼용된 blended-PBL을 적용하여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2019년 1학기에 ‘장애인 운동프로그램 운영론’ 과목에 blended-PBL을 적용하고 성찰일지, 활동일지, 현장실습일지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먼저, blended-PBL 운영 특징으로 현장기반의 융합적 접근과 새로운 학습경험이라는 두 가지 내용이 범주화되었다. 또한, blended-PBL의 적용은 학습자들이 장애인과 특수체육, 학습자 자신, blended-PBL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blended-PBL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학습자의 개인역량과 수업효과, 교수자의 성장과 학습 참여, 수업의 유연함과 평가의 공정성 측면에서 보완되어야 할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blended-PBL이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특수체육교사의 전문성을 배양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한 시사 한국어 수업 사례 연구 -플립러닝과 PBL의 절충교수법을 중심으로

        임진숙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urrent Korean abilities by applying blended learning--an eclectic teaching method combining flipped learning for online lectures, and PBL for offline lectures. This lesson plan consists of online lessons dealing with current affairs taking place outside the classroom based on flipped learning, as well as PBL-based classroom lessons involving collaborative activities focusing on the solving of a certain issue, and then delivering a presentation regarding the current affair. Learn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effects from these lessons: first, by quickly adapting to the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s and the methods used therein,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level of learning thanks to new teaching methods. In this rapidly changing society driven by the arrival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quick and sensitive reactions to new learning methods such as ‘blended learning’ will not only satisfy our learners' needs, but hopefully motivate them to continue on with their studies. secondly, these lessons enabled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prior learning called ‘flipped learning’ in their current affair classes. In these sorts of classes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flow of the situational context (I don’t quite understand the meaning here) in the society across professional and academic fields. By helping our students to do so, we can increas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at the main lesson stage in the classroom, and further enhance their level of expertise which will be needed for academic-purpose learning, along with their abilities of learning in their chosen majors; and finally,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lesson model and proposed actual lessons at each stage of the flipped learning and PBL processes. This model was based on blended learning as it pertains to combining different learning methods. Moreover, we proposed detailed alternatives to the current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인 플립러닝과 오프라인 강의인 PBL을 절충한 교수법인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을 적용하여 시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 수업에서는 플립러닝은 온라인 수업으로 시사 내용에 대한 교실 밖 수업을 진행하고 교실 안수업에서는 PBL을 활용하여 시사를 주제로 문제를 해결하여 발표하는 협력 활동을 진행하게 하였다. 학습자들은 본 수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시대의 흐름에 따른 학습 환경과방법에 대한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여 새로운 교수 방법으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차산업혁명의 도래라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블렌디드 러닝이라는 민감한 교육 방법의 대처는 학습자들의학습 동기와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어 교육이 지속 가능할 수 있는 학문이 될 수 있는데 도움이 된다고본다. 둘째,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분야로 그 사회의 상황 맥락의 흐름 파악이 중요한 시사 수업에서플립러닝이라는 선학습으로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지게 하여 교실 안의 본 수업 단계로 진입하였을때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 학문목적 학습에 필요한 전문 지식 및 전공 수학 능력 제고에 도움을주었다. 셋째, 학습 방법 혼합의 측면에서 바라본 블렌디드 러닝에서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플립러닝과PBL 각각의 수업 단계의 실제를 제시하여 시사 한국어 교수-학습을 상세화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본다.

      • KCI등재

        PBL과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양무용 수업 사례연구

        김소연,김정은 한국무용연구학회 2020 한국무용연구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an elective dance class combined with PBL and blended learning in distant learning, as well as recognizing and experiencing blended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on 27 students from S Women’s University in Korea. The study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 Firstly, complementary learning from PBL and blended learning in a practical elective dance class provided contents such as audiovisual material, reading material, dance activity material and assignments based on VAK learning style. Secondly, class operation methods through PBL and blended learning had a focus on presenting initiative assignments and extending self-directed learning. Thirdly, recognition and experience learners felt f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blended learning when putting together PBL and blended learning into practice could offer an opportunity to look into a positive statement that say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learning approach are complementary.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understand settings in practical dance education and to build a theoretical ground where a discussion can be made as to a sustainable possibility in distant dan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학습에 있어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혼합한 교양무용 실기 수업의 활용가능성과 혼합학습에 대한 인식경험을 탐색해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국내 S여자대학교 27명의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무용 실기수업에 있어 PBL과 블랜디드 러닝의 상호보완 학습은 VAK의 학습 유형 이론을 근거로 시청각 자료와 읽기자료, 안무 활동자료, 과제 등의 콘텐츠가 제시되었다. 둘째,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수업운영방식은 창의적인 과제 제시 및 자기주도적 학습을 확대시켜나가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셋째, PBL과 블랜디드 러닝을 함께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가 느낀 교육 환경과 혼합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경험은 각각의 장, 단점을 상호보완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진술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가 무용 실기교육에 대한 환경적 이해를 돕고 무용 원격교육에 있어 지속발전 가능성을 논할수 있는 이론적 근거가 되길 바란다.

      • KCI등재

        플립드러닝 기반 PBL 모형 중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

        원영미,박양주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러닝 기반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영어 수업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최근 들어서, 플립드러닝과 PBL을 결합하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중고등학교 교과 수업에의 적용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며, 이에 본 연구의 시도는 이론적, 실제적 의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수업 모형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구체화시켰고, 수업 개발은 일반적 설계 절차(분석-설계-개발-실행 -평가)를 따랐으며,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으로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영어 학업성취도 검사 와 영어과 핵심역량 검사를 수업 처치 사전과 사후에 실시하였다. 영어 학업성취도 변화는 대응표본 t 검증의 방법으로 분석 하였고, 핵심역량과 성취도 검사 수행 수준(상위, 하위)이 사전-사후 점수 변화에 미치는 효과의 양상은 혼합모형 반복측정 분산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모두 상승하였으며, 성취도 검사 하위 집단의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더 큰 폭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플립드러닝 기반 PBL 수업은 중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와 핵심역량 향상 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학업 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 수업 방법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PB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Recently, various attempts to combine flipped learning and PBL have been made; however, many studies have not been applied to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s yet. The attemp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The instructional model wa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program followed the general design procedure(analysis-design-development-implement-evaluation), and its validity was secured with the advice of related expert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English key competency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Changes i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by the paired-sample t-test, and the effect of key competency and the level of achievement test performance (high vs, low) on the pre-post score change was analyzed by the mixed effects repeated measures ANO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key competencies increased, and the low-level students in the pre-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more improvements. In conclusion, the PBL class based on flipped learning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and key competen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particular, it is shown to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대학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방안

        김병길(Kim, Byounggil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2

        이 글은 의사소통 교육이 추구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이하 PBL)의 효용성을 실제 교과목 사례를 통해 검증하고 그 실행 모델을 제안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구체적인 교과과정 모형의 실제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사항들을 도출해냈다. 교과목 수행 절차 및 내용, 그리고 이에 대한 평가가 그 주요한 분석대상이었다. 온라인 공간과 면대면 공간을 함께 활용하여 전개된 이-블렌디드 PBL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해당 교과목의 재실시, 유사 교과목의 개발 및 운영과 관련해 얻은 주요 참조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학습환경의 효과적인 이용에 관한 매뉴얼이 수업 설계 단계에서 확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PBL 교수-학습을 위한 오프라인상의 물리적 환경 개선이 요청된다. 셋째, 수강인원 규모의 축소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PBL 교수-학습법에 대한 사전 메타 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교과과정 개발과 운영상에서 고려되어야 할 이와 같은 개선 사항은 본 연구에서 소개한 숙명여자대학교의 〈발표와 토론〉 교과목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국내 여러 대학들의 의사소통 관련 교과목들의 운영 실태 및 교육여건은 이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앞서의 참조점들이 의사소통교육과 PBL의 연계 교과과정 개발에 있어 하나의 유용한 전범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communicating educational goals through actual course practic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ask, analysis was carried out on an implemented curriculum model and its actual operational practices. Result analysis also led to several suggested improvements. Main facets of analysis centered on course implementation and content and course assessment. Employing both on line and in-class instructional practices of e-blended PBL lessons, study findings highlighted several important features needed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similar courses. They were as follows: 1) At the lesson design phase, a manual on fruitful use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must be set. 2) For effectual PBL learning and teaching, there needs to be improvement to the actual offline environment. 3) Class sizes must be reduced. 4) Metadata training must be a prerequisite for PBL teaching and learning. The recommendations presented in this paper are not only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urse Presentation and Discussio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y are essential for all communication education courses presently being offered at other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because domestically the courses are highly comparable.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suggestions could be constructive approaches in the development of model communication education courses that feature PBL syllabi.

      • KCI등재후보

        基于PBL理念的混合式教学应用探索——以《社会学概论》课程为例

        程艳彬 중한연구학회 2023 중한연구학간 Vol.0 No.30

        On the basis of summarizing the basic concept and application status of PBL teaching method, this paper discusses the advantages and feasibility of integrating PBL concept into mixed teaching. Taking the course of “Introduction to Sociology” as an example, this paper introduces the blended teaching practice based on PBL from the three links of preclass preparation, classroom teaching and after-class consolidation, which is the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the combination of independent inquiry learning and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combination of pre-class, in-class and after-class learning. Further, students’ evaluations of teaching effectiveness and teaching methods were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124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lasses of 2018 and 2019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observation groups according to the time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urse teaching reform through a non-simultaneous controlled study, and the differences in final assessment scores and regular grades were compared at the end of the course; the qualitative feedback data on the course learn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classes of 2020 and 2021 were analyzed.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ing model can improve independent and inquiry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with good self-regulation, and can improve their final assessment performance for students with average performance and below.

      • KCI등재

        부동산학 특화형 교수법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박혁서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find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real estate courses in university. The study begins with comparison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everal recent teaching methods that are currently being noted, because there is practically no research on teaching methods for real-estate course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104 students enrolled in real-estate studies courses, using google online survey forms on smartphones during class, and then one-way ANOVA analyse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udents’ year and major, using R, a statistical software. The one-way ANOVA results show the perception of students toward learner driven pre-learning, team-based cooperative learning and on-offline teaching pursued by blended learning, PBL and TBL. It turns out that most students perceived most of the teaching methods positively, which appeared in both architectural majors and non-major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real-estate majo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non-major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blended learning is considered best in terms of lecture management, PBL is the most appropriate for team-based learning. In addition, TBL can be applied in parallel with blended learning,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rses.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학 특화형 교수법에 대해 분석했다. 부동산학에 대한 교수법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어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교수법에 대한 조사와 장·단점 분석에서부터 연구를 진행했다. 그리고 부동산학 전공교과목을 수강하는 10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조사양식(Google forms)과 스마트폰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소프트웨어인 R을 이용해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해 학습자주도 사전학습에 대한 전공과 학년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을 분석했다. 그 결과, 수강학생 대부분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고 이는 부동산학전공학생과 비전공학생 모두에게서 나타났다. 다만, 부동산학전공학생이 비전공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기초해 본 연구에서는 강의운영과 관련해서는 블렌디드러닝이 적합하고 팀별과제운영과 관련해서는 PBL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TBL의 경우, 전공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블렌디드러닝과 병행해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