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혜경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4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8 No.2

        현대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고, 사회구성원들은 외모를 가치나 평가의 척도로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차별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는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 더 나아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 498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 그리고 삶의 질 변수 간의 직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외모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효능감은 삶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자아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는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향상을 통해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통해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효능감이 높아져야만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효능감은 외모관리행동과 직접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일반 성인 여성들이 쉽고 간단하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이 구성되어야 하며, 자아효능감과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대처를 통해 자아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각종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ppearance-oriented view (lookism)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issue. Members of society, by utilizing physical appearance as a criterion for value and assessment, are instigating additional discrimination problems. This phenomenon impac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urther extending its influence to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proposes measures for enhancing women’s quality of life.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from 498 adult women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Results of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ts a positive (+) and significant impa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dditionally, an increase i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 influence self-efficacy. Moreover, a rise in self-efficac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 affects quality of life.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neith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nor appearance satisfaction direc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enhancing appearance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leads to increased self-efficacy, which subsequen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an elevation in self-efficacy is essential f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enhance quality of life. Si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t is imperative to develop vario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at are easily applicable for adult women and to devise strategies to increase self-efficacy by addressing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및 섭식장애의 관계

        김혜정(Hye Jeong Kim),이옥란(Ok Ran Lee)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3 No.-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및 섭식장애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남도, 충청북도에 소재한 예술계 고등학교 중 지역별로 1개교씩 총 4개교를 선정한 후 예고에서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과 충청북도 소재지 2군데 학원에서 무용학과 진학을 목적으로 무용을 전공하는 고등학생 총 296명을 표본으로 수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개인적 특성을 묻는 3문항, 신체이미지를 묻는 15문항, 외모관리행동을 묻는 19문항, 섭식장애를 묻는 22문항들로 총 5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년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중 헤어관리는 1학년이 2-3학년에 비해 높다. 섭식장애 중 외부적섭식은 2학년이 1학년과 3학년보다 높다. 전공에 따른 섭식장애중 절제적섭식이 발레가 한국무용과 현대무용보다 높다. 참가경력에 따른 체중관심과 외부적섭식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신체이미지 중 외모관심은 의류관심, 피부, 헤어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신체매력은 의류관심, 신장관리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체중관심은 체중관리, 신장관리, 피부, 외모관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신체이미지 중 외모관심은 외부적 섭식에, 체중관심은 정서적섭식과 절제적섭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외모관리행동 중 체중관리는 정서적섭식, 절제적섭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의류관심은 외부적 섭식과 절제적섭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신장관리는 절제적섭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피부는 정서적섭식과 절제적섭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및 섭식장애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dance majored high school students'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eating disord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96 of dance majored high school students and private institute students who want to enter university with dance major were sampled from 4 arts high schools, selected from 4 areas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Chungcheongbuk-do) and from two different private institute in Chungcheongbuk-do. As the investigation instrument, questionnaire with total 59 questions, consisted of 3 questions on personal character, 15 on body image, 19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22 on eating disorde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iyzed by SPSS 12.0 for statistical purpose. As a result,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as First, according to the school year, 1st grade shows higher hairdressing behavior than 2nd-3rd grade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eating disorder, 2nd grade shows higher external eating than 1st and 3rd grade. In eating disorder according to the major, ballet shows more restrained eating than modern and korean da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ting career, weight concern and external eating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appearance concern has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concern, skin, hair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body image. Body attract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concern, height management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eight concern has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height, ski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ird, in body image, appearance concern has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eating, and, weight concern has on emotional and restrained eating. Forth, weight concern has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nd restrained eating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Clothing concern has significant effect on external and restrained eating. Height management has significant effect on restrained eating. Skin has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nd restrained eating. Fifth, body imag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eating disorder have causal relations.

      • KCI등재

        운동선수의 외모관리행동 개념구조 탐색

        이준석,임효성,김응준,김한별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외모지상주의라고도 불리는 현 사회 분위기 속에서 운동선수는 어떠한 외모관리행동을 하는지 살펴보 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21개 종목의 선수 17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였 다. 연구 결과, 일상생활 시 운동선수의 외모관리행동은 총 934개의 사례가 수집되었으며, 이는 미용관리행동(피부, 헤 어, 화장, 의료시술), 의복관리행동(의류, 액세서리), 몸매관리행동(체형관리, 체중조절)으로 구분되었다. 시합준비 시 운동선수의 외모관리행동은 총 734개의 사례가 수집되었으며, 이는 미용관리행동(피부, 헤어, 화장), 의복관리행동(의 류, 액세서리), 운동장비 관리행동(운동장비 사용, 운동장비 정리), 몸매관리행동(체형관리, 체중조절)으로 구분되었 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운동선수들의 다양한 외모관리행동들과 그 유형 및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preferred by athletes in the current social environment where is more concerned with appear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17 athletes from 21 sports. As a result, the number of cas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their daily life was collected as 934. In the daily life, especially, it was categorized into beauty care management behaviors(skin, hair, cosmetic and medical care),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clothing and accessory), and body line management behaviors(body shape management and weight control). Furthermore, the number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preparation for the competition was gathered as 734 cases. In particular, at this time, it was divided into total 4 categories; beauty care management behaviors(skin, hair, and cosmetic),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clothing and accessory), sports equipment management behaviors(using the equipment and arranging the equipment), and body line management behaviors(body shape management and weight control). Through this study, it could confirm not only the variety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performed by athletes in the field but also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 KCI등재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순희(Lee, Soon Hee),김은실(Kim, Eun Sil),주영주(Joo, Young Jo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이 연구에서는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모관리행동을 분석하고 그 요인에 따른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직장여성의 화장품 소비성향을 이해하여 합리적인 소비를 돕고, 직장여성을 목표 고객으로 하는 화장품 관련업계의 상품 기획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설문지 응답방식을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10∼50대의 성인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지는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배포된 201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0.0을 사용하였고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일반적 특성은 20대가 81명, 30대가 67명으로 나타났고, 결혼여부는 미혼, 최종학력은 전문대학/졸업, 직업은 사무직, 월 소득은 200만원 이상, 평균 화장품 구입횟수는 2∼3개월에 1회, 화장품 구입 시 평균 구입가격은 10만원 이상∼15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직장여성의 외모관리행동은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몸매관리행동으로 분류되었고, 화장품 쇼핑성향은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로 분류되었으며, 화장품 구매만족도는 제품만족도, 가격만족도로 분류되었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쾌락추구’는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쾌락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유행추구’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유행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경제추구’는 ‘몸매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경제추구’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넷째,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뷰티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고, ‘가격만족도’는 ‘몸매관리행동’, ‘신체보정관리행동’, ‘의복관리행동’이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화장품 쇼핑성향이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제품만족도’는 ‘경제추구’와 ‘유행추구’가 증가할수록 ‘제품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가격만족도’는 ‘쾌락추구’, ‘유행추구’, ‘경제추구’가 증가할수록 ‘가격만족도’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직장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이 화장품 쇼핑성향 및 화장품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외적 표현에 따라 화장품 구매 욕구에 관여하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화장품의 기능, 유행, 가격등에 대한 만족도 파악을 설명할 수 있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한 마케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직장여성들은 사회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 이미지를 위해 자신의 외모관리를 노력하는 것과 유행경향 및 합리적인 가격을 고려하여 화장품 구매를 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에 발생되는 직장여성들의 화장품에 대한 필요 욕구와 만족감 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적이고 실용성 있는 제품을 기획하고 다양한 제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지속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한다면 화장품 시장 활성화 향상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I analyze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cosmetics shopping trends &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due to certain factors. In addition to this, I want to provide empirical data needed for product planning of cosmetics related industry having career women as targeting customers. The research method is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subjects are career women in 10s to 50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ource of final analysis data is 201 questionnaires from April 1 to April 30 in 2017. The analysis method is SPSS 20.0, and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is are implemented. In summary of this study result, first of all, 81 persons in 20s and 67 persons in 30s are indicated as the general feature, and the average purchase price is 100,000 ~ 150,000 won, the frequency is once in 2~months, the subjects are single, office workers, educational backgrounds over Associate of Arts, and monthly incomes over two million won as the highest. Secon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factor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re classified as clothing, beauty, body correction, and body line management behaviors; the shopping trends are classified as pursuing pleasure, vogue, and economy; the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re classified as product and price satisfactions. Third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shopping trends, ‘pursuing pleasure’ is increased as ‘body correction’,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vogu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ursuing economy’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clothing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our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eauty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body line management’, ‘body line management’, and ‘clothing management’ behaviors are increased. Fifthly, as the analysis result of the effect cosmetics shopping trends on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product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economy’ and ‘pursuing vogue’ are increased; ‘price satisfaction degree’ is increased as ‘pursuing pleasure’, ‘pursuing vogue’, and ‘pursuing economy’ are increased. From the above study result, as career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fluence cosmetics shopping trends and cosmetics purchase satisfaction degrees, appearance expressions act important variables related to cosmetics purchase needs and confirmed as explainable variables to understand satisfaction degrees regarding function, vogue, and price of cosmetics. Therefore, the marketing implication b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s career women try to manage appearances for positive images to improve social competences and they purchase cosmetics as considering the vogue trend and affordable price, if functional and practical products are planned to satisfy their needs and satisfactions and continuous marketing strategies are established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arious products, market vitalization progress of cosmetics might be more effective.

      • KCI등재

        코로나 19 후 뷰티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

        한미라,정하은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3

        Background COVID-19, a previously unknown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has caused numerous changes in our lives and daily life. The restriction of interpersonal interaction and the wearing of a mask have resulted in psychological stress, including depression, frustration, anger, and sadness, in addition to anxiety and fear, and have made a negative impact on the pursuit of beauty which is a fundamental human need. Individuals exper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by employing beauty services, depression may be alleviated, and self-esteem may be improved.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hanges in people's beauty management behavior following COVID-19, as well as the effe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on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in appearance. Methods In this study, 510 responses were distributed to women in their 20s and older between February 20 and March 10, 2022, and 498 responses were returned. After excluding careless responding, a total of 483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data analysi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analysis for questionnaire items were performed using Cronbach's α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were performe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Result All six factors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alysis indicated a substantial positive effect after studying the influence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on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following COVID-19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ppearance interest. As a consequence of investigating the impa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on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as well as the mediating influence of interest in appearance interest, appearance interes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skin care’, ‘hair styling’, ‘inner beauty care’, ‘make-up’ affecting this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In addition, appearance interest was found to have a full mediating impact in the process of 'hair care' affecting beauty service purchasing behavior. Using the Sobel-Test to verit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data, it was determined that the mediating impact of 'make-up behavior' on purchase in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 Z-score of 2.729.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on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after COVID-19. Beauty management behavior is positive in relieving anxiety and depression. Despite the anxiety caused by COVID-19, beauty management is managed through home care in personal hygiene and image 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anxiety and depression were relieved by makeup management behavior. Since beauty behavior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age, in a future study, the effect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s on purchasing Behavior of beauty service is to be investiga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outbreak and age. 연구배경 과거에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호흡기 감염병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의 삶과 일상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대인관계의 접촉 금지,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불안감은 심리적인 스트레스로까지 이어져 인간의 기본 욕구인 미의 추구 현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었다. 사람들은 외모관리행동과 뷰티서비스를 통해 심리적인 안녕감을 느끼고, 우울감이 줄어들고,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변화를 느낀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 후 사람들의 뷰티관리행동 변화를 알아보고 뷰티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2월 20일~3월10일까지 20대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5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498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자의 응답을 제외한 총 48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사용하였다. 그 외 연구목적에 맞춰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문항의 신뢰성 검증은 Cronbach's α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 다중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Sobel-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 19 후 뷰티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뷰티관리행동에 대한 6개의 요인 모두 유의한 예측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 3단계 절차에 따른 회귀분석 결과 ‘네일관리행동’과 ‘피부관리행동’, ‘헤어스타일링행동’, ‘이너뷰티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일관리행동’, ‘피부관리행동’, ‘헤어스타일링행동’, ‘이너뷰티관리행동’, '메이크업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 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외모관심도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헤어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외모관심도는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메이크업관리행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모관심도의 매개효과는 Sobel의 Z값이 2.729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코로나 19 후 뷰티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뷰티관리행동은 불안 및 우울감 해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코로나 19로 인한 불안감에도 불구하고 뷰티관리는 개인위생 및 이미지관리 차원에서 홈케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 결과 다양한 미용 분야 중 메이크업관리행동을 통해 불안 및 우울감을 해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뷰티행동의 경우 연령대별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 추후 연구에서는 코로나 발병 여부와 연령대에 따른 뷰티관리행동이 뷰티서비스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북한이탈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련성

        이인숙(Insook Lee),양윤미(Yun-mi Y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북한이탈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 및 외모관리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며,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북한이탈여성 총 20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4점 만점에 2.40점으로 조사되었다. 외모관심도는 5점 만점에 3.20점이며, 외모관리 행동은 5점 만점에 2.67점으로, 대상자들은 메이크업과 의복관리 행동을 많이 하지만 운동, 섭식 행동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외모관리행동에서는 외모관리 하위 영역별 차이는 있으나, 연령, 성형관심도, 재북시 직업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외모관심도, 외모관리행동과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외모관심도는 외모관리행동,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또한 외모관리행동은 연령, 체중조절의도 및 성형관심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대상자의 외모관리행동을 44.7%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인 북한이탈여성들의 자아존중감 향상 및 외모관리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baseline data by exploring the self-esteem and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from 201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1)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40 in 4 points, and the mean of the appearance concern was 3.20 in 5 points. And the mean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2.67 in 5 points. Subjects had a lot of make-up and clothes behaviors. However exercise, food intake behaviors of subjects were lowerer than average.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and general charateristeics(e.g age, intent weight los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ge,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and job in North Korea. 3)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self-esteem and the appearance concer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the appearance concern, it showed a correlation with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ge, intent weight control as well as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In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age, intent weight control and interest in cosmetic surgery. 4) 44.7% of gener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explained: self-esteem, the appearance concer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utilization of developing programs for improving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및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조사 –경상북도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

        문선정,가경환,김은희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at universities in rural communities, who pursue new ideas and value individuality and collect basic data that could help establish a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managing their appearance;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o June 2018 and a total of 61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with the exception of incomplete ones and those having insincere answers. The items in the questionnaire concerned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principal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correlation matrix to validate the lifestyl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ventories; Cronbach’s α was estimated to determine reliability of the inventories. As for the differences in lifestyles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ashion sensitivity, pursuit of information, and levels of frugality differed significantly by grade: seniors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and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freshmen, sophomores, and even juniors. Those studying humanities and in education maj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information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The respondents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having ≤300,000 won; those having ≤3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having more than 500,000 won and those having 310,000 to 500,000 won. The respondents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were more sensitive to fashion than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60,000 to 10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recognized brands than those investing ≤50,000 won; and those investing ≤50,000 won were more likely to pursue frugal purchases than those investing 110,000 to 200,000 won and those investing more than 200,000 won. As for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general characteristics,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external self-esteem,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women were more likely to prioritize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following trends, and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men and men tended to have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women. Seniors were more likely to manage their appearance in general more than juniors and freshmen, and sophomores were likewise more likely than freshmen; juniors, seniors, and freshmen had higher external self-esteem than sophomores; and seniors were more likely to pursue a trend than freshmen. Teaching and humanities courses were more likely to follow appearance management in general than those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humanities and teaching/education courses were more likely to make additional appearance management than those enrolled in science, engineering, medicine, and health cours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r providing enterprises with useful information about consumer behaviors through research on the variation i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by lifestyle in university students so that the association between lifestyle and behavior regarding appearance management can be defined. 본 연구는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 개성과 이미지를 중요시하는 일부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고, 확고한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2018년 5월부터 6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작성이 미완성되거나 응답이 불분명한 자료를 제외한 총 617부의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은 일반적 특성, 라이프스타일, 외모관리행동으로 구성하였다.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측정 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행렬을 이용, 주축인자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 방법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차이에서 학년은 패션 민감형, 정보 추구형, 알뜰구매 추구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패션 민감형과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정보 추구형은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다. 전공계열에서는 정보 추구형에서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패션 민감형에서는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이 30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30만원 이하가 50만원 이상과 31~50만원 보다 높았다. 투자비용에서 패션 민감형은 20만원 이상과 11~20만원이 6~10만원과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상표 추구형은 11∼20만원, 20만원 이상, 6~10만원이 5만원 이하보다 높았고, 알뜰구매 추구형은 5만원 이하가 11~20만원과 20만원 이상보다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모관리행동 차이에서 성별은 총체적 외모관리와 외적 자존감,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총체적 외모관리와 유행추구, 부가적 외모관리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4학년이 3학년과 1학년보다 높았고, 2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고, 외적 자존감은 3학년, 4학년,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았으며, 유행추구는 4학년이 1학년보다 높았다. 총체적 외모관리는 사범계열과 인문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고, 부가적 외모관리는 인문계열과 사범계열이 이공/의학/보건계열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 라이프스타일과 외모관리행동 간의 관계가 정립될 수 있도록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보는 연구를 통해 소비행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외모관리동기가 몸매관리행동과 자기만족도에 미치는영향

        김은혜,김인숙 한국예술교육학회 2017 예술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bstrac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on body management behavior and self satisfaction. Questionnaires data was obtained through adults over 20 years old of age (N=474) in Gyeonggi-do, Daegu and Kyungpook region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emphasis on the trendy appearance motive, self-development motive and sexual appealing mo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identified as body management behavior. Self satisfaction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such as economic satisfactio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ppearance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body management behavior.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on body management behavior were explained by emphasis on the trendy appearance motive and self-development motive. The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motives on economic satisfaction were explained by emphasis on the trendy appearance motive and self-development motive(-).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self-development motive has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e trendy appearance motive has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Third, there were signigicant differences in body management behavior and self satisfaction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본 연구의 목적은 외모관리동기와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몸매관리행동과 자기만족도의 경제만족도, 외모만족도, 대인관계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세 이상 성인 494명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기술통계,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t-test와 ANOVA 통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외모관리동기는 외모유행중시 동기, 자기개발 동기, 성적매력표현 동기의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자기만족도는 경제만족도, 대인관계만족도, 외모만족도로 구분되었다. (2)외모관리동기가 몸매관리행동에미치는 영향에서는 외모유행중시 동기가 높을수록, 자기개발 동기가 높을수록 몸매관리행동을 더 적극적으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외모관리동기가 자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경제만족도는 외모유행중시 동기가높을수록 자기개발 동기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만족도는 자기개발 동기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외모만족도는 외모유행중시 동기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성적매력 동기는 자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인구통계학적 변인들에 따라서 몸매관리행동과 자기만족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 KCI등재

        미용실 고객들의 외모관리 의식과 외모관리 행동이 메이크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강수,배상옥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is quantitative research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beauty shop customers’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their make-up perception, which it aims to present basic data on expanding and reproducing the beauty industry based on the social perception of make-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sampled in Gwangju city and South Jeolla province were set at a significance level of p<0.05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variance analysis,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7.0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By age, 40s was the highest at 51.5%, followed by the over-50s.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and the unmarried were 97.5% and 2.5%, respectively. By gender, female and male were 94.0% and 6.0%, respectively. By occupation, art was the highest at 63.5%, followed by student and production/technology. By final level of education,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was the highest at 58.0%, followed by college education, more than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preferred beauty care, hair was the highest at 91.0%, followed by skin, and make-up. For annual average purchasing cost, 210,000 to 300,000 won was the highest at 42.5%. For skin, dry skin was the highest at 49.0%. For skin improvement, skin elasticity was the highest at 40.0%. For make-up image, sophisticated look was the highest, followed by good skin appearance. For reason of appearance management, self-satisfact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work life, and social dignity. For most important point in entire appearance, hairstyle was the highest at 68.5%.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make-up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s of samples showed that when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ncrease, there isn’t only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th appearance management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make-up perception, but a heightened make-up perception. 이 연구는 미용실 이용 고객들을 대상으로 외모 관리 의식, 외모 관리 행동, 메이크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로 메이크업에 대한 사회적인식을 기초로 뷰티산업을 확대 재생산 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서 샘플링한 자료를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크리닝 과정을 거쳐, SPSS 17.0으로 유의수준 p<0.05로 설정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과 분산분석, Duncan test,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은 40대 51.5%, 50대 이상의 순으로나타났으며, 기혼이 97.5%, 미혼 2.5%로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이 94.0%, 남성이 6.0%, 직업은 예술계통이63.5%, 학생, 생산/기술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에서는 고졸 이하 58.0%, 전문대졸, 대학원 이상, 대졸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 실태 분석 결과 선호하는미용관리는 헤어 91.0%, 피부, 메이크업의 순이었으며, 연평균 구매비용에서는 21∼30만원이 42.5%로 가장많았고, 피부는 건성피부가 49.0%로 가장 많았다. 피부 개선점은 피부탄력이 40.0%이 가장 높았으며 메이크업으로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는 세련되어 보이기및 피부가 좋아 보이기 순으로 나타났다. 외모 관리이유는 스스로 만족, 직장생활, 사회적 체면 순으로나타났고, 전체 외모에서 가장 중요한 점에서는 헤어스타일이 6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본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른 외모 관리 의식과외모 관리 행동, 메이크업 인식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모 관리 의식과 외모 관리 행동이 높아질수록 메이크업 인식 간 모두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고 메이크업 인식도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 KCI등재

        자기애성향이 외모관리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송지현,김경희 한복문화학회 2020 韓服文化 Vol.23 No.2

        In a cultural context of the narcissistic era, people are becoming more individualistic and self-centered. One of narcissistic behavior is to invest time and effort into appearance management. Therefore,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arcissistic tendencies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was used. The total sample size of 345 women was socially active and varied in age from 20s to 50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elf-conscious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all sub-factor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ther-consciousnes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weight management amo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Second, self-consciousness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all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xcept for self-centeredness. The other-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rd, weight management affected the attitude of others and self-centeredness among the influence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ir management was affected by over-involvement, clothing management was affected by attitude toward others, and plastic surgery management was affected by attitude toward others, over-involvement, and self-centeredness. In conclusion, this study’s group of women with narcissistic tendencies found themselves using appearance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omen tended to be more narcissistic; women showed more involvement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when women's social activities increa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come active and take more effort and interest in their appearance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narcissistic tendency of women in their from to 20s 50s, This study found the factor influenc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ntribute to the fashion and beauty industries. 현대인들은 개인주의적, 자기중심적 즉 자기애시대에 살며, 그 특징 중 하나인 자기과시에 나타나는 외모관리에 있어 많은 노력과 시간을 투자한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참여가 증가되고 있는 20〜50대 여성 345명을 대상으로 자기애성향이 외모관리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고, 조사방법으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애성향이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의식적이 외모관리행동의 모든 요인과, 타인의식적은 외모관리행동 중 체중관리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둘째,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의식적은 자기중심성만 제외하고, 타인의식적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극적태도와 자기희생을 제외하고, 체중관리는 타인의태도, 자기중심성에만, 헤어관리는 과관여에서만, 의복관리는 타인의태도에서만, 성형관리는 타인의태도, 과관여, 자기중심성에서 상대적 기여도를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20∼50대 여성은 자기애성향이 외모관리행동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애성향이 높을수록 외모관리행동 및 대인관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활동이 많아짐에 있어 대인관계가 활발해져 자신의 외모관리에 더 많은 노력과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회진출이 활발해진 20∼50대 여성의 자기애성향을 파악하여 외모관리행동 및 대인관계에 있어 영향 관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더 나아가 패션과 뷰티 산업에 기여하는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