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최수영 ( Suyoung Choi ),홍예주 ( Ye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파악하여 차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고자 KCI 등재지 이상 2012년부터 2021년 7월 20일까지 발표된 연구물 총 120편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 연도별 동향에서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는 2020, 2016, 2013년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2012년, 2015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10편 이상씩 꾸준히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게제학술지별 동향에서는 성공적인 노화와 무용과 관련된 연구 총 120편이 총 32개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한국무용과 학회지에 가장 많이 게제 되었고 대한무용학회논문집, 한국체육과학회지, 한국체육학회지, 한국무용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등에 관련 연구물들이 게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관련 연구가 다양한 학술지에서도 발표되어 무용의 입지를 넓혀가면서 변화를 이끌어낼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에서는 여성노인 대상의 연구가 가장 많았고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질병이 있는 노인 대상의 연구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 남성노인 대상의 연구 필요성과 함께 시대적 변화가 반영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용 유형별 동향에서는 한국무용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현대무용은 가장 적게 연구되었으나 댄스스포츠, 라인댄스, 생활무용 등 한국무용외 다양한 무용들이 성공적인 노화관련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현재 관련 연구에서 생활무용, 건강무용, 실용무용, 사회무용 등 비슷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무용들이 제시되고 있어 차후 무용 유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셋째, 연구 분야별 동향에서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관련 연구가 자연과학분야와 인문사회 분야별로 균형감을 가지고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방법별 동향에서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어 수치화에 의한 결과 제시로 연구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차후 개인차가 많은 노인을 이해하고 노화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 total of 120 papers published from 2012 to July 20, 2021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rends by study year, the papers on successful aging and dance were published the most in year 2020, 2016, and 2013. And more than 10 papers have been released every year consistently except in 2012 and 2015. Total 120 papers were published in 32 journal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has published the most research about successful aging and dance with 18 pap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Dance,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and The Contents association Review also have published related research.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raw changes while expanding the base of dance by publishing related studies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Secon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subject,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female was the highest with 54 papers, and the number of papers on the elderly male was the lowest with 3 pap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24 papers on the elderly with the disease,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male elderly subjects and a phenomenon of the changing times reflected in studies. In terms of trends by dance type, Korean dance was studied the most with 28 papers and modern dance was studied the least with 2 papers. However, 16 papers about dance sports, 15 papers about line dance and 19 papers about life dance were studied, showing that various dances other than Korean dance were being studied actively in papers about successful aging. Recently, dances with similar concepts, such as life dance, health dance, practical dance and social dance are being suggested in recent related research, so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he type of dance of future. Third, In terms of trends by study field, successful aging and dance related studies were conducted at a similar rate between natural science field and humanities and social field, suggesting that related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a balanced way. In terms of trends by study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significantly conducted more than qualitative research, indicating the tendenc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by presenting the results by quantification. It suggests that to understand the elderly with many individual differences and to analyze aging information in depth, qualitative research is needed to be conducted more continuously.

      • KCI등재

        자연과학분야 : 노인여성의 6개월간 생활무용 참가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

        이한준 ( Han Joon Lee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6개월간의 노인여성이 한국무용과 댄스 스포츠 참여가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와 Framingham Risk Scor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총 142명이 실험에 참가했고, 6개월간 국거리, 살풀이, 자진모리 등을 활용한 한국무용(68명)과 룸바와 차차차를 활용한 댄스스포츠(47명)를 수행하였다. 6개월간의 생활무용 참가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 중 TC, HDL, LDL, TG에서 6개월간의 생활무용(한국무용, 댄스스포츠) 참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p<.01), 혈압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효과적인 감소가 나타났다(p<.01). 둘째, Framingham risk score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낮았고(p<.01), 심혈관질환의 위험율에서도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낮았다(p<.01).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6개월간의 한국무용과 댄스스포츠 등의 생활무용 참가에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요인은 두 운동 모두 효과적인 감소를 가져왔고, Framingham risk score에서는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또한 심혈관질환의 위험율에서도 댄스스포츠, 한국무용 순으로 더 효과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D risk factors & Framingham risk sco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s for elderly women. 142 elderly women were recruited and tested. Subjects were assigned to Korean traditional dance group(n=68), dance sports group(n=47), and control group(n=27).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consist of ‘Gukguri’, Salpuri’, ‘Jajinmori’, and dance sports consist of ‘rumba’, ‘cha-cha-cha’. Dance was done for 6 months, 3 times per week, 60 minutes per day. After the dance participation of 6 month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s of 6 months has given a positive effect in TC, HDL, LDL, TG(p<.01). Second, Framingham risk score was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p<.01), and CHD %risk was lower in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p<.01). In conclusi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dance sport in 6 month had a positive effect on CHD risk factors. And F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 Also CHD %risk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rder of dance sport,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rol group.

      • KCI등재

        한국무용, 발레전공자와 일반인의 슬관절 근력 비교분석

        송정은(Jeong Eun Song) 한국무용과학회 200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6 No.-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발레무용수, 일반인의 슬관절 근력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에 미치는 무용별 근력특성을 검증하여, 향후 한국무용, 발레무용수의 상해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재 대학에서 한국무용과 발레를 전공하고 있는 여학생 각 8명과 정기적인 운동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는 일반여성 8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슬관절의 체중당 최대근력, 평균파워, 신근과 굴근의 비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당 슬관절 신전근력은 6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우측, 좌측 모두 p<.0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8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우측은 p<.001, 좌측은 발레무용수의 p<.05 수준에서 일반인의 1p<.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당 슬관절 굴곡근력은 6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우측이 발레무용수의 p<.05, 일반인의 p<.001 수준에서 37.45% 높게 나타났으며, 좌측이 발레무용수의 p<.05, 일반인의 p<.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평균파워 슬관절 신전근력은 6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우측이 발레무용수와 일반인의 p<.0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좌측은 한국무용수가 발레무용수와 일반인의 p<.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180°/sec에서는 한국무용수의 우측에서만 발레무용수와 일반인의 p<.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평균파워 슬관절 굴곡근력은 6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우측이 일반인보다 p<.01 수준에서, 좌측이 일반인의 p<.001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80°/sec에서 한국무용수의 좌측이 일반인의 p<.05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신근과 굴곡근의 비에서는 60°/sec에서 발레무용수의 우측 슬관절 신근, 굴근력 비가 일반인의 p<.05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무용의 수행은 슬관절의 신근과 굴근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근에 비하여 굴근이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나 이는 한국무용수의 슬관절에 상해를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국무용수는 슬관절의 상해예방을 위해서는 굴근인 슬와근의 근력향상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of knee joint's muscular strength among Korean dancer, ballet dancer and normal person.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I compared the peak toque per weight, average power, the ratio of extensor and flexor. As the result, I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Knee joint and extensor strength per weight of Korean dancer's right and left sides appeared at p<.001 level in 60°/sec. In 180°/sec, the right side of Korean dancer appeared at p<.001, the left side of Korean dancer appeared at p<.05 comparing with ballet dancer, at 1p<.01 comparing with normal person. In the case of knee joint and trunk extension flexion per weight, the right side of Korean dancer appeared at p<.05 comparing with ballet dancer, and at p<.001 comparing with normal person which is 37.45% higher in 60°/sec. The left side of korean dancer appeared at p<.05 and at p<.01 respectively comparing with ballet dancer and normal person. In the case of average power of knee joint, Korean dancer's right side appeared higher than ballet dancer at p<.001 and higher than normal person at p<.001 in 60°/sec. And also, in 180°/sec, Korean dancer's right side appeared higher than ballet dancer and normal person at p<.01. In the case of the average power of trunk extension flexion in 60°/sec, korean dancer's right side appeared higher than normal person at p<.01. Korean dancer's left side appeared higher than normal person at p<.01 in 60°/sec and appeared higher than normal person at p<.05 in 180°/sec. In the ratio of extensor and flexor, Ballet dancer's right knee joint extensor and trunk extension flexion appeared higher than normal person at p<.05 in 60°/sec. Considering of those results, the performance of Korean dance appears to effect on knee joint extensor and flexor but the flexor appeared to be weaker than extensor relatively. Moreover, it is concerned that Korean dancers could get an accident on knee joint extensor. Thus, in order to prevent the accident, Korean dancers should make efforts in improving the power of popliteus muscle.

      • KCI등재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 경계와 운영 모색

        정길만 ( Jung Gil-man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4

        본 연구는 국립무용단 작품분석을 통해 국립무용단의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와 운영 모색을 그 목적으로 한다. 최근 몇 년 동안 국립무용단은 국가 차원의 기획과 제작, 타 장르 결합 등 등 다양한 시도를 통해 세계적인 국립무용단으로 거듭나고 있다. 하지만 1962년 창단 이래 고착화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의 틀 안에서 한국춤의 재창조와 창조과정은 장르 일탈, 한국춤 변질이라는 다양한 의견과 우려의 목소리를 듣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상황 속에서 국립무용단의 작품에 대한 진단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국립무용단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연구가 먼저 구축되고 선행된다면 국립무용단 한국춤 발전이라는 거대 담론에 접근하리라 본다. 이를 위해 2013-2017년까지 최근 5년 동안 국립무용단이 외부(기획, 시스템, 인력 등)와 협업한 신작 공연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기획의도, 목적의 타당성, 성과에 따르는 개선안을 중심으로 국립무용단 조직과 운영에 관한 일련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동시에 21세기 융ㆍ복합 디지털 테크놀로지 라이프 시대에 맞는 국립무용단 기획의 전문성과 조직의 활성화 구축 방안 대해 제언한다. 논의 결과, 국립무용단 최근 5년 동안 작품 활동양상에 나타난 한국춤의 경계는 전통춤의 변화양상, 현대무용과 한국춤의 융합, 대중예술의 수용과 한국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세계적인 외국 안무가, 현대무용, 영상, 테크놀로지, 가상ㆍ가변현실, 대중가요 등 시대, 지역, 인종, 이념, 장르를 넘어 우리 삶에 침전된 예술과 디지털테크놀로지가 한국춤에 반응ㆍ수용되었다. 더불어 세계화를 통한 한국춤은 이제 세계인의 무용예술로 그 보편성을 확보해야할 시점에 왔다는 것을 재확인하였다. 국립무용단 활동양상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하고, 운영 활성화 모색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국립극장과 국립무용단의 분리 및 독립성 강화다. 둘째, 국립무용단 전속기획팀 창설이다. 셋째, 국립무용단 내 전통, 민속, 창작의 분업화를 시도한다. 제시한 방안이 수준 높은 국립무용단 작품개발 및 운영에 도움이 되고, 나아가 한국춤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boundaries of Korean dance in performance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hearafter called NDCK) and suggesting better management ways for it through analyzing dance works of the company. In recent years, NDCK has put much endeavor into a variety of attempts to be reborn and to be a world best dance company, such as collaboration or co-produc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other genres. Have been captured in the fixed and hard-to-change frame of management and organization since its foundation in 1962, the re-creation and the process of it are however called, from a certain point of view, a breakaway of the genre or criticized as corruption of Korean dance. Upon these situations, studying about organizational problems of the company is considered being prior to analyzing the dance works of it. Through this, NDCK can approach more effectively even the huge argument of development of Korean dance of NDCK. For this study, the objects have been chosen as the latest dance works, collaborated with other companies or performed from 2013-2017, in terms of planning, system and manpower. It analyzes a series of problems concerning the organiz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e NDCK, and argues on the purpose of planning, the validity of the purpose and the result. It also proposes new methods to have a specialized planning for the company and to invigorate the organiz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the times of converged digital technology life in the 21 century. Consequently, the study defines the boundaries of Korean dance of NDCK in recent five years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change of traditional Korean dance, convergence of contemporary dance and Korean dance, and acceptance of public arts. According to the study, arts and digital technology precipitated in people’s lives have been responded and accepted in Korean dance beyond the times, regions, races, ideologies or genres such as works with foreign choreographers, contemporary dance, video, technology or artificial realities. Furthermor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dance once again has approved that it is time to secure the universalization of its dance arts for the world citizens. The study confirms several problems blocking activities of NDCK and offers following suggestions for invigoration of the company; first the managemental independence of NDCK from that of National Theatre of Korea, second the setting up a planning department only for NDCK, third the separation among traditional, folk and creational dances in NDCK. The suggestions would be helpful for much higher level of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National Dance Company of Korea and even for development of Korean dance itself.

      • KCI등재

        "댄스 리터러시" 개념 틀에 근거한 한국무용 핵심요인의 탐색

        김현정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2

        Now days concern and practice about dance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purpose is to have Culture and Art literacy. However, the concern insufficient about Korean Dance that is par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ince recently Many study have been being about Dance literacy that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Dance Literacy concept is able to apply to Korean Dance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Dance essential elements(purpose, contents, factor) based on conception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s literature analysis about Korean Dance studies by dance competence, dance knowledge, dance disposition that elements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result of the first, Korean dance competence is that the purpose of know how to do art expression skill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dance body, music, emotion and expression. It can express through factor of movement, rhythm, breathing, moving line. Secon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knowledge is cognitive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cul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t can get through factors that Korean Dance history, dance notation and creative method. Thir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disposition is understanding aesthetic state of Korean Dance. We can understand through contents about sensitivity, spirituality, religion and aesthetic. If it can understand through factors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Taeguk philosophy,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philosophy, benevolence(仁), virtue (德), affection(情), you will have a high level of Korean Dance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discus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text about Korean Dance. This study can be used any korean dance education field. I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program through get to education field and teacher. 현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예술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으로 제시된 댄스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기에, 이를 한국무용에 적용하여 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댄스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한국무용의 핵심요인(목표, 내용, 세부요소)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한국무용 연구들을 댄스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기준으로 문헌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무용 능은 한국무용의 기능적 예술표현하기 위함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무용의 신체, 음악, 감정, 표현의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한국무용의 동작과 장단, 호흡, 동선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실천해 볼 수 있겠다. 둘째, 한국무용 지는 한국무용의 인지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역사, 철학, 예술의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무용사와 기록법, 안무법, 창작법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셋째, 한국무용 심은 한국무용을 심미적 상태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내용으로 감성과 영성, 종교, 미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는 세부요소인 음양오행과 태극사상, 천인합일사상, 인(仁), 덕(德), 정(情)의 이념에 대한 이해가 한국무용을 수준 높은 경지로 즐길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한국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이는 여러 한국무용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실제 교육 현장의 교육 강사들을 통해 얻어지는 교수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홍예주 ( Ye Ju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한국무용이 비만여성노인의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 지역 J 노인회관의 체지방률 30% 이상인 비만여성노인들 총 37명을 한국무용집단 20명, 통제집단 17명으로 구성하여 12주간, 주 3회, 일일 60분간, 55-65%HRR 강도로 한국무용을 실시 후 비만관련 변인과 심폐기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무용은 비만여성노인의 체지방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BMI, 체지방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무용은 비만여성노인의 안정시심박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폐활량과 심폐지구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하여 12주간 한국무용 참여는 비만여성노인의 체지방량과 안정시심박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BMI, 체지방률, 폐활량, 심폐지구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여성노인의 비만감소에 한국무용이 효과적이며 유산소운동으로서의 한국무용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다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지만 본 연구에서와 같이 일반 노인들뿐만 아니라 비만노인들을 대상으로 무용이 신체활동으로서 효과가 어떠한지 확인하는 다각적인 연구가 제안되며, 이러한 연구는 무용과학 발전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Korea dance on obesity-related variables and cardiovascular function in obese older women. The subjects were obese older women who were between the ages 65 to 75 with over body fat percentage 30%. Data were collected of 37 obese older women(Korea dance group, 20 and control group, 17) after Korea dance during 12 weeks, 3 times a weeks, 60 minutes a day(including warm-up and cool down).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First, body fat mass of obese older women did not show effects but BMI, %body fat were increased by Korea dance. Second, resting heart rate of obese older women did not show effects but lung capacity, cardiorespiratory endurance were increased by Korea dance.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Korea dance is effective in obesity reduction of obesity older women and it has also effects of aerobic exercise.

      • KCI등재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윤혜선 ( Yoon Hye-sun ),이연정 ( Lee Yeon-je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5 No.2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까지 15년간 국내에서 진행된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에게 필요한 한국춤 프로그램연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개선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의 범위에서 진행하였고,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의 주요 검색어로 생활무용, 춤 체조, 풍물 춤, 국악, 기무, 생활 한국춤, 순수무용, 실버무용, 한국 민속춤, 사회무용, 민요 등의 주제어를 통해 탐색된 연구물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분석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연도, 발표형태, 학문분야별 학과 및 학회 동향의 분석 결과, 발표연도는 2007년부터 2011년에 노인 대상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발표형태는 학위논문과 학술지에서 균등하게 발표되었으며, 학문분야별동향은 무용학 관련분야와 체육학 관련분야의 학과 및 학회에서 연구 참여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의 분석 결과, 학위논문과 학술지 모두 양적연구방법을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노인 대상 프로그램에 적용된 한국춤의 종류에 대한 분석 결과, 크게 세 가지 종류로 분류되어 한국전통기본춤, 민속춤, 창작춤으로 분석되었고, 세 가지 종류 중에서는 한국전통기본춤을 기반으로 구성된 활동들이 가장 많이 적용되었다. 또한 프로그램내용은 춤활동 위주의 구성이 가장 많았고, 한국춤과 더불어 음악활동 또는 체육이 융합된 활동으로 구성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시행 구조에 대한 분석 결과, 연구대상은 여성노인을 위주로 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보였고, 연령대는 70세 이상-75세 미만이 높은 비중을 나타냈으며, 진행차시는 30회-40회, 주당진행 횟수는 3회 이상, 진행시간은 60분 이상으로 진행되는 구조가 가장 많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 연구의 효과에 대한 분석결과, 생리적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중으로 진행되었고, 심리적 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가 두 번째로 많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노인 대상 한국춤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asks for quality improvement of Korean dance program research needed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Korean danc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for 15 years from 2002 to 2016.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n the scope of theses and journals. The main key words of the Korean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of leisure dance, dancing gymnastics, local dance, traditional music, Korean geisha dance, Korean leisure dance, absolute dance, silver dance, Korean folk dance, social dance, and folk song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earch was searched through the main words such as folk dance, social dance, and folk song. The main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ublication year, publication type, academic field, and academic trends showed that most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from 2007 to 2011, and they were published equally in theses and journals. The trends in academic fields were found to be high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associations related to dance and physic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search method, both thesis and academic journals appli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most frequent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types of Korean dance applied to the elderly program were broadly classified into 3 types, Korean traditional dance, folk dance, and creative dance. Among them, activities based on basic Korean traditional dance were applied most.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composed mainly of dance activities and tended to be composed of activities in which music activities or sports were combined with Korean da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gram implementation structure, the study subjects were mostly elderly women, and the ages ranged from 70 to 75 years the highest. The program unit was 30-40 times, more than 3 times a week, and a time of more than 60 minutes was the most common.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search on the Korean dance program for the elderly, studies on the validity of the physiological effect of the human body were conducted the most, the effect on psychological was conducted as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Korean danc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 KCI등재

        무용전공대학생의 전문체력요인 특성분석 -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중심으로 -

        김나영,이해준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of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was selected by women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20, and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10 subfactors of eight physical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muscle power, agility, equilibrium, flexibility, full-body response, and continuous muscle function was conducte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based on an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M±SD), and setting a=.05 when tes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required for each major, after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9 variables, the factors of the underlying concepts were to be extra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axis rotation, Varimax rotation, a method of right-angle rotation,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quired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differed from major to major.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physical fitness item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equilibrium factor, and flexibility factors, and the ascending muscular function of the body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power (180°/s) and muscle endurance (200°/s). When these results are combin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of the two groups, so it is believed that specialized training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ach group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여성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자 대상으로 선정하여 8개의 체력요인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 전신반응, 등속성 근기능의 하위요인 10개에 대한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독립 t-test를 적용하여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 시 a=.05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전공에서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9개의 변인에 대한 상관행렬을 우선 구한 뒤 내재된 개념의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성분분석결과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들은 전공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체력항목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인 악력과 평형성요인, 유연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의 등속성 근기능은 순발력(180°/s), 근지구력(200°/s)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전문체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집단의 체력을 고려한 전문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K-pop댄스의 체험이 한국문화 만족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박인실 ( In Sil Park ),유영주 ( Young Ju Yu ) 한국무용과학회 2016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자리 잡고 있는 4년제 대학(Y, D)에서 실시한 한국문화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K-pop댄스의 체험이 한국문화 만족도와 한국에 대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를 중심으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ze),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K-pop댄스의 체험 하위요인 중 교육적 체험, 오락적 체험, 일탈적 체험 요인은 심미적 만족, 교육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pop댄스의 체험 하위요인 중 오락적 체험 요인만 한국문화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문화 만족도 하위요인 중 교육적 만족 요인만 한국문화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움직임 요소를 포함한 K-pop댄스를 개발하고, 외국인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구성, K-pop댄스와 다른 예술장르와의 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한국의 문화컨텐츠를 세계에 알리기 좋은 방법 중 하나가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purpose of statisticall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K-pop dance experience elements on the satisfaction of Korean culture and image of Korea among 216 foreign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Korean cultural experience program implemented at 4-year universities (Y, D) located in Seoul & Gyeonggi region. Focusing 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ze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and following conclusion was deduced. First, educational experience, recreational experience and deviational experience factors of sub-factors of K-pop dance experience element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esthetic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cond, only the recreational experience factor of sub-factors of K-pop dance experience elements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mage of Korean culture. Third, only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factor of sub-factors of Korean culture satisfaction of K-pop dance was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mage of Korean culture. Based on the above findings of this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develop K-pop dance & education program including an element of Korean style movement, as well as create convergence program between K-pop dance and other genres of ar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various cultural contents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