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댄스 리터러시" 개념 틀에 근거한 한국무용 핵심요인의 탐색
김현정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2
Now days concern and practice about dance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that purpose is to have Culture and Art literacy. However, the concern insufficient about Korean Dance that is par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ince recently Many study have been being about Dance literacy that purpose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and Art education, Dance Literacy concept is able to apply to Korean Dance study.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Dance essential elements(purpose, contents, factor) based on conception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of the study is literature analysis about Korean Dance studies by dance competence, dance knowledge, dance disposition that elements of dance literacy. The research result of the first, Korean dance competence is that the purpose of know how to do art expression skill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dance body, music, emotion and expression. It can express through factor of movement, rhythm, breathing, moving line. Secon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knowledge is cognitive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 To do this, we should understand contents about of Korean culture, history, philosophy and arts. It can get through factors that Korean Dance history, dance notation and creative method. Third, the purpose of Korean Dance disposition is understanding aesthetic state of Korean Dance. We can understand through contents about sensitivity, spirituality, religion and aesthetic. If it can understand through factors that Yin-Yang and five elements, Taeguk philosophy,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philosophy, benevolence(仁), virtue (德), affection(情), you will have a high level of Korean Dance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discuss in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text about Korean Dance. This study can be used any korean dance education field. I proposed som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 and education program through get to education field and teacher. 현재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문화예술 소양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에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무용에 대한 관심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으로 제시된 댄스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기에, 이를 한국무용에 적용하여 볼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목적인 댄스리터러시의 개념에 근거하여 한국무용의 핵심요인(목표, 내용, 세부요소)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한국무용 연구들을 댄스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무용능, 무용지, 무용심을 기준으로 문헌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무용 능은 한국무용의 기능적 예술표현하기 위함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무용의 신체, 음악, 감정, 표현의 내용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한국무용의 동작과 장단, 호흡, 동선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실천해 볼 수 있겠다. 둘째, 한국무용 지는 한국무용의 인지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역사, 철학, 예술의 내용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무용사와 기록법, 안무법, 창작법의 세부요소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셋째, 한국무용 심은 한국무용을 심미적 상태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내용으로 감성과 영성, 종교, 미학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는 세부요소인 음양오행과 태극사상, 천인합일사상, 인(仁), 덕(德), 정(情)의 이념에 대한 이해가 한국무용을 수준 높은 경지로 즐길 수 있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맥락에서 한국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이는 여러 한국무용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로는 실제 교육 현장의 교육 강사들을 통해 얻어지는 교수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무용전공대학생의 전문체력요인 특성분석 -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중심으로 -
김나영,이해준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are extra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individualized professional physical training programs of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t was selected by women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at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20, and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strength of 10 subfactors of eight physical factor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muscle power, agility, equilibrium, flexibility, full-body response, and continuous muscle function was conducted.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based on an independent t-test betwee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majors, calculat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M±SD), and setting a=.05 when testing the hypothesi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required for each major, after the correlation matrix of the 9 variables, the factors of the underlying concepts were to be extra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case of axis rotation, Varimax rotation, a method of right-angle rotation,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quired professional fitnes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dance and modern dance differed from major to major. Thir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physical fitness items between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rip strength, equilibrium factor, and flexibility factors, and the ascending muscular function of the body showed ver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le power (180°/s) and muscle endurance (200°/s). When these results are combine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rofessional physical factors of the two groups, so it is believed that specialized training consider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ach group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전문체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를 규명하고, 전문 체력요인을 추출하여 한국무용과 현대무용의 개별화 된 전문 체력 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0년경기도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여성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자 대상으로 선정하여 8개의 체력요인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유연성, 전신반응, 등속성 근기능의 하위요인 10개에 대한 체력측정을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한국무용과 현대무용 전공 간 독립 t-test를 적용하여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M±SD)를 산출하였고, 가설검정 시 a=.05로 설정하였다. 또한 각 전공에서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9개의 변인에 대한 상관행렬을 우선 구한 뒤 내재된 개념의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축회전은 직각회전 방법인 Varimax rotation을 사용하였다. 첫째, 주성분분석결과 한국무용,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요구되는 전문체력요인들은 전공마다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집단 간 체력항목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력항목인 악력과 평형성요인, 유연성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간의 등속성 근기능은 순발력(180°/s), 근지구력(200°/s)에서 매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두 집단의 전문체력요인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각 집단의 체력을 고려한 전문훈련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연재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research analysis conducted so far in the field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analysis through dance and technology-related studies. First, the concept of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rt was considered, and the current situation was analyzed in the literature. Next,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expandability and dynamism, space-time three-dimensionality and illusion, and space-time virtuality were revealed through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literature analysis. Lastly,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current da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arts field is presented according to three characteristics. To summarize, first, by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expandability and dynamism, it is possible to try to develop new technologies that can interact with the dancers. Second, it can be used in immersive performances, which are currently being actively tried, by develop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three-dimensionality and illusion.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time virtuality can also be used in audience-participating performances through AR and VR technologies. The convergence of dance and technology opens up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ance performances. If current choreographers and dancers are concerned about expanding the expressive potential of dance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echnology, infinite creative attempts can be made. 본 연구는 지금까지 무용과 기술융합 분야에서 수행된 이론적 고찰과 경험적 연구 분석을 통해 무용과 기술융합의 특성과 발전 방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 방법은 무용과 기술 관련 연구를 통한 문헌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무용과 기술융합예술의 개념을 고찰하고 현황을 문헌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무용과 기술융합 분야의 문헌 분석을 통해 시공간의 확장성과 역동성, 시공간의 입체성과 환영성, 시공간의 가상성의 공연 특성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현재 무용과 기술융합예술 분야의 발전 방향성을 세 가지 특성에 따라 나누어 제시하였다. 요약해보자면, 먼저 시공간의 확장성과 역동성의 특성을 발전시켜 무용수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새로운 기술 개발을 시도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 시공간의 입체성과 환영성의 특성을 발전시켜 현재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이머시브(Immersive) 공연에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공간의 가상성의 특성도 AR, VR 기술을 통해 관객 참여형 공연에서 활용해 볼 수 있다. 무용과 기술융합은 무용공연의 확장 가능성을 열어준다. 현재 안무가나 무용수들은 기술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무용의 표현 가능성을 확장하는 고민이 함께 된다면 무한한 창의적인 시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국무용과 요가 복합운동이 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의 혈중 Myokine에 미치는 영향
손영진,방현석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pplying Korean dance-Yoga combined exercise to postmenopausal obese middle-aged women on Myokine. Participants are 17 obese middle-aged women with 30 %fat whose menopause was over a year ago. They were divided into Korean dance-Yoga combined exercise group with 9 and Control group with 8. As a result, Weight and %fat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mbined exercise group after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ntrol group. IL-6 and IL-1 of Myokine did’t show significant change, but BDNF and VEGF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a significant increase in Combined exercise group after exercis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ntrol group in every variable. Therefore, it is considerd that Korean dance-Yoga combined exercise will be an effective program for decreasing body fat, developing cognitive function and blood vesse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국무용과 요가복합운동을 적용시켰을 경우 Myokin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폐경 후 1년 이상을 초과하였고, 체지방률이 30%이상인 비만중년여성 17명을 대상으로 한국무용과 요가복합운동 집단 9명, 대조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신체구성 중 체중과 체지방률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전후의 비교에서는 체중과 체지방률 모두 복합운동 집단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대조집단은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이오카인 중 IL-6와 IL-15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BDNF와 VEGF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전․후 비교에서도 복합운동 집단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대조집단은 모든 변인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한국무용과 요가의 복합운동은 폐경 후 비만여성의 체지방감소, 인지기능 및 혈관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생각된다.
호흡 숙련도에 따른 한국춤 돋음세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이금용 한국무용과학회 201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6 No.1
본 연구는 한국춤의 발 디딤 중 균형을 요하는 돋음세를 호흡 숙련도에 따라 운동학적으로 분석하여 돋음세 디딤을 체계적으로 정량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15년이상의 경력을 가진 무용수 6명의 숙련자 집단과 2년이하의 경력을 가진 무용수 6명의 비숙련자 집단을 대상으로 국면별 신체 중심의 변위와 속도, 그리고 신체 하지분절 각도 변인을 Windows용 SPSS 24 Version으로 독립 t-test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춤 돋음세 동작 시 집단 간의 신체중심 좌·우 변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중심 전·후 변위는 E3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중심 수직 변위는 E3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련자 집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중심 좌·우 속도는 E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중심 전·후 속도와 수직 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하지관절의 각도는 오른쪽, 왼쪽 무릎관절의 E1과 E4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국춤의 기본 디딤인 돋음세 동작은 신체의 체중부하가 중심선상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날숨으로 신체 중심이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동시에 다시 들숨으로 전환되어 상방향으로 솟구치듯 추진력이 발생되면서 발끝으로 균형을 잡아 이동하는 디딤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절한 호흡과 디딤의 훈련이 수행된다면, 자칫 발바닥의 충격과 동작의 불안정성으로 발생되는 상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는 다양한 발동작의 표현과 동시에 우아한 상체의 아름다움을 끌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한국춤의 다양한 기본 디딤 시 근육의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운동역학과 함께 생리학 분야를 접목시켜 호흡의 깊이와 길이를 알아보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iming to systematically quantify Dotumse stepping by kinematically analyzing Dotumse required for balance out of stepping of Korean dance in accordance with respiratory proficiency,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body-centered displacement and speed in each situation and the angle of lower extremities targeting an expert group of six dancers with experiences for 15 years or up and a non-expert group of six dancers with experiences for two years or less, by conducting the independent t-test through the SPSS 24 Window V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Dotumse movement of Korean dance, the body-centered left/right displacem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 body-centered front/back displac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3. Third, the body-centered vertical displac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3 while the expert group showed huge movements upwards and downwards. Fourth, the body-centered left/right spee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2. Fifth, the body-centered front/back speed and vertical speed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ixth, the angle of lower extremit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1 and E4 of right and left knee joints. In conclusion, Dotumse movement as a basic stepping of Korean dance was shown as a stepping by balancing on tiptoes when the weight bearing of body did not break away from the center line; the body center went down through exhalation; it was changed to inhalation again simultaneously; and the propulsion was generated upwards just like soaring. Therefore, if a training for proper respiration and stepping is performed, the injuries caused by impacts on soles and unstable movements could be prevented. It could be also a chance to draw diverse expressions of foot movements and the elegant beauty of upper body, suitable for the flow of the time.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esearches on the mechanism of muscles in case of diverse basic stepping of Korean dance, and also researches on the depth and length of respiration by combining kinematics and physiology.
직업무용수의 12주간 무용훈련 프로그램이 혈중피로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현권 한국무용과학회 2008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7 No.-
본 연구는 무용수의 무용훈련이 혈중 피로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무용동작이나 행위시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생리적 반응과 운동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C시립무용단 무용수 10명(남자2명, 여자8명) 이었다. 무용훈련 프로그램은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을 주당 5일, 12주간 실시하였다. 훈련과정은 기본훈련과 정리훈련을 스트레칭과 박금술(한국무용가) 기본으로 20분간 실시하였고 본 훈련은 오전 90분 오후 120분으로 총 210분 동안 전통무용과 창작무용을 요일별로 번갈아 실시하였다. 측정된 각 요인의 훈련 전 후의 효과분석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주간 한국무용훈련 프로그램 후 젖산의 변화는 안정시, 운동시, 회복기 모두 훈련전보다 감소추세를 나타내었고, 운동 강도에 대한 혈중 효소반응이 장시간의 운동시 효율적인 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타났다. 12주간 60∼80%HRmax의 무용훈련 후 총 칼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운동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타났다. 12주간 60∼80%HRmax의 무용훈련 후 운동직후의 무기인산의 증가는 힘 생성의 저하를 지연시켜 운동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타났다. 12주간 60∼80%HRmax의 한국무용훈련 프로그램 후 근육내의 크레아틴 인산의 증가로 운동수행력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12주간 주5일 60∼80%HRmax의 한국무용훈련 프로그램은 혈중피로요인의 저하와 에너지 생성 요인을 증가시켜 운동능력 향상에 효용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d the dance training effect on fatigue factors in blood. 10 professional dancer(two male and eight female) took park in this study. Dance training program practiced traditional and creative dance during 5 days in a week through consecutive 12 weeks. In the training, they alternately practiced basis and arrangement training based on stretching and Park, Kem-sul for 20 minutes, and then also alternately practiced traditional and creative dance classified by respective week for total 120 minutes(90 minutes in A.M. training and 120 minutes in P.M. training). The paired t-test method are used to analyzed compare on significant effect for pre and po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hange of lactate was found to have more significant decrease in rest, exercise and recovery than before training, and the increase of calcium was improved motor ability, and the increase of phosphorus was delayed the decrease of muscle power, and the increase of creatine was delayed the decrease of muscle power, and then the reaction of enzyme in blood for exercise strength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 effect on demonstration of effective exercise capability in long time exercise. Therefore, the program of korean dance training in 60∼80%HRmax during 5 days in a week through 12 weeks was found to have a affirmative effect on demonstration of effective exercise power in long time exercise by preventing fatigue factors in blood.
사회과학분야: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 연구 : 한·불 중심으로
김현숙(Hyun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본 연구는 한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관성 연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P 표본은 한국인 20명, 프랑스인 19명으로 총 39명이었으며, 27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을 하였으며, 회전방식은 Varima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특성에 따라 제1유형(n=13): "이성적인 의식가형", 제2유형(n=15): "품위 유지 도시인형", 제3유형(n=6): "자부심 강한 소신가형", 제4유형(n=5): "합리적인 자유주의자형"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과 제4유형은 대다수 프랑스인 응답자였으며, 제2유형은 한국인 응답자가 많았으며, 제3유형은 한국인과 프랑스인 응답자가 고르게 나타났다. 한국과 프랑스 응답자 사이에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유형은 제1유형과 제2유형이며, 학력에 대한 인식, 창작지도 방법, 그리고 무용가의 소비성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intend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perceived by Koreans and French,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types.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research was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adopted for subjectivity research. Thirty nine P samples which include 20 Koreans and 19 French were utilized, 27 statements were adopted as final Q sample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QUANL PC program for analysis of major factors. Rotation method was Varimax.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came in four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accordance with special characters, they were named type 1(n=13); "rational and conscious", type 2(n=15); "elegant and urban looking", type 3(n=6); "high pride and self-confident" type 4(n=5); "reasonable and liberal". Type 1 and 4 have large majority of French respondents, while type 2 has many Korean respondents. In type 3 fair number of Koreans and French was show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ns and French was the largest of all in type 1 and 2. They have different perception on academic background, method of guidance for creation and spending habits of dancers.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 연구 : 한·불 중심으로
김현숙 한국무용과학회 201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6 No.-
This research intends to classify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perceived by Koreans and French, and verify the characteristic part of the types. The method employed for this research was Q methodology which is often adopted for subjectivity research. Thirty nine P samples which include 20 Koreans and 19 French were utilized, 27 statements were adopted as final Q sample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by QUANL PC program for analysis of major factors. Rotation method was Varimax. The types of image for contemporary dancers came in four different way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accordance with special characters, they were named type 1(n=13); 'rational and conscious', type 2(n=15); 'elegant and urban looking', type 3(n=6); 'high pride and self-confident' type 4(n=5); 'reasonable and liberal'. Type 1 and 4 have large majority of French respondents, while type 2 has many Korean respondents. In type 3 fair number of Koreans and French was shown.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Koreans and French was the largest of all in type 1 and 2. They have different perception on academic background, method of guidance for creation and spending habits of dancers. 본 연구는 한국인들과 프랑스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로 나타난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주관성 연구에 유용한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P 표본은 한국인 20명, 프랑스인 19명으로 총 39명이었으며, 27개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QUANL PC 프로그램을 통해 주요인분석을 하였으며, 회전방식은 Varima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대무용가에 대한 이미지 유형은 4가지로 나타났으며, 유형별 특성에 따라 제1유형(n=13): ‘이성적인 의식가형’, 제2유형(n=15): ‘품위 유지 도시인형’, 제3유형(n=6): ‘자부심 강한 소신가형’, 제4유형(n=5): ‘합리적인 자유주의자형’으로 명명하였다. 제1유형과 제4유형은 대다수 프랑스인 응답자였으며, 제2유형은 한국인 응답자가 많았으며, 제3유형은 한국인과 프랑스인 응답자가 고르게 나타났다. 한국과 프랑스 응답자 사이에 가장 큰 인식의 차이를 보인 유형은 제1유형과 제2유형이며, 학력에 대한 인식, 창작지도 방법, 그리고 무용가의 소비성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김선정,최해리 한국무용과학회 2022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for the new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field of dance by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approached it from two aspects. First, the changes in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UNESCO Convention for Safegui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re examined, and through this, the concept of traditional Korean dance was established as follows. Korean traditional dance is a dance created and recreated in a national and cultural community called Korea (ROK), and can be said to be a Korean national dance. In particular, the traditional dance as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s the dance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a historical lineag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present, and has excellent form and style, which means the dance that is highly likely to be used artistic, academic, and popularly. Second, the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as an intangible heritage was consider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opinions of dance experts using facilitation (collection and synthesis of opinions through group participation discussion), in-depth interviews, and FGI (Focuse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umerical mitigation is needed, such as adjusting the recognition of the transmission period of traditional dance from 100 years to 70 years. (2) Various creative dances based on traditional dances, such as new dances (Sinmuyong), Korean creative dances (Hanguk changjakchum), and new traditional dances (Sin-jeontongchum) that have occurred since modern times, could be considered as traditional dances. In conclusion, the new designat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n the dance field requires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dance community's agreement on the concept and category of traditional dance, which is the criteria for selecting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본 연구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전통무용에 대한 개념과 범주를 고찰하여 무용분야의 무형문화재 신규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두 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문화재보호법과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의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의 전통무용에 대한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립하였다. 한국의 전통무용은 한국이라는 국가적, 민족적, 문화적 공동체에서 생성 및 재창조된 춤으로 한국의 민족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무형문화재의 전통무용은 조선시대부터 현재까지 역사적인 계통을 이루며 전승된 춤으로 그 형식과 체계가 우수하여 예술적, 학술적, 대중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춤을 의미한다. 둘째, 퍼실리테이션(집단 참여 토론을 통한 의견 수집 및 종합), 전문가 심층면담, FGI(Focused Group Interview, 표적 집단면담)을 활용하여 무용전문가들의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하여 무형유산으로서의 전통무용에 대한 범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통무용의 전승 기간 인정에 대해 100년에서 70년으로 조정하는 등 수치적 완화가 필요하다. (2) 근대 이후 발생한 신무용, 한국창작춤, 신전통춤 등 전통춤에 기반한 다양한 창작춤을 전통춤으로 수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무용분야의 무형문화재 신규지정을 위해서는 문화재보호법에 대한 무용계의 올바른 이해가 요구되며, 무형문화재 종목의 선정 기준인 전통무용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무용계의 합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