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관계: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혜경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4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8 No.2

        현대사회의 외모지상주의는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고, 사회구성원들은 외모를 가치나 평가의 척도로 활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차별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는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 더 나아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성인 여성들의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가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총 498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 그리고 삶의 질 변수 간의 직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은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외모만족도가 높아질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아효능감은 삶의 질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쳐 자아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관리행동과 외모만족도는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관리행동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외모만족도의 향상을 통해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지고 이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통해 외모관리행동이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아효능감이 높아져야만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효능감은 외모관리행동과 직접 영향관계가 있으므로, 일반 성인 여성들이 쉽고 간단하게 적용 가능한 다양한 외모관리행동이 구성되어야 하며, 자아효능감과 관련된 변수들에 대한 대처를 통해 자아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도록 각종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appearance-oriented view (lookism)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social issue. Members of society, by utilizing physical appearance as a criterion for value and assessment, are instigating additional discrimination problems. This phenomenon impac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further extending its influence to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women’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their quality of life,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proposes measures for enhancing women’s quality of life.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from 498 adult women residing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 Results of analyzing the direct effect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exerts a positive (+) and significant impa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dditionally, an increase in appearance satisfaction was found to positively (+) influence self-efficacy. Moreover, a rise in self-efficac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 affects quality of life.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neithe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nor appearance satisfaction direc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examination of the mediating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self-efficacy plays a mediating role.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enhancing appearance satisfaction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leads to increased self-efficacy, which subsequently impacts quality of life. The findings suggest that an elevation in self-efficacy is essential for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enhance quality of life. Si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it is imperative to develop variou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that are easily applicable for adult women and to devise strategies to increase self-efficacy by addressing related variables.

      • KCI등재

        A Retrospective National Study on Colonization Rat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reptococcus agalactiae in Pregnant Korean Women, 2018–2020

        배혜경,홍정미,김영진,이경렬,이경원,최성진,어영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22 Yonsei medical journal Vol.63 No.8

        Purpose: The prevalence of Group B Streptococcus (GBS) colonization in pregnant Korean women is increasing; however, nation wide studies are lacking. Therefore, we aimed to analyze regional colonization rat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for GBS inpregnant Korean women through a nationwide survey.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20, data from the Seoul Clinical Laboratories on vaginal swab cultures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o detect maternal GBS carriers. Each swab specimen was inoculated onto a 5% blood agar plateand incubated at 35°C–37°C in a 5% CO2 incubator for 24 h. GBS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a Microflex MALDI Biotyper. Anti 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the Vitek 2 automated system. Results: The overall nationwide GBS colonization rate in pregnant Korean women was found to be 10.6% (3578/33721). The ma ternal GBS colonization rates ranged from 10.5%–10.8% over the 3-year study period. The GBS colonization rates by province, indescending order, were as follows: Jeolla-do, 13.2%; Gangwon-do, 12.0%; Chungcheong-do, 11.8%; Gyeonggi-do, 11.3%; Seoul,10.2%; and Gyeongsang-do, 9.6%. During the study period, the resistance rates against chloramphenicol, levofloxacin, clindamy cin, erythromycin, and tetracycline were 2.6%–2.7%, 18.2%–19.6%, 33.4%–35.7%, 35.6%–36.8%, and 50.5%–53.3%, respectively. Conclusion: In pregnant Korean women, GBS colonization rates were in the range of 9.6%–13.2%, with Gyeongsang-do being thelowest and Jeolla-do the highest. The resistance rate against clindamycin was high (33.4%–35.7%). GBS colonization rates duringpregnancy should be studied nationwide according to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recommended guidelineswith periodic antimicrobial resistance monitoring.

      • KCI등재
      • KCI등재

        조혈모세포이식 후 생착의 조기 판별에 있어 망상적혈구 지표의 유용성

        배혜경,허운보,이난영,서장수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3 No.5

        배경 : 혈액 종양 질환이나 고형암 환자에서 동종 또는 자가골수이식이나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이 치료방편으로 자리잡고있다. 조혈모세포이식 후에 생착의 유무가 환자의 치료방향 및예후에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조기에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저자들은 조혈모세포 생착의 조기 지표로 말초혈액내 절대 호중구 수나 혈소판 수 대신에 적혈구 생성을 나타내는망상적혈구 지표를 이용하였다.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동생착의 조기 판별에 있어 망상적혈구 지표의 유용성 303종 골수이식 또는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17명(30.82±9.97세)과 자가 말초혈액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8명(30.63±8.55세)을대상으로 하여 매일 말초혈액 내 절대 호중구 수와 망상적혈구 지표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적혈구 생착은 평균 망상적혈구 용적이 105 fL 이상이면서 미성숙 망상적혈구 분획이 두번째 상승 곡선에서부터 10% 이상 되는 첫째 날로 정하였고, 백혈구 생착은 절대 호중구 수가 500/ L 이상이 되는 첫째 날로정하였다.결과 : 동종 이식을 받은 환자군에서 적혈구 생착은 16.24±4.16일에 이루어졌고 백혈구 생착은17.94± 3.23일에 이루어졌으며, 자가 이식을 받은 환자군에서는 각각 14.00± 3.55일, 15.00±2.78일에 이루어졌다. 동종 이식에서는 적혈구 생착이 백혈구 생착보다 유의하게 조기에 이루어졌으며(P=0.03), 자가 이식에서는 적혈구 생착이 백혈구보다 조기에 이루어졌지만 유의하지는않았다(P=0.47). 동종 이식에서 적혈구 생착이 백혈구 생착보다늦게 이루어진 3예 중 2예는 환자와 공여자간에 ABO 부적합 이식이 이루어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