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김애화,김은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life stag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Elev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experience of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focus group discussions. The data were The three-step coding system was utilized to code the data.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has been hardly any screening and diagnosi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past several years. In order to normalize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following suggestion was recommended. The focus should be on ‘educational support’ that students will receive rater than ‘disability’, the specialist for diagnosi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s to be placed in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econd, because the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rarely diagnosed, it is not easy for the special teachers to teach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ies. Also, the present special education class is not equipped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us, a flexible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needed. Third, the special education competency required for support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cludes expertise in subject areas, curriculum, and teaching of social skills. These results can be used basic data for practicing customiz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t the time of implementing the 5th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토론을 실시하여 국내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11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토론을 실시 한 후, 3차에 걸친 코딩 작업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습장애학생의 선별․진단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며, 학습장애 진단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 보다는 학생이 받게 될 ‘교육지원’에 초점을 맞추는 방안, 특수교육지원센터에 학습장애 진단 전문가 배치, 일반교사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학습장애 인식 개선 등이 언급되었다. 둘째, 현재 특수교사가 학습장애학생을 만날 수가 없는 상황이고, 현 특수학급의 상황 상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이 쉽지 않음을 언급하였다.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전문적 지원을 위해 다양하고 유연한 지원 체제(예, 리소스룸, 거점학교 등)가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셋째, 학습장애학생 지원을 위한 특수교사의 역량으로는 교과 전문성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교육과정 전문성, 사회적 기술 교수 역량 등도 언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5차 특수교육발전계획을 실천하는 시점에서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발생시기 및 하위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A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강은영,김진구 한국학습장애학회 2019 학습장애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trends of overlapping learning disabilities i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whole students in one middle school located at Kyonggido were involved for investigating the incidence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24.8%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ere distributed, and about 8.5% of those who had continuous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from elementary school, of the total. An appearance rate of the late-emerging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as about 9.5% of the total. The overlap of learning difficul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was found to be 3.6% in the reading, 13.6% in the mathematics, and 25.5% in the writing.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were the most common (25.5%), while the multipl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17.6%) and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mathematics and writing (21.6%). In the case of showing poor learning and learning disabilities early in elementary school,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reading was 0.9%,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mathematics was 21.4%, and the overlap difficulties across sub components of writing was 10.4%.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was 10.4%,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reading and mathematics was 35.4%, and the co-occurrence disabilities in mathematics and writing was 39.6%.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iddle school learning disabilities have higher heterogeneity than elementary school learning disabilities due to the occurrence time and overlapping subtypes of learning disab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tudent- and school- level interven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A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발생시기에 따른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학습장애 하위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중복 학습장애의 출현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A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은 전체의 약 24.8%로 분포하였고, 초등학교 때부터 계속 학습의 어려움을 겪어온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전체의 약 8.5%, 중학교 이후 늦게 학습의 어려움을 겪는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전체의 약 9.5%로 나타났다. 늦게 등장하는 학습장애의 중복 학습장애 정도는 읽기장애 내 중복은 3.6%, 수학장애 내 중복은 13.6%, 쓰기장애 내 중복은 25.5%로 나타났고, 영역 간 중복은 읽기와 수학장애 중복은 5.9%, 읽기와 쓰기장애 중복은 17.6%, 수학과 쓰기장애 중복은 21.6%로 나타났고, 읽기, 쓰기, 수학 모두 중복을 보이는 경우가 25.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때부터 학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던 학습장애 학생의 경우, 읽기장애 내 중복은 0.9%, 수학장애 내 중복은 21.4%, 쓰기장애 내 중복은 24.1%로 나타났고, 영역 간 중복은 읽기와 수학장애 중복은 2.1%, 읽기와 쓰기장애 중복은 10.4%, 수학과 쓰기장애 중복은 35.4%, 읽기, 쓰기, 수학 모두 중복을 보이는 경우는 39.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 학습장애의 경우 발생시기와 하위 유형별 중복장애의 문제로 인해 초등학교 학습장애보다 높은 이질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발달적 특성에 따른 중학교 학습장애 학생에 대한 학생 및 학교 수준의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국내 학습장애의 최근 경향에 관한 고찰

        강종구 ( Jong Koo Kang ),최명복 ( Myoung Bok Choi ),김영한 ( Young Han Kim ) 한국초등특수교육학회 2009 초등특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외국 학습장애에 대한 최근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국내 학습장애의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학습장애를 포함한 특수교육은 다양한 이론적, 교육적 접근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국내 학습장애 문헌을 살펴본 결과 많은 학자들은 학습장애에 관하여 학습장애의 개념, 진단, 지도에 관련하여 연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연구들이 국내 학습장애 발전에 큰 공헌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계속 발전되어져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연구들과 함께 추가적인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국내의 학습장애는 양적으로는 크게 발전하였으나, 여전히 학습장애의 정의와 같은 이론적인 토대에 있어 보다 많은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장애를 가진 많은 학생들이 일반학급에서 교육을 받는 동안 적절한 특수교육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고, 교육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국내 학습장애를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고 학습장애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자들은 학습장애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 학습장애 학생들과 관련된 당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 교사들의 참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cent trend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attempted to suggest the future goals of South Korea`s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special education, including learning disabilities, can be understood by various theoretical and educational approaches. In particular, the literature review on South Korea`s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that many scholars focused on the concept, diagnose and instru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earchers recognize these studies have greatly contributed, and emphasized the development of these studies. The research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dditional studies as well as these studies in South Korea. South Korea`s learning disabilities have greatly developed, but they also need to be studied regarding theoretical foundations such as the defini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In addition, man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ve not received appropriate special education services while attending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In order to develop South Korea`s learning disabilities systematically and resolve the difficulties that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ve experienced, the researchers suggest thorough discussion on learning disabilities, active participation of parties who are involved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eachers` participation

      • KCI등재

        학습장애 연구 경향 및 방향성에 대한 탐구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s one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the recent studi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s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dire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24 articles that include a term ‘learning disabilities’ as a tit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a subject were a frequently studied theme among themes dealt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were many studies on mathematics among studies related to a subject. Second, studies on soci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d lack of the studies that discuss bo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Third, research on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seldom discussed, and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lso showed controversy.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ontents to be studied in learning disabilities by considering the reality of learning disabilities studies. 본 연구는 국내에서 특수교육을 제공받고 있는 장애학생들의 장애유형 가운데 한 가지인 학습장애에 관한 연구 경향 및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의 연구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특수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의 최근 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용어를 제목에 포함하고 있는 24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문헌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학습장애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들 가운데는 교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교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수학에 관한 연구들이 많았다. 둘째 학습장애 학생들에 대한 사회성 관련 연구들 가운데는 학습장애 학생들과 비장애학생들을 함께 다루는 연구들이 부족하였다. 셋째 학습장애에 대한 진단에 관한 연구는 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장애 진단 또한 논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학습장애 연구의 현실을 고려함으로써 앞으로 학습장애에서 연구되어져야 할 내용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모델에 관한 문헌 연구: 2008~2019년 국내학술지 중심

        강혜진,김자경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08~2019년까지 학습장애 및 위험군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한 국내 학술지를 분석하여 학습장애의 선별과 진단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조건에 맞는 논문 202편을 최종 선정하여 연구대상, 선별방법, 진단방법, 지능검사 종류와 기준, 학업성취도 및 인지처리 검사 종류 및 기준, 진단모델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장애 및 위험군 진단모델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장애 아동 대상의 연구에서는 불일치 모델(70편)이, 학습장애 위험군 아동 대상의 연구에서는 중재반응 모델(14편)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진단모델을 연도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과 2014년을 기점으로 증감의 변화를 보였다. 둘째,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방법을 분석하였다.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방법을 분석한 결과, 교사추천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학습장애 및 위험군 진단방법을 분석한 결과, 학습장애 연구의 경우 지능검사와 학업성취도 검사가 같은 빈도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장애 위험군 연구의 경우 학업성취도 검사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반응모델을 통한 학습장애 및 위험군 선별․진단 방법을 분석하였다. 학습장애를 진단하기 위해 중재반응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는데, 이 중 중재반응 모델의 적용과정에서 이중불일치 기준을 통하여 학습장애나 위험군으로 진단 및 선별하는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충분한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증거기반 진단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the screening and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by analyzing domestic journals that conducted experimental studies on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from 2008 to 2019. Method: 202 papers were selected that matched the conditions and analyzed the subjects, screening methods, diagnostic methods, types and criteria of intelligence tests, types and criteria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gnitive processing tests, and types of diagnostic models. Result: First, we analyzed the types of diagnosis model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As a result, the discrepancy model (n=70)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n=14) was the highest in the study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e yearly analysis of the diagnostic model showed a change in the patterns of application of the models in 2010 and 2014. Second, regarding the screen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eacher recommendation was the highest in frequency. Regarding the diagnosis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e intelligence tes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stud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showed the highest in frequency in the study of children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Third, we analyzed the screening and diagnosis methods for children with and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here are four main ways to apply the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to diagnose learning dis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vidence-based diagnosis criteria need to be prepared on the basis of sufficient relevant studies.

      • KCI등재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장애인, 가족,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인식 및 요구: A시를 중심으로

        이지선,김유리,백예은,최아름,이종민,임보령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overall experiences and support demands related to lifelong learning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ir families and worke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opportunities for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Method] To address the purpos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16 participants, includ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who have experience with lifelong learning programs, as well as workers in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Results] The analysis resulted in four main themes and 17 sub-themes related to perceptions and support demands for lifelong learning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four main themes included the positive impact of lifelong lear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arriers to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trengthening lifelong learning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uilding an infrastructure for lifelong learn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Considering the positive impact and necessity of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lifelong learning, multidimensional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ir involvement. It is crucial to improve physical accessibility to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enhance informational accessibility to lifelong learning programs. There is also a necessity to develop high-quality programs and enhance the expertise of personnel.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network system among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local community and build infrastructure. Above all, comprehensive efforts are required to raise awareness about lifelong learning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 an inclusive culture.

      • KCI등재

        학습곤란(ld)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의 확장적 전환: 학습장애(LD) 정의 체계 재구조화

        김동일,고혜정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학습’장애에 대한 적절한 교육 지원의 부재와 학습‘장애’라는 낙인화 현상을 최근의 학습장애 분야에서 일어난 여러 법적, 정의적 변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학습장애를 어떻게 바라보아야하는 가에 대한 근본적인 개념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과 고민을 해보고자 한다. 교육적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학습곤란 (learning difficulties: ld)를 위한 지원체계를 확장해나가기 위해서 학습장애 (Learning Disabilities: LD)의 정의를 재정립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학습장애는 잠재적인 구인으로서 지금까지의 단순한 접근법으로는 불완전하게 평가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차세대 학습장애 정의와 진단을 위해 범주적-차원적 분류, 집단-개체중심의 분류를 포괄하는 하이브리드 모델로 학습장애의 진단과 중재를 보다 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various legal and definition changes in the area of learning disabilities in recent years through reflection on the stigmatization of learning disability and the lack of adequate education support for learning disability. In order to expand educational support for learning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ld(learning disabilities) who has difficulty in learning, which has been placed in the educational blind spot without properly diagnosed. In addition, since learning disability is a potential factor, it has been assessed incompletely with a simple approaches. Therefore, through the hybrid model that includes categorical-dimensional and group-individual concep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rehensive educational support to the children of category B proposed by OECD by convergence of diagnosis and intervention of LD(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에 대한 연구 경향 및 지원 방향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how the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nducted and tried to identify the direction to support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review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as follows. First, I could not find any study related to the education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mong domestic literature. Second, the result of the review on foreign literature about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that there were a few studies related to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at these studies dealt with educational application, issues, and ot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ndamental studies such as educational justification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 to be addressed as well as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ies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 to discuss the studies on various topics as well as the studies on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내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학습장애 성인교육과 관련된 국내 및 외국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국내 및 외국 문헌들에 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헌들 가운데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찾을 수 없었다. 둘째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외국 문헌들에 대한 검토 결과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몇 편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교육적 적용과 논쟁 등을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 있어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에 대한 적용과 함께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의 당위성과 같은 기초적인 연구들이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교육에 대한 연구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연구들도 다룰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초등 학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 특성 분석 - 학생 집단 간 비교분석과 저성취 교과별 분석을 중심으로 -

        김병룡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lf-determination abilities of elementary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achieve this, the self-determination abilit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were compared. Additionally,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177 participants from 12 elementary schools in Region K, comprising 54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60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63 general students in grades 4 to 6.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and Scheffe post hoc tes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mong student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bilitie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mo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tudents at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Secondly, self-determination 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abilities, autonomy and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language subject, while autonomy and psychological competenc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math subj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self-determination support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본 연구는 초등 학습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장애 학생,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일반학생의 자기결정능력을 비교하였고 학습장애 학생의 저성취 교과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능력의 하위요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K도의 12개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하고 있는 학습장애학생 54명,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60명 그리고 일반학생 63명을 선정하였다. 학생 집단 간 자기결정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과 Scheffe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학습장애학생의 저성취 교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능력의 하위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학습장애학생,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그리고 일반학생 집단 간 자기결정능력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능력이 학습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결정능력의 하위요소 중 국어교과 학업성취도의 경우는 자율성과 자기조절 요소가 그리고 수학교과 학업성취도의 경우는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능력 지원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교육 기반 학습장애 및 위험군 학생을 위한 협력적 교육지원 방안 연구

        조태곤(Tae-Gon Cho),권기홍(Ki-Hong Kwon),김경일(Gyeong-Il Kim),승예린(Yerin Seung),이경미(Kyoung-Mi Lee) 한국학습장애학회 2024 학습장애연구 Vol.21 No.1

        2023년 국내 학습장애학생 수는 전체 특수교육대상자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보였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장애 선별과 진단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이들 학생 및 위험군의 조기 발견 어려움과 교육지원의 기회에서조차 자연스럽게 배제되는 현실에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교육을 기반으로 학습장애 및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협력적 교육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헌자료에 대한 SWOT 분석과 학습장애 학술 및 행정,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 검증 및 실현방안 설문 조사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내, ‘1수업 2교사제’, ‘정다운 학교’, ‘기초학력전담교사 & 채움교사’ 에서는 협력 지도를 위한 전문성 연수와 해당 영역의 교사 증원 및 수급 확대가 언급되었다. 둘째, 학교 내 ‘교과보충’에서는 지도교사의 전문성 확대, ‘부모교육’에서는 ‘학습장애와 위험군 학생’에 대한 주제로 개별연수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셋째, 학교 외 ‘학습종합클리닉’에서는 학습코칭단, 학습상담사의 전문성 확대가 언급되었다. 넷째, 제도적 차원에서 학습지원 대상 학생의 선정방안 및 기초학력 정의에 대한 제고가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학습장애 및 위험군 학생에 대한 교육지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국내 실시되는 교육 정책 속에서 협력적이며 보편적인 교육지원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In 2023,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showed the lowest percentage among all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is regard, educational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ontinue to voice concerns about the professionalism in screening and diagnosing learning disabilities, which is currently depriving early detection and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support of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aborative educational support for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in school-based education. A SWOT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for validation and implementation were conducted among academic, administrative, and field experts in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in-class level, professional training for collaborative teaching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teachers were mentioned in the ’co-teaching system’, ‘leading inclusive school’, and 'basic education teachers and supplementary teacher' sections. Second, the need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supplementary education’ at the in-school level and the need for individual training about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in ‘parent education’ were mentioned. Third, expanding the expertise of learning coaching teams and learning counselors was mentioned for out-of-school ‘learning clinics’. Fourth, at the system level, it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in need of support and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to students with or at-risk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plored the current educational support system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ithin the education policy in Korea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nd provide practical support.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school-based plans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support and a universal education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