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22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강은영,강은영,홍희원,홍영숙,이영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학연구 Vol.58 No.3

        This study analyzed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proposed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2024, and further presented a view of how the basic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will be used in the school field. To this end, a total of 684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2022 revised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were analyzed using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entire knowledge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on fac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cognitive process type analysis are concentrated in ‘remember’ and ‘apply’. Secon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subject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subjects except physical educatio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hile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were the highest. In the case of cognitive process types, ‘remember,’ ‘apply,’ and ‘understand,’ and as a result of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the ‘realistic knowledge-remember’ type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Third, the results of achievement standard knowledge types by grade group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of factual knowledge types in all grade groups, followed by procedur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type of achievement standard cognitive process by grade group, the ‘remember’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until elementary school group, however the ‘applying’ cognitive type was the highest rate in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and the two-dimensional matrix analysis showed the highest ‘factual knowledge-remember’ type statement in all grade groups. Overall, like the 2015 revised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lthough there is a biased distribution of specific knowledge types and cognitive processes in achievement standards, it is significant in that meta-cognitive knowledge types were highly distributed due to curriculum characteristics in career and vocational subjects.

      • KCI등재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에 대한중요도 및 실행도 중심의 교사 인식 문헌분석

        강은영,박윤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교수적 지원 접근법으로 주목하는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 두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거시적으로 정리하여 빅 데이터로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두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연구 총 23편(보편적 교수·학습 설계 6편, 교수적 수정 17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목적 및 주제, 연구대상자), 전반적 인식(중요도 및 필요도) 및 실행 수준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 교사인식 연구의 목적 및 주제는 전반적인 인식을 중요도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와 실제 적용 실태·실행 수준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전체 연구의 비중과 참여 교사 수에 있어서 교수적 수정이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 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념에 대한 중요도, 필요도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는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 수준이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개념 모두 중요도 인식 수준에 비해 실행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점과 향후 연구에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As a big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research on teacher perceptions about universal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UDL) and instructional adaptation(IA). Method: A total of 23 studies (6 for UDL, 17 for IA) were compared with the following analytic focuses: the general features of study (research purpose and topic, participant), overall perceptions on both concepts, and implementation status.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concepts were two folds; the degree of teacher perceptions on importance and the comparison of the degrees of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by teachers. The numbers of studies and participants were higher on the IA than the UDL.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perceptions on importance about the IA were higher than the UDL. Last, on both concepts, the degrees of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he degrees of implemen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평가 방법 탐색-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한 평가를 중심으로 -

        강은영,박경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developing assessment plan and methods of item development, and samples according to the applied types of national curriculum to individual students who received special education specially focusing on the assessment based on specified assessment criteria apply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e valid proces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assessment based on a specified assessment criteria of the achievement standard given to students who i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setting is developed. And several cases for implementing an appropriate evaluation is presented using elementary math curriculum. If the evaluation should be done properly, then curriculum inclusion of students who i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in the general education setting would be realized. 이 연구는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을 최대한 보장하고 이에 대한 정당한 평가를 받을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대상학생 해당 학년 성취기준에 대한 세분화된 평가준거에 기초하여 평가 적용 절차를 개발하고, 해당 평가 유형 선정하기 위한 의사결정 흐름도(ver. 2)를 제안하고 정당한 평가 시행을 위한 조정을 결정할 때의 고려 사항을 제안하였다. 또한 일반교육과정을 적용받고 있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을 교과별 특성과 학습자 특성과 수행 수준에 따라 위계적 또는 병렬적으로 세분화하여 성취기준의 도달목표를 개별화하는 근거와 절차를 제시하였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정당한 평가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지필형 수행평가의 다양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에 대한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정당한 평가 적용을 위해 필요한 제언과 논의를 기술하였다.

      • KCI등재후보

        신생병원의 5년 유방암 치료 경험: 임상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이용한 분석

        강은영,한상아,김새리,김선미,장미정,이희은,박소연,임재영,양은주,김인아,김유경,허찬영,김유정,김지현,김정현,김성원 한국유방암학회 2010 Journal of breast cancer Vol.13 No.1

        Purpose: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nitial 5-years of breast cancer management in a single hospital using the clinical data warehouse (CDW). Methods: We review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754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were treated by a single surgeon between June 2003and December 2007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We analyzed the epidemiological, clinical and therapeutic profiles of the breast cancer patients which were encoded and stored at the CDW.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9.3 years and the peak incidence was in the fifth decade (36.6%). Symptomatic breast cancer was 74.6% and screening-detected breast cancer was 25.4%. Breast conserving surgery (BCS) was performed in 54.1% of all cases and the BCS rate increased annually. Immediate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was performed in 62 cases (17.7%). Sentinel lymph node (SLN) biopsy for nodal staging was performed in 501 cases (72.1%) and 160 cases (23.0%) underwent complete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The proportion of in situ and early stage invasive breast cancer was 85.0%. Six hundred and ninety three patients (92.5%)received more than one adjuvant therapy. Thirty one patients experienced local or systemic relapse after surgery and ipsilateral breast tumor recurrence (IBTR) occurred in 6 case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9.5 months. Two-year and 3-year disease-free survival rates were 95.9% and 94.4%. Conclusion: BCS and SLN biopsy continuously increased and immediate reconstruction after mastectomy was performed widely. Most patients received more than one adjuvant therapy. Moreover, we saved the time and human power to review the medical record by using the CDW.

      • KCI등재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

        강은영,신혜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regarding teacher's guidebook for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las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The data were collected via e-mail to teachers teaching home economics in middle schools. These e-mail addresses were acquired from middle school web pages registered on the Educational Board. The 355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eachers recognized highly the necessity of teacher's guidebook. However, as the actual guidebook was not adequately helpful, the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was relatively low. Teachers utilizing guidebook had more positive recognition on teacher's guidebook than teachers who did not. And teachers majored in technology education thought teacher's guidebook more helpful compared with teachers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Second, teachers referenced teacher's guidebook mostly for field practice guidance.Third, teachers who did not utilize teacher's guidebook used other reference materials such as Internet Web sites and audiovisual materials. They were most commonly used for the reason that the contents were ample and easy to access. Fourth, the followings were suggested to improve teacher's guidebook. The provision of learning conten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in class, the various samples of teaching-learning method, the specified methodsof planning and criteria for performance assessment, the adequate supplementations regarding textbook contents, and the improvement of the outward layout format of the guidebook.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가정 교사의 인식 및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우리 교육 현실에 맞는 새로운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에 대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이메일을 통하여 수집하였는데 전국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서울시교육청 및 각 도교육청 그리고 각 광역시 교육청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교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홈페이지에 등록되어 있는 가정 교사의 이메일을 토대로 하였으며, 설문은 Web을 구축하여 사이트에 접속해서 답변을 할 수 있게 하였다. 855명에게 이메일을 발송한 결과 366명이 설문에 응답을 해주었으나 기술교사 9명과 중복 답변 2명을 제외한 355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필요성에 비해 교사용 지도서가 도움이 되지 못하며 따라서 만족도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활용교사가 미활용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술교육 전공 교사가 가정교육 전공 교사보다 교사용 지도서가 더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가정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서 가장 많이 참고하는 부분은 ‘차시별 지도의 실제’로 나타났고, 각 부분에 따라 총론은 ‘교수-학습 방법’, 각론은 ‘차시별지도의 실제(학습내용해설)’, 차시별 지도의 실제는 ‘학습 자료’와 ‘학습 내용 및 활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를 활용하지 않는 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가 충분한 도움을 주지 못하거나 다른 참고 자료를 활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용 지도서 외에 인터넷 사이트, 시청각 자료를 가장 많이 참고하며, 이런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사용하기 편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사항으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의 제시, 다양한 교수-학습 과정안 제시, 수행평가 계획 및 기준에 대한 구체적 제시, 교과서 내용에 대한 충분한 보충 설명, 지도서의 외형적 체재 개선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딕토글로스를 활용한 말하기 중심과 쓰기 중심 듣기 후 활동이 학습자의 듣기 능력과 그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은영 대한영어영문학회 2017 영어영문학연구 Vol.43 No.1

        Kang, Eun Young. “The Effects of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Dictogloss on Learners’ Listening Abilities and Perceptions at an EFL College Context.”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43.1 (2017): 187-210. This research aims at studying EFL college students’ degree of improvement in listening abilities and their responses by comparing two different dictogloss classes - writing vs speaking. Dictogloss has been proved it can help students promote their four language skills but it can be a burden for them to reconstruct by speaking and writing in English. In the pilot experiment, students preferred speaking to writing. According to students’ needs, two experimental writing and speaking classes carried out dictogloss for 3 weeks in order to analyz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their listening skills. The scores of post tests showed both classes improved almost to the same degree in listening ability. However, according to the survey, the listening skill and satisfaction were much higher in the speaking class than in the writing class. The attitude of the writing class was much better than that of the speaking class.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it is suitable to choose and combine writing and speaking by considering students’ needs and levels in dictogloss class, and it showed as examples three types of dictogloss clas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코로나 고용불안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 이직의도의 매개효과 탐색

        강은영,이준호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9

        Knowledge is a valuable resource that provides organizations with a competitive advantage in a competitive and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For this reason, many organizations are attempting and investing in promoting knowledge sharing. However, despite the organization’s efforts to share knowl- edge, knowledge hiding still occurs. Given knowledge hiding is caus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ersonal will and intention, and situational constraints, it is necessary to study whether a specific event triggers knowledge hiding behavior. For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 COVID19 is out of control and has caused panic like never before. The impact of COVID19 has spread to all areas of life such as economy, society, culture, politics, medical care, and education. The scope of individual activities has been limited and reduced by the COVID19. Thus, the COVID-19 is mega-event that can trigger knowledge hiding behavior. So we studied whether the COVID-19 triggers knowledge hiding behavior. Specifically, we focused on a new social phenomenon called COVID19 job insecurity. On based of resource of conservation theory, social exchange theory,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affective events theory, we selected COVID19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as antecedent factors for knowledge hiding and we empirically analyzed the relation- ship of them. In addition, a research model and research hypothesis were presented by predicting that turnover intention w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job insecurity and knowledge hiding.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423 employees in domestic companies were as follows. First, COVID19 job insecurity had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knowledge hiding. Second, turnover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knowledge hiding. Third, turnover intention had a partially-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job insecurity and knowledge hiding. On the basis of antecedents studies, we analyzed additionall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knowledge hiding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t only turnover intention had a direct effect on knowledge hiding, but knowledge hiding also had a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effect of knowledge hiding on turnover intention was greater than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knowledge hiding. Second, Not only turnover intention had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job insecurity and knowledge hiding, but knowledge hiding also had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effect of knowledge hiding was greater than the mediating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was the first study to explore the effect of turnover intention on knowledge hiding.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as a theoretical basis to rela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knowledge hiding. Also this study contributed to COVID19-related research and expand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scope of knowledge hiding. Finally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지식은 경쟁적이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에 경쟁적 우위를 제공하는 소중한 자원이다. 이는 조직 내 지식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수많은 시도와 투자의 주요한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조직의 지식공유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식은폐 현상은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지식은폐는 개인적 의지와 의도 그리고 상황적 제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발되기 때문에 특정 사건이 지식은폐 행동을 유발하는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는 개인과 조직에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통제 불가의 공황을 초래하였다. 코로나의 영향은 경제, 사회, 문화, 정치, 의료, 교육 등 생활영역 전반에 걸쳐 파급되었고, 개인의 활동범위는 제한되고 축소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를 지식은폐행동에 미치는 주요한 사건으로 보고 코로나가 지식은폐행동을 유발하는지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코로나 고용불안이라고 하는 새로운 사회현상에 초점을 두고 자원보존이론, 사회교환이론, 합리적 행동이론, 정서적 사건이론을 기반으로 코로나 고용불안과 이직의도를 지식은폐의 선행요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이직의도는 코로나 고용불안과 지식은폐 간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예측하여 연구모델과 연구가설을 제시하였다. 국내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 4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고용불안은 이직의도와 지식은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의도는 지식은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고용불안과 지식은폐 간 관계에서 이직의도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지식은폐와 이직의도 간 관계를 추가 분석한 결과 이직의도가 지식은폐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지식은폐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이직의도가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보다 지식은폐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직의도가 코로나 고용불안과 지식은폐를 매개하기도 하지만, 지식은폐 역시 코로나 고용불안과 이직의도를 매개하며, 이직의도의 매개효과보다 지식은폐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이직의도가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향후 이직의도와 지식은폐 간관계를규명하는관련연구에이론적근거가되었다는데의의가있다. 또한코로나관련연구에이바지하고 지식은폐의 이론적 논의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조직 차원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지역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관한 연구: 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강은영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3

        The 3rd Library Development Plan raises the need to secure spa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repository library as the issue of holding books is highlighted as a common problem in public libraries. The Korean Library Law Act also impose the responsibility of integrated management of local library materials on the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y.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Busan Metropolitan Library, which is operating a collaborative repository in earnest among regional representative libraries, and investigated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and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ians about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The data necessary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gh surveys, interviews, field surveys, and internal data analysi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help the Busan Metropolitan Library to operate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efficiently in the future, and at the same time, to present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of the representative libraries of other regions.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서는 공공도서관의 공통적인 문제로 장서수장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지역 단위 공동보존서고 설치를 통한 공간확보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도서관법」 및 「도서관법시행령」 역시 지역 도서관 자료에 대한 통합적 관리의 책임을 지역대표도서관에 부과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 본격적으로 공동보존서고를 운영하고 있는 부산도서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공동보존서고의 운영현황과 공동보존서고에 대한 관내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와 인터뷰, 현장조사, 내부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입수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부산도서관 공동보존서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데이터를 제공함과 동시에 타지역 대표도서관 공동보존서고 운영에 참고할 만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