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박상화,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of married person and to verify a moderating effect of the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emotional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examined. For these purposes,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360 married couples in Daejeon and other areas were measured.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ub-factors. Furthermore,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Second, at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men appreciated the emotion more clearly than women.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different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to marit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when counseling intervention about marital satisfaction, it should differ the considered point about self-esteem which is personal characteristic and conjugal communication which is couple interaction behavior factor. Moreover, it has significances as the basis of intervention for emotional awareness in couple counseling or couple therapy and conjugal communi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of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전 및 기타 지역의 기혼자 36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 수준을 측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았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은 하위변인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을 위해 상담적 개입에서 개인의 특성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간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점을 달리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부상담 혹은 부부치료 장면에서의 정서인식적 개입과 이를 바탕으로 부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입의 근거로써의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유아기 정서표현규칙과 정서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이승은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기보다 참는 것을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적 배경 속에서 성장하는 만 3, 4, 5세 유아들의 정서인식 특징을 알아보고, 인지적 요소가 포함된 정서표현규칙을 어떻게 이해하고, 발달시키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연구 목적이었다. 연구대상은 전남 N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 유아 97명(남아56명, 여아 41명)이었다. 유아의 정서표현규칙 및 정서인식의 발달을 알아보기 위하여 6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 정서표현규칙 검사와 정서인식검사를 개별 면접법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내용 분석과 통계적 분석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이었던 만 3~5세 유아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정서표현규칙 이해가 높아져 상황에 알맞게 정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정서표현 의도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서인식도 연령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인식 점수가 높은 유아들일수록 정서표현규칙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figuring out how young children, who have been living in korean culture, develop emotion. Eastern culture is different from western, in other words, Korean culture emphasize hide and control of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young children emotional display rules and emotion awareness. Subjects were 97 children of age 3 to 5 in N City(56 boys, and 41 girl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6 hypothetical scenarios that assessed emotional display rules and intentions, and emotion awareness questionnair.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ntent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results shows that as young children get older, they gradually understand emotional display rules. Also young children are capable of using various emotional display intentions and increasing emotional awareness with age, which means that their ability to show emotion grows with the passage of time. Children with high score of emotional display rules frequently tended to excel emotion awareness.

      • KCI등재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장정주,김정모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awareness based expression training o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suppression of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wenty-four graduat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and were assigned to the three groups (i.e., six, eight, and ten subjects in experimental,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Participants answered questionnaires of Trait Meta-Mood Scale(TMS), Emotional Expressivity Scale(EES), Attitudes Toward Emotional Expression(ATEE)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RCS) a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xamine its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emotional variab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different with those in the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And open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bility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omparative and control group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 to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자각에 기초한 정서표현 훈련을 통해 정서자각,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억제와 대인관계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6명), 비교집단(8명), 통제집단(10명)으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대인관계 훈련을 실시하였다. 정서표현의 억제 점수가 분포가 상위 30%내의 기준에 해당되는 대상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는 정서자각(TMMS), 정서표현(EES), 정서표현의 태도 척도(ATEE)와 대인관계 척도(RCS)를 사용하였다. 훈련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정서자각, 정서표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 및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정서표현의 억제는 감소되었다. 대인관계의 7개 요인 중 개방성, 의사소통, 이해성에서 실험집단이 비교 및 통제집단에 비해 사후에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신뢰감, 민감성, 만족감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마음챙김 기반 감정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예비연구 : 정서자각, 정서조절, 대인관계 유능성을 중심으로

        정기숙(Kisuk Jeong) 한국명상학회 2021 한국명상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감정코칭 프로그램(MBEC; Mindfulness-Based Emotion Coaching)이 정서자각, 정서조절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집단에는 8주간(주 1회, 3시간/회)의 MBEC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어떤 처치도 하지 않았다. 중도 탈락 인원 및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32명(실험 15명, 비교 17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측정 도구로는 마음챙김, 정서자각(K-TMMS), 정서조절(ERS), 대인관계 유능성(K-ICQ)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과 사후, 그리고 추후에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마음챙김, 정서자각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하위요인별로는 마음챙김 하위요인 중 비판단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주의집중의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근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자각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주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정서명확성의 경우 그 차이가 근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조절과 대인관계 유능성에서는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그 하위변수들 또한 마찬가지로 결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기반 감정코칭 프로그램은 마음챙김을 높여주고 정서자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indfulness-based emotion coaching(MBEC) program o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MBEC program for 8 weeks (once a week, 3 hours/sess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Data from 32 participants (15 from experiment, 17 from comparison) were finally analyzed. The mindfulness, emotional awareness (K-TMMS), emotional regulation (ER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K-ICQ) were measured 3 tim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d 4 weeks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 shows that the mindfulness and the emotional aware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mong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the non-judgm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atten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atten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emotional cla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as found in emotional regul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In conclusion, the MBEC program tends to improve the mindfulness an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emotional awareness.

      • KCI등재

        감성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태천(Han, Tae-Cheon)(韓泰川),임재강(Lim, Jae-Kang)(林栽康)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ritical awareness of the reality of police organization which has been apt to neglect emo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by being biased by competitive meritoc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police officers 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officers. In this study, emotional leadership was defined as the “capability of a leader who perceives, understands, and controls the emotion of the whole organization as well as one’s own and other’s emotions.” Sub-Components of emotional leadership were divided into “ability to manage self-emotions” which is about the emotions of the police chief, him or herself, the “ability to be considerate of others’ emotions” which is about the emotions of other members in the organization and the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al emotions,” which is about the emotions of the whole organization, based on the three orientations of “individual-others-organization” which a police chief should move toward, as a leader. The targets of this study are two police stations; one is a municipal station and the other is a township station under the direction of G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 A survey was conducted in Feb, 2010 and 215 questionnaires out of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findings show tha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i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In particular, self-awareness ability i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olice officers. In detail, officers in their forties, who are mostly police sergeants with 11 to 15 years of service, sensitively perceived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Township officers were highly aware of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more than urban officers. It is assumed that officers in a small sized township station have more chances to interact with their chief than urban officers with lower numbers of personnel and emotional leadership in the family-like ambience in the rural area is more likely influential. Secondly, “ability to manage self-emotions,” and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al emotions” which are sub-components of emotional 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fficers. In particular, “ability to manage self-emotions” significantly influences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and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al emotions”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affective commitment of police offic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officers positively regard the police chief and the organization as the awareness of officers on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fficers is relatively high, exceeding the average. Thus, suitable policies which revitalize police organization by male officers, officers with 10 to 20 years of service and police sergeants who have high awareness of the emotion-based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officers, and raise low awareness of female officers, short-term career officers and low-level officers should be developed. Fourthly, sinc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chief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affective commitment and continuance commitment, officers are more likely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when emotional leadership is provided. As a result, emotional leadership seems to influence job attitude. Theoretically this study is not only a useful start for emotional leadership, but also shows the first empirical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의 배경은 경쟁적 성과주의에 치우쳐 조직구성원의 감성에 대한 관심이 소홀한 한국 행정조직의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에 있으며,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경찰서장의 감성리더십에 대한 경찰관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경찰서장의 감성리더십과 경찰관의 조직몰입 간에 관계를 분석하려는 연구목적을 갖고 있다. 감성리더십을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은 물론 조직전체의 감정을 지각, 이해, 통제하는 리더의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감성리더십의 하위 구성요인으로 리더인 경찰서장이 지향하는 3 가지 큰 지향점인 ‘개인-타인-조직’을 기준으로 하여 경찰서장 개인의 감정에 관한‘자기감정관리능력’과 다른 조직구성원들에 대해 행하는 ‘타인감정배려능력’, 그리고 조직전체적 감정에 대한 ‘조직감정관리능력’으로 구분하였다. 경북경찰청 산하의 1급지와 3급지 경찰서를 대상으로 2010년 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00부를 배포하여 215부의 설문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찰서장의 감성리더십은 경찰관의 정서몰입과 계속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발견했다. 다만, 경찰서장의 타인감정배려적 감성리더십은 오히려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성인 애착과 정서 인식과의 관계 -정서 명확성, 정서 개선을 중심으로-

        김미현,함진선,이장한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6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emotional awareness that known as a main part in the construct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investigate this relationship, we measured the degree of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as a three sub-scales in emotional awareness by adult attachment styles. 128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 used MANOVA based on inter-correlation among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ifferences in emotional clarity and repair by adult attachment styles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people with a secure attachment style reported a greater degree of emotional clarity refers to the ability to discriminate among moods, and also emotional repair refers to the ability to repair unpleasant moods or maintain pleasant ones than anxious-avoidant attachment. These findings provide an evidence that adult attachment as an useful variable 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accounts for emotional clarity and repair as a sub-scales of emotional awareness which refers to the primary domain of the processing of emotional information. 본 연구는 성인 애착과 정서 지능의 개념적 모형 중 가장 특징적인 요소로 알려진 정서 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애착유형에 따라 정서 인식의 하위요인으로 알려진 정서 주의, 정서 명확성, 그리고 정서 개선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12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서 인식의 하위요인 간 상호상관을 가정하여 다변량 분산분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인 애착유형에 따라 정서 명확성과 정서 개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안정 애착유형의 사람들이 불안-회피 애착유형의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경험하고 변별하는 정도와 자신의 부적 정서 상태를 종결시키고 긍정적 정서 상태를 지속시키려는 개선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성인 애착이 정서처리 과정의 기초가 되는 정서 인식 단계에서 정서 명확성과 정서 개선을 설명하는 유용한 개인차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 유형에 따른 상태불안과 정서인식 차이

        김다희,송미경 한국교육치료학회 2015 교육치료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의 유형을 살펴보고, 심리적 소진의 유형에 따른 개인차와 상태불안, 정서인식 과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총 205명의 초심상담자는 군집분석을 통하여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먼저, 정서적 소모, 비인간화는 낮지만, 개인적 성취감 감소가 높은 ‘참을성 있는 초심상담자’는 자신의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가 매우 낮고, 이를 명료화하는 수준이 낮았으며, 상태불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정서적 소모,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가 모두 낮은 ‘잘 조절하는 초심상담자’는 자신의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고, 명료화할 뿐 아니라, 불안을 경험하는 수준도 낮았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소모와 비인간화가 높지만, 개인적 성취감 감소는 낮은 ‘단절된 초심상담자’는 정서에 주의를 과도하게 기울여 명료화하지 못하고, 가장 높은 불안을 보였다. 초심상담자의 소진 유형에 따른 상태불안과 정서인식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초심상담자의 소진에 정서인식 과정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정서 명료성이 정서인식과정에 주요한 요인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본 연구 결과, 정서인식 과정에 정서에 대한 부적절한 주의가 더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type of burnout and characteristics in state anxiety, emotional awareness.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burnout variables drawn from 205 novice counselor formed three clusters. First, the ‘persevering novice counselor’ with low Emotional Consumption(EC) and Dehumanization(D), but high Personal sense of Achievement(PA) was the least emotional attention with low emotional clarity, experienced state anxiety. And the ‘as well-adjusted novice counselor’ with low EC, D and PA was emotional attention and clarity with low state anxiety. Last, the ‘disconnected novice counselor’ with high EC and D, but low PA was the least emotional clarity because the highest emotional attention, and was the highest state anxiety. The result indicates that emotional awareness is important influence on the burnout. The emotional clarity is leading variable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previous studies, but emotional attention is more important effect on emotional awareness.

      • 초기성인기의 의사소통 유형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세진(Se-jin Park),홍혜영(Hye-Young Ho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23 통합치료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초기성인기의 의사소통 유형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만 18세부터 만 28세까지의 성인 347명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유형, 대인관계 만족도, 자아분화,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온라인 설문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기능적 의사소통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분화, 정서인식 명확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분화, 정서인식 명확성과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대인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능적 의사소통은 대인관계 만족도에 직접적인 경로효과를 가지며, 자아분화는 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정서인식 명확성 역시 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이 이중매개효과를 갖지는 않았다. 반면에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대인관계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서인식 명확성은 그 관계에 매개효과를 가졌다. 자아분화는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자아분화와 정서인식 명확성은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대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ype of Early Adulthood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conducted on a total of 347 participants between the ages of 18 to 28, utilizing measures of Communication Typ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dditionally, AMOS 21.0 was employed to validate measurement models, structural models and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first, Functional Communication exhibi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while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se variables.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the results of medi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Functional Communication had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acting 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Emotional Awareness also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but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did not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Conversely, Dysfunctional Communic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personal Satisfaction, and Emotional Awareness mediating effect on this relationship. Self-Differenti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but Self-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had a dual mediating effect in this relation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아동기 학대 경험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현정,윤성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4

        목적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성인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59세 성인 291명의 설문 결과를 통해 아동기 외상 경험, 신체화 증상, 정서인식 명확성,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SPSS 25.0, Process Macro Model 6번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이중매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기 학대 경험과 신체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서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이 세가지 변인은 정서인식명확성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기 학대 경험과 신체화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순차적으로 이중매개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높을수록 신체화를 높이는데 영향을 주는 관계에서 정서적 요인으로정서인식을 명확하게 할수록, 인지적 요인으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적게 택할수록 신체화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 경험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이중매개효과를 밝힘으로 아동기에 경험한 학대로 인해 성인이 되어 겪는 신체화 증상에서 상담심리적 개입의 요인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clarity on emotional awarenes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childhood abuse, somatization in adulthood. Methods The result of 291 adults between the ages of 20 and 59 were distrivuted to scales of childhood trauma, somatization, clarity on emotional awaren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escriptive sta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analysis analyzed data via SPSS 25.0, Process Macro 6 model. Results First, childhood abuse experience, somatizat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and these three variabl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larity on emotional awarenes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somatization, clarity on emotional awarenes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howed a dual mediating effect. This means that the higher childhood abuse experience, the higher level of somatization in relationship, the clearer the emotional awareness as an emotional factor, and the less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re adopted as a cognitive factor, the lower the somatiza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suggests factors for counseling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somatization due to childhood abuse experiences by revealing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larity on emotional awareness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adult somatization.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 KCI등재

        중국 IT기업의 종업원 감성지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수형(Suheyong Choi),안나(Na An) 한국IT서비스학회 2016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5 No.1

        Popular business magazines continue to highlight th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organiz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mediation mechanis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in China IT corporation. For this,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Awareness of Self-Emotion, Awareness of other-Emotion, Emotion management, Emotion Control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e awareness upon the relationship.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China IT corporation employee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s partially supported organization culture awareness. Second, organization culture awareness has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more employee’s emotional intelligence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We can designing a support program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 culture awareness for China IT corporation employees will have direct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Employee’s great talent to make good use of eleme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at promote the work environment and their’s cond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and employ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