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음ㆍ음운 장애 아동을 위한 부모-자녀 놀이치료와 언어치료의 협력적 통합치료

        선우현(Sunwoo, Hy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2

        최근 발달 및 정서ㆍ행동 장애 아동들을 위한 치료적 접근 방식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치료영역 간 통합치료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발달 및 정서ㆍ행동장애를 겪고 있는 아동들을 위한 통합치료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여러 치료영역이 병행한다. 각적 통합치료가 진행되고 있으나 치료영역 간의 개입 및 목표의 차이로 인하여 한계점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다른 치료들에 대해서 이해하고 치료에 함께 참여하여 치료사 간의 협력을 통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협력적 통합치료 모델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사례연구에서는 협력적 통합치료 모델을 통한 조음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자녀 놀이치료와 언어치료를 통합치료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내담아동은 사회적 인식능력 및 상호작용 촉진이 활성화 되었으며 발화촉진이 활성화되어 놀이-언어 치료의 목표가 효율적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 학문적 관점에서의 통합치료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importance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in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has been emerged; however, the paucity of research regarding interdisciplinary therapy is found in Korea. Due to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disciplines, limitations in interdisciplinary practice are existed.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disciplinary therapy are significant for therapists to increase it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disciplinary therapy between play therapy and speech-language therapy for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Participants demonstrated increased social recognition skills and interactions as well as vocalization.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the effective interdisciplinary therapy techniques.

      • 치료놀이를 활용한 다문화 부부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사례연구

        선우현(Sunwoo, Hy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12 통합치료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활용하여 다문화부부의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사례분석은 결혼이민자부부 행복 만들기 프로젝트에 신정한 4쌍의 부부 중 전체회기에 참석한 3쌍의 다문화 부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은 50분씩 총8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참여자들은 베트남 태국 중국 국적의 결혼이민자 아내와 한국인 남편으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부부간 상호작용 변화요인 및 과정은 사례연구의 분석절차를 따라 연구결과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8개의 하위구성요소에 따라 1)공간적 상호작용. 2)양육적 상호작용 3)공감적 상호작용. 4) 개방적 상호작용이라는 4가지의 상호작용 특성을 찾았다 연구결과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 부부들은 부부 간의 정서적 교류와 신체접촉을 통한 친밀감이 촉진되고, 이를 통한 자기인식 및 타인인식과 공감적 상호작용이 증가하면서 긍정적 정서와 더불어 긍정적 시각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치료놀이의 경험이 부부 간의 부정적인식의 틀을 바꾸고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면서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상호작용의 변화를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치료놀이를 활용한 부부집단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 부부 간 상호작용 촉진을 위하여 단기간에 개입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법임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uple’s group theraplay program on improving interaction on multi-cultural coup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 multi-cultural couples. Among them, 3 were arranged to experimental group, and connected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data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patter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coupe’s interaction. As a result, 8 sub-components are found in the experience of couple’s group theraplay for multicultural couple. Through the process of grouping, for components are elicited: 1)interaction of environment, 2)interaction of Nurturing, 3)interaction of empathy, 4)interaction of open. During the process of the couple’s group theraplay had meaningful consequence for the improvement participant’s realistic expectation of feeling differently, starting establishment of self images and other's images. The factors of change were re-experiencing of objection, change of environment, and empathic interaction.

      • 보육교사를 위한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염창현(Yeom, Chang-hyun),선우현(Sunwoo, Hy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0 통합치료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효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은 보육교사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한국인형치료학회춘계학술워크샵’을 통해 소개된 15회기 집단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양적분석 방법은 자아탄력성 척도와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전-사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사례분석 방법은 단계별로 나타난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의 변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보육교사의 자신감, 자기조절, 대인관계, 낙관적 태도와 같은 하위요인에서도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인형치료 집단프로그램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으로서도 유용한 가치를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s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6 teachers working in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gu, Incheon, Korea who agreed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16 teach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 in the experiment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and 15 group program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2016 Spring Academic Workshop by Korean Association of Figure Therapy were used. The structured group program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two months for 40 minutes at each session, and th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 and case stud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ego-resilience measure and the resilience measure were measured pre and post the group sessions and compared using SPSS 21.0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ilcoxon coding ranking verification. The case analysis method was examined through looking at the changes in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optimistic attitudes, which are considered the sub-factors of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Secon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teachers’ resilience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Third, group figure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such as confidence, self-contro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tic attitude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 after administering the program. In summar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roup figure therapy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ego-resilience and resilience required to alleviate the job stress of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it will be useful as a group program with regards to the psychology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in future.

      •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언어 통합치료의 가능성과 자해 행동 감소를 위한 중재법의 개발을 위한 제안

        곽은미(Kwak, Eun-Mi)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개입 방안으로 음악-언어 통합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자폐 아동들의 문제행동의 중재방안으로 음악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언어발달의 선행조건인 공동인지(joint attention)와 청각인지(auditory perception) 발달 촉진 방안으로 음악의 활용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음정. 음량 가사 등 언어발달의 필수적인 음악경험이 아동의 언어발달과 학습 발달을 유도함을 알 수 있으며 언어의 전문적인 훈련방법을 알고 있는 언어치료사와 음악치료사의 공동 작업은 매우 효율적인 치료형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폐아동들이 치료세션에서 보이는 문제행동들이 치료의 효율성을 감소시킴을 고려할 때 음악치료의 개입은 문제행동 중재를 유도하여 언어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언어의 통합치료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music therapy (MT)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in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management for nonverbal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ASD) Music as a therapeutic tool includes several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language development such as pitch, volume, lyrics et al. In previous research, music provides multi-sensory stimulations, and it helps both language and academic development. Therefore, developing cooperation between MT and SLP will maximi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reatment by successfully managing problematic behaviors presented by children with ASD and more research regarding interdisciplinary between MT and SLP should be continued.

      • 음악 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Happy Life’ 프로그램이 불안 수준에 미치는 효과

        나해숙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2011 통합예술치료연구 Vol.1 No.1

        이 논문은 음악 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프로그램 ‘Happy Life’ 가 본 집단에 참여한 정신과 폐쇄 병동 환자들의 불안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데 의의를 두었다. 음악중심 Gestalt 예술치료집단 프로그램 ‘Happy Life’ 는 음악매체 중심의 색, 그리기, 시, 동작 등을 통합한 예술치료적 기법으로 Gestalt 이론에 근거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피험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D 의료원 정신과 폐쇄병동의 입원환자 가운데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 총 26명의 집단원이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진행은 1회기에 약 90분씩 주 2회로, 총 13회기 후 종결 하였다. 첫 만남에서 사전검사와 집단 회기가 끝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종속변인 측정도구로는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를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AS 8.03 프로그램으로 각 척도의 사전검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공변량 분석(ANCOVA)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원의 불안 수준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김수복 한국통합예술치료상담학회 2011 통합예술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하나님을 믿는 성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David H. Olson(2000)의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케 하는 ENRICH 척도 하위변인 “결혼만족도, 성격문제, 의사소통, 갈등해결, 재정관리, 여가활동, 성관계, 자녀와 양육, 가족과 친구, 역할관계, 종교적 신앙성숙, 가족친밀성과 유연성” 등을 독서치료기법에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에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처치된 실험집단은 처치되지 않는 통제집단보다 ENRICH 척도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날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가설의 결과를 살피기 하기 위해 집단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P시와 인천시 G구에 소재한 두 교회 30대에서 50대 하나님을 믿는 성인부부들 14쌍 28명을 무작위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누어서 통제집단 7쌍, 14명과 실험집단 7쌍 14명을 중심으로 연구기간은 2009년 2월 1일(일)-5월 24일(일)까지 14회기 동안 실시하였으며, 미리 집에서 책을 읽고 독후감을 써온 상황에서 매주 1회 3시간씩 발달적 독서치료와 상호작용적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에 Olson의 건강한 부부관계를 점검하는 ENRICH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진행 중에 독후활동을 통해서 건강한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 요인들에 대한 발문을 하였으며, 회기별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실시 전과 실시 후의 차이와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2가지 변인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계처리 프로그램인 SAS 12.0 K를 이용하여 t 검정과 ANCOVA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그룹은 그렇지 않는 그룹에 비해 건강한 부부관계 증진케 하는 하위변인들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성인부부들에게(30대-50대) 적용이 긍정적이었다. 셋째,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간의 사전과 사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위

      • 아동보호전문기관 심리치료사의 치료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강소민(So-Min Kang),선우현(woo Hyun S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1 통합치료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xperiences psychotherapists working in child protection agency have and what their roles are. To this end, two psychotherapists with 8 and 10 years of experience in psychotherapy at 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we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sampling and the collected data were explored and described based on the interview detail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er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modified based on the advice of a reviewer with 15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and 6 qualitative research experiences and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interview. As a result, the psychotherapists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were frustrated by the unfamiliarity of cases of abused children, the low participation of involuntary clients, sluggish progress and termination, and the unchanging parenting environment. However, through the processes of supervision, personal analysis, and self-care, psychotherapists stimulate the growth of children and grow together, and the psychotherapists themselves play the role of providing warm and firm tools as a complete therapy tool.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role and meaning of a psychotherapist in a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were newly discovered. 본 연구는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일하는 심리치료사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그들의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의 심리치료 경력이 각각 8년과 10년인 심리치료사 두 명을 목적 표집하여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과 연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탐구하여 기술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상담경력 15년, 6편의 질적연구 경험이 있는 감수자의 조언과 예비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리치료사들은 학대피해아동 사례에서 오는 낯설음과 비자발적 내담자의 낮은 참여도와 지지부진한 진행과 종결, 변화되지 않는 양육환경으로 인해 좌절감을 느끼기도 했다. 그러나 심리치료사들은 슈퍼비전, 개인분석, 자기 돌봄 등의 과정을 통해 아동의 성장을 돋고 함께 성장하며 심리치료사 스스로가 온전한 치료의 도구로 따뜻하고 단단하게 담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보호전문기관 심리치료사의 역할과 그 의미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는 점에서 연구에 의의가 있다.

      • 또래 관계에 어려움을 지닌 학령기 아동의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에서 전이 탐구 및 치료적 개입

        임화란(hwa-ran Lim),선우현(Woo Hyun S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22 통합치료연구 Vol.13 No.2

        This study is aiming at examining the effects of parental relationship experiences on children's self and object representations in psychoanalytic play therapy for three school-a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reviewing the therapist's intervention on the transferences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the therap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chool-aged child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formed object representations of controlling, subordinating, blaming, and rejecting and self-representations of being controlled, obeying, and trying not to be reject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Secondly, about the child's transference during the psychoanalytic play therapy, the therapist understood the child's transference in imaginary play, participated in the play (taking the role of a character) and became an object needed for the child, and delivered empathy,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so that the child may experience new relationships. In addition, he/ she helped to restore the child's ability to play by interpreting negative transference and resistance, and contained the child's emotions according to the negative transference in drama play and transformed the emotions with the therapist's inner function and returned them to the child so that the child could accept and tolerate the negative emotions. In other word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when psychoanalytic play therapy is conducted to school-a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it can lay the foundation for positive relationship formation by influencing the child's self and object representations. 본 연구는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3명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정신분석적 놀이치료에서 부모와의 관계 경험이 아동의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치료과정 중 발생한 전이에 대한 치료자의 개입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학령기 아동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통제하고, 종속시키며, 비난하고, 거절하는 대상표상과 통제받고 요구에 따르며,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자기표상을 형성하였다. 둘째, 정신분석적 놀이치료과정에서 아동의 전이에 대해 치료자는 상상놀이에서 아동의 전이를 이해하고, 놀이에 참여하여(캐릭터의 역할 맡기) 아동에게 필요한 대상이 되어주고, 공감과 수용, 해석을 전달하여 아동이 새로운 관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부정적 전이와 저항을 해석하여 놀이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왔고, 드라마놀이 속에서 아동의 부정적인 전이에 따른 감정을 담아주고 치료자의 내적 기능으로 감정을 변형시켜 아동에게 되돌려 줌으로써 아동은 부정적 감정을 수용하고 감당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또래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 학령기 아동에게 정신분석적 놀이치료를 실시했을 때, 아동의 자기표상과 대상표상에 영향을 주어 긍정적 관계 형성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내담아동 모가 지각하는 놀이치료의 모-치료자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소미(Kang, Somi) 한국통합치료학회 2011 통합치료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에서 내담아동의 모가 지각하는 모와 치료자의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치료관계 특성으로는 치료관계의 전반적 경향과 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료관계의 차이를, 놀이치료 만족도 특성으로는 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놀이치료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모-치료자 관계가 놀이치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서 놀이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의 어머니 중에서 놀이치료의 전후에 이루어지는 부모상담에 참여하는 어머니 164명이었다. 모-치료자 관계 척도와 놀이치료 만족도 척도는 선행연구자가 외국의 척도를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놀이치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모와 치료자의 치료적 관계는 모가 자녀의 놀이치료에 대한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치료자와의 감정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놀이치료의 조기 종결을 방지하고, 보다 높은 치료 효과를 이끌어 내는데 필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that the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in child playtherapy have on the playtherapy satisfaction by demonstrating the related facto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64 women whose children were receiving playtherapy in Seoul and Gyeonggi-do and who participated in parent counseling before and after their children's playtherapy. The parent-therapist relationship scale and playtherapy satisfaction scale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therapeutic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nd therapist was established when a mother played the role as a helper in the playtherapy and developed a positive emotional relationship with a playtherapis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ideas to prevent early termination of the playtherapy and draw better therapeutic effects.

      •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의 모래놀이치료에서 보이는 공통된 의미 고찰과 자아존중감 및 상호작용 변화에 관하여

        권미선(Kwon, Mi-Sun) 한국통합치료학회 2010 통합치료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들이 모래놀이치료의 모래상자에 보이는 공통된 의미를 이해하고 모래놀이치료가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발달과 건강한 상호작용에 어떤 변화과정으로 도움을 주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를 살펴보고자 모와 아동의 정서 검사 결과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 5명을 선정하였고 2009년 5월부터 2010년 4월까지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에서의 사례 연구 방법으로 연구 대상의 모래놀이치료과정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전사 작업, 자료들에 코드를 부여하여 체계화하는 단위화 작업, 단위들을 범주화하는 작업을 거치면서 공통된 의미와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들이 모래놀이치료에서 보이는 공통된 의미는 낮은 자존감, 조절의 어려움, 상호작용의 어려움이다. 둘째, 모와 애착이 결핍된 아동은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낮은 자존감, 아동-부모 상호작용, 아동-또래 상호작용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는 모래놀이치료가 대상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살펴보면서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건강한 상호작용 및 사회적응을 돕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the aim is to examine with which transitional process the sand-play therapy gives help to development in self-esteem and to healthy interaction in attachment-deficient children with mother, as well as understanding sand box in attachment-deficient children with mother. To examine research problems, it selected 5 attachment-deficient childre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with mothers and children and of emotional test. The sand-play therapy was carried out from May 2009 to April 2010. As a method of a case stud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for confirming the research problems, the common significance and the transitional process were examined with the work transcription, which literally describes the process of sand-play therapy, and the work of systematizing, unitizing and categorizing by giving code to materials. This was examined to understand the sand box of attachment-deficient children. The sand-play therapy brought about a positive change in self-esteem and interaction in attachment-deficient children as the subjects. Thus, it could be confirmed to be effective for helping children's self-esteem, healthy interaction, and social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