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학교수업 참여도,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

        하창순,최희철,김지현,유현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6 한국청소년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 패널 2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청소년의 자기 통제력, 학업성적 간의 관계가 학교수업 참여도와 개인 학습시간에 의하여 매개되는지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 통제력과 학업성적 간의 관계는 학교수업 참여도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개인 학습시간과 학업성적 간의 경로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 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구한 적합도 지수는 가설 모델이 자료에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논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trol, class engagement, learning time after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dolescents. Results showed that class engag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learning time after school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hypothesized model was fitted to the mat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

        그리스도교 교회의 인간성 고찰 - 가톨릭 심리·영성이해를 중심으로

        하창순 한국실천신학회 2013 신학과 실천 Vol.0 No.34

        본 연구는 그리스도교적 영성과 인간관을 조명하면서 인간성 회복을 위한 길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영성의 개념은 연구자의 지향성과 학문적 배경에 따라서 다양하게 설명될 수 있으나, 인간존재에 의미를 부여하며 자신, 타인, 자연,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경험되고,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추구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힘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인간 삶의 근본원리, 인간과 세상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믿음, 존재의 의미로써, 개인을 초월하여 하나님과 자신, 이웃과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희망, 의미, 사랑과 같은 삶의 최상의 가치를 완성하도록 하는 능력이자,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역을 통합하는 힘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리스도교 영성의 특수성으로서의 삼위일체적 영성과 그리스도교적 영성의 3가지 측면을 전인적 차원, 공동체적 차원, 하나님 경험적 차원에서 연구하였다.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인간’은 그리스도교 인간관에서 본질적이며 기준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본질을 규정함에 있어서, 결코 종전처럼 인간이 현실적으로 갖고 있는 심·신·영혼의 세 국면 중 한 쪽 만에 근거해서 인간을 규정하려고 하는 반면에, 연구자는 인간의 세 측면을 대등하게 존중하면서 그것들을 하나의 구조 아래에서 통일적으로 이해하려는 심·신·영혼의 전인적 존재로서의 인간 본질을 이해하고자 했다. 또한 그리스도교 인간관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윤리적 존재로서의 인간, 다양성 안의 일치를 지향하는 인간으로서의 인간의 존재적 의무와 세상 안에 사는 인간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Christian spirituality and Christian man and woman, and find ways to recover human nature. Spirituality can be explain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researcher's perspectives and scholastic backgrounds, but it could be defined this way: spirituality gives meaning on human being, it is experienced through having relationships with oneself, others, nature, and God, and it gives power that enables one to pursue the meaning and goal of life. Also, spirituality is a fundamental principal of human life and a belief that explains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 and the world as well as meaning of human existence. It is the power that completes the most worthy of life such as hope, meaning, love that enables to have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God, oneself and neighbors, and that combines physical, mental and social domains. This article researches three aspects of spirituality of the Trinity and spirituality of Christianity as distinctiveness of Christian spiritualty: wholistic dimension, communal dimension, and dimension of experiencing God. ‘Human being as image of God’ is essential, and it is a norm of Christianity. While human nature is often defined with mind, body, or spirit, this article understand human nature in a wholistic approach that does not separate those three aspects but equally respect them. In addition, this article defines Christian human being as historical, social and moral being. In conclusion, it presents obligations of human being who aims for harmony in diversity.

      • KCI등재

        한국인의 종교적 정서 특성에 따른 상담적 모색 - 종교적 신앙심을 중심으로 -

        하창순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인간의 성숙한 삶은 개인의 정서적인 영역과 많은 관련이 있다. 한국인의 정서에 서 종교는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정서는 매우 주관적인 요소이나, 종교적인 특성 에 따라 심리적인 문제에 봉착하였을 때 적응력이 달라지기도 하며, 삶의 행복지수도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은 한국인의 종교적 정서 특성에 대한 상담심리학적 연구로서, 인간의 건강 한 삶을 위해 종파에 따른 종교인의 정서의 특성을 이해하고, 종교가 개인의 심리적 인 문제 해결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종 교적 정서의 특성이 우리의 일상적인 삶에 어떤 형태로 작용하고 영향을 주는가에 관한 연구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의 정서에 대한 개념과 발현요인, 사회심리학 적인 분석, 정서 형성 배경을 제시하고, 한국인의 정서에 녹아있는 종교적 특성을 유 교, 기독교, 불교, 샤머니즘의 특성으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인의 종교적 특성에 따른 바람직한 신앙심을 통하여 심리적인 어려움을 해결 할 수 있는 상담 방법을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개인의 삶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때 종교적 정서의 표현이 삶의 의미를 찾고자하는 신앙심의 표현 행위로 표현되고 있음 을 이해하고, 종교인이 인간성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 할 수 있 도록 개입할 수 있는 상담적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Mature human life has a lot to do with individual emotional part. In an aspect koreans emotional, also religious emotion has large portions. Emotion is subjective. And when confronted with the psych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religious character adaption is different. Fur the more, subjective well-being appear different. As psychological research of a religious emotional character of koreans, For the well life, according to the religious, emotional understanding of nature, and with the aim of exploring religion how can help to solve individual psychological problems. Also this characteristic of the religious emotion in our everyday lives works in any form and does the effect can be seen on the study. Therefore the concept for the emotions in koreans and revelation factors, psycho-social analysis, emotions presenting the background form. Korean Confucianism,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in Protocol of Christianity, Buddhism, shamanism, explores the nature of classification. Due to the religious nature of the desirable and faith can solv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roughout the counseling will look at how. And occurs when the life of the individual has several problems, expression of religious emotion represented as an act of faith to find the meaning of life recognize the value of a new humanity and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to find live a happy life.

      • KCI등재후보

        한국판 사회적 관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하창순,김병석,최희철,강석영 한국상담학회 2004 상담학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Social Interest Scale. 282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K-SIS and Korean version of Eysenck Personality Scale. Two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Each factor was termed as empathetic interest and altruistic interest. K-SIS was differentiated from a desire to be liked and accepted by others and extraversion. Altruistic interest was negatively related to neuroticism, addiction and positively to lie. These results are to show evidences that K-SIS has reliability and validity.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판 사회적 관심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번안의 타당화를 위하여 역번역의 과정을 통해 영어 문항과 한국어 문항의 동등성을 검토하였다. 중부권 소재 대학생 282명에게서 얻어진 점수를 바탕으로,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항양호도 분석을 통해 문항-총점 상관이 낮은 4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요인분석 결과 두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제 1요인은 공감적 관심으로 제 2요인은 이타적 관심으로 명명되었다. 공감적 관심의 내적 합치도는 .62 이타적 관심의 내적 합치도는 .64 전체척도의 내적 합치도는 .72로 나타났으며 하위척도 간의 상관은 .41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심 척도는 수용을 받으려는 욕구, 외향성과 상관이 없어 변별타당도를 보였으며, 이타적관심은 신경증적 경향성, 중독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허위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은 한국판 사회적 관심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주는 증거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고에 대한 논의와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몇가지 제안사항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자기 통제력(self-control)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07 상담학연구 Vol.8 No.4

        이 연구는 한국판 자기 통제력 척도를 타당화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중부권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19명에게 자기 통제력 척도, 아이젱크 충동성 검사, 한국판 공격성 검사, 비행척도를 소책자로 묶어 집단으로 실시하였다. 이 검사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6요인 모델이 추출되었다. 한국판 자기 통제력 척도는 충동성 검사, 공격성 검사와 적절한 상관을 보였으며, 비행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 제언, 한계를 논의하였다. 주요어 : 한국판 자기 통제력 척도, 자기 통제력, 자기통제, 비행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ntrol scale. 319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255 of them was used in final statistical analysis. Six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Low Self-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high impulsivity, aggression and delinquen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Key words : self-control, delinquency

      • KCI등재후보

        한국대학생과 조선족 및 한족 중국유학생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 비교연구

        하창순 ( Chang Sun Ha ),선혜연 ( Hye Yon Seo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 대학생들과 조선족 및 한족 중국 유학생들간의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들을 위한 정신건강 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에 대한 시사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남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한국인 대학생, 조선족 및 한족 중국 유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설문지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들이 중국 유학생들에 비해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극적 대처 방식을 덜 사용하고, 소극적 대처 방식 중에서 소망적 사고를 통한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유학생들의 경우 적극적 대처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적극적 대처 방식 중에서도 문제중심 대처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재한 중국 유학생도 조선족 유학생과 한족 유학생 간에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 차이가 있었는데 조선족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생들과 마찬가지로 한족 유학생들에 비해 소극적 대처 방식 중 하나인 소망적 사고를 통한 대처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대학생들과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상담개입에 대해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style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South Korea. A paper-penci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383 Korean and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Korean students, as compared with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used active coping less frequently, whereas they tended to resort to wishful thinking more frequently than did Chinese counterparts. On the other hand, Chinese students reported resorting to active coping more frequently, especially problem-oriented coping. Mean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Korean-Chinese and Chinese students with regard to coping style. Like Korean students, Korean-Chinese students tended to use wishiful thinking more frequently than did Chinese students.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하창순(Ha, Chang-soon),박주하(Park, Ju-ha)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 연구는 정서표현갈등이 한국문화의 맥락에서는 다른 의미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갈등의 동기에 따라 대인불안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부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년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갈등 척도(AEQ-K),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주관적 안녕감 척도인 생활만족도 척도(SWLS)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반면, 정서표현갈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갈등을 한국이라는 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기 위해 정서표현갈등의 동기에 따른 하위 요인들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자기방어적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 대인불안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ing. To achieve this, a survey of 592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as cond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questionnaire(AEQ-K), the standards of social evasion and uneasiness(SADS), and the living satisfaction standards (SWLS), which is th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Data a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paramete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attentive interrelationship amo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terpersonal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interrelationship showed a slight decline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results verify a parametric effect of interpersonal anxiety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ubordinate factors and subjective well-Being. To look into Korean emotional ambivalence in a cultural context, interpersonal anxiety self-defense ambivalence and well-being indicates a partial- parameter, and interpersonal anxiety relation-involvement ambivalence and well-being indicates a complete-parameter.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ossible follow-up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기혼자의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박상화,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arch the relationships among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emotional awareness of married person and to verify a moderating effect of the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emotional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examined. For these purposes,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f 360 married couples in Daejeon and other areas were measured.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emotional aware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cluding sub-factors. Furthermore, marital satisfaction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Second, at the emotional awareness difference according to sex, men appreciated the emotion more clearly than women. Third, as the result of verifying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s of self-esteem, conjugal communication, marital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different influence of self-esteem and conjugal communication to marital satisfaction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levels of emotional awareness, when counseling intervention about marital satisfaction, it should differ the considered point about self-esteem which is personal characteristic and conjugal communication which is couple interaction behavior factor. Moreover, it has significances as the basis of intervention for emotional awareness in couple counseling or couple therapy and conjugal communication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 proposal of the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대전 및 기타 지역의 기혼자 360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 수준을 측정하였고, 빈도분석을 통한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차이를 살펴보았고, 상관분석, 구조방정식을 통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정서인식, 결혼만족은 하위변인을 포함하여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더 정서를 명확히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 결혼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서인식 수준에 따라 결혼만족을 위해 상담적 개입에서 개인의 특성인 자아존중감과 부부간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간 의사소통에 대한 고려점을 달리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부부상담 혹은 부부치료 장면에서의 정서인식적 개입과 이를 바탕으로 부부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개입의 근거로써의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지방의 한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안세윤,하창순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are 301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area. First, self-control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perception significantly. In addi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self- control variance to predict stress perception(8%). Thu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as to lower level of self -control, the level of stress perception is higher. Second, each sub-factor of self-control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 of stress coping style, social support of active stress coping and passive stress coping. In addi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self-control variance to predict each sub-factor of stress coping style. These results imply that self-control significantly is related with stress perception and coping style. Thereby counselors need to consider the approach with regard to of university student clients the stress problem and alternative intervention.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this thesis propose self-control and stress problem. 본 연구는 개인내적 특성으로서의 자기통제력이 스트레스 상황을 지각하는 수준과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1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자기통제력은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자기통제력이 스트레스 지각의 변량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보아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은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적극적 대처방식의 사회적 지지추구와 소극적 대처방식의 정서적 대처와 소망적 대처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으며, 적극적 대처방식 중 문제중심적 대처와는 상관이 없었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자기통제력의 하위요인이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방식 각각의 변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함을 나타냈다. 이는 자기통제력이 스트레스 상황을 지각하고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대학생 내담자들이 호소하는 스트레스 문제에 접근하고, 개입을 하는데 있어 함의를 제시하였고, 추후 연구에서 밝혀야 할 내용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