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검토와 향후 추진 과제

        이해정 법무부 2022 統一과 法律 Vol.- No.50

        Since the ado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Development Agreement in 2000,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s developed into a win-win economic cooperation model experiment site where 55,000 South and North Korean workers work together. From January to November 2015, the cumulative produc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520 million, up 62.5% from $320 million in 2010, and the number of workers reached 55,000.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which lasted for 16 years until February 2016, is a representativ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that contains not only economic aspects but also a symbolic meaning of inter-Korean harmony. However, compared to the entire development pla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current development area is 5%, the number of companies is 6%, and the employment manpower is only 15%, so there are many considerations to resume development as planned. Considering the dense and elaborately accumulated san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re are many things to consider for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particular, there are many tasks accumulated during the 12-year operation period from 2004 to 2016. Things to consider for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clu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protecting investment assets and resolving disputes, securing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interruptions, addressing traffic, communication, and tariff problems, and efficient use of labor. It is not a violation of sanctions for businessmen to visit North Korea and inspect the facilities before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t is a necessary measure to resume the complex. Whe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suspended in 2013, tenant companies visited North Korea on July 10 to inspect the facility and restarted it on September 16. In May 2019,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pproved the application to visit North Korea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assets of businessmen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but the visit was not achieved due to North Korea’s lack of response. Inspection of facilities through businessmen’s visit to North Korea is a task that can be reviewed first. Tourism in the Kaesong area, the first representative project that can be pursued in the face of sanctions, can also be considered. This is because non-material human exchange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tourism, education, administrative infrastructure, sports, and culture can be reviewed first. Small-scale human traffic can be promoted in the tourism field that does not violate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One-day tours to Geumgangsan Mountain and Kaesong are expected to be possible while complying with international sanctions on North Korea as there is no need for facility renovation, materials, and supplies. In order to fully restar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upgrade the first phas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nd promote the second phase, sanctions relief measures at the level of lifting the Security Council Sanctions No. 2270 adopted in March 2016 are needed. Once conditions are created for the resumption of the existing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s a successful economic cooperation model for inter-Korean co-prosperity.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project, a representativ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that occupies an absolute propor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fter the suspension of the Geumgangsan Mountain tour. The development of the second Kaesong Industrial Complex can be considered after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fully developed and stabilized first, such as the internalization of the first stage and the promotion of t... 개성공단은 2000년 개성공단 개발 합의서 채택 이후, 55,000여 명의 남북한 인력이 함께 생산 활동을 하는 상생(win-win)의 경협 모델 실험장으로 발전하였다. 2015년 개성공단 누적 생산액은 5.6억 달러로, 2010년 3.2억 달러 대비 74.2% 증가했고, 근로자도 55,808명에 달했다. 2016년 2월까지 16년간 지속된 개성공단 사업은 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남북화해의 상징적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 대표적인 남북경협 사업이다. 그러나 개성공단의 전체 개발계획 대비, 현재 개발 면적은 5%, 업체 수 6%, 고용 인력은 15% 내외 수준에 불과하여 향후 계획대로 개발이 재개되려면 고려할 사항이 다수 존재한다. 촘촘하고 정교하게 누적되어 온 국제사회의 제재 국면을 고려할 때 개성공단 재개를 위해서는 고민해야 할 지점이 많다. 특히, 2004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의 가동 기간 동안 중단과 재가동을 겪으면서 쌓여 온 과제들도 적지 않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해서는 ①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국면 고려 및 국제화 방안 검토, ② 투자자산 보호 및 분쟁 해결, ③ 출입 인원의 신변안전 보장, ④ 공단의 안정적 운영 및 중단 사태 재발 방지, ⑤ 통행·통신·통관의 3통 문제, ⑥ 노동력의 효과적 활용 등을 고려해야 한다. 개성공단 재개에 앞서 기업인들이 방북하여 시설을 점검하는 것은 제재에 위반되지 않으며, 재개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이다. 2013년 개성공단 중단 당시에도 9월 16일 재가동에 앞서 7월 10일 입주업체들이 설비 점검차 방북한 바 있다. 통일부는 2019년 5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자산 점검 목적의 방북 신청을 승인했으나, 북한의 무반응으로 방북은 성사되지 못했다. 기업인들의 방북을 통한 시설 점검은 현재 상황에서 우선 검토 가능한 과제이다. 제재 국면에서 우선 추진 가능한 대표적 사업인 개성지역에 대한 관광 역시 검토할 수 있다. 관광, 교육, 행정 인프라, 스포츠, 문화 분야에서 비물질적 인적 교류협력은 우선적으로 검토 가능하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위반되지 않는 관광 분야부터 소규모 인적 왕래를 추진할 수 있다. 금강산·개성에 대한 당일관광은 시설 개보수 및 자재, 물자 반출 등이 필요하지 않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준수하면서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한 전면 재가동 및 개성공단 1단계 사업의 내실화와 2단계 추진을 위해서는 2016년 3월 채택된 안보리 제재 제2270호 해제 수준의 제재 완화 조치가 필요하다. 기존 남북경협 사업의 재개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될 경우, 개성공단 사업을 남북 상생의 성공적 경협 모델로 정착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금강산관광 중단 이후 남북경협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했던 대표적 남북경협 사업인 개성공단 사업을 우선 확대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개성공단 1단계의 내실화 및 2단계의 추진 등 개성공단이 먼저 충분히 발전되고 안정화된 이후에 제2의 개성공단 개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개성공단이 중장기적으로 확대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통합형 모델과 국제화를 동시에 추진하는 한편, 개성공단 제품의 한국산 인정 노력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개성공단의 발전적 재개를 위해서는 노동집약 제조업 중심의 공단에서 점차 2∼3단계로 확장해 나가면서 첨단·고부가가치 상품 생산과 관광·상업·물류 등이 함께 발전해 나가는 ‘통합형 개성공업지구’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이를...

      • KCI등재

        SDGs 관점에서 개성공단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개성공단의 성과와 한계를 중심으로

        진윤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2 유라시아연구 Vol.19 No.2

        This paper studies an evaluation and revitalization strategy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rom the perspective of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the SDGs of North Korea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ocusing on the fact that North Korea has the will and effort to implement the SDG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s of North Korea’s SDGs is found to be poor in economy and society other than the environment compared to China and Vietnam, which are economy transition countr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from the perspective of SDGs, the increasing produ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contribute to the economic and social of the SDGs in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financial system and the use of eco-friendly energy sources are limitations.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of North Korea’s SDGs and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strategy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s presented by dividing it into long-run and short-run. Each period is divided into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In the short run, the strategy is drawn up to restart and normaliz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the long-run, based on the short-run performances, the goal is to contribute to all of the SDGs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plan to strengthen North Korea’s SDGs capacity throug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o expand and revitaliz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 KCI등재

        개성공단에서의 협력 거버넌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의 정착과 남북협력의 구조화 과정을 중심으로 -

        홍승표,김유훈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2

        본 글은 개성공단에 대한 지금까지의 논의의 틀에서 벗어나 개성공단이라는 공간을 미시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성공단에서 만들어진 남북 최초 거버넌스로서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의 설립과정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미래 남북관계와 협력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는 개성공단을 관리하기 위해 남북이 함께 만든 거버넌스로서 공식적인 역할을 부여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설립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쳤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는 남북협력과 합의의 중심기관으로 역할 하는 동시에 각종 합의 과정과 경험을 누적시키고 전파하면서 남북 통합경험을 가진 특수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다양한 채널의 협력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이해관계가 점차복잡해졌던 개성공단에서의 협력에 중요한 역할을 지속할 수 있었다. 개성공업지구관리위원회가 개성에서 기능했던 거버넌스의 협력적 역할은 미래 남북관계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며, 향후 남북협력이 순조롭게 연착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present a microscopic view of the space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way from the framework of the discussion so far. As the first inter-Korean governance was created a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is paper focused on the establish process and the role of the Kaesong Industrial District Management Committee, aiming to give implications for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and cooperation. Although the Kaesong Industrial District Management Committee was given an official role as a governance created by the two Koreas to manag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t went through many trials and errors in the establishment process. The Kaesong Industrial District Management Committee served as the central organization for inter-Korean cooperation and agreement, accumulating and disseminating various agreements processes and experiences,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for various channels. Based on this, it was able to continu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operation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here interests have become increasingly complex. The cooperative role of governance, which served in Kaesong by the Kaesong Industrial District Management Committee, show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and is expected to help inter-Korean cooperation smoothly settle in the future.

      • KCI등재

        개성공단 재개의 효과 및 소요자금 추산에 관한 연구

        조봉현,송재국,정일영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22 국가안보와 전략 Vol.22 No.1

        This paper’s aim is to re-evaluate the meaning of the resumption of the complex by diagnos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Kaesong complex and estimating the expected economic effects and necessary funds if the Kaesong complex resumes. This paper estimate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rough a production function model and quantified the economic benefi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rough labor and capital production factors adjustment. In addition, a survey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conducted on the costs of replacing, operating funds, and purchasing raw materials required to restart the complex to estimate the demand for funds needed to resume the complex. According to the analysis, South Korea's economic profit from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otals 22.2 trillion won over five years, and job creation totals 193,000 over five years, with North Korea's economic profit totaling 4.5 trillion won over five years and job creation totaling 364,000 over five years. In addition, 4.3 billion won (a total of 638.1 billion won) was needed for the resump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assuming 100% of the economic cooperation insurance paid so far, the total amount of the initial necessary funds was 1.2 trillion won. 이 연구는 중소기업의 대북진출 사업이라 할 수 있는 개성공단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개성공단이 재개될 경우 예상되는 경제적 효과와 필요자금을 추정함으로써 공단 재개의 의미를 재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중단된 개성공단 재개 후 5년 동안의 경제효과를 생산함수 모형을 통해 추산해보고 경제적 이득을 정량화하였다. 개성공단이 주는 경제적 이득이 한국, 북한 국가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 노동, 자본 생산요소 조정을 통해 추산한 것이 핵심이다. 또한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공단 재가동 시 필요한 시설 교체, 운전자금, 원자재 구입 비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성공단 재개 시 필요한 자금수요를 추산하였다. 분석결과 개성공단의 재개에 따른 한국의 경제적 이익은 5년간 총 22조2,650억 원, 일자리 창출(간접적 고용유발 효과)은 5년간 총 9만 5천여 명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의 경제적 이익은 5년간 총 4조 5,800억 원, 일자리 창출은 5년간 총 36만 4천여 명으로 파악됐다. 또한 개성공단 재개 시 업체 당43.5억 원(총액 6,381억 원)의 초기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금까지 지급된 경협보험금을 100% 반환한다고 가정하면 초기 필요자금의 총액은 1조 2,214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개성공단 재개 목적으로 남북협력기금 추가 예산 투입 규모를 산정할 경우에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개성공단 운영이 개성시 공간과 일상에 미친 영향 분석: 위성자료와 심층인터뷰 혼합연구

        이시효 한국공간환경학회 2024 공간과 사회 Vol.34 No.2

        이 연구는 개성공단의 운영이 개성시 도시공간과 개성시 주민의 일상과 의식에 영향을주었는지를 밝히고 있다. 연구방법은 위성자료인 야간조도(2002~2022)와 건물밀도(2000~ 2020)를 추출해 개성공단 운영 전후 추이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개성시 관련 5명의 북한이탈주민과 심층인터뷰 질적연구를 진행했다. 논의 과정에서는 공간변화의 양적 결과를 심층인터뷰를 통해 교차검증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개성공단 운영은 개성시 경제 상황과 일상에 영향을 미쳤지만, 도시의 물리적 건설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것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이 개성시 건설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이유는 도시건설이 경제적 상황보다는 당 정책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자료가 절대적으로부족하고 현장 접근이 불가능한 북한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시도이다. 이 연구가 시도한 북한의 특정 도시에 대한 공간의 일상적 접근, 위성자료의 추출과 분석, 양적자료와 질적자료의 혼합연구는 향후 실증적 북한 연구 분야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s affected the ‘urban space of Kaesong’ and the ‘daily life and consciousness of Kaesong resident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to quantitatively analyze trends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by extracting satellite data on Night Time Illumination (2002~2022) and Building Density (2000~2020), and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North Korean defectors related to Kaesong City. In the discussion process, the study utilized a mixed-methods research approach in which the quantitative results of spatial change were cross-validated with in-depth interview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operation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has affected the economic situation and daily life in the city of Kaesong, but has no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hysical construction of the city. The lack of impact on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was due to the marginalization of Kaesong in party-centered urban policies.

      • KCI등재

        한반도 평화 회복을 위한 국가전략: 개성공단 사업을 중심으로

        양문수 세종연구소 2013 국가전략 Vol.19 No.2

        Under the guideline of exploring a national strategy to restor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discussion of exploring appropriat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trategy with a focus on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egan 25 years ago and Kaesong Industrial Complex was the only successful economic cooperation model. This economic project provided reciprocal and win-win benefits for both North and South Korea. In addition, KIC possessed important political and social implications: 1) to improve and develop inter-Korean relations; 2) promote North Korea's reform and opening up, 3) ease military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4) improve the North Korean people’s perceptions of South Korea. Nonetheless, KIC is now placed under 'temporary closure.' North Korea restricted transport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and withdrew all of North Korean workers from the complex, resulting in remaining South Korean workers to completely vacate. The operation of KIC came to a complete halt only after 9 years and the future of inter-Korean relations looks ever more bleak. However, it is a provisional closure and not a complete shut down. North and South Korean authorities alike are cautious in mentioning the complete closure of the complex. Therefore, actions that may worsen the situation must be avoided. Instead, efforts to continue the string of dialogue between the two Koreas must be promoted through small-scale contacts. Complete closure of the KIC must be prevented and efforts to attract national interest and commitment to normalize the KIC must be promoted. The current dilemma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goes beyond the complex as it has a greater political association and dimensions related to inter-Korean . Therefore, efforts to resolve the current dilemma must be approached in terms of improving relations.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creating a reconciliation mood as a starting poi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humanitarian aid. 이 글은 한반도 평화 회복을 위한 국가전략의 모색이라는 큰 방향성 하에서 개성공단사업에 초점을 맞추어 바람직한 남북경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개성공단 사업은 남북경협 25년의 역사에 있어서 유일한 성공 모델이라는 의미가 있다. 남과 북 모두가 이득을 보게 되는, 말 그대로 상생(win-win)이자 호혜적인 경제프로젝트이다. 개성공단 사업은 또한 △남북관계를 개선· 발전시키고, △북한의 개혁 개방을 촉진시키고,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북한주민들의 대남 인식을 개선하는 등 정치사회적 의미도 작지 않다. 이러한 개성공단이 이제 ‘잠정 폐쇄’ 상태에 들어갔다. 북측의 통행 제한 조치와 북측 근로자 전원 철수, 그리고 남측 인력 전원 철수로 모든 공장의 가동은 중단되었다. 개성공단에서 우리 기업들이 공장을 가동한지 9년 만의 일이다. 남북관계의 마지막 보루인 개성공단의 ‘잠정 폐쇄’로 남북관계는 이제 암흑시대로 접어들었다. 물론 상황이 완전히 종료된 것은 아니다. 아직은 완전 폐쇄된 것이 아니고 남북한 당국 모두 ‘완전 폐쇄’를 거론하는 것은 부담스러워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최소한 개성공단 자체에 대해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치는 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개성공단과 관련해 남북간 작은 접촉을 통해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이어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개성공단의 완전 폐쇄를 막고, 공단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국민적 관심과 의지를 모으는 노력 또한 필요하다. 현재 국면에서 개성공단 문제는 개성공단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남북관계 차원의 문제라는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문제를 풀기 위한 노력도 남북관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문제를 풀어가기 위한 출발점으로 인도적 지원의 실시를 통한 남북 화해 무드 조성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통일경제특구 조성과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안 연구:

        심민석(Sim, Min-seok) 한국부동산법학회 2018 不動産法學 Vol.22 No.1

        현재 제20대 국회 내에 계류 중인 김현미, 김성원, 홍철호 의원이 발의한 통일경제특구법률안은 개성공업지구와 연계할 남한 내의 북한과의 접경지역에 산업단지를 조성하여 각종의 규제를 완화하고 기업의 경제활동의 자율성과 투자유인을 최대한 보장하여 남북한 간의 경제적 이윤과 협력을 활성화함으로써 남북한 간의 평화로운 경제 지대를 구축하고, 향후 평화통일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특별경제구역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입법안들은 남북한 간의 경제협력과 평화통일을 구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입법안들이므로 문제가 될 수 있는 쟁점들을 미리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동 논문에서는 현행 「경제자유구역특별법」과 입법안들을 상호 비교하여 검토해 보았으며, 전면중단되어 있는 개성공업지구 재가동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간략하게 정리해 보면, 첫째는 통일경제특구에 관한 사무수행을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통일경제특별구역위원회를 설립하고, 실무적인 행정부서를 통일부 내에 설립하며, 통일경제특별구역의 지방행정을 담당할 수 있는 지방행정기관을 설립하는 것이다. 둘째는 현행 국토관리계획체계 순위에 부합하도록 통일경제특 구법안도 「경제자유구역특별법」 제3조와 같이 동일하게 규정하여야 한다. 셋째는 문화재보존대책에 관한 사항을 입법해야 한다. 넷째는 「접경지역 지원 특별법」에 ‘접경지역’이라는 용어를 정의하고 있으므로 ‘북한 인접지역’이라는 용어보다는 ‘접경지역’으로 입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는 흡수통일의 이미지를 줄 수 있는 ‘평화통일경제특별구역’, ‘통일경제특별구역’, ‘남북통일경제특별구역’이라는 명칭보다는 경제협력의 이미지를 강하게 줄 수 있는 ‘남북경제협력특별구역(가칭)’으 로 명칭을 변경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성공단을 재가동하기 위해서는 개성공단에서 이루어지는 남북한 간의 상업적 거래는 북한의 핵무기개발과 대륙간탄도미사일개발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고, 열악한 북한 주민들의 생활비용에 기여하기 위한 것임을 국제사회에 투명하게 관철시키고, 남북한 간의 평화와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교두보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과 북한의 사회경제 시스템의 변화를 일으키기 위한 불가피한 행위임을 국제사회에 호소하여 설득시켜 사전에 유엔 안보리의 승 인을 받아 개성공단이 재가동될 수 있도록 정치・외교적으로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The bill for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initiated by Hyun-mi Kim, Seong-won Kim, and Cheol-won Hong, is currently pending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bill aims to create an industrial complex in the border area of North Korea in the South that will be linked to Kaesong Industrial Zone. The bill is aimed at mitigating various regulations, assuring autonomy and investment incentives for economic activities, promoting economic profits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creating a peaceful economic zon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refore, these bills are very important for establishing economic cooperation and peaceful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ssues that may be problematic in advanc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Special Act on Free Economic Zones 」 and the legislation,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start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hich has been shut down. To summarize this briefly, the first is to establish a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committee under the Prime Minister for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Economic Zone, to establish a practical administrative department i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o establish a local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Second, the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bill」 should be stipulated in the same way as Article 3 of the 「Special Act on Free Economic Zones」 in order to comply with the ranking of the national land management planning system of the current law. Third, provisions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should be stipulated in the 「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bill」. Fourth, since the term “bordering area” is defined in the 「BORDER AREA SUPPORT ACT」, it is desirable to legislate as “bordering area” rather than “North Korea s neighboring area”. Fifth, since the name of Special Economic Zone for Peaceful Unification ,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 and North and South Korea Unification Special Economic Zone can give an image of absorption unification, it is better to change the name to “Special Economic Zone for Economic Co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tentative name).” In order to restart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persua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commercial transac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re not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 s nuclear weapons and the development of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s, but to contribute to the living costs of the poor North Koreans. The second is to play a role as a bridgehead for achieving peace and unific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third is an inevitable act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North Korean social and economic system. In this wa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a lot of political and diplomatic efforts to obtain the prior approval from the UN Security Council for the restart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 KCI등재

        개성공단 신발전용단지 활용 전략에 관한 연구: SWOT-AHP 방법으로

        장도규(Dogyu Jang),천동필(Dongphil Chun)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북측 경제특구인 개성공단을 활용한 신발전용단지 조성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는 남북 상생협력모델을 통해 한국 신발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가치를 모색하는 정책제안이다. SWOT-AHP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신발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개성공단 신발전용단지 활용 전략을 수립하고자한다. 국내 신발산업이 직면한 산업구조적인 문제들을 남북협력의 가능성 측면에서 극복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결과로 ’SO 전략’은 남북의 신발클러스터를 통한 남북협력 K-슈벨트 구축 제안이다. ’WO 전략’은 개성공단 신발전용단지의 국제화 전략이다. ’ST 전략’은 대북제재 해소를 위한 신발전용단지 조성의 유연한 거버넌스 활용이다. ’WT 전략’은 개성공단 재개를 위한 남북의 신발산업이 평화경제 인식의 패러다임 전환이다. This study proposes to secur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creating a footwear-only district utilizing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 special economic zone in the North Korea. This is a policy proposal to explore strategic values for revitalizing the Korean footwear industry through a win-win cooperation model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With SWOT-AHP analysis method, we are planning to establish a strategy to utilize the footwear-only complex in Kaesong Industrial Complex for sustainability of the footwear industry. It presents a direction to overcome the industrial structural problems that the domestic footwear industry is facing with the aspect of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O strategy’ is a proposal to establish inter-Korea cooperation K-shoe belt through footwear clusters in the two Koreas. The ‘WO strategy’ is a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of the Kaesong footwear-only complex. The ’ST strategy’ is the use of flexible governance in the creation of a footwear-only complex for the relief o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WT strategy’ is a paradigm shift in the perception of the peace economy in the footwear industry of inter-Korea for the re-opening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 KCI등재

        남북경제협력 재개 시 개성지역 A합영회사 활성화 방안

        김진목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covered b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to the case of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in the Kaesong area and examine ways to revitalize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whe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resumes.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North Korean and domestic literature research. It also uses Internet data. After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of an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the main principles to be observed in the equity joint venture presented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are applied to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And, whe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resumes in the future, we will seek ways to revitalize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in connection wit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can benefit from its connection with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in terms of industrial infrastructure, transportation, and access. Unlike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llows for direct participation by North Korea in management. Therefore, it can serve as a good example of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re is a need to relax various restrictions on equity joint venture enterprise A, which utilizes the entry procedure for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compared to non-border areas such as Pyongyang.

      • KCI등재후보

        북한 개발 모델의 성공조건에 관한 시론: 개성공단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김영근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Korea trade(economic) policy for North Korea(DPRK) developm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model of the Kaesong North-South Korean Industrial Complex. First I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he role, purposes, and resul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and examine North-South Korean interests and policy options. The complex was planned, developed, and financed largely by South Korea, and it has become a symbol of the growing level of engagement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The KIC is one of the strategies of South Korea to ease tensions with North Korea as well as a part of the DPRK’s economic reforms(similar to China’s special economic zones). As a question pending on KIC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KIC raises issues of the infrastructure(administrative system or rule-making, law, transportation etc.), working conditions, EAR(Export Administration Regulation), human rights in North Korea, and that includes questionable labor practices, even though the project seems to be enhancing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DPRK, lowering labor costs for Korean businesses, and providing a possible beachhead for market reforms in the DPRK.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 will show the purpose and operations research of this paper. In chapter II, I overview the development of KIC and check the present condition of KIC. In chapter III, I investigated 24 companie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ith surveys and interviews. The impediment factor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 derived a model(plan) to revitalize the North-Korea's sagging economy or develop the North-Korea. In chapter Ⅳ, I examine the prior condition and draft possible solutions of the development of KIC through experimental case study. In conclusion, chapter V brings to a conclusion on Korea's policy options for North-Korean development model. 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 개발 모델의 성공조건을 점검하는 데 있다. 특히 대표적인 남북 협력 사업 중의 하나인 개성공단 개발을 사례로 들어 주요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그간의 성과와 향후 개선 방안을 점검함으로써 북한 개발 모델의 성공조건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우선 개성공단 사업 진출 배경 및 경영 현황, 사업의 저해 요인 및 개선 방안, 향후 계획 등에 관해 살펴보고, 정책과제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개성공단 진출 기업 24개社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병행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성공단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해서 분석하고 한계를 지적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I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제Ⅱ장에서는 개성공단 사업의 개요 및 중요성을 재점검하고 있다. 제III장에서는 방문인터뷰 및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개성공단의 장애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제Ⅳ장에서는 개성공단 활성화를 위한 보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북한 개발 모델의 성공조건을 점검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