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1972년 대미 데탕트: 배경, 전략, 역사적 함의

        이동률 세종연구소 2014 국가전략 Vol.20 No.3

        중국에게 1972년 데탕트는 소련으로부터 제기되는 안보위협을 상쇄하고, 국제적 고립상태에서 탈피하는 것은 물론이고 국내에서 문혁의 혼란을 극복하는 과정이었다. 중국은 미국과 협상과정에서 베트남, 북한, 일본 등 다양한 지역문제를 제기하고 민족해방, 인민혁명, 패권주의와 강권정치 반대 등 이념적 원칙을 상대적으로 강조했다. 그럼에도 협상 결과를 놓고 볼 때, 중국의 최대 관심과 실리는 미국과의 관계개선, 그리고 이를 통한 국제적 고립 탈피와 안보 확보에 있었다. 중국이 다양한 지역 문제를 제기하고 이념적 원칙을 고집했던 것은 ‘제국주의 미국’과 관계개선의 명분과 정당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국내외에 야기될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전략적 의도 때문이었다. 중국은 2012년 이른바 ‘신형대국관계’ 라는 새로운 데탕트를 미국에 제안했다. 1972년과 2012년의 가장 현저한 차이는 중국의 국력과 국제적 위상, 그리고 안보 인식이다. 중국은 이제 더 이상 안보위협 때문에 적과의 데탕트라는 전략적 선택을 고민할 필요가 없을 정도의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1972년은 미국이 주도권을 쥐고 데탕트를 진행했다면 2012년의 데탕트는 중국이 부상 환경 조성을 위해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제안한 것이다. 중국의 새로운 데탕트 제의가 40년 전과 같은 충격적인 새로운 국면을 조성하지도 않겠지만 동시에 1972년 처럼 현재 양국이 동시에 직면하고 있는 내부 불안정을 돌파하기 위한 제한적 범위와 영역에서의 협조체제는 유지해갈 가능성을 제시한다. Chinese leaders decided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o offset a security threats from the Soviet Union, after Sino-Soviet border conflict broke out in 1969. They also have expected that the rapprochement with the United States would help it to break away from international isolation of it and to overcome the confusion of the Cultural Revolution(文革). China has raised a variety of regional issues, including Vietnam, North Korea, Japan, and also emphasized the ideological principles such as national liberation, people's revolution, and anti-hegemony in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t was because of the strategic intent to minimize the impact that may be caused to the domestic and overseas and to ensure the justification of rapprochement with "American imperialism".

      • KCI등재

        21세기 미중일 관계의 전망: 역사적 유추(historical analogy)의 두 관점

        신욱희 세종연구소 2013 국가전략 Vol.19 No.4

        이 논문은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 사이의 삼자관계가 미래의 세계정치와 아시아 정치에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라는 전제 아래서 20세기 미국의 대 중국, 대 일본 정책 수행의 두 사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그를 바탕으로 21세기의 미중일 관계를 전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 사용되는 논의의 틀은 역사적 유추인데, 이는 국제정치학과 역사학을 연계하는 방법론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논문의 전반부는 먼저 역사적 유추의 두 입장을 소개한 후, 식민주의 시기와 냉전기의 미중일 관계의 전개 양상을 검토한다. 후반부에서는 전반부의 논의를 바탕으로 21세기의 미중일 관계에 있어 반복적 유형의 등장을 예상하는 입장과 차별적인 유형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입장을 대비해 보고자 하였다. Tr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China and Japan will be a key component of both world and Asian politics in the future. This article attempts to forecast 21st Century US-Sino-Japanese relation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wo historical cases from the 20th Century. The framework for this analysis is that of historical analogy, which provides a linkage between the disciplin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history. The article has two main parts. The first introduces the two perspectives of historical analogy, and looks through the developing processes of the trilateral relations in the colonial and Cold War period. The second examines the ongoing situation of the relations, comparing the position that predicts the emergence of a recurrent pattern and the position tha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different pattern in the 21st Century. E. H. Carr's thesis on "What is history?" is used as a reference for this comparison.

      • KCI등재

        대북 인도적 지원정책의 집행실패요인 분석: 정책결정과 정책집행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이광훈,김권식 세종연구소 2008 국가전략 Vol.14 No.4

        In spite of continued international society's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since 1995, the humanitarian crisis of North Korean people still remains precariou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cause of this policy implementation failure and to provide an implication for desirable unification policy in the near future. The analytical model of this study includes 4 sets of policy implementation factors(policy target group, policy instruments, implementation participants,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3 sets of policy-making factors(policy goal, policy-making participants, policy-making structure) and 3 sets of linkage factors(causalty between policy goal and instrument, mutual adaptation between policy decision-makers and implementators, policy shareness between policy-making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structure) These all factors determine if a policy implementation succeeds or fails. Resulting from failure of substantial institutionalization of Governance,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blems of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 are as follows: mass death by starvation, chronic food shortage and aggravated health status. To sum up,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failure of monitoring caused by policy non-compliance of North Korean authorities. Second, irrelevancy of regulatory and incentive policy instruments. Third, relief NGOs' difficulty in fund-raising and lack of specialty. Fourth, inefficient implementation system without network organization. These 4 determinants in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originate from 3 policy decision-making factors. First, in terms of policy contents: unclear goal setting, collision of agents' goals, contradi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goals. Second, in terms of policy participants: conflict by policy-making participants divided into 2 policy advocacy coalition. Third, in terms of policy structure: closed unification policy network structure of policy decision-making. Finally, we find 3 linkage such factors as uncausalty between goals and instruments, mutual maladaptation between decision-makers and implementators, deficiency of policy networking in policy structure. 본 연구는 대북 인도적 지원정책 집행실패의 요인을 정책집행과 정책결정간의 연계성이라는 맥락에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Winter의 통합모형을 근간으로 재구성한 정책집행-정책결정 연계성 모형을 통해 정책집행과 정책결정의 상호관련성을 조명함으로써 집행실패의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기존의 대북정책집행관련 연구들은 거시적인 이론적 조망에 기반한 것이거나 혹은 이론적 기초가 빈약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단지 실제 정책집행에 활용하기 위한 실태 분석 및 개선책 도출의 단계를 넘어 분석적·이론적인 틀에 기초하여 문제의 원인을 학술적·체계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1995년 이후 노무현 정부에 이르는 우리나라의 대북 인도적 지원정책이다. 분석결과 대북 인도적 지원 정책의 집행실패는 정책결정-집행 거버넌스의 실질적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잠정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정책집행이론적 분석틀은 실제 정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책문제들과 집행 실패 상황의 요인을 중층적 차원에서 다각도로 규명할 수 있게 해주며 동시에 집행현장과 괴리된 탁상공론을 지양하고 현장의 맥락에서 정책 상황을 진단하여 보다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탐색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미 의회 의원들의 중국 견제 법안 투표행태 분석

        이종곤 세종연구소 2023 국가전략 Vol.29 No.2

        Since the 2010s, China has grown rapidly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and the US government has begun enacting various policies to check China in the 117th and 118th Congresses. As many bills to check China were passed in Congress, it has been believed that U.S. lawmakers have been actively cooperating to contain China as a concrete team. In reality, however, there are internal divisions within the Republican Party and the Democratic Party in establishing policies to check China. In the Republican Party, lawmakers with far-right ideologies or the members of the House Freedom Caucus tended to oppose using government budgets to contain China. Even in the Democratic Party, far-left lawmakers and the members of the Congressional Progressive Coalition often voted against measures that heavily contain China. However, unlike the Republican Party, some Democratic Party legislators showed opposition to the bill to contain China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identities 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ir districts. 2010년대 이후 중국이 정치・경제적으로 급성장하면서 미국의 민주당과 공화당은 초당적으로 다양한 중국 견제 정책들을 입법하였다. 특히 117대, 118대 의회에 걸쳐 안보, 신장-위구르 지역의 인권, 코로나19 책임 소재 등을 다룬 법안들이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표결을 통해 입법되곤 하였다. 하지만 모든 중국 견제 법안들에 대해 미 의회 의원들이 만장일치로 찬성표를 던진 것은 아니다. 공화당에서는 중국 견제를 위해 많은 정부지출을 상정한 법안들에 대한 내부 분열이 이념과 계파 차원에서 나타났다. 특히 강한 보수 이념을 지닌 의원들, 극우적인 프리덤 코커스 계파에 소속된 의원들이 중국 견제 법안에 주로 반대표를 던졌다. 민주당에서는 진보 성향이 강한 의원들과 의회진보연합 계파 의원들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견제가 신냉전과 아시안계 미국인들에 대한 혐오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중국특위 설립 등의 의제에 반대 하였다. 또한, 민주당에서는 (이념과 계파 이외에도) 의원들의 정치적 특징과 지역구 특성 등의 변수들이 중국 견제 법안에 대한 투표행태에 영향을 주었다.

      • KCI등재

        지역주의극복을 위한 선거제도 개편방안: 독일식 정당명부제를 중심으로

        김종갑 세종연구소 2006 국가전략 Vol.12 No.1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have been elected through a direct voting since the 17th General Ele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double ballot system, and the systematic reform of distributing the proportional seats at the National Assembly based on the vote acquisition rate of political parties rather than the vote acquisition rate by each region as done in the past has also been achieved. However, provision of the reform measure for a more fundamental system has been raised as the key pending issue since improvement of a regional vote convergence caused by regionalism even under the changed election system is beginning to show the limit. The Germany's PR system that harmonized representativeness and proportionality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as an alternative model of the present election system. However, the issue concerning the 'loss of directly-elected seats' and 'system immanent' contradictions, such as the 'negative Stimmgewicht', have been discovered, and the effects of overcoming the regionalism have also been analyzed as being little compared with the 'uniform allocation PR'. Although a criticism of a uniform allocation PR being intentiona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portional seat allocation method and violating the principle of a direct voting has been raised, its systematic purpose bears the priority value for preventing a regional monopoly by a specific political party through enhancing regional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thus, it seems to be appropriate as a reform plan. In addition, in order to add the systematic effects of such uniform allocation PR, it should be linked with the 'city-rural combined electoral district system'. 17대 총선부터 1인 2표제의 도입으로 비례의석을 직접투표로 선출하게 되었으며, 비례의석 배분에서도 종전의 지역구득표율이 아닌 정당득표율로 배분하는 제도적 개혁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변화된 선거제도 하에서도 지역주의로 인한 투표의 지역집중현상을 개선하는데 한계를 노정하고 있어 보다 근본적인 제도개편책의 마련이 정치권의 핵심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선거제도의 대안적 모델로서 대표성과 비례성을 조화시킨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독일식 정당명부제는 '직선의석상실'의 문제, '부정적 득표비중'(negative Stimmgewicht)현상 등과 같은 모순점들을 내재하고 있으며, 지역주의의 극복효과 또한 일률배분식 비례대표제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률배분식이 비례의석 배분방식에 있어서 작위적이며 직접투표의 원칙에 위배된다는 비판이 제기되지만, 정당의 ‘지역대표성’(regional representativeness)을 제고하여 특정정당의 지역독점을 막기 위한 제도적 취지가 우선적 가치를 지니므로 개편안으로서 타당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일률배분식의 제도적 효과를 배가하기 위해서는 도농복합 선거구제와의 결합이 요구된다.

      • KCI등재

        중국 노동계급의 형성과 분절

        장윤미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4

        This article intends to investigate how labour class in China has formulated, and to analyse the identity of Chinese labour class, which is currently undergoing a simultaneous process of disintegration and integration. In the past, the political institution and party-state power restrained and distorted the identity of Chinese labour class. The class consciousness of Chinese labour class, which was fragmented by Danwei system, was also worsened by the intervention of authoritative party-state power and the combination of local bureaucrats and private capital in the reform periods. In the process of marketization reform based on mutual contract relationship, however, the Chinese labour class has enabled class disintegration and reintegration based on social changes. In particular, there have been the meaningful changes in group identity and class consciousness in Chinese society in the 1990s. 이 글은 중국 노동계급 형성의 역사적 과정을 고찰하며 분화와 통합의 동시적 과정을 겪고 있는 중국 노동계급의 현실과 정체성을 분석하고 있다. 중국의 정치제도와 국가권력은 오랫동안 중국 노동계급의 정체성 발달을 억제하고 왜곡해 왔다. 폐쇄적 구조를 갖는 단위 제도에 의해 서로 단절되었던 중국 노동계급의 계급 의식은 시장화 개혁 이후에도 권위주의적인 국가권력의 개입과 지역 관료 계층과 사적 자본의 담합에 의해 좌절되거나 유보된다. 그러나 계약관계를 기초로 하는 시장화 개혁 과정 속에서 중국 노동계급은 점차 실질적인 사회적 관계에 기초하여 계급적 분화와 재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중국 노동자들의 집단적 정체성과 계급의식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