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대한 대상관계 미술치료 사례연구

        이해정,정재원,임지향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에 거주하는 10세, 다문화가정 아동으로 2020년 9월 5일부터 2020년 11월 4일까지 주 2회 50분씩 20회기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전검사는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전 2020년 9월 2일에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는 프로그램 종료 후 2020년 11월 11일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자기효능감 변화는 자기효능감 척도와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KHTP)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고, 또래관계 변화는 또래관계 척도와 동적 학교생활화(KSD)검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매회기 진행에 대해 회기별 관찰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질적 분석하였다. 첫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와 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대상관계 미술치료를 통하여 대상자는 자기효능감이 증진되고 또래관계가 원활해졌다. K-HTP 그림검사에서 Maslow의 발달적 모델 3단계에서 4단계로 성장하는 변화가 나타났고, KSD 그림검사에서는 친구와 함께 활동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로 인해 잘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고 성취하여 자신감을 가졌으며, 또래관계가 증진되는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관계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bject-related art 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2020, to November 4, 2020, encompassing 20 sessions of 50 minutes each, held twice a week. A pre-test was administered on September 2, 2020, before the program commenced,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on November 11, 2020, after program completion. The changes in self-efficacy of the subject were assessed using the self-efficacy scale and KHTP, while changes in peer relationships were examined using the peer relationships scale and KSD. Additionally,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session, examining the subject's self-efficacy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peer relationships through observation she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of the child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Second,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relationships of the child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Third, positiv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on self-efficacy and peer relationships of the child from the multicultural family were examined by session and step. In conclusion, the subject's self-efficacy was improved,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were smoothed through object-related art therapy. In the KHTP picture test, the subject showed a change in growth from the third stage to the fourth stage of Maslow's developmental model, and in the KSD picture test, the change of the subject from being alone to being with peers appeared. In conclusion, they gained confidence by challenging themself with new tasks with the belief that they can do well and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peer relationships.

      •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의제와 시사점

        이해정,이용화,천용찬,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2017 이슈리포트 Vol.2017 No.16

        ■ 개 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정상회담으로서 한미정상회담이 6월 29일부터 30일까지 개최되며 최근 현안에 대한 논의가 예상된다. 이에 이번 정상회담의 주요 쟁점 의제를 예상해보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한미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북핵 문제) 2002년 북한이 농축우라늄 개발 계획을 시인하면서 본격화된 북핵 위기이후 한미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다루어졌다. 최근에도 지속된 핵실험 및 미사일시험 발사를 통해 북한은 핵개발의 고도화를 모색했다. 북핵 문제는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서도 핵심 현안으로 다뤄질 것이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한미동맹의 발전을 위한 협력 방향,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정책 공조 및 국제공조 강화, 한반도 평화실현을 위한 의견 교환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사드 배치) 사드 배치에 대해 한국은 반입 과정에 대한 진상 조사 및 환경영향평가가 우선이라는 입장인 반면, 미국은 조속한 배치 및 실전 운용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한미동맹의 틀을 깨지 않으면서도 사드 배치 및 방위비 분담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속한 배치를 주장하는 미국의 요구에 대해 우리나라는 사드배치 철회보다는 배치 시기 및 절차에 대한 입장을 전달하고 군사적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에 대한 한미간 공감대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한미FTA 재협상) 트럼프 정부의 공정무역 및 보호무역 강조 기조, 고위 관료들의 언급 등 한미FTA 재협상을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 이번 회담에서는 한미 교역으로 인한 상호 이익 및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한편 미국측은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의 한미FTA 업그레이드 필요성을 제기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자동차 및 서비스 시장 추가 개방이 언급될 가능성이 있다. ■ 시사점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양국 모두 새로운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처음으로 만나 향후 4~5년간 한미관계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회담인 만큼 양국 정상간의 돈독한 유대관계를 형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최근 첨예한 이슈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해법을 찾기를 기대하는 한편, 향후 논란 재발 가능성에 대비한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첫째, 굳건한 한미동맹의 재확인을 통해 외교적 신뢰를 회복하고 한미간 상호 호혜적이며 동반자적인 협력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북핵논의에서 한국이 소외되는 `코리아 패싱` 우려를 불식하고, 동북아 역내에서 한국의 입지를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정상회담에서 제기된 민감한 이슈에 대해 확고하고도 투명한 정책 방향을 설정하여 외교적 신뢰감을 높이고 한반도 내에서의 미국과 중국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리더십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통상 전략을 재점검하고 협상테이블의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 민간 모두 다방면에서 미국측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한미 FTA의 효용성에 대해 미국 소비자 대상의 홍보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KCI등재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수면장애, 신체활동 및 건강관련 삶의 질

        이해정,임연정,정희영,박혜경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sleep disturbanc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design used pretest dataset of COPD symptom management intervention study (N=245). Measures included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COPD and asthma sleep impact scale, and the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of HRQO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imultaneous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WIN 18.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SD) of HRQOL and sleep disturbance were 36.04 (19.43) and 14.33 (6.20),respectively. About 32% of participants were physically inactive. The multivariate approach showed the patients who have more sleep disturbance (β=.27), lower levels of FEV1 % predicted (β=-.23),lower physical activities (β=-.19), lower household income (β=-.16), and diagnosed longer than 5years (β=.14) reported lower HRQOL (R2=.34).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mproving the quality of sleep and physical activities can be efficient strategies for HRQOL in patients with COPD. Future research in enhancing HRQOL through improving sleep quality and physical activities is needed. 목적: 본 연구는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환자의 신체활동, 수면장애,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검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COPD 환자의 증상관리중재연구의 사전 조사 자료를 이용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성 조지 호흡기계 설문지, 국제신체활동 설문지, 만성폐쇄성 폐질환과 천식의 수면영향 설문지를 이용하여 6개의 병원에서 자료수집이 이루어 졌으며, 총 245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의 신체활동, 수면장애,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및 연구 개념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술적 통계, ANOVA, Pearson 상관분석, 회귀분석이 SPSS WIN 18.0 프로그램을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대상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수면장애의 평균(표준편차)은 각각 36.04(19.43)과14.33(6.20)이었다. 대상자의 32%가 비활동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적 접근에서 수면장애가 심하고(β=.27), FEV1 % predicted가 낮고(β=-.23), 신체활동량이 적고(β=-.19), 가정의 총수입이 낮고(β=-.16), COPD 진단을 받은 지 5년 이상(β=.14)이 된 대상자들에게서 유의하게 삶의 질이 낮았다(R2=.34). 결론: 본 연구결과는COPD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방안으로 수면의 질 향상과 신체활동량 증진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제시하며 이들 중재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이 추후 필요하다 하겠다

      • SSCISCIESCOPUSKCI등재

        노인대상자를 돌보는 비전문 간호제공자의 대응기전과 건강반응 예측요인

        이해정,송라윤,Lee, Hae-Jung,Song, Rha-Yun 한국간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 No.4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140 informal caregivers who provided care to the older adults(over 60 years of age) in Great Cleveland, USA. Self-rated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collect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coping strategies most frequently utilized by informal caregivers of older adults and to examine predictors of the caregivers' health responses to the caregiving situation applying Lazarus and Folkman stress model(1984).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predictors among caregivers' demographic-socio-economic factors, older adult's dependency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s), caregiver's appraisal to the caregiving situation, and coping strategies. Informal caregivers (N=140) included in the study utilized help-seeking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ies more than self-blame and minimization of threat coping strategies. Caregivers' responses to the caregiving situation were observed by caregivers' perceived physical heal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For perceived physical health, threat appraisal, older adult's dependency on ADLs, existential growth coping strategy, and monthly income accounted for 25% of the variance. Caregivers who appraised the caregiving situation as more threatening, reported higher dependency on ADLs, used more existential growth coping strategy, and had higher monthly income reported better physical health. For depression, threat appraisal, stress appraisal, existential growth coping strategy, self-blame coping strategy, and monthly income accounted for 48% of the variance. Caregivers who used more existential growth coping and less self-blame coping, appraised the situation as less threatening, less stressful, and had higher monthly income reported less depression. For life satisfaction, self-blame coping, existential growth coping, monthly income, stress appraisal accounted for 49% of the variance. Caregivers who used more existential growth coping, less self-blame coping, less stress appraisal, lower monthly income reported better life satisfaction. In conclusion, informal caregivers in this study utilized positive coping strategies such as problem-focused, existential growth, help-seeking, rather than negative coping strategies including self-blame. When they utilized positive coping strategies more often, caregivers experienced higher perceived physical health,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lower depression.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which utilized positive coping strategies is needed to enhance informal caregivers to have positive health responses to the caregiving demands.

      • 통일 한국의 미래상

        이해정 현대경제연구원 2012 統一經濟 Vol.2012 No.2

        남북한이 2013년 경제 통합을 실현하여 단계적으로 통일을 이루어간다고 할 때, 2050년까지 각 부문별 통일한국의 위상은 다음과 같다. 인구 부문에서는 통일한국은 2050년 7,350만 명으로 한국 41위보다 높은 세계 26위가 될 것으로 보이며, 생산가능인구는 2050년 전체 인구의 58.0%로 한국 54.0%보다 4%p 증가할 전망이다. 7천만 인구 달성시 노동시장과 내수시장의 확대로 인구 강국으로 부상할 수 있다. 경제 성장 부문에서 명목 GDP는 2050년 6조 560억 달러로 한국 4조 730억 달러보다 높아 세계 8위의 위상을 보일 전망이며, 1인당 GDP는 8만 6,000달러를 기록할 것이다. 지하자원 부문에서 북한의 유망 광물자원 중 한국 내수의 50%를 북한에서 조달할 경우, 2011년 기준으로 연간 153.9억 달러의 수입 대체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국방비 부문에서 한국이 2010년 현재 GDP 대비 2.7%인 국방비 지출을 2013년부터 매년 0.1%p씩 줄여 2027년부터는 독일 수준인 GDP 대비 1.4%를 지출한다고 가정하면, 통일 한국의 국방비 절감 효과는 2013년 이후 2050년까지 누적으로 1조 8,86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 부문에서는 남북이 함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문화재 해외 유출 방지, 해외 소재문화재 환수 등을 추진하여 문화재 강국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포츠 부문에서 남북한 단일팀을 구성할 경우 한국의 하계올림픽 종합 10위권 수준에서 5위권 이내의 성적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남북 통일시 뛰어난 선수 기용, 체계적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순위는 더욱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국력 부문에서 세계 전체 GDP, 인구, 군사력 등에서 각국이 차지하는 비율을 종합하여 측정되는 국력 지수로 보면, 2050년 한국 1.21보다 높은 1.71로 세계 10위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 한국의 달성을 통해 7,500만 명의 내수 시장과 인구·지하자원 등 생산 요소확보를 통한 경제 위상 제고는 물론, 정치·사회·문화적으로 국력 신장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변국들과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한반도 긴장완화와 통일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등 우호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통일을 한국의 부담이 아닌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 발굴이란 인식을 갖도록 통일 한반도 건설을 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