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창현 한국공간환경학회 2011 공간과 사회 Vol.21 No.2
본 특별세션은 한국공간환경학회 페이스북 커뮤니티에서 공간의 속성에 대해서 자율적으로 토론한 내용을 담았다. 2011년 2월 8일, 김한준이 ‘소셜미디어와 공간’의 관계에 대하여 논의해보자는 취지의 글을 시작으로 하여, 토론자들은 공간의 속성, 절대공간의 존재, 사이버 공간의 개념실체, 마르크스의 공간개념 등에 관하여 다채로운 토론을 진행하였다. 토론은 2월 초부터 3월 중순까지 한 달에 걸쳐서 진행되었으며, 주로 글쓰기와 댓글 등의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토론자는 권오혁, 김남주, 김두환, 김창현, 김한준, 손정원 등 6명 정도로 한 달 동안 약 20여 편의 글과 댓글이 오고 갔으며, 총 분량은 약 52,000자 분량이다.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편집자는 각 토론자의 글을 주제별로 재구성하였으며, 문장의 형식을 일정하게 통일하였으며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내용을 편집하였다. 논의의 출발은 “사이버공간을 공간으로 볼 것인가”라는 문제제기였다. 이에 대해서 권오혁은 공간 개념을 보수적으로 정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김한준, 김창현 등은 공간 개념을 열어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논의가 진행되면서 권오혁은 공간에 대한 분류를 제안하였고, 그 분류의 적실성과 정합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특히 이슈가 되었던 부분은 절대공간의 개념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의 문제였다. 논의의 마무리 단계에서는 위에서 토론했던 논의의 복잡성이 다소 해소되고 결국 어떻게 실천적 공간개념을 창출해 낼 것인지에 대한 제안과 문제제기가 있었다. 편집자는 시간의 순서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논의를 주제별로 재구성하였다.
환경(부)정의의 공간성과 스케일의 정치학 : 밀양 송전탑 갈등을 사례로
엄은희 한국공간환경학회 2012 공간과 사회 Vol.22 No.4
1990년대 후반 이래로 한국에서도 환경정의를 새로운 이념 혹은 활동 지침으로 수용하는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의 환경정의는 환경운동 안에서는 윤리적 지침으로, 학계에서는 그 정의를 둘러싼 담론의 차원에 여전히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정의 담론에 공간성 논의를 접목하도록 지리학적 기여를 탐구하고, 환경정의 운동에 스케일의 정치학에 기초한 실천적 해석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본 연구는 사례로 2012년 1월 밀양에서 발생한 70대 노인의 분신 사건이 만들어낸 파열의 공간에 주목한다. 이 죽음은 한편으로는 송전탑 건설이 내세우는 국책사업의 일방적 추진에 내재한 국가 폭력성이 드러난 사건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송전탑과 대규모 핵발전 단지 사이의 숨겨졌던 연결고리를 가시화시킨 사건이었다. 이후 송전탑에 반대하는 풀뿌리 지역운동은 더 넓은 전국단위 탈핵운동과 절합되어 새로운 차원의 운동이 되었다. 본 연구는 한노인의 죽음 이후 드러난 의미의 공백에서 탈핵 사회를 향한 사회운동이 생성되는 스케일 정치의 역동성을 묘사했다. 지역 주체들의 새로운 의미 구성에의 참여와 시민들 사이의 다른 방식의 윤리적 관계맺음을 통해 의존의 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관계의 공간이 창출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타자의 윤리학에 기초한 환경정의의 실천적 재정립을 주장한다. Some environmental NGOs and researchers accepting the environmental justice(hereafter, EJ) as the guiding principle for activities or the new ideal agenda have emerged in South Korea since late 1990s. However, the idea of EJ has been tied up ethical principle or initial stage of discourse on defining it among environmental group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of geographical contribution in spatiality of EJ theory and to provide of practical explanation and suggestions in EJ movement. This study pays attention on the self-burning accident of one 70s’ senior, who had resisted electricity transmission tower planed to be put on his rice paddy in Miryang, Kyoungsang Province. His death had uncovered the state’s hidden violence conducting forceful process of larger state projects and exposed the linkage between the transmission facilities and intensive nuclear complex. After his death, localized grassroots resistance against building transmission towers has been re-scaling toward national-wide anti-nuclear movement. This study describes the dynamics of scale politics generating social movement toward post-nuclear society, which fills up the blank of social meaning after his death.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ized agents for reconstructing social meanings on their locality and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eople and voluntary citizens in new ways could produce various spaces of engagement. Finally, this study insists to establish the practically-oriented EJ discourse based on the ethics of the others.
서영표(Seo, Young-Pyo)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4 No.1
이 논문은 제주의 사례를 통해 특정한 공간을 생산하는 역사-구조적 조건과 그 안에서 전개되는 인간행위자들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주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체험되어온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제주인들의 행위와 실천의 조건이었지만 그들의 행위와 실천이 없이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재생산되어 유지될 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로부터 연원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을 적극 수용한다. 르페브르는 공간 그 자체에 대해서 천착하면서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 주저 『공간의 생산』에서 절정에 이른 공간이론은 '공간 물신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사회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변수인지를 일깨워주었다. 이 논문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배적인 추상공간과 일상의 구체공간 사이의 갈등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격적인 개발 이후 제주도, 특히 제주시 지역이 겪고 있는 공간이용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관광 중심의 개발 정책이 제주가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공간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어떻게 침식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상공간이 지배하게 되는 근대적 도시 발전을 비판하고 다양한 차이를 허용하는 구체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도시재생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 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 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 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 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 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 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 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 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 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 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 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 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 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추상적 공간과 구체적 공간의 갈등 제주의 공간이용과 공간구조의 변화
서영표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1
이 논문은 제주의 사례를 통해 특정한 공간을 생산하는 역사-구조적 조건과 그안에서 전개되는 인간행위자들의 실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제주의 공간으로인식되고 체험되어 온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제주인들의 행위와 실천의 조건이었지만 그들의 행위와 실천이 없이는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은 재생산되어 유지될수 없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로부터 연원하는 공간적사회이론을 적극 수용한다. 르페브르는 공간 그 자체에 대해서 천착하면서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는 공간적 사회이론에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다. 그의주저 『공간의 생산』에서 절정에 이른 공간이론은 ‘공간 물신론’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기도 했지만 사회구조와 행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서 공간이 얼마나 중요한 변수인지를 일깨워 주었다. 이 논문은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지배적인 추상공간과 일상의 구체공간 사이의 갈등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격적인개발 이후 제주도, 특히 제주시 지역이 겪고 있는 공간이용과 구조의 변화를 분석한다. 관광 중심의 개발 정책이 제주가 가지고 있었던 전통적 공간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어떻게 침식하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통해 추상공간이 지배하게 되는 근대적 도시 발전을 비판하고 다양한 차이를 허용하는 구체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대안적 도시재생의 방향에 대해서 논의한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한국의 도시와 지역에 대한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비판적으로 읽기: 장소의 특수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기준으로
이후빈(Lee, Hoobi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4
이 논문은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도시와 지역분석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시도한다. 비평의 대상은 최병두가 실시한 한국의 도시공간 생산과 지역불균등발전에 대한 분석이고, 비평의 기준은 한국의 구체적 현실을 자본축적 논리로 설명하기 위한 장소의 특수성과 논리적 일관성의 통합이다. 최병두의 정치경제학적 분석은 공간 문제를 물리적 현상을 넘어 사회적 과정으로 바라보는 인식론적 전환을 촉구 했지만 한국 자본주의의 독특한 시공간성을 명확하게 규명했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아쉬움이 남는다. 공간정치경제학의 추상적 이론을 그대로 적용한 분석은 한국 공간환경의 특수성을 포착하지 못했고, 장소의 특수성을 강조한 분석은 일관된 자본축적의 논리로 이어지지 못했다. 필자는 한국 자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시공간성을 파악하기 위해 최병두가 제시했지만 아직 정교하게 다듬지 않은 발전 주의적 신자유주의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국의 도시와 지역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신자유주의화, 즉 국가가 자본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고 자본이 이 모순적 상황을 활용해서 탈취에 의한 축적을 강화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ally read Choi Byung-Doo’s political-economic analysis of cities and regions. The object of review is the analysis of Korean urban space production and uneven regional development conducted by Choi Byung-Doo, and the criteria for review is the integration of place characteristics and logical consistency to explain the concrete reality of Korea with capital accumulation logic. The political-economic analysis of Choi Byung-Doo urged the epistemological shift of space problem as social process beyond physical phenomenon, but there are some dis-appointments as to whether the unique spatio-temporal nature of Korean capitalism has been clarified.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abstract theory of spatial political economy did not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patial envuronment, and the analysis emphasiz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did not consistently lead to the logic of capital accumulation. I argue that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developmental neoliberalization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spatio-temporal nature of Korean capitalism.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unique neoliberalization in Korean cities and regions, that is, the state intervenes in the market to activate the capital investment, and the capital strengthens the accumulation by dispossession with utilizing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내 귀농공동체단지의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이신애(Lee Shinae),정재용(Jung Cha-Yong)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1
본 연구는 귀농공동체단지 조성 시 지속가능발전을 모색에 있어 특히, 귀농인의 경제적 이주목적에 부합한 신규단지 공간계획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 비농업인이 영농을 통해 정착하려는 귀농의 경우, 현 농촌마을에 제공되는 기존개발로는 한계가 있다. 지속가능이라는 경제적 측면에서 국내에서 ‘수익형 귀농공동체단지’가 시도 중이나, 분야의 연구가 미흡하고, 지속가능한 관점을 적용한 공간계획 사례도 드물다. 따라서 공간계획이 전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을 연구하고자 첫째, 지속가능발전 개념의 이론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수익형 귀농공동체단지의 이론적 가설 및 조작적 정의와 개념을 정립하고 공간계획상 유형을 분류했다. 둘째, 가설을 토대로 공간계획상 지속가능 요소를 퍼머컬처의 설계원리에서 추출/변환하여 사례의 분석기준과 국내 사례의 틀을 마련했다. 셋째, 지속가능한 공간계획의 해외 사례 ‘모샤브’의 특성에서 노하우와 시사점을 도출했다. 넷째, 국내 수익형 귀농공동체단지 사례의 공간계획 과정과 내용을 분석하고, 모샤브의 시사점과 재비교분석하여 국내과제를 파악했다. 본 연구가 1980년대 이후 단절되어온 국내의 이스라엘 농업공동체연구를 세계적 성공 사례인 모샤브를 통 해 공간계획 측면까지 확대하여 맥을 잇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장기간 해체되어온 국내농업공동체의 지속가능발전 연구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과국내 수익형 귀농공동체단지의 지속가능한 공간계획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것을 기대한다.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the spacing planning on a new agricultural complex construction which is driven by the economical need of for-profit urban-rural migrants and can grow sustainably in respect of the community complex for urban-rural migration. When people with no agricultural background try to settle down through farming, the current development policies in an agricultural rural region doesn’t give satisfactory guides and help in such settling. Although domestic profitable community complexes for providing sustainable profit for urban-rural migration are being tried, there are few domestic researches on them and one can hardly find any research for space planning focusing the sustainability.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study about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he entire procedure of space planning on such agricultural community complex. First, this research established operational definition, concept, and hypothesis about the sustainably profitable community complex for urban to rural migration through theoretical study about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is research classified the space planning types. Second, this research set up the standard in analyzing examples and the frame of domestic cases by extracting/ converting the factors of sustainability in space planning into the Permaculture design principle based on the hypothesis. Third, this research derived know-how and the implications of Moshav as an overseas example of sustainable space planning. Fourth,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cedure and the content of domestic examples of profitable community complex for urban-rural migration and figured out the domestic tasks through the case of Moshav. We hope that this thesis will be used as a foundational reference in research for the sustainable profitability of domestic agricultural complex which has been suspended for long time in various fields and in sustainable space planning research for the profitable community complex for urban-rural migration.
사회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학교와 엘리트 모델 만들기에 대한 비판적 고찰
채상원(Chae Sang wo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3
본 연구는 Amartya Sen의 역량 접근(Capability Approach)을 활용해 교육을 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한 사회정치적 공간으로서의 학교가 학생들의 역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A 외국어 고등학교와 그 졸업생들을 연구 사례로 삼았으며,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 총 18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A외고 출신 졸업생들의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장래 희망은 그들의 역량이 제약된 결과임을 주장한다. 교육을 투자로 여기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맥락화하고 있는 공간인 A외고는 명문대 입학이라는 획일적 목표를 학생들에게 주입한다. 이러한 획일적 목표하에서 A외고를 구성하는 행위 주체들의 실천 역시 목표 달성에 복무하는 방향으로 조직되어 학생들을 수동적인 존재로 만들어가고 있다. 나아가 A외고 졸업생들은 졸업 이후에도 그들에 대한 사회적 기대 및 준거집단으로서 A외고 커뮤니티의 영향 때문에 고소득 전문직이라는 장래희망을 수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A외고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과 신자유주의적 경쟁을 확대재생산하는 공간으로, A외고 졸업생들은 그 공간을 통해 만들어진 사회적 엘리트 모델이 되어 현사회구조를 유지 및 강화하는 동력이 된다. 학교를 사회정치적 공간으로 개념화해 학생들의 역량 형성 과정에 개입되는 사회적 요소들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역량 제약의 결과가 사회적으로 갖는 함의를 밝힌 것이 본 연구의 기여점이다. This study, based on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examines the influence of schools as a socio-political space on the students’capability formation process. The research subjects are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mainly graduated from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referred to as “A School” henceforth). 18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cluding 12 in-depth interviews of students who graduated from A School. The study argues that the career prospects of A School’s graduates - mostly high-income professions - are the results of their limited capability. The school acts as a microcosm of neoliberal competition, facilitating Korea’s national morale in utilizing education as a tool for economic returns. Their main message to students to enter into the ‘best universities’echo passivity and uniformity as the most important values of educa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 after graduation, students maintain institutional membership by referencing their connections to A School as a networking gateway to high-end professions. Ultimately, A School and A School’s graduates have become a driving force in maintaining current social structures by reproducing the morale of Korea and its neoliberal competition. The main contributions are as follows: 1) conceptualizing schools as a socio-political space, 2) examining its implications for individuals’capability limitations, and 3) demonstrating these individuals’systemic roles in maintaining the boundaries of Korean society.
권민지(Gwon Min j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3
불안계급 논의는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정치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동 시장 불안정과 연결된 심리적 양상을 드러냈다. 하지만 기존의 논의는 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젠더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불안정성의 양상을 강조하여 불안계급의 주체성을 간과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불안정성(precarity)과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이용해 20대 초반~30대 초반 청년 여성들의 주거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을 주거불안계급으로 개념화하고, 청년 여성들이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 이들이 경험하는 주거불안의 양상과 공간전략을 조명한다. 주거불안 계급은 경제적 불안정성과 도시 공간의 젠더 편향으로 인해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끼며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주거 공간의 부재로 불안을 느끼는 집단이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와 한국의 가부장적 역사·문화적 맥락이 결합하면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고 있는데, 생애과정의 규범적 이행을 당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주거불안은 일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청년 여성들은 주거 불안계급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이동 전략, 공동 주거, 대안적 장소 만들기 등다양한 공간전략을 실천함으로써 독립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인 면모를 보인다.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한국의 청년 여성들이 경험하는 주거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주거복지정책에 성 주류화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concept of precari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subject by designating unstable workers as one class and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aspects linked to job market instability.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ender as a cause of precariat formation, and subjectivity of the precariat has been overlooked. This paper contributes to current discussion by employing the concept of precarity and precariat to analyze housing experiences of Korean young women and investigates major factors in forming housing precariat, aspects of housing precarity, and their spatial strategies. In this paper, housing precariat is defined as a group that experiences the absence of housing space where one can feel comfortable and secure, with privacy protected, and can focus on self-improvement without interruption,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hysical dwelling space. The combination of growing economic precarity caused by the diffusion of neo-liberalism and the patriarch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creates housing precariat among young women in South Korea. However, in Korean society where normative life course, such as marriage, is taken for grante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s regarded as a temporary problem and remains on the fringe of housing welfare policy. Despite the given set of circumstances, they try to improve housing stability by implementing diverse spatial strategies such as migration strategies, communal housing, and alternative place-making. This paper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precarity of Korean young women, which has been at the periphery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the need to introduce gender mainstreaming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신혜란(Shin Hae R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3
이 연구는 ‘기억의 영토화(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개념을 분석틀로 삼아 세월호 기억공간 세 곳(안산 단원고 기억교실, 서울 광화문광장, 제주 기억공간)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문헌자료 분석, 심층 면담, 현장 방문을 통해 세기억공간의 기억의 영토화 과정, 즉 1) 물질적 변환을 통한 점유, 2) 기억 영토화 주체들의 점유와 갈등, 3) 슬픔관광을 통한 영토 확장의 과정을 본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고 기억교실은 희생자들이 사용하던 교실에 생전에 쓰던 물품으로 점유하고 적극적인 슬픔관광을 통해 확대 실천을 벌였다. 세월호 기억화 주체인 기록활동가와 유가족은 학습권 담론을 주장하는 학교운영위원회와 영토싸움의 갈등을 겪고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 of memory)된다. 둘째, 공공공간인 서울 광화문광장의 경우, 유가족과 시민들이 직접 존재/활동하는 일시적 점유 방식으로 정치적 영토화가 일어났다. 공공공간의 점유를 비판하는 보수단체, 이 공간을 관리하면서 영토화를 간접 지원했던 서울시 정부, 집단행동에 무력으로 대응을 한 중앙정부도 서서히 주체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 기억공간은 세월호 기억이 대안적 영토로 옮겨 영토화하는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의 사례다. 세월호의 목적지이면서 대안적 삶을 상징하는 제주에서 제주문화이주자 네트워크, 희생자 네트워크, 관광객에 의지한 느슨한 네트워크형 영토화다. 이 논문은 기억의 공간정치에 관한 학술논의에 기여하고 초기 단계에 있는 세월호 기억공간에 관한 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the process of place-of-memory making regarding the Sewol Ferry disaster through the concept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Based on archival analyses, in-depth interviews, and site visit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formation process of memory classes in Danwon High School, Gwanghwamun Plaza, and a place of memory in Jeju. It focuses on the three aspects of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including occupancy of materialized conversion of memory, actors’ occupancy and conflicts, and the expansion of territory through dark touris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mory became territorialized through the materials victim students used in their daily lives. Main actors such as recording activists and victims’ parents engaged in a discourse competition with other parents on the right to study. As a result of the conflict, the memory became de-territorialized. Second, the Gwanghwamun Plaza represents a case of political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through actors’ physical occupancy. Victims’ parents and supportive citizens territorialized the memory by occupying the public space. Conservative organization members and the police sent by the national government attempted to dissolve the occupancy, and the Seoul government supported the occupancy by permitting the victims’ parents and citizens to do it. Third, the memory became re-territorialized by leaving the Korean peninsula for an alternative place, Jeju. The re-territorialization of memory was dependent on a network of cultural migrants, victims of national disasters, and tourist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politics of memo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on memory places associated with the Sewol Ferry accid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