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와 가따리의 되기(becoming)와 버지니아 울프의 「파도」

        김진옥(Jin O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1,2

        본 논문은 들뢰즈와 가따리의 되기 이론을 통해 버지니아 울프의 「파도」에 나타난 자아 문제에 대해 분석한다. 들뢰즈와 가따리에게 존재의 본질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변화하고 변모하는 되기이다. 되기가 모방이나 유사성도 아니고 각각은 서로를 탈영토화하게 하는 특성을 지닌다. 들뢰즈와 가따리에게 글쓰기는 소수자-되기의 행위이다. 글쓰기 자체가 곧 글을 쓰지 않는 소수자들과 접촉을 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서로가 서로에게 탈영토화되는 가운데 서로를 위해 탈주선으로 밀어 붙이는 만남이 있다.「파도」에서 버나드의 글쓰기는 자아의 생성과 탈주에 대한 관심 등 소수자-되기의 면모를 보인다. 들뢰즈와 가따리에 의하면 이런 모든 되기가 향하는 것은 지각 불가능한 것-되기이다. 그것은 존재가 무존재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무한한 되기의 우주 공식으로 바뀌는 더 높은 차원의 되기이다. 지각 불가능한 것-되기의 구체적인 예가 세상 모든 사람 되기이다.「파도」에서 자아의 개별성에 대한 버나드의 지각 불능과 자신이 어떤 사람도 된다는 그의 사고에서 세상 모든 사람 되기가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과 세계의 경계를 넘어서서 우리가 우주가 되는 지각 불가능한 것-되기의 무한한 되기를 제시한 것이다. 들뢰즈와 가따리와 울프 모두는 지각 불가능한 것을 지각하게 하는 “자연의 비인간적 풍경”인 “퍼셉트”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essay explores the essence of the self in Virginia Woolf’s The Waves through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becoming. The essence of the self, for Deleuze and Guattari, is based on the ethics of becoming. For them, writing is to contact with “minorities” which does not write, and “each draws on to its line of flight in a combined deterritorialization.” Bernard in The Waves has a minority-becoming in his writing: his concern is to follow “the line of flight.” Becoming-imperceptible, which is the final stage of “becoming,” is not a collapse of being into non-being, but rather a reversal of all negativity into the cosmic form of infinite becomings. As an example of becoming-imperceptible, Deleuze and Guattari present “to be ‘like’ everybody else.” Bernard becomes everybody/everything, as demonstrated in his ideas that he is not able to discern himself from the others and that he can become his friends or anybody else. Bernard makes becoming-imperceptible with the world, which is the point of fusion between the self and cosmos as a whole. Deleuze and Guattari and Woolf emphasize the function of percept, “nonhuman landscapes of nature,” independent of our supposed perceptions and memories.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동물-되기’와 윌버의 의식 구조

        배철영(Bae, Chul-young)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들뢰즈/가타리가 들고 있는 동물-되기의 사례는 다양하다. 곤충-되기, 쥐-되기, 개-되기, 말-되기, 고래-되기, 물고기-되기 등 그런데 이들 되기에서 인간 주체는 인간 이하의 기괴하고 그야말로 동물적인 상태에서부터 아주 고차적인 자연과의 합일 상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차이를 드러낸다. 그러나 그들은 되기들 각각이 함축하는 차별성을 충분히 검토하지 못함으로써 되기 자체가 갖는 보다 포괄적인 중요성을 포착함에 있어서나 내포된 윤리학을 정립하는데 성공적이지 않아 보인다. 이 글은 동물-되기의 다양한 예들 가운데서 한스의 말-되기, 에이허브 선장의 고래-되기, 한 문인화가의 물고기-되기를 윌버의 기본적 의식구조를 배경으로 조명하였다. 한스의 말-되기는 한스가 아직 미발달된 정서 상태를 나타내며, 에이허브 선장의 고래-되기는 실존적 무의 체험과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초월충동’과 관련 있다고 여겨지며, 문인화가의 물고기-되기는 자연의 한 대상과의 근본적 합일을 나타낸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들 되기는 들뢰즈/가타리가 주장하는 인간의 비인간적 지대에서 인간성 경계의 지대, 곧 합리적이고 의사소통적인 인간의 지대 이하이거나 그 이상의 영역과 연관된다. 한편 동물-되기는 궁극적인 되기인 지각불가능하게-되기에 이르는 과정에 있다. 그렇다면 지각불가능하게-되기, 그리고 그것이 일어나는 장으로서 일관성의 평면이란 무엇인가? 그런데 일관성의 평면 혹은 기관 없는 신체는 또한 동물-되기의 과정에서 되기의 주체에서 펼쳐지는 식별불가능성의 지대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되기의 주체는 이미 이들 지대를 전제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동물-되기의 과정에서 경험되는 식별불가능성 지대로서 기관 없는 신체와 일관성의 평면은 궁극의 되기에서 체험되는 일관성의 평면과 서로 어떻게 다른가? 요컨대 일관성의 평면의 두 의미는 어떻게 다른가? 이 물음에 대해서도 윌버의 해석은 참조하여 동아시아 철학의 ‘공’개념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공’ 혹은 ‘영’은 의식의 전개관정에서 궁극의 차원이지만 동시에 모든 전개 과정에 이미 전제되어 있는 근본바탕임을 깨닫는다면, 이는 일관성의 평면 개념과 밀접한 상사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try to investigate the proper meanings of three cases of Deleuze/Guattri's becoming-animal at the background of Wilber's basic structure of consciousness critically. The cases are of Hans' becoming-horse, captain Ahab's becoming-whale, and a Chinese painter' becoming-fish. Becoming-animal is on the process toward the ulitimate becoming, the imperceptible-becoming By the way on the process the 'plane of consistency' is presupposed and experienced by the subject of becoming. And it is also experienced in the imperceptible-becoming. Therefore it has two meanings. What is the difference? The plane of consistency, no man's land, the zone of indiscernibility, and the body without organs are not only presupposed in a stage to the ultimate becoming, but also is the ultimate one in itself. And Its meanings are similar to those of ‘Emptiness’ or ‘Spirit’

      • KCI등재

        메타버스 환경에서 대학원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들뢰즈의 ‘-되기’ 관점을 중심으로

        오희정,박은실,유영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환경에서 학습자의 경험과 그 의미는 어떠한지 들뢰즈의 ‘-되기’ 관점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들이 주체적인 ‘-되기’의 존재로 나아갈 수 있는 열린 학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최근 부각되고 있는 메타버스의교육적 활용 및 효과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H대학교 대학원생 4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속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1:1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의 결과는 Creswell(2009)의 나선형 분석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들뢰즈 ‘-되기’ 관점의렌즈로 학습자들의 경험 과정을 분류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로는 학습자들의 경험 과정을 ‘공간의 변화-관계의 변화-사고의 변화’로 바라보았으며 세 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새롭고 낯선 공간과 마주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존재 되기, 둘째, 주체성을 드러내며 차이를 생성하는 진정한 존재되기, 셋째, 끊임없이 탈주하며 또 다른 세계를 창조하는 존재 되기이다. 결론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메타버스라는 공간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기호들과 마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변화와생성의 주체자가 될 수 있도록 교육 경험을 다채롭게 제공해줄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후속 연구로는 메타버스에서의학습자 경험이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에 관한 연구와 학습자들의 경험 의미도출에서 나아가 교육 현장 속에서의 규범화된 교육 과정적 측면을 비판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들뢰즈/가따리의 되기이론으로 살펴 본 댄스시어터의 미학

        김효 ( Hyo Kim ) 한국연극학회 2003 한국연극학 Vol.0 No.20

        La danse-the´ tre (expression qui traduit l`allemand Tanztheater) est surtout connue a`travers l`oeuvre de Pina Bausch, mais elle trouve son origine dans le folkwang Tanz-Studio cre´e´ en 1928 par K. Joos, qui fut le professeur de Bausch et est, lui-m me, issu de l`Ausdruch-tanz, la danse expressionniste allemande. A ce courant de la cre´ation chore´graphique contemporaine appartiennent e´galement Johan Kresnik, R. hoffmann, G. Bohner et, en France, M.Marin, J. -C. Galotta, J. Nadj, K. Saporta, lesquels n`utilisent d`ailleurs pas ce terme, mais passent pour des chore´graphes ouverts a`la the´ tralite´ et favorables au de´cloisonnement des arts de la sce`ne. La danse-the´ tre de´passe des oppositions juge´es ste´riles, comme celle du corps et du langage, du mouvement pur et de la parole, de la recherche formelle et du re´alisme. La danse-the´ tre a recours a`tous les ingre´dients d`une mise en sce`ne de the´ tre: usage de textes, dits, lus ou prononce´s en voix off, attention porte´e a`la sce´nographie, aux objets, aux costumes, coordination soigneuse de tous les mate´riaux sce´niques. Cet article a pour objet de faire des investigations sur la correspondance corre´lative entre des aspects esthe´tiques de la danse-the´t tre et le discours que Deleuze et Gauttari ont de´ploye´ a`propos de `devenir`. Il a cherche´ a`savoir si c`est possible de traduire les principes esthe´tiques du danse-the´ tre base´s sur le de´cloisonnement des arts en termes que Deleuze et Guattari ont invente´s pour de´ployer le processus de `devenir`: territorialisation, de´territorialisation, molaire, mole´culaire, plan de consistance, etc. Cet article traite surtout trois pre´cursseurs de la danse-the´ tre: Laban, Joos et Bausch. Si c`est Joos qui a comence´ a`employer le terme, Tanztheater, pour nornrner ses nouveaux spectacles qui ont pu d`ailleurs tre re´alie´s gr ce aux travaux pre´alables de Laban, qui est son ma tre. Celui-ci a libe´re´ la danse de sa subordination a`la musique traditionnelle. En conclusion, cet article est arrive´ a`de´couvrir que la danse-the´ tre n`est pas caracte´rise´e par une simple introduction des e´le´ments dramatiques dans la danse. Au contraire elle e´limine ceux-ci pour aboutir a`retrouver que la danse et le the´ tre s`unissent sur le m me plan: mouvement. Autrement dit, le principe de l`esthe´tique de la danse-the´ tre est, pour reprendre la terminologie de G. Deleuze et F. Guattari, le devenir-mole´culaire de la danse et du the´ tre.

      • KCI등재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

        김지숙(Ji-sook Kim),설정희(Jeong-hui Seol),천성문(Sung-moon Cheon) 한국학부모학회 2023 학부모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거주하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자녀를 둔 아버지들 중 참여를 희망한 2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주 2회 90분씩 총 8회기의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 및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으며, 회기별 경험보고를 통해 양적분석결과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가 감소되었다. 둘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효능감이 증가 하였다. 셋째,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자녀 양육참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행복한 아버지 되기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양육효능감 및 자녀 양육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ternal participation in parenting at early childhood stage. To this end,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years, 10 people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eight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control group pre-identity verification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second, the fathers’ parent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ir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increa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Happy Fatherhood Training Program is an effective program that can reduce the parenting stress of fa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increase parenting efficacy and participation in parenting. Finally,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삼국유사 소재 김유신 설화 고찰 : ‘영웅-되기’의 조건과 영웅성을 중심으로

        이정훈(Lee Chung Hoon) 국어문학회 2010 국어문학 Vol.49 No.-

        이 글은 삼국유사에 실린 김유신 관련 설화를 ‘영웅성’이라는 코드로 설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김유신이 ‘영웅’이 되는 과정을 영웅 되기 이전의 조건-실현 과정-완성으로 나누어, 김유신이 영웅이 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과 환경들을 이야기를 통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이것은 곧 영웅이 실패한 자이기보다는 성공한 자와 연결되는 대중적인 인상과 결합하여 시중에 판매되는 성공지침서의 내용들과 겹치게 된다. 이것이 이 글이 가지고 있는 대중성이다. 다시 말해 이 글은 역사 속에 등장하는 신라 명장 김유신의 면모에 대한 학술적인 글이기보다는, 김유신 설화를 조합하여 자신의 영역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내는 사람(영웅)이 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평이하게 다룬것이다. 삼국유사에 김유신이 개입된 설화를 조합해 보면, 김유신은 영웅이 되기 이전엔 미숙한 존재였으나 세 여신의 보호와 독립적 자자질을 획득한 자로 그려진다. 그리고 성장한 이후에 그는 선덕과 춘추, 소정방과 원효거사, 죽지랑과 네 대덕과의 다양한 네트웍을 통해 자신의 과업을 성취한다. 이런 과업성취의 면모가 오늘날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영웅으로서 김유신의 이름값인 것이다. This paper explains the stories concerning Kim Yu-shin contained in the Samgukyusa that have a code, namely Heroism In detail, the paper classifies the process of Kim Yu-shin becoming a Hero into his earlier status-realization-completion, and considers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Kim Yu-shin to become a hero through the story. Also, this overlaps with the contents of a guide book for success that sells in the market with the combination of a popular image in which a hero is a successful person rather than a failure. This is the popular appeal that is addressed in this paper. When combining the stories in the Samgukyusa where Kim Yu-shin is involved, Kim Yu-shin was an immature person before becoming a hero. However, he is depicted as a person who acquired the protection of three goddesses as well as an independent quality. Also, after growing up, he accomplishes his achievements through various networks with Seondeok and Chunchoo, So Jeong-bang and Wonhyogeosa, and Jukjirang and the four Daedeoks. Such an aspect of his achievements provides the name value of Kim Yu-shin as being a representative hero of Korea to date. This paper explains the stories concerning Kim Yu-shin contained in the Samgukyusa that have a code, namely Heroism In detail, the paper classifies the process of Kim Yu-shin becoming a Hero into his earlier status-realization-completion, and considers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Kim Yu-shin to become a hero through the story. Also, this overlaps with the contents of a guide book for success that sells in the market with the combination of a popular image in which a hero is a successful person rather than a failure. This is the popular appeal that is addressed in this paper. When combining the stories in the Samgukyusa where Kim Yu-shin is involved, Kim Yu-shin was an immature person before becoming a hero. However, he is depicted as a person who acquired the protection of three goddesses as well as an independent quality. Also, after growing up, he accomplishes his achievements through various networks with Seondeok and Chunchoo, So Jeong-bang and Wonhyogeosa, and Jukjirang and the four Daedeoks. Such an aspect of his achievements provides the name value of Kim Yu-shin as being a representative hero of Korea to date.

      • KCI등재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문화콘텐츠의 여성주의적 비평의 토대

        한희정,신정아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2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52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은 재현의 문제 제기를 통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비판 연구가 대부분이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은 실천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을 포함한 소수자 정치를 해석하는 데 이론으로써 유용해 보인다. 되기 개념은 가부장 시스템에서 남성의 부수적 존재로서 여성에게 할당된 역할 이외에 다른 것-되기를 시도하려는 여성의 욕망을 추동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비평과 실천의 토대로서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개념의 적용과 활용 방안을 모색한다. 이 글은 학제 간 다양하게 적용되어온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의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다양한 문화콘텐츠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향후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연계시켜 콘텐츠의 해석 및 발명을 통한 여성주의적 미시정치적 실천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젠더 트러블을 넘어 되기로서의 젠더로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새로운 신체-

        김은주 ( Eun Joo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4 시대와 철학 Vol.25 No.4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은 젠더를 문제적인 것으로 부각하여, 행위자 없이 반복되는 일련의 행위인 수행성을 통해 제시한다. 그녀는 생물학적 섹스와 사회적 젠더를 구별하고 정상적 젠더 정의와 젠더 규범의 일치를 사실로 주장하는 논리를 비판한다. 버틀러의 수행성 개념은 젠더를 본질적인 것으로 규정하고 섹스와 젠더를 인과적 관계로 설정하는 논리를 비판하는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고는 수행성에 의해 젠더가 생산되는 방식이 불분명하며, 버틀러가 신체를 권력이 작동하는 의미화의 장으로만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의구심을 표명한다. 담론을 넘어서는 존재론적인 측면이 신체에 고려되어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본고는 들뢰즈와 가타리(Gilles Deleuze, Felix Guattari)의 되기(devenir)개념을 소개하면서, 새로운 신체 생산과 젠더 생산이 분리 불가능하며, 이를 되기로서의 젠더로 제기한다. 되기 개념은 신체를 힘들의 복합적 변이체로, 섹슈얼리티를 신체를 생산하는 강도적인 생성의 역량으로 이해한다. 이러한 되기 개념은 특히 여성-되기 개념을 통해서 새로운 신체 생산과 n개의 성으로서의 젠더를 설명한다. 본고의 목적은 버틀러의 성과에서 더 나아가, 되기 개념을 거쳐 수행성으로서 젠더에서 신체의 변화와 조응하는 되기로서의 젠더로 이동하는 논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Butler’s ‘Gender Trouble’ makes a gender problematical and interprets gender as performativity without actor. She criticizes that a biological sex is distinguished from a social gender and the definition of normal gender matches the norm of gender. This paper casts doubt on the uncertainty of contributing to the production of a new gender and the definiton of body as a filed of meanings. Hence, this paper introduces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becoming (devenir) and deals with the production of gender which is impossible to separate from the production of body in terms of becoming-gender. By the concept of becoming, we understand a body a variable complex of forces and sexuality as the power of intensive creations producing body. Especially, the concept of becoming-woman accounts for a gender as ‘n sexes’ and the production of body. The purpose of this paper comprehends Butler’s outcome and presents a gender from a performativity to becoming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body.

      • KCI등재

        버지니아 울프의 비인간 등장인물과 포스트휴머니즘

        박형신(Hyungshin Park) 한국영미어문학회 2021 영미어문학 Vol.- No.143

        Engaging Virginia Woolf’s short fiction “Kew Gardens” and her canine biography Flush as the important texts by which to study the narrative status of non-human characters,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representing the subjectivities of non-human characters such as snail and Cocker Spaniel. Posthumanist theories will require close attention in research on how to represent the subjectivity of other species in human language. First, I will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of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s becoming-animal and Donna Haraway’s becoming-with. Second, through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ransdisciplinarity of Cary Wolfe’s, I will explain the significance of reading Woolf’s modernist narrative from Posthumanist perspective. Lastly, I will evaluate the potentiality of Woolf’s non-human characters in terms of a challenge to anthropocentric conceptualizations. Woolf anthropomorphizes the snail as an agency with her imaginative becoming-with. Flush, the canine protagonist is also anthropomorphiz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of companion species. Woolf’s non-human characters become with the human characters and in the narrative space, once decentered, the human is relocated.

      • KCI등재

        L’appropriation du Film d’archives : le devenir-réalisateur des artistes vidéastes

        민진영 한국프랑스학회 2015 한국프랑스학논집 Vol.90 No.-

        본 연구는 현대예술에서 기존에 상영되었던 영화아카이브 자료들을 재활용하여 새 로운 예술작품을 만들어내는 전유주의 비디오아티스트들을 연구하고, 이를 질 들뢰즈의 ‘-되기’ 개념으로 적용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화아카이브 이미지를 현대의 예술작품에 차용하는 것은 소위 ‘전유예술 (appropriation art)’이라는 개념으로 불린다. 영화이미지의 전유를 시도하는 작가들은 영화관에서 상영되었던 영상들을 왜곡, 해체, 절단, 삽입, 콜라주(collage), 아상블라주(assemblage)와 같은 기법을 사용한다. 이 기법을 실험영화에서는 파운드 푸티지(found footage)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런 기법들을 통하여 영화이미지는 원작과는 전혀 다른 맥락으로 사용되고, 작가들은 자신이 의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표현한다. 이 논문에서는 전유주의 비디오아트에서도 영화사에서 유명한 감독들의 작품들을 차용하여 영화아카이브의 예술적 전유를 시도한 작품들을 중심으로 논하기로 한다.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의 적용에 가장 근접한 작품들이기도 하고 수많은 전유주의 비디오아트를 선별할 수 있는 주제들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더글라스 고든(Douglas Gordon)의 <24시간 사이코(24 hour Psycho)>라는 작품은 히치콕 감독의 <사이코>를 재활용하여 예술적 전유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고든의 히치콕-되기로 재해석해볼 수 있는 것이다. 브루스 코너(Bruce Conner)는 <영화(A movie)>, <리포트(Report)>, <코스믹 레이(Cosmic Ray)>에서 역사 속 전쟁장면, 뉴스장면, 헐리우드 영화 장면들을 재활용하여 고발의 의미를 담은 전유주의적 작품을 선보였다. 폴란드 작가 립진스키(Zbignew Rybczynski)는 <계단(steps)>에서 에이젠슈타인의 <전함포템킨>의 오데사 장면을 크로마 키를 활용하여 재구성한다. <전함포템킨>의 학살장면 사이사이에 현대인들을 삽입시켜 흑백과 칼라, 무성과 유성, 비참과 유희를 극명하게 대조시킨다. 립진스키는 에이젠슈타인-되기를 시도한 것이다. 피르길 비트리히(Virgil Widrich)는 <빠른 영화(Fast film)>에서 액션영화감독-되기를 시도한다. 그는 액션 영화로 유명했던 300개 이상의 아카이브 작품들의 필름들을 골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잘라낸 뒤 자신의 작품 속에 콜라주하여 배치시켰다. 수없이 바뀌는 장면들속에서 여인 구출이라는 일관성 있는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훌륭하다. 질 고드밀로우는 파로키-되기를 시도한다. 고드밀로우의 <파로키가 가르쳐 준 것들>은 자신이 만든 칼라필름 위에 파로키의 오리지널 흑백 필름 <꺼지지 않는 불>을 중첩한다. 베트남전에 쓰인 네이팜탄의 제조를 고발한 파로키의 작품이 60년대의 도덕적․정치적 책임감을 촉발시켰다면, 고드밀로우는 원작과의 연결을 적극적으로 보여주고 연대기적인 차이를 강조한다. 그 차이의 강조를 통해 미국에서 개봉된 적이 없었던 파로키의 영화에 대중적 접근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제니퍼 맥코이와 케빈 맥코이는 큐브릭-되기를 시도한다. <201:스페이스 알고리듬(201 : space Algorithm)>에서 스탠리 큐브릭의 공상 과학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를 다시 편집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전시실에 설치한다. 큐브릭의 영화를 보거나 보지 않았던 모든 관객들에게 자기 나름대로의 편집된 장면으로 큐브릭의 영화를 접할 수 있게 해주고 감독의 편집과 관객 자신의 편집을 비교할 수 있게 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