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상과인식」이 걸어온 서른 해 길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현상과 인식 Vol.30 No.4

        이 글은 「현상과인식」의 창간과 전개 과정에 대한 나의 기억을 적은 것이다. 이 계간지는 신촌에서 가르치던 다섯 교수가 1977년에 시작한 학술지다. 인문ㆍ사회과학의 근본 문제를 두고 여러 학문 분야에서 공부하는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는 학제 연구의 마당을 열어, 학문 분과 사이를 넘나들면서 서로 배울 수 있고 또 함께 배워야 한다는 마음가짐에서였다. 이 학술지는 1998년부터 그해 창립된 한국인문사회과학회가 공식 학술지로 펴내고 있다. 나는 먼저 이 학술지가 창간되었던 유신 독재 시대의 대학 상황에 대하여 짧게 적는다. 그럼에도 우수한 학인들 사이의 학문교류를 자극하기 위하여 순수 학술지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 뜻을 살펴보고, 이미 소통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 이 학술지의 창간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했다는 점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창간동인 중심에서 한국인문사회과학회의 공식 학술지로 간행되어 나오게 된 제도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본다. This is my personal recollection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interdisciplinary quarterly journal, 'Hyonsang-gwa-Insik'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t was founded in 1977 by five young professors as an effort to undertak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basic issues and problem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ith the belief that each can learn from others, whether or not they share their disciplinary convictions. The journal is now published with the help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established in 1998. I begin by touching upon the period of the dictatorial Yusin government which ruled with brute force and harsh restrictions on personal freedom and civil liberties. I then describe the sheer determination against all financial constrains to inaugurate this academic journal, dissimilar to journalistic and literary magazines, as a way of promoting intellectual exchange among the best minds in Korean society. Next, I move on to note the importance of the pre-existing network of intellectual and scholarly communication for the founding of the Hyonsang-gwa-Insik. I conclude with the observations of the journal's process of development from a small, informal group of founding members into a more formal institute, that supports the Hyonsang-gwa-Insik.

      • KCI등재
      • KCI등재

        자아 실현과 사회 실현의 세계

        양창삼(Chang Sam Y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현상과 인식 Vol.30 No.4

        이 글은 학술지 「현상과인식」의 지령 100호를 기념하면서 나름대로 자아 실현과 사회 실현이라는 주제에 맞추어 「현상과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지금까지 「현상과인식」에 실린 글은 다양하여 어느 한 주제로 묶기 어렵지만 그 모든 주제가 ‘인간과 사회’의 문제로 집약된다는 점에서 이론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자아 실현과 사회 실현은 그 가운데 매우 적절한 논제가 될 수 있다 생각된다. 「현상과인식」에 깊게 관여하면서 사회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자아 실현도 중요하지만 사회 실현도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 주제는 나의 학문적 관심에 속하기도 하지만 「현상과인식」이 그동안 살펴 왔던 중심 주제이기도 하다. 그것이 개인의 문제이든 사회의 문제이든 간에 더 나은 개인, 더 나은 사회를 위한 바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 기회에 「현상과인식」의 과거를 되짚어 보고 앞으로 우리의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 가야할지 생각해 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review Hyonsang-gwa-Insik publications focused the self-actualization and the realization of society with maximum utilization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and social energy. Abraham Maslow coined the term 'self-actualization' as the pinnacle in the hierarchy of human needs. It refers to man's desire for fulfillment namely to the tendency for him to become actually in what he is potentially to become everything that is capable of becoming. What are the appropriate conditions in which self-realization and society can happen? According to K. Popper, the society based on the deep openness is certainly to self-realization. To optimize the self-actualization and the society self-realization, diversity in every aspect of our existence should be a norm, whether it is biodiversity, cultural diversity or economic diversity. Many Hyonsang-gwa-Insik writers including Yong Shin Park, Sei Chull Oh, and Chong Wook Choi fostered the promotion of measures to support the realization of a people-centered society. The open, diverse culture of the society serves a range of purposes and roles in today's society and is significant in a variety of ways toward the realization of an enriched society. Hopefully, the further continuing publications of Hyonsang-gwa-Insik respond to this human need.

      • KCI등재

        청소년 자살 생각

        김정규(Jeong-Gyu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1 현상과 인식 Vol.35 No.1·2

        통합과 규범이라는 뒤르케임의 자살을 설명하는 개념들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사회적 통합과 규범의 영향이 자살 생각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1,139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본 것이다. 청소년들의 사회통합 정도는 크게 두 가지 측면으로 측정하였다. 하나는 사회유대 이론에서 제시한 애착, 관여, 참여, 신념을 측정하는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또다른 하나는 청소년들의 가해자 경험과 피해자 경험을 사회적 규범 위반과 관련된 사회통합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삼았다. 분석을 한 결과, 자살 생각은 남자 청소년들보다 여자 청소년들이 많이 하고 자아존중감과도 같은 심리적, 정서적인 요인들과 부모의 이혼도 자살 생각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쳤다. 사회유대 변인들 중 어머니 애착과 학교 관여는 청소년들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일탈 행동의 피해자뿐만 아니라 가해자의 경우에도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가해자이든 피해자이든 사회적으로 통합되지 않았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통합의 정도가 낮은 청소년들은 자살 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사회적 통합의 정도가 자살과 연결된다는 뒤르케임의 주장을 뒷받침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and social integration factors drawing on Durkheim’s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and norm violation based on data from a sample of 1,139 high school students. To measure adolescent’s social integration, I used major variables of social bond theory which indicate attachment, commitment, involvement, and belief. The other variables to measure adolescent’s social integration, frequencies of offending and victim experience are includ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females are reported greater suicidal ideation than males. Secondly, self-esteem and divorce of parents a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Thirdly, among social bond variables, attachment to mother and commitment to school significantly affect decrease of suicidal ideation. Not only offenders but also victims are more likely to have suicidal ideation than adolescents who are not offenders or victims. This result is due to the fact that offenders and victims are regarded the same in terms of that they are not integrated into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Durkheim’s argument that lower social integration is related to suicide.

      • KCI등재

        정치와 경제의 분열과 화해

        임상헌(Sang Hun L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1

        신자유주의를 거치며 불평등의 확대와 사회정책의 미비가 문제로 등장하고 있는 지금, 그래서 민주주의 정치와 자본주의 경제 사이의 모순이 다시금 표면으로 올라오는 지금 칼 폴라니(Karl Polanyi)의 자본주의 비판, 그리고 민주주의 정치와 자본주의 경제 사이의 갈등에 대한 연구는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폴라니에 대한 논의는 사회 민주주의적 복지국가의 재조명과 함께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폴라니의 아이디어들이 사회민주주의와 잘 부합하는 것인가에 대하여 먼저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폴라니의 아이디어가 사회 민주주의와 부합하는 면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면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민주주의와 계급 간 연대에 대한 강조라는 측면에서는 둘 간에 부합하는 면이 있지만, 폴라니가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존속에 대하여 부정적이었던 점, 그리고 정치와 경제보다 사회의 우위를 강조하였던 점에서는 부합하지 않는 면도 있다. 그리고 폴라니가 현재의 상황에 대해 사회 민주주의를 뛰어넘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확답을 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Since the heyday of the neoliberalism, the increase of inequality and insufficient provision of social policy appear as social problems. Accordingly, Karl Polanyi’s criticisms of capitalism and the revelation of the conflicts between democratic politics and the capitalistic economy receive renewed attention. Recent studies tend to present Polanyi’s ideas with social democratic solutions of the tension between democracy and capitalism. However, we should examine whether Polanyi’s ideas are actually in harmony with social democracy. This paper shows that the former and the latter do not always match with each other. On the one hand, both emphasize democratic politics and the inter-class alliance. On the other hand, however, differently from social democracy, Polanyi was not in favour of the maintenance of the capitalistic market economy. Moreover, he emphasized the primacy of society over the state and the market, while social democracy the primacy of politics. Finally, the paper holds that it is not yet clear whether Polanyi present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current tension between democracy and capitalism.

      • KCI등재

        종교와 사회갈등

        박양식(Yang Sik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1/2

        개인 갈등과 집단 갈등에 관련한 연구가 갈등학과 평화학이란 학문 영역으로 자리잡은 상황에서 역사학적 접근의 시도를 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종교와 사회 갈등 간의 관계를 역사적 검토를 함으로써 갈등의 실체를 보기 위함이다. 본고가 초점을 맞추는 것은 사회적 갈등에 관한 종교적 신념의 작동 양상이다. 특별히 종교로 인해 일어나는 갈등 양상을 후스파의 급진파인 타보르파의 천국왕국운동과 급진적 종교개혁자 토마스 뮌처의 난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는 종교 사상이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근대 이전 사회의 갈등에서 종교의 역할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처럼 종교와 사회 갈등에 관한 역사적 해명을 통해 종교가 사회 갈등의 산물이 될 수 있다는 역사적 증거를 확인할 것이다. 종교가 역사 현실에서는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작용하고 보수파나 급진파 어느 한 쪽의 편을 든다. 하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그런 종교적 이상은 포기되지 않고 이데올로기를 넘어선 가치를 위해 자신의 시대적 역할을 추구하도록 만드는 점이 간과될 수 없다. 끝으로 시대의 전환기를 맞아 종교로 인한 사회갈등이 줄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특정한 종교 사상으로 미래의 평화와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 갈 것인가를 고민하고 해법을 찾아 실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임에 틀림없다. Research related to individual conlficts and collective conflicts is gradually established as a field of the science of conflicts or peace. In this situ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try to approach historically in order to grasp the historical facets of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al conflicts. What this paper noticed is how a religious belief is worked to the social conflict, dealing with the Taborite millenarian movement and Thomas Munzter’s Uprising. It shows that a religious thought causes a social conflict, helps us realizing the role of religion in the social conflicts of pre-modern age. This elucidation makes sure a historical evidence that a religion may be a direct cause of social conflicts. Religion operates a kind of ideology in the historical reality, and prefers to either the conservative or the radical. However, it cannot be regarded that it seeks to its role of the ages for a value beyond a ideology, holding on to its own ideal. Lastly, in the transition period, social conflicts raised by religion has not diminished.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ask that we concern about how to build peace for future and make new order, and then seek for a solution and practice it.

      • KCI등재

        [특집 : 대안의 삶을 찾아서] 쿠오 바디스 코리아 : 근대성을 향하여

        김덕영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1 현상과 인식 Vol.25 No.1ㆍ2

        이 글은 한국 사회가 추구한, 추구하고 있는 그리고 추구해야 할 대안의 삶에 대한 철학적-사회학적 에세이이다. 철학적 사회학적이라 함은, 엄밀한 경험과학적 지식 및 이론과 규범적 철학 지식과 이론을 결합시키면서, 대안의 삶의 방향을 경험적인 관점과 동시에 규법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고자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유로 이 글의 제목을 "쿠오 바디스 코리아"라고 명명했다. 이 글은 대안의 삶을 추구하는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메타 차원의 자아 성찰이다. 철학과 사회학이 제시한 보편적인 이론에 의하면, 근대성은 무엇보다도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자아에 근거하는 개체성과 개인주의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분화와 체계적 기능적 분업을 선험적 전제 조건으로 한다. 한국사회는 끊임없이 대안의 삶을 추구해왔다. 세계화, 포스트 모더니티 논쟁, 신자주의 시장경제, 신지식인, BK21 프로젝트, 지식 정보 사회 한국 사회는 이러한 과정에서 근대성이나 근대적 합리성이 결여된 채로 전근대적인 체계와 문화의 수준에서 탈근대 사회를 모색한, 매우 심각한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근대성과 근대적 합리성의 확보-이것이야말로 한국 사회에게 주어진 제일의 정언명령이다.

      • KCI등재

        19세기 말 조선 시대 사회 변동과 집합 의식 변화

        임영빈(Young Bin L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1,2

        이 글에서는 19세기 말 조선 사회가 근대 사회로 발전하기 위해 근대 사회에 어울리는 집합 의식이 필요한 상황에서 조선 사회의 근대 집합 의식 형성을 위해 개화 사상, 천주교 사상, 동학 사상, 개신교 사상 등이 생산되었는데 그 중에서 개신교 사상이 초월성과 현세 변혁 교리를 강조했기 때문에 19세기 말 조선 사회 근대 집합 의식 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19세기 말 생산된 여러 사상들을 비교하여 개신교 사상이 근대 집합 의식 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본 후 개신교 세력이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운동을 중심으로 생산한 집합 의식은 어떤 것이며 어떻게 생산되고 확산되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이 글에서는 뒤르케임, 베버와 같은 고전 사회학자와 하버마스, 우스노우와 같은 현대 사회학자의 이론을 통해 집합 의식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개신교 세력이 조선사회 근대 집합 의식 형성에 끼친 영향은 무엇이며 이러한 집합의식이 기억되고 재생산되기 위해 어떤 전략들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This paper compares several Korean Reform Movements, based on the Gaehwa thought, Catholic Thought, Donghak Thought, and Protestant Thought in order to examine what thought could produce the most appropriate culture as collective consciousness to fulfill a structural need in Korea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This paper argues that Protestantism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ollective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due to its emphasis on inner-worldly asceticism and transcendence. This paper explains that Protestant forces coul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modern collective consciousness through activities of the Independence Club, the Independent, and the General People’s Assembly. This paper uses the theories of sociologists, such as Emile Durkheim and Max Weber, Jürgen Habermas, and Robert Wuthnow, to explain the concept of collective consciousness, to examine how Protestant forces have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modern collective consciousness, and how the newly produced modern collective consciousness was spread and revitalized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종교와 사회적 자본

        장형철(Hyung Chull J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1/2

        이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이 시민사회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기윤실의 자료와 여타의 자료를 분석해 보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주로 개신교 안에서 창출되며 개신교 안으로 재투자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사적인 관계성 속에서 얻게 되는 신뢰와 개신교인 자신들만을 위한 제한된 호혜성의 규범 그리고 교회 안으로 닫힌 네트워크를 통해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당연히 개신교 공동체 안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익을 준다.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시민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 한국 개신교회는 공적 신뢰를 회복하고, 타집단에 관용적인 태도를 갖고, 공공영역에서 신뢰 있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세우고, 그리고 다른 집단과의 연계를 만드는 약한 유대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이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뿐만 아니라 연계형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여 균형을 갖는 것 또한 중요하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explore how it can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Mainl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social survey of 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기윤실), I argue that Korea Protestant churches have created social capital and have reinvested it into their own congregations only. Specifically,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is produced by the trust in private relationships, the norm of limited reciprocity, the network closed into church. This social capital ma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give some benefits to their own congregations but not to Korean civil society. Thus, in order to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must achieve public trust, develop the attitude to the others from exclusivity into tolerance, establish some institutional safeguards, and build weak ties to bridge other particular groups in Korean society. Al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balance between bo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만남과 마음의 연기와 연기사회론 시론

        유승무(Seung-mu Lew),최우영(Woo-young Choi)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1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이른바 ‘구 유럽적 사유’의 지평을 넘어 궁극적으로 ‘연기적 의미론’ 내지 ‘연기사회론’의 지평을 개척하는 사유의 전복을 시도한다. 여기서 연기, 연기사회론은 이 글의 핵심에 해당하는 용어 혹은 개념으로서 상기한 대안 사유의 가능성과 전망을 압축적으로 표상하고 있다.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과연 만남과 마음의 개념적 의미는 각각 무엇인가? 그러한 개념 요소들은 이론적 층위에서 어떻게 연기사회론을 구성하는가? 그래서 만약 만남과 마음의 연기사회론이 성립한다면, 그 사회학적 함의는 무엇인가?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맑스, 루만, 타르드, 붓다의 생각을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이 글의 이론작업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함축하고 있다. 첫째는 구유럽적 사유를 중심으로 한 서구발 근대의 폐해를 폭로하고, 그것에 대한 대안 논의로서 불교를 학문적 논의의 지평으로 불러낸 점이다. 둘째는 연기사회론은 시론적 차원에서나마 운동의 연속체로서 ‘사회적인 것’을 이론화함으로써 모든 사회연구의 기초가 되는 최소 보편 이론의 기반을 구축하였다. 우리의 관점에서 보면, 통상적인 사회이론은 연속체나 변동체인 ‘사회적인 것’을 설명과 이해의 필요라는 명분 아래 부당하게, 혹은 과도하게 고정시켜왔다. 살아움직이는 동사의 세상을 죽은 명사의 세상으로 왜곡하여 이해했다고도 볼 수 있다. 연기사회론은 모든 것이 이어져 있는 연기의 세계와 모든 것이 유동하고 있는 운동의 세계를 생생하게 포착하게 한다. 그 강점은 맑스의 변증법, 루만의 체계이론, 타르드의 모나드론과의 비교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In this paper, we try to overturn our thinking by penetrating the positions of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beyond the so-called “old European reasons.” Here,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is a compressed representation of the potential and prospects for the above alternative reasons as the term or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e core of this article. This article asks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conceptual meanings of meeting and mind? How do those concept elements form an act society on a theoretical level? So, if meeting and mind acting social theory are established, what is the sociological implications?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discuss them by comparing the ideas of Marx, Luhmann, Tarde and Buddha. The theoretical work of this article implies several implications: The first is to expose the evils of modern Western Europe centered on old European causes and to bring Buddhism to the ground of academic discussion as an alternative discussion. Second,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has been founded on the basis of the least universal theory underlying all social studies by theorizing ‘social’ as a continuum of movement, although on an essay level. From our point of view, conventional social theory has been unfairly or excessively fixed on the pretext of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the continuum or the variable ‘social.’ It can be said that he has distorted the world of a living and moving verb into a world of a dead noun. The Buddhistic theory of causality give us a vivid picture of the world of all-in-one Buddhism and the world of movement in which everything is flowing. The strength is evident in the comparison of Marx’s dialectic, Luhmann’s system theory, and Tarde’s theory of Mon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