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음 음운 치료 원리를 접목한 화상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 파열음·파찰음의 삼지적 대립을 중심으로 -

        홍성미 ( Hong Sung-mi ),김지형 ( Kim Ji-hyu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석화된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조음 및 음운 치료 원리를 접목한 일대일 화상 발음 교육을 시행하고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의 실질적인 교수 전략을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대만인 학습자 4인, 베트남어 모어 화자 1인 등 총 5명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파열음과 파찰음 계열에 존재하는 ‘평음:격음:경음’의 삼지적 대립을 구별하기 위한 일대일 화상 발음 교육을 시행하였다. 일대일 화상 교육은 Skype를 사용하여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들의 발음에 대한 평가는 SPSS의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사전 및 사후 테스트 결과를 비교하여 발음 개선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실시간 화상 교육으로 이루어진 발음 교육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보완점을 확인하고자 발음 교육 후 학습자 만족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학습자들은 조음 음운 치료의 원리를 접목한 일대일 화상 교육을 통해 파열음 및 파찰음의 삼지적 대립에 대한 발음 개선이 나타났다. 또한 화상 발음 교육을 통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교육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잘 활용되지 않았던 ‘조음 음운 치료’를 접목한 일대일 화상 발음 교육을 시행하여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발음 교육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ele-educati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at incorporates articulation and phonology therapy principles to correct fossilized pronunciation of foreign learners. Methods: In this pape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aught one-on-one to foreign learners who exhibited pronunciation errors in establishing the three-way correlation between plosive and affricative sounds through tel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 Chinese-speaking Taiwanese and 1 Vietnamese. Skype was used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rough tele-education. The Korean pronunciation evaluation was to compare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through the T-test of the SPS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nt the satisfaction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ele-education (pronunciation), the questionnaire of learner satisfaction was surveyed and analyzed after the pronunciation education. Results: This study proved the effectiv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rough one-on-one tele-education incorporating the principle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therapy to foreign learners.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a new pronunciation teaching strategy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of foreign learners is presented.

      • KCI등재

        中國國內韓語學習者發音問題的影響因素硏究 - 以環境因素、敎材因素及敎師因素爲中心-

        趙晨薇,關關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61 No.-

        The ultimate goal of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to use the language skillfully in order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 language user. Especially, pronunciation is the basis of learning a language well. When learning Korean, pronunciation of Korean directly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earning for Chinese learners who do not have a Korean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nunciation problem of Korean learners include not only the learner's personal factors but also external factors (environment, textbooks, teachers, and etc.).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e Korean pronunciation problem of Korean learners in China, we would discuss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pronunciation learning problem, that is, environmental factors, textbook factors, and teacher factors. Specific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the literature of the CNKI citation index database was studied through CitesSpac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Chines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began in 2003. In addition,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in China at present, and mainly studies are conducted focusing on three areas: Korean-Chinese pronunciation compariso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pport education. Second, eight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were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unified standard for pronunciation composition in Korean textbooks currently published in China,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 of pronunciation is insufficient and the practice method is simpl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tress of Chinese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through interview results of Chinese teachers working in China. This stress mainly stems from the test-oriented education system,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eachers, and the workload. In addition, 'lack of research funds and textbooks' is the biggest difficulty in the current curriculum. It is also mentioned that there are fewer opportunities for re-education of Korean teachers. Finally, local Chinese Korean teachers in China mainly have expectations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pronunciation textbooks, diversification of teaching methods, and projects. 외국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목표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여 목표 언어 사용자와 원활하게 의사소통하는 것이다. 특히 발음은 언어학습의 기초이다.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한국어 사용 환경이 없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한국어의 발음은 한국어 학습 효과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친다. 그러므로 한국어 발음 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자의 개인적 요인뿐만아니라 외부적 요인(환경, 교재, 교사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국내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음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인, 즉, 환경적 요인, 교재 요인, 교사 요인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 및 결과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CiteSpace 분석을 통해 의 한국어 발음 교육이 2003년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으며, 주로 한중 발음 비교, 발음 교육, 받침 교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중국에서 출판된 8권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현재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어 교재에서 발음 구성에 대한 통일된 기준이 없고, 교재마다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발음에 관한 내용이 부족하고, 연습 방법이 단순하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중국 에서 재직 중인 중국인 교사의 인터뷰 결과를 통해 현재 중국인 한국어교사의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주로 시험 위주의 교육 시스템, 교사의 역할과 책임, 업무량에서비롯된다. 또한, 연구비 및 교재 부족이 현재 교육 과정의 가장 큰 어려움이다. 또한 한국어 교사들에 관한 교사 재교육의 기회가 적다는것을 언급하었다. 마지막으로 중국 현지의 중국인 한국어 교사들은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기대는 주로 발음 교재의 개발, 교수법의 다양화, 프로젝트 등이 있다.

      • KCI등재

        언어치료 관점에서 본 한국어 발음교육

        김미성 ( Mi Sung Kim ),이상직 ( Sang Jik Rhee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0 No.2

        이 논문은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 발음교육을 언어치료 관점에서 실시하여, 이 관점의 교육이 어느 정도 효용성이 있는지를 다루었다. 피검자는 만 35세 미만인 중국인 여성 6명을 선정하였으며, 피검자 모두 5년 이상 한국에서 거주하였다. 피검자의 한국어 구사능력은 한국어능력평가(TOPIK)가 중급 이상이었다. 여섯 명의 피검사를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1그룹은 조음치료기법을 이용하여 한국어 발음교육을 실시하였다. 이 들은 40분의 단위로 하여 매 주 2번 내지 3번 발음교육을 모두 18번을 진행하였다. 반면 2그룹은 일상적인 발음교육을 받았다. 발음교육의 대상은 단어수준의 조음 정확도, 문장수준의 조음 정확도 및 말명료도이다. 1그룹의 단어수준의 조음 정확도 결과에서 대상자 3명 모두 조음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문장수준의 결과도 대상자 모두 조음 정확도가 향상되어 발음교육의 효과가 있었다. 또한 말명료도에서도 발음효과가 있었다. 1그룹과 2그룹간의 발음교육 차이가 조음 정확도, 음운규칙 정반응률의 3가지 영역에서 나타나고, 말명료도 영역에서는 나타나지 않아 조음치료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 발음교육이 기존의 교육방법에 비해 한국어 조음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인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음교육 대상자의 수가 적어 그 효과가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대상자 모두 발음능력이 향상되었지만 대상자 별로 향상 정도의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둘째, 조음치료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 발음교육을 실한 1그룹과 2그룹 간의 통제가 완전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조음치료적 접근에 의한 한국어 발음교육이 발음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지만, 기존 한국어 교육을 받은 2그룹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네 영역을 함께 받았기 때문에 전문적인 발음교육을 받았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program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was developed. Subject for the study is a foreigner who is studying Korean through foreign language, so six Chinese students are selected. They are under 35 years old and have been living in Korea over 5 years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 is above mid level of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Six Chinese wome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and controlled group maintained their existing Korean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40 minutes of training during 10 weeks from March 3rd, 2~3 times a week, 18 sessions in total. Pronunciation improvement is measured by 4 language testㄴ; before training, after 10 sessions of training, right after 18 sessions completed, 10 days after training completion. Test before training and 10 days after training were conducted to both group and check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see the improvement of overall language pronunciation, articulation accuracy in word level, articulation accuracy in sentence level, rate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rrect response rate of in phonological rules are considered as evaluation standards. As a result of study, all of 3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ho had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showed improvement in articulation accuracy, rate of speech intelligibility , and rate of correct response in phonological rules. T-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level of group in articulation difference in word level and sentence level, and rate of correct response in phonological rules excluding speech intelligibility. Thus, effectiv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is confirmed.

      • KCI등재후보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방안 연구

        이묘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10 한국어문화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교육연극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그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한국어 중급 학습자들의 발음 교육을 위해 적용 가능한 연극기법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유창하고 정확하게 한국어를 사용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발음교육이 가장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고에서는 학습자의 흥미유발과 동기부여를 위해 Wessels(2008)가 고안한 연극기법을 중심으로 중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교육연극기법과 발음교육과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교육 연극기법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음 교육의 방안을 자세를 통한 교육, 호흡을 통한 교육, 음성연습을 통한 교육, 입술모양을 통한 교육, 노래를 통한 교육, 혀 꼬기 놀이를 통한 자음 교육, 동작을 통한 모음교육 등으로 분류하여 수업절차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pose an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utilizing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looking for ways to present the plan. And it will find the way of the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by educational drama techniques for intermediate learners.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using of the fluent and correct korean, i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education of the pronunciation. This study will suggest about the way of the education of the pronunciation, it is with the education drama technique it is devised by Wessles(2008). Therefore, in this work will be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the technique of education drama. And this study will propose the way of the pronounce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drama technique, such as pose of body, the education through the breathing, the education through voice exercise, the education through the lips shape, the education through the song, consonantal education through the tongue twist play, vowel education through the action. It will be suggest with process of the class as a center.

      • 한국어 발음 교육의 어제와 오늘

        김충실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9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6 No.-

        考察中韓兩國學者關于韓國語發音敎育方法的硏究, 指出了兩國學者在韓國語發音敎育中其內容和方法的共同点和不同点。 在此基礎上, 從學校的課程安排和理論學習兩個方面討論了韓國語發音敎育的現狀, 探討了發音敎育中存在的問題, 提出了發音敎育應該音段音位敎學和超音段音位敎學結合使用的重要性。

      • KCI등재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

        김선정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0 한국학논집 Vol.0 No.7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language-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to find a way to make use of them when teaching Korean pronunciation. In English, final obstruents in words such as ‘cook [kuk], cat [kæt], pop [pɑp], bus [bʌs], cheese [ʧi:z], massage [mæsɑʒ], beach [bi:ʧ], chief [ʧi:f], cave [keiv]’, etc. are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However, in German, final obstruents are not pronounced according to their phonetic values, but rather as their voiceless counterparts, as can be seen in ‘Wald’ and ‘Hund’ pronounced as [valt] and [hunt] respectively. This syllable-final devoicing process also takes place in Dutch, Uzbek, and several other languages. On the contrary, in Korean, the pronunciation of ‘입’ and ‘잎’ is identical, and so is the pronunciation of ‘낫’, ‘낮’, and ‘낯’. In other words, in Korean, the distinction of plain and aspirated is neutralised, and the distinction of fricative and affricates is lost. This is caused by the unreleasing phenomena, which is also found in Thai and Vietnamese. Yet, in the case of Vietnamese and Thai, in contrary to Korean, the syllable-final liquids are not pronounced. On the other hand, we know well than in Mandarin Chinese only ‘n’ and ‘ŋ’ can be pronounced in that position, whereas in Japanese only ‘n’ and ‘m’ are pronounced, unless one of the consonants sharing the same place of articulation is followed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following syllable. Such characteristics cause a negative transfer on their Korean pronunciation when learning the language, with each of the pronunciations displaying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arner’s mother tongue. For instance, English, German, and Uzbek speakers pronounce Korean syllable-final obstruents as released plosives, while Thai speakers almost never pronounce them as released plosives, yet they tend do pronounce the syllable- final ‘ㄹ’ as [n]. On the other hand, Chinese speakers completely eliminate the syllable-final consonants in their pronunciation, and Japanese speakers pronounce them with an addition of the vowel [u].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nguag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syllable-final consonants pronunciation, and seeks a way to make use of them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한국어 어말 종성 발음의 유형적 특성이 연구의 목적은 언어유형론의 한 분야인 음운 유형론의 시각에서 자연언어의 어말 종성의 발음에 나타나는 특성을 유형별로 나누어 보고, 이를 한국어의 종성 자음 교육 방안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한국어 발음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보면 한국어의 ‘달’을 타이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단]으로 발음하고, 일본어 모어 화자들의 경우에는 [다루]와 같이 발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영어 단어 ‘bonus’와 massage’를 한국어에서는 각각 [보너스]와 [마사지]로 발음하는 반면에 타이어에서는 각각 [보넏]과 [마삳]으로 발음한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어말 음운 조정현상이 음절 구조 차원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고, 음절을 이루는 음소 차원으로까지 확대되어야 적절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어말 종성 발음과 관련된 선행 연구나 자연언어의 음운 정보를 통계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그 어느 곳에도 어말 종성의 발음에 관한 항목은 없다. 예를 들어, 자연언어의 특징을 149개의 entry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는 WALS(The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에도 자음과 모음을 비롯하여 자음과 모음의 비율, 음절 구조 등에 관한 많은 정보는 제시되어 있으나 자음의 위치별 특징, 특히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없다. 또한 세계 451개 언어의 음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UPSID(UCLA Phonological Segment Inventory Database)에도 종성 발음에 관한 정보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나타나는 발음 오류나 언어 차용 시 나타나는 음운 조정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언어의 종성 발음에 관한 특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언어유형론(Linguistic Typology)을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특히 다수의 한국어 학습자가 모어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들의 어말 종성(syllable-final consonants, coda)의 발음을 유형별로 나누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 종성 자음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고급 학습자의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섀도우 리딩 학습의 교육적 효과 연구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을 중심으로-

        양지선 ( Yang¸ Ji Su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본 연구는 고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능력을 높이기 위한 학습법으로 섀도우 리딩(Shadow Reading)을 소개하고자 한다. 사전 및 사후 발음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자들의 발음에 어떠한 영향를 주는지 살펴보고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재 고급 숙달도의 학습자들에게 발음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인식하여 이미 여러 방면에서 교육 효과가 입증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음운 규칙 및 초분절음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국적의 학습자 45명을 대상으로 섀도우 리딩을 적용하여 발음 학습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실험이 끝난 후에는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발음 학습은 약 5주간 진행되었으며, 섀도우 리딩 학습법이 음운 규칙과 초분절음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학습을 실시하기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첫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음운 규칙 적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격음화, 비음화, ‘ㄴ’첨가는 사전 및 사후 평가의 점수 향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 순위는 연음>경음화>구개음화>유음화>비음화>‘ㄴ’첨가>격음화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로, 섀도우 리딩 학습이 초분절음 실현에 어떠한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본 결과, 사후 평가에서 전반적으로 높은 향상도를 확인하였다. 음운 규칙의 향상도에 비해 초분절음의 향상도가 눈에 띄게 높았으며, 향상도 순위로는 억양>발화 속도>끊어 말하기 순서로 나타났다. 원어민의 음성을 듣고 따라 말하는 섀도우 리딩 특성상 초분절음에서 특히 상당한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로, 실험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과 섀도우 리딩 학습법에 대한 반응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한국어 발음 학습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특히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발음 수업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하여 고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섀도우 리딩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어 향후 발음 교육에서 섀도우 리딩 학습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주목을 받는 섀도우 리딩 학습법을 한국어 발음 교육에 적용하였으며, 고급 숙달도의 발음 교육에 긍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이번 연구에 이어서, 향후 섀도잉 학습을 활용하여 다양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hadow Reading’ as a learning method to enhance th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Recognizing the reality that pronunciation training is not sufficient for current advanced Korean learners. By using shadow reading methods, which have proven to be effective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education and see how it affects pronunciation ability after five weeks of learning shadow reading. In this study, 45 advanced learners of various nationalities took pre- and post-pronunciation ability tests,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earcher interviewed survey those who participated in test. Studying pronounciation with ‘shadow reading’ took five weeks and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learning to check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methods on suprasegmental factors, phonological rules ability. First of all,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phonological rules were investigated. Overall, the scores were confirmed to have improved. However, the score improvement of the pre-post evalu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aspir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the order of prolonged sounds,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lateralization, nasalization, /n/-insertion, aspiration. Secondly, the effects of shadow reading on the ability to apply suprasegmental factors were studied. Compared to the improvement of phonological rules, the improvement of the suprasegmental phoneme was higher. The order of improvement was followed by accents, speech rates and pause. The highest improvement was 'accents’. Third, after all the experiments ends, participants were conducted a survey to explore attitude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responses to shadow reading methods. According to this survey, Korean pronunciation classes currently being held were not enoug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pronunciation education for advanced learners. Furthermore, majority of learners were positive to shadow reading method, and confirmed the potential using shadow reading for pronounciation educ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recent attention-shadow reading methods to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positively in pronunciation training of advanced proficiency. Following this study, I hope that various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studies will be actively conducted by utilizing shadowing learning in the future.

      • 사잇소리 경음화에 대한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

        이의 ( Li Yi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4 No.-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므로 여러 방면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특히 한국어의 발음에 있어 표기와 실제 발음의 불일치 현상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에게 큰 장애가 된다. 아무리 자음과 모음을 정확하게 발음해도 음운 변동에 대하여 잘 모르면 한국인과 의사소통을 할 때 서로 못 알아듣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정확한 발음을 하기 위하여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에 대한 교육이 불가결하다고 본다. 하지만 한국어의 음운 변동 규칙은 복잡하기 때문에 한 번에 다 다룰 수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잇소리로 인한 경음화 현상을 구체적인 연구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제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인지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음 교육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내용으로 교육 현장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2장은 이론 배경 지식으로 사잇소리 경음화의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3장은 오류 분석에 관한 내용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지하는지, 어떤 오류를 범하는지,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태 조사를 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4장은 오류 분석의 결과를 근거로 학습용 어휘 등급을 재구성하고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잇소리 경음화 현상에 대한 교육 방법과 교육 원리를 제시하면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등급에 따라 각각 효율적인 발음 교육 지도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발음 교육 지도안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검증하는 실험도 실시하였다. 사잇소리 현상은 한국인조차도 상당히 어려워하고 혼란을 느끼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 중의 하나이다(이정민, 2012). 왜냐하면 사잇소리가 일어나는 단어라도 그 단어 표면에 'ㅅ'을 표시할 수도 있고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잇소리로 후행 명사 첫 음절의 평음은 경음으로 변동하는 경우에는 표기법과 발음 방법의 차이로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Because Korean and Chinese belong to different language systems, they show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the inconsistency between notation and actual pronunciation in Korean is a big obstacle for Chinese learners. Even if you pronounce consonants and vowels correctly, you often do not understand each other with the understanding of phonological chang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in order to pronounce correctly. However, the rules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Korean are complex and cannot be dealt with at once.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sai-sori gyeong-eumhua' and put forward a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is. In the second part, we analyzed the three types of the 'sai-sori gyeong-eumhua'. In chapter 3, we analyze errors to understand how Korean learners perceive the 'sai-sori gyeong-eumhua', what kind of errors are caused, and what causes the errors. Section 4 reconstructs the vocabulary for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rror analysis and suggests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When instructing the teaching method and teaching principle about the 'sai-sori gyeong-eumhua', we propose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pronunciation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the Chinese learners. Finally, we conducted an experiment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eaching pronunciation instruction. Quietness is one of the notations and pronunciation methods that are very difficult and confusing even for Koreans (Lee, Jung-min, 2012). This is because even if a word with sai-sori gyeong-eumhua' occurs, it may not appear at the surface 'ㅅ' of the word. Especially, when the first syllable of the trailing noun varies with the pitch of the first syllable, there are many pronunciation error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tations and the pronunciation methods.

      • KCI등재

        한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김영선 우리말학회 2006 우리말연구 Vol.18 No.-

        이 글은 기존의 한국어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을 비판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발음 교재의 내용과 체계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기 존의 한국어 발음 교육은 초급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된 교재 또한 대부분 문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계적이고 종합 적인 발음 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이 글에서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 기관이 대부분 구체적이지 못한 교육 과정을 바탕으로 하고 있 기 때문에 교재의 개발이나 선정 문제 등에서 큰 관심을 가지지 못하 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개발되어야 할 교재는 각 교육 기관이 목표로 하는 교육 과정을 적절하게 고려하고, 이를 근거로 하 여 교재가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새로운 교재의 구성 과정에 서는 발음 교재가 가져야 할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조건을 제시한 뒤 이를 근거로 하여 한국어 발음 교재의 구성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특히, 언어권별 발음 문제와 방언권별 발음 문제, 그리고 내 용의 구성에서는 단계별 구성 방안 등의 효율성을 지적하였다.

      • 한국어 발음 인지 및 산출과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 -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임주연 ( Ju-yeon Lim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9 한국어와 문화 Vol.25 No.-

        본고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고, 발음 인지 능력과 발음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적의 중급 한국어 학습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어 발음 인지 및 산출 능력,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어 발음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 연구와 한국어 교재의 발음 제시 부분을 참고하여 한국어 발음 능력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고 발음 인지 능력 평가지와 발음 산출 평가지를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발음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발음 학습 전략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피험자의 발음 산출 능력과 인지 능력 간의 차이에서는 피험자의 발음 인지와 산출 능력 사이의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 상관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인지와 산출만을 놓고 볼 때 상관성이 있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한국어 학습자들은 발음의 인지보다 산출을 더 어려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어 학습자의 전략 사용 빈도의 경우 ‘동기’, ‘가설 형성’, ‘입력/연습’, ‘가설 검증’, ‘주목/피드백’ 순이었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능력과 발음 학습 전략 사용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산출 능력 점수는 ‘주목/피드백’과 ‘가설 형성’, 인지 능력 점수는 ‘입력/연습’, 발음 평균 점수는 ‘입력/연습’,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또한 산출 능력 점수를 세분화 하여 정확성과 유창성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정확성의 세부 평가 기준인 이해 명료성은 입력/연습, 주목/피드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고, 유창성에서는 유창성과 그 세부 평가 기준인 발화 속도, 휴지, 말더듬&주저함이 가설 형성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놓여 있었다. 본고는 학습자의 특성 중 발음 학습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도 정의적 요인, 학습 전략 등과 같은 학습자의 특성에 주목하고 있으므로 그 흐름에 따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의사소통 언어 교수에서도 학습자 특성에 주목하고 있는 만큼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이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imed at Korean intermediate learners, looks at the learners' ability to recognize and produce pronunciations and the aspects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usage,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In order to examine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Korean pronunciation ability assessment items were selected by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es and Korean textbooks, and a pronunciation recognition ability assessment and a pronunciation assessment were constructed and conducted. Also, a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o use th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irst looked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bility to produce pronunciation and recognition abilities of the subject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ere significant but showed no correlation. Next, we looked at the usage pattern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In the case of Korean learners' strategy use frequency, they were 'motivation', 'hypothesis formation', 'input/practic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attention/feedba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nunciation ability an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were looked at, and the results showed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Attention/Feedback’and‘Hypothesis Formation’, the recognition ability score to ‘the Input/Practice’, the pronunciation average score to the‘Input/Practice’and‘Hypothesis Formation’respectively. Moreover, as a result of dividing the production ability score into the accuracy and fluency, understanding accuracy, which is a detailed criterion of accur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put/Practice and the Attention/Feedback, and in the case of fluency, speaking speed, pause, stuttering & hesitation, which were the criteria of the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and the flu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ypothesis Formation. Recently,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s on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definition factors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t is a study based on the flow.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ocess of studying various learner characteristics i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as we are paying attention to learner characteristics based on recent communication language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