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 대중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인문강좌”를 중심으로-

        진정일 ( Jeong Il 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우리사회에는 현재 인문학의 열풍이라 할 만큼 인문학을 주제로 한 각종 강의와 모임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있으며, 많은 시민들이 이들을 통하여 인문학을 접하고 있다. 그동안 인문학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것은 대학의 철학과를 비롯한 각종 수행기관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시민인문강좌’라 할 수 있다. ‘시민인문강좌’는 2007년 정부 주도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급격히 확대되었다. 그 결과 인문학의 대중화와 함께 계층 간·지역 간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인문학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반면에 정부 지원에의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성과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문학 분야 학문 후속세대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의 학문적 본질과 그것이 실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우리 사회에서 ‘시민인문강좌’의 필요성은 다양화되고 있다. 교육적으로는 인간다운 인간을 양성하는 활동으로서의 교육은 그 본성상 인문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육체계를 갖추지 못한 우리 교육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다문화시대에 나타나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문화적 격차를 완화하여 소통과 공존의 계기를 제공할수 있다. 또한 현대인들에게 점증하고 있는 정신적 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치료적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는 민주시민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의 대중화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인문학의 일상화를 이루어야 한다. Now, there is a craze for humanities in our society. Many lectures and gathering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humanities is held and a wide range of books is published. So now, more and more ordinary citizens are able to access to the humanities more easily through these lectures, gatherings, and books. It is clearly evident that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has been playing a important role in popularizing the humanities. Especially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has expanded rapidly since a government-led project to popularize the humanities started at 2007. Consequently, it contributed to popularizing the humanities, reducing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various classes and areas, and developing the various humanistic contents. But, as dependence on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creased, a trend that attaches importance to achievement is appearing in many institutions which are conducting this project. And the next generation of the humanities division is rather decreasing. But, considering the inward nature of the humanities and an its effect on our actually lives, it is obvious that the need of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is growing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can supplement our school education. Because even though an education must be the activity that makes us human, our school education do not play a its role in this respect. With regard to culture, it enables us to understand manifold cultural differences in our society and t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t has the curative power to heal our mental anxiety symptoms which is developing gradually. Finally, it is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e citizens of a democratic country. Further more, in order to actualize these needs, we don’t have to content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but we must try to be routine for us to access to the humanities.

      • KCI등재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문화주의적 교점 -딜타이(W. Dilthey)와 연관해서

        송석랑 ( Suck Rang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2

        이 논문은 마음연구에 대한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교점 내지 양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이상학적 인식론 내지 심리학의 한계를 초과하는 과학의 논리로써 마음을 탐구하며 인지과학의 한 요소가 된 ‘분석적 심리철학’은 심신이원성 혹은 자연주의적 환원성의 난제에 처한다. 계산주의의한계와 통하는 이 난제는 당대의 과학적 인지이론이 또 다른 철학, 즉 현상학을 찾는 계기가 된다. 최근의 논자들에 따르면, 거기에는 무엇보다도다음의 세 이유가 있다. (1)현상학은 인지과학의 외성주의적 접근이 처한 난국을 돌파하되, 내성주의에 기대지 않고 과학적 태도를 견지할 방법론을 제공한다. (2)현상학은 경험의 지향성으로써 “인지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방법”을 제시, 인지과학자들을 괴롭혀온 심신이원성 혹은 환원성의 문제를 해소하며 인지과학의 지평을 확장한다. (3)뇌과학이나 신경과학의 실험에서, 현상학은 피실험자의 경험을 인지과학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서 파악하게 해준다. 이 논문은 그러한 사안들을 딜타이의 해석학에서 유래한 ‘존재론적’ 문화주의를 매개로 살펴보는 가운데, 현상학과인지과학이 빚는 교점 또는 양립의 양상과 의의 및 한계를 고찰했다. This paper is an essay on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in researching for our mind.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d researched our mind by means of scientific logic that exceeds the limits of traditional theories of mind which are based on the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n it become a part of cognitive science. However this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s been in the difficult position of mind-body dualism or naturalistic reduction which such physicalistic materialism as functionalism and connectionism tend to show. This difficult position that opens into the limits of computational theory caused cognitive scientist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henomenology in their studies, for it provides their studies with an effective way of getting away from the difficult. According to a recent study, for example, the work of Gallagher and Zahavi [《The Phenomenological Mind, 2008》], the reasons why cognitive scientists feel need of phenomenology to overcome the difficult are as fellows : (1) phenomenology provide a new methodology for cognitive scientists to take a way of studying on mind in the “experiential scientifically dimension” without resorting to old style introspectionist’s view of mind, (2) by giving the embodied approaches to cognition via “an explication of the intentionality of experience that stresses the co-emergence of mind and world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 choice between internalism and externalism”, phenomenology can be a new effective means of overcoming the Cartesian mind-body dualism that continued to torture the cognitive scientists like behaviorist or functionalist, (3) phenomenology offers dependable ways of figuring out conscious experience, and of designing the experiments to cognitive science, in study on mind relevant experimental science like neuroscience or science of brain. Elucidating these matters by through of ontological culturism which is derives from Dilthey’s hermeneutics, and implies an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as well as aspect of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which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make.

      • KCI등재

        인문학의 길

        박찬인 ( Pak Chan 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인간은 태어나서, 살다가, 죽는다.”라는 단순한 생물학적 전기를 거부하는 데서 인문학은 출발한다. 즉 우리의 출생은 우리의 선택사항도 결정사항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삶에 대한 나의 책임, 당신의 책임, 우리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탄생 이후 우리 삶은 우리가 감당해야 할 사건이다. 여기에서 인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 나오고 인문학적 사유의 첫 번째 과제가 탄생한다. 인간이 잘나서가 아니라 인간이 자기 존재와 삶의 방식에 대해 지고 있는 책임을 생각하고 따지는 것이 인문학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말이다. 인간에 관한 사유와 실천으로서 인문학은 예술과 문화 등에 대한 무슨 고급 소양이나 교양 같은 것들을 스펙 쌓듯 쌓아가는 것을 능사로 하지 않는다. 인간에, 사회에, 역사와 문명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부단히 사유하고 그 중요성을 사회에, 사람들에게 부단히 환기시키는 것이 인문학의 책임이다. 인간에게는 `성찰`이라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성찰이란 뒤돌아보기이다. 잘 왔는지, 옆길로 새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되돌아보는 것은 미래를 내다보기 위해서이다. 그렇다. 인간의 성찰이란 뒤돌아보기(retrospection)이면서 내다보기(prospection)인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탁월성이기도 한데, 인간은 지금 여기에 매여 있으면서도 그 운명을 넘어 다른 것을, 여기 `너머`의 것을, 지금 `너머`의 것을, 보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다. 지금을 넘어 과거와 미래를, 여기를 넘어 다른 곳, 다른 세계, 즉 `저기`를 보는 것이다. 아니 단순히 보기를 넘어 여기와 저기를 연결시킨다. 이 연결이 바로 인문학적 상상력이다. 창의력을 통해 창조로 나아갈 수 있는 인간의 상상력,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를 드높이는 길, 공존의 정의와 타인의 고통을 흡수할 줄 아는, 공감능력을 가진, 아름다운 인간의 길을 인문학이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문학적 가치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유일한 조건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문학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추구하는 가치가 곧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우리 자신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Humanities depart from the rejection of the simple biological biography of "Man is born, living and dying." Our birth is not our choice or decision, but it does not mean to get a exemption of my responsibility, your responsibility, our responsibility for life. Our life after birth is an event we have to deal with. Here human responsibility for man comes out and the first task of humanistic reason is born. I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of humanities not to be humble but to consider and appreciate the responsibility that humans have for their being and way of life. As thoughst and practices on human being, the humanities do not advance the accumulation of specifics such as advanced literacy and culture of arts and cultur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ities to constantly consider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for human beings, society, history and civilization, and to constantly remind people of its importance to society. Human beings have a special ability of `reflection`. Reflection is a look back. It is looking back whether it came well or was not leaked to the side. But the aim of looking back is that it sees the future. Yes. Human reflection is both retrospection and prospection. This is also the excellence of the human being, who is now bound here, but has the special ability to see beyond that destiny, beyond that, beyond that now. It is beyond the present to see the past and the future, beyond this, another place, another world, that is, there. Actually, it simply goes beyond the view and links here and there. This connection is the humanistic imagination. Humanities should lead the way of a beautiful human being with human imagination that can go into creation through creativity, the way to enhance the value of humanistic imagination, to know a justice of coexistence, and a sympathetic ability to absorb the pain of others. In this sense, humanistic value is the unique condition that makes human beings human. In conclusion, humani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ir value to pursue is our own value as a human being.

      • KCI등재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남진숙 ( Nam Jinsook ),이후경 ( Lee Huekyoung ),이임정 ( Lee Yim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실태 조사 분석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청소년 인문학 강좌에 대한 하나의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활성화 및 효과적인 운영 및 지원 방향성에 대해 제안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청소년 대상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및 방법 등 그 특징과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청소년 인문강좌는 크게 두 가지로, `찾아가는 인문`과 `찾아오는 입문` 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전자는 고등학교에 대학교 교강사를 직접 파견하여 일정기간 지속성을 갖고 문학, 예술, 역사 등 다양한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찾아오는 입문`은 동국대학교에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와서 예술, 과학, 철학, 역사, 문화 등 연속적으로 특강을 자유롭게 수강하는 형태로 희망 학생들을 받아 진행하였다. 이 두 강좌의 특징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요구와 참여에 의한 인문학 강좌라는 점과 연속성과 내용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강좌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다는 점에서 프로그램의 내실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인문학 강좌는 장기적으로 학교 `교육적 측면에서 인문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을 보완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에 대한 연구와 강좌 확대는 필수적이다. 청소년 인문학 강좌 역시 지속적이고 체계적이며, 일회성이 아니라 내실 있고 일관된, 그리고 인문학의 본 취지에 맞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관된 정책과 지원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일선 학교와 청소년들이 인문학에 대한 강좌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를 다 채워줄 수 없었다는 점 즉, 국가적 지원이 매우 적었다는 측면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인문학 교육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는 일반 시민인문강좌와 똑같이 생각할 수 없다. 인문학 강좌를 통해 인문학적 지식의 확장과 함께 그러한 사유를 통하여 친구, 선후배간의 관계 및 진로, 인성, 삶의 가치관을 키우고 정립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이는 청소년 인문학 강좌를 통해 거대 담론에 앞서 본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하나씩 인지하고, 더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on youth, humanities course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humanities courses. Also, it is the main purpose to propose the activation, effective operations and support direction of youth humanities courses. For this purpose, analysis were focused on the features and effects, and more information on the program through the case of citizen humanities courses, < Visiting Humanities (人文), coming introduction(入門) > targeting youth in 2015.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were largely conducted by configuring the visiting humanities and coming introduction in two ways. The former is a Humanities course that university lectures has dispatched directly to the high school a period of time and proceed humanities courses on various topic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programs. In case of coming introduction,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me directly to the Dongguk University and attended the classes such as art, science, philosophy, history, and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lasses can be a point of continuity and the diversity of the content, the humanities courses requir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courses was very high. In the long term, humanities course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that complement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al aspects. Expanding lectures and research on humanities courses for young people to do so are essential. Youth humanities courses have to be ongo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purpose of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To do so consistent policy and support should be premised, and then realistic financial support has to be made. Even though schools and young people had a lot of demands for humanities courses, it was hard to fill all those needs because the national support was not enough.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youth liberal arts education that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can not think the same way as ordinary citizens humanities courses. Through humanities courses youth are able to extend the humanistic knowledge and continue to grow friends, career, personality, values of life and so on. This is to ensure that youth has to aware of the problems what they are facing through the youth humanities course prior to the grand discourse and it can make them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ogram.

      • KCI등재

        베르그송과 포스트휴머니즘과의 만남 -신체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홍경실 ( Hong Koungsil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2

        과학기술의 예측 불허의 전개상 앞에서 펼쳐지게 될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머니즘에 대한 성찰은, 분명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그것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신체와 기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신체에 터하는 의식과 마음에 대한 이해는 이제 포스트휴머니즘이라는 새로운 인간 이해로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전통 인문학은 분명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신체에 대한 이해와 뗄 수 없이 긴밀하게 연결된 것이 생각하는 인간에 대한 이해라고 한다면, 이제 그러한 신체가 점점 기계적인 인공물이라고 하는 무기물과 벗하게 되는 탈신체화의 문제는 간학문적인 연구와 협업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 본고는 베르그송의 신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제기되고 있는 신체에 대한 탈이원론적인 단서를 찾아봄으로써, 이런 시대적 문제의식과 만나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자연과학과 인문과학과의 만남과 소통의 당위성을 드러내 보이고자 한다. A reflection on the necessity of humanism in the post-humanism era, which is to be unfolded before the unfolding of the unpredictable science and technology. Clear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it's new.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boundaries between body snd and machine,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mind are emerging as a new human understanding of post-humanism. Therefore, traditional humanities are obviously facing new challenges. Through this understanding of Bergson's body, I find out the clues escaping from the dichotomy about the body, which are raised in post-humanism era. Therefore, we want to show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itues and Natural Sciences.

      • KCI등재

        햅틱 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햅틱 테크놀로지에 대한 융합적 연구를 통해

        육현승 ( Hyun Seung Yuk ),정석 ( Seok Ch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48 No.2

        ``햅틱의 시대 Haptic age``가 도래했다고 말하고 있다. 오늘날 햅틱 인터페이스들은 우리의 일상 곳곳에 들어와 시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가장 필수적인 기술이자 미디어로서 기능하고 있다. 햅틱 기술발전을 가속화하여 머지않아 인간 손의 범위를 넘어 인간 삶의 생물학적인 조건들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 같은 햅틱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 대해 인문학이 접근하고 대응하는 연구는 아주 미미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햅틱의 기술과 그것의 미디어적 활용에 직면하여 인문학적 논의를 이끌고자 공학과의 상호 융합적 연구를 통해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인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촉각적 구조에 대해 정의하며, 이와 함께 촉각이 가지는 인간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문제성을 다루게 된다. 다음으로는 현재의 햅틱 기술들의 위치와 그 한계들에 대해 논의하며,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기술들에 대해 인문학은 어떤 문제제기와 차후 기술발전을 위해 무엇을 제안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공학에서 전개되어 온 햅틱 기술들이 차후 인간의 촉각이 갖는 개별적이고 질적인 부분들에 대한 변화와 함께 인간존재에 대한 본질의 문제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사위어 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함을 설명하고 있다. It is said that the haptic age has come. Today`s haptic interfaces function as an essential technology and medium which connects our everyday time and space, so that in the near future those technologies would more strongly influence the biological conditions of our life beyond the limitations of human nature. However, humanistic studies on such rapid development of haptic technologies have been insignificant. This paper aims to initiate further humanistic discussion on the current state of haptic technology and its media applications throughout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combining engineering science. First of all, this study will provide a definition of the haptic structure of the human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scope of the problem-related human communication based on the haptic sense, and then will analyze both the current status and the limit of haptic technology. Lastly, this paper will present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for today`s haptic technology to prepare a future evolution. In consequ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xamine the engineering development of haptic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at have derived from the devotional sacrifice of individual and qualitative haptic sense of human but also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integrated thinking between humanities and engineering science.

      • KCI등재

        중,고,대학의 초급 중국어 교육에 관한 고찰 -제2외국어로서 중국어 교육의 한계-

        신의연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44 No.2

        중국어는 앞으로는 중국과의 관계에 있어서 중국어전공자 뿐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인재들의 중국어 구사능력이 요구됨으로 이에 따른 중국어 교육의 변화가 요구된다. 하지만 학교 교육 안에서 중국어 교육은 아직 제2외국어라는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처음 중국어에 흥미를 갖고 시작하던 중학생들도 고등학생이 되면 학습이 어렵다는 이유로. 수능반응비율이 낮다는 이유로 중국어 선택을 주저하거나 실질적인 중국어 학습을 미루고 있다. 사회진출전의 마지막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서도 심도 있는 교양 중국어 수업이 실시되기가 어렵다. 대부분 중고등학교 때 중국어 선수학습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높은 학점 취득을 목적으로 또 다시 초급 수준의 중국어를 수강하고 있다. 하지만 더욱 큰 문제는 중학교,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의 교양 중국어에 이르는 중국어 학습내용이 비슷하며, 이들 사이에는 연계 학습이 이루 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학습자의 중국어에 대학 흥미감소로 이어지고, 정작 중국어 학습이 필요한 비전공자들은 형식적인 대학에서의 교양 수업보다는 학원이나 해외연수를 선택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교육현실에서도 중고등학교와 대학사이의 초급 중국어 교육이 철저히 계획되어 학습량을 분산시키고 이를 연계한다면, 비전공자들의 중국어 교육도 충분히 제고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학생들의 분별력 있는 노력과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대학 측, 교수진들 그리고 교육정책차원의 적극 협력과 지원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국어 구사자들의 사회적 수요와 국제사회의 대 중국 현안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함으로, 중국어가 기존의 제2외국어의 틀을 벗어나 중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필수과목으로의 전환여부가 적극 검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중소규모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 과정- 우송대 <대학글쓰기>를 중심으로

        전대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 writing educa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colleges which aim to develop professional abilities with a focus on vocation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purpose, procedures and contents of academic writing in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In 2020,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newly established academic writing as a common subject required for basic liberal arts and operating it. It can be evaluated that such a great change in basic lib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in WooSong University depend on the author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structure, as well as the key features of the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Academic Writing' at WooSong University, three years after its implementation. Through a reflective contemplation on the course,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can be identified, allowing for the exploration of a practical and realistic writ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WooSong University and similar small to medium-sized universities with a similar character. To demonstrate this, we will first present an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models regarding gen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that WooSong University refered to or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bjectives of the 'academic writing' course. Then, we will briefly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tructure of WooSong University's 'academic writing' course to explain how the aforementioned theories and models on writing education were applied and modified. Lastly, we will summarize several aspects necessary for the 'academic writing' common course in WooSong University, which has achieved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enhance its substance. Through such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practical models of 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scale as WooSong University. 이 글은 우송대 <대학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목표, 과정 및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직업 교육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직업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의 한 모형을 탐색한다. 우송대 교양대학은 2020년에 <대학글쓰기>를 1학년을 대상으로 교양필수 공통 과목으로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송대에서 이루어진 교양기초교육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이와 같은 큰 변혁은 대학의 결단에 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양필수 공통 교과가 시행된 지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학글쓰기>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과 구성 및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중소규모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글쓰기 모형을 모색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보이기 위해 먼저 우송대가 <대학글쓰기> 교과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참고했거나 적용한 교양기초교육과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에 대한 분석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우송대의 <대학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구성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앞서 살펴본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 등이 어떻게 적용되고 변형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송대의 큰 결단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갖춘 <대학글쓰기> 공통 교과가 더 내실을 기하기 위해 요구되는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과 규모를 가진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의 실천적 모형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전·충남의 시조 작가와 작품

        변승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jos and the autho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findings of Sijos in these regions are as follows: Out of total 183 Sijos, 174 works have been classified as short Sijos, and 9 as long Sijos. 25 authors have been found in the regions, most of whom lived in Chungnam. 14 authors among them were born in these regions with 116 sijos, whereas 11 writers with 67works lived actually here. The works have mostly been written from late Goryeo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Chungnam is the place where most Sijo writers wrote their works. Nonsan accounts for 3 writers ,while 7 writers are found in Hoehuk in Daejeon. In terms of the hometowns, there are 11 authors in total. In [Type 1], there are 6 writers in '寓居', 3 writers in '婚姻', and only one for '婚姻' and '本家' respectively. There are 7 regions where Sijos were written in terms of hometowns, 5 of which are located in Hoehuk, which is the highest number, leaving the rest area as 1 Sijo respectively. It has also been found that most writers who were mostly civil servants wrote around 10 Sijo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nfucian schola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have a lot of interest in Sijos as well as Chinese classics and there is a great potential to take advantage of the remains for cultural contents. From the analysis I conducted, I could find out that there are many Sijos and the write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further studies on individual Sijo writer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 본 연구는 대전·충남 시조의 작가와 작품을 살펴보고 의미를 밝혀보았다. 먼저 대전·충남 시조의 현황으로 총 작품 수는 단시조가 174수, 장시조가 9수로 총 183수다. 시조 작가와 작품 수는 총 작가는 25명이며 상당수가 충남지역이며 일부 대전지역 작가가 보인다. 한편, 대전·충남이 출생지인 경우는 14명에 작품 수는 116수이고 연고지인 경우는 11명에 67수이다. 다음으로 대전·충남의 시조 작가를 분석해 보았다. 시기별로는 고려 말부터 조선후기까지 두루 나타났으며 조선중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남지역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논산지역에서 3명이고 대전지역은 회덕에 7명의 작가가 보인다. 연고지를 분석한 결과 총 11명이 연고를 두고 있으며 연고의 형태는 ‘寓居’가 6명, ‘移徙’가 3명, ‘婚姻’과 ‘本家’가 1명씩 확인된다. 연고지는 7개 지역이며 회덕에 5명의 작가로 가장 많고 그 외는 한 명씩 확인된다. 한편, 작품 수는 대부분의 작가가 10수 이내로 창작하였다. 그리고 신분별로는 대부분 문신계층이며 일부 무신계층도 확인된다. 끝으로 대전·충남의 시조가 갖는 가치와 의미는 먼저 대전·충남지역의 儒學者들은 한학과 더불어 시조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으며, 시조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전·충남 시조는 상당수의 작가와 작품 수를 보이고 있다. 추후 논의를 통해 이 지역의 시조가 타 지역과 내용적으로 어떤 변별적 특징이 있는지 살피고 문화콘텐츠로서의 개발 가능성도 밝혀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