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찬인 ( Pak Chan 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인간은 태어나서, 살다가, 죽는다.”라는 단순한 생물학적 전기를 거부하는 데서 인문학은 출발한다. 즉 우리의 출생은 우리의 선택사항도 결정사항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삶에 대한 나의 책임, 당신의 책임, 우리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탄생 이후 우리 삶은 우리가 감당해야 할 사건이다. 여기에서 인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 나오고 인문학적 사유의 첫 번째 과제가 탄생한다. 인간이 잘나서가 아니라 인간이 자기 존재와 삶의 방식에 대해 지고 있는 책임을 생각하고 따지는 것이 인문학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말이다. 인간에 관한 사유와 실천으로서 인문학은 예술과 문화 등에 대한 무슨 고급 소양이나 교양 같은 것들을 스펙 쌓듯 쌓아가는 것을 능사로 하지 않는다. 인간에, 사회에, 역사와 문명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부단히 사유하고 그 중요성을 사회에, 사람들에게 부단히 환기시키는 것이 인문학의 책임이다. 인간에게는 `성찰`이라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성찰이란 뒤돌아보기이다. 잘 왔는지, 옆길로 새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되돌아보는 것은 미래를 내다보기 위해서이다. 그렇다. 인간의 성찰이란 뒤돌아보기(retrospection)이면서 내다보기(prospection)인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탁월성이기도 한데, 인간은 지금 여기에 매여 있으면서도 그 운명을 넘어 다른 것을, 여기 `너머`의 것을, 지금 `너머`의 것을, 보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다. 지금을 넘어 과거와 미래를, 여기를 넘어 다른 곳, 다른 세계, 즉 `저기`를 보는 것이다. 아니 단순히 보기를 넘어 여기와 저기를 연결시킨다. 이 연결이 바로 인문학적 상상력이다. 창의력을 통해 창조로 나아갈 수 있는 인간의 상상력,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를 드높이는 길, 공존의 정의와 타인의 고통을 흡수할 줄 아는, 공감능력을 가진, 아름다운 인간의 길을 인문학이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문학적 가치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유일한 조건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문학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추구하는 가치가 곧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우리 자신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Humanities depart from the rejection of the simple biological biography of "Man is born, living and dying." Our birth is not our choice or decision, but it does not mean to get a exemption of my responsibility, your responsibility, our responsibility for life. Our life after birth is an event we have to deal with. Here human responsibility for man comes out and the first task of humanistic reason is born. I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of humanities not to be humble but to consider and appreciate the responsibility that humans have for their being and way of life. As thoughst and practices on human being, the humanities do not advance the accumulation of specifics such as advanced literacy and culture of arts and cultur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ities to constantly consider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for human beings, society, history and civilization, and to constantly remind people of its importance to society. Human beings have a special ability of `reflection`. Reflection is a look back. It is looking back whether it came well or was not leaked to the side. But the aim of looking back is that it sees the future. Yes. Human reflection is both retrospection and prospection. This is also the excellence of the human being, who is now bound here, but has the special ability to see beyond that destiny, beyond that, beyond that now. It is beyond the present to see the past and the future, beyond this, another place, another world, that is, there. Actually, it simply goes beyond the view and links here and there. This connection is the humanistic imagination. Humanities should lead the way of a beautiful human being with human imagination that can go into creation through creativity, the way to enhance the value of humanistic imagination, to know a justice of coexistence, and a sympathetic ability to absorb the pain of others. In this sense, humanistic value is the unique condition that makes human beings human. In conclusion, humani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ir value to pursue is our own value as a human being.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문화주의적 교점 -딜타이(W. Dilthey)와 연관해서
송석랑 ( Suck Rang S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2
이 논문은 마음연구에 대한 현상학과 인지과학의 교점 내지 양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이상학적 인식론 내지 심리학의 한계를 초과하는 과학의 논리로써 마음을 탐구하며 인지과학의 한 요소가 된 ‘분석적 심리철학’은 심신이원성 혹은 자연주의적 환원성의 난제에 처한다. 계산주의의한계와 통하는 이 난제는 당대의 과학적 인지이론이 또 다른 철학, 즉 현상학을 찾는 계기가 된다. 최근의 논자들에 따르면, 거기에는 무엇보다도다음의 세 이유가 있다. (1)현상학은 인지과학의 외성주의적 접근이 처한 난국을 돌파하되, 내성주의에 기대지 않고 과학적 태도를 견지할 방법론을 제공한다. (2)현상학은 경험의 지향성으로써 “인지에 대한 신체화된 접근방법”을 제시, 인지과학자들을 괴롭혀온 심신이원성 혹은 환원성의 문제를 해소하며 인지과학의 지평을 확장한다. (3)뇌과학이나 신경과학의 실험에서, 현상학은 피실험자의 경험을 인지과학이 신뢰할 수 있는 수준에서 파악하게 해준다. 이 논문은 그러한 사안들을 딜타이의 해석학에서 유래한 ‘존재론적’ 문화주의를 매개로 살펴보는 가운데, 현상학과인지과학이 빚는 교점 또는 양립의 양상과 의의 및 한계를 고찰했다. This paper is an essay on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in researching for our mind.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d researched our mind by means of scientific logic that exceeds the limits of traditional theories of mind which are based on the metaphysical and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and then it become a part of cognitive science. However this analytic philosophy of mind has been in the difficult position of mind-body dualism or naturalistic reduction which such physicalistic materialism as functionalism and connectionism tend to show. This difficult position that opens into the limits of computational theory caused cognitive scientists to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henomenology in their studies, for it provides their studies with an effective way of getting away from the difficult. According to a recent study, for example, the work of Gallagher and Zahavi [《The Phenomenological Mind, 2008》], the reasons why cognitive scientists feel need of phenomenology to overcome the difficult are as fellows : (1) phenomenology provide a new methodology for cognitive scientists to take a way of studying on mind in the “experiential scientifically dimension” without resorting to old style introspectionist’s view of mind, (2) by giving the embodied approaches to cognition via “an explication of the intentionality of experience that stresses the co-emergence of mind and world and suggests an alternative to the standard choice between internalism and externalism”, phenomenology can be a new effective means of overcoming the Cartesian mind-body dualism that continued to torture the cognitive scientists like behaviorist or functionalist, (3) phenomenology offers dependable ways of figuring out conscious experience, and of designing the experiments to cognitive science, in study on mind relevant experimental science like neuroscience or science of brain. Elucidating these matters by through of ontological culturism which is derives from Dilthey’s hermeneutics, and implies an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of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this paper consider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as well as aspect of the intersection or compatibility which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make.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남진숙 ( Nam Jinsook ),이후경 ( Lee Huekyoung ),이임정 ( Lee Yim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실태 조사 분석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청소년 인문학 강좌에 대한 하나의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활성화 및 효과적인 운영 및 지원 방향성에 대해 제안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청소년 대상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및 방법 등 그 특징과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청소년 인문강좌는 크게 두 가지로, `찾아가는 인문`과 `찾아오는 입문` 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전자는 고등학교에 대학교 교강사를 직접 파견하여 일정기간 지속성을 갖고 문학, 예술, 역사 등 다양한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찾아오는 입문`은 동국대학교에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와서 예술, 과학, 철학, 역사, 문화 등 연속적으로 특강을 자유롭게 수강하는 형태로 희망 학생들을 받아 진행하였다. 이 두 강좌의 특징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요구와 참여에 의한 인문학 강좌라는 점과 연속성과 내용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강좌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다는 점에서 프로그램의 내실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인문학 강좌는 장기적으로 학교 `교육적 측면에서 인문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을 보완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에 대한 연구와 강좌 확대는 필수적이다. 청소년 인문학 강좌 역시 지속적이고 체계적이며, 일회성이 아니라 내실 있고 일관된, 그리고 인문학의 본 취지에 맞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관된 정책과 지원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일선 학교와 청소년들이 인문학에 대한 강좌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를 다 채워줄 수 없었다는 점 즉, 국가적 지원이 매우 적었다는 측면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인문학 교육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는 일반 시민인문강좌와 똑같이 생각할 수 없다. 인문학 강좌를 통해 인문학적 지식의 확장과 함께 그러한 사유를 통하여 친구, 선후배간의 관계 및 진로, 인성, 삶의 가치관을 키우고 정립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이는 청소년 인문학 강좌를 통해 거대 담론에 앞서 본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하나씩 인지하고, 더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on youth, humanities course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humanities courses. Also, it is the main purpose to propose the activation, effective operations and support direction of youth humanities courses. For this purpose, analysis were focused on the features and effects, and more information on the program through the case of citizen humanities courses, < Visiting Humanities (人文), coming introduction(入門) > targeting youth in 2015.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were largely conducted by configuring the visiting humanities and coming introduction in two ways. The former is a Humanities course that university lectures has dispatched directly to the high school a period of time and proceed humanities courses on various topic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programs. In case of coming introduction,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me directly to the Dongguk University and attended the classes such as art, science, philosophy, history, and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lasses can be a point of continuity and the diversity of the content, the humanities courses requir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courses was very high. In the long term, humanities course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that complement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al aspects. Expanding lectures and research on humanities courses for young people to do so are essential. Youth humanities courses have to be ongo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purpose of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To do so consistent policy and support should be premised, and then realistic financial support has to be made. Even though schools and young people had a lot of demands for humanities courses, it was hard to fill all those needs because the national support was not enough.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youth liberal arts education that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can not think the same way as ordinary citizens humanities courses. Through humanities courses youth are able to extend the humanistic knowledge and continue to grow friends, career, personality, values of life and so on. This is to ensure that youth has to aware of the problems what they are facing through the youth humanities course prior to the grand discourse and it can make them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ogram.
인문학 대중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시민인문강좌”를 중심으로-
진정일 ( Jeong Il 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우리사회에는 현재 인문학의 열풍이라 할 만큼 인문학을 주제로 한 각종 강의와 모임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다양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있으며, 많은 시민들이 이들을 통하여 인문학을 접하고 있다. 그동안 인문학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것은 대학의 철학과를 비롯한 각종 수행기관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시민인문강좌’라 할 수 있다. ‘시민인문강좌’는 2007년 정부 주도의 인문학 대중화 사업이 본격화 되면서 급격히 확대되었다. 그 결과 인문학의 대중화와 함께 계층 간·지역 간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는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인문학 콘텐츠가 개발되었다. 반면에 정부 지원에의 의존도가 증가하면서 성과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인문학 분야 학문 후속세대의 증가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의 학문적 본질과 그것이 실제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우리 사회에서 ‘시민인문강좌’의 필요성은 다양화되고 있다. 교육적으로는 인간다운 인간을 양성하는 활동으로서의 교육은 그 본성상 인문교육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교육체계를 갖추지 못한 우리 교육을 보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다문화시대에 나타나는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문화적 격차를 완화하여 소통과 공존의 계기를 제공할수 있다. 또한 현대인들에게 점증하고 있는 정신적 불안을 치유할 수 있는 치료적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는 민주시민의 양성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인문학의 대중화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인문학의 일상화를 이루어야 한다. Now, there is a craze for humanities in our society. Many lectures and gatherings dealing with the subject of humanities is held and a wide range of books is published. So now, more and more ordinary citizens are able to access to the humanities more easily through these lectures, gatherings, and books. It is clearly evident that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has been playing a important role in popularizing the humanities. Especially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has expanded rapidly since a government-led project to popularize the humanities started at 2007. Consequently, it contributed to popularizing the humanities, reducing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various classes and areas, and developing the various humanistic contents. But, as dependence on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ncreased, a trend that attaches importance to achievement is appearing in many institutions which are conducting this project. And the next generation of the humanities division is rather decreasing. But, considering the inward nature of the humanities and an its effect on our actually lives, it is obvious that the need of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is growing in various aspects of our society.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humanistic education for the citizen’ can supplement our school education. Because even though an education must be the activity that makes us human, our school education do not play a its role in this respect. With regard to culture, it enables us to understand manifold cultural differences in our society and to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t has the curative power to heal our mental anxiety symptoms which is developing gradually. Finally, it is able to contribute to cultivate citizens of a democratic country. Further more, in order to actualize these needs, we don’t have to content with the popularization of the humanities, but we must try to be routine for us to access to the humanities.
변승구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ijos and the autho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The findings of Sijos in these regions are as follows: Out of total 183 Sijos, 174 works have been classified as short Sijos, and 9 as long Sijos. 25 authors have been found in the regions, most of whom lived in Chungnam. 14 authors among them were born in these regions with 116 sijos, whereas 11 writers with 67works lived actually here. The works have mostly been written from late Goryeo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analysis, Chungnam is the place where most Sijo writers wrote their works. Nonsan accounts for 3 writers ,while 7 writers are found in Hoehuk in Daejeon. In terms of the hometowns, there are 11 authors in total. In [Type 1], there are 6 writers in '寓居', 3 writers in '婚姻', and only one for '婚姻' and '本家' respectively. There are 7 regions where Sijos were written in terms of hometowns, 5 of which are located in Hoehuk, which is the highest number, leaving the rest area as 1 Sijo respectively. It has also been found that most writers who were mostly civil servants wrote around 10 Sijo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t can be assumed that the confucian schola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have a lot of interest in Sijos as well as Chinese classics and there is a great potential to take advantage of the remains for cultural contents. From the analysis I conducted, I could find out that there are many Sijos and the writers i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 and further studies on individual Sijo writer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following research. 본 연구는 대전·충남 시조의 작가와 작품을 살펴보고 의미를 밝혀보았다. 먼저 대전·충남 시조의 현황으로 총 작품 수는 단시조가 174수, 장시조가 9수로 총 183수다. 시조 작가와 작품 수는 총 작가는 25명이며 상당수가 충남지역이며 일부 대전지역 작가가 보인다. 한편, 대전·충남이 출생지인 경우는 14명에 작품 수는 116수이고 연고지인 경우는 11명에 67수이다. 다음으로 대전·충남의 시조 작가를 분석해 보았다. 시기별로는 고려 말부터 조선후기까지 두루 나타났으며 조선중기에 가장 많이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충남지역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논산지역에서 3명이고 대전지역은 회덕에 7명의 작가가 보인다. 연고지를 분석한 결과 총 11명이 연고를 두고 있으며 연고의 형태는 ‘寓居’가 6명, ‘移徙’가 3명, ‘婚姻’과 ‘本家’가 1명씩 확인된다. 연고지는 7개 지역이며 회덕에 5명의 작가로 가장 많고 그 외는 한 명씩 확인된다. 한편, 작품 수는 대부분의 작가가 10수 이내로 창작하였다. 그리고 신분별로는 대부분 문신계층이며 일부 무신계층도 확인된다. 끝으로 대전·충남의 시조가 갖는 가치와 의미는 먼저 대전·충남지역의 儒學者들은 한학과 더불어 시조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로 개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으며, 시조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전·충남 시조는 상당수의 작가와 작품 수를 보이고 있다. 추후 논의를 통해 이 지역의 시조가 타 지역과 내용적으로 어떤 변별적 특징이 있는지 살피고 문화콘텐츠로서의 개발 가능성도 밝혀보고자 한다.
중소규모 대학의 학술적 글쓰기 교육 과정- 우송대 <대학글쓰기>를 중심으로
전대석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 writing education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colleges which aim to develop professional abilities with a focus on vocational education by exploring the purpose, procedures and contents of academic writing in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In 2020, WooSong University College of Liberal Arts newly established academic writing as a common subject required for basic liberal arts and operating it. It can be evaluated that such a great change in basic lib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in WooSong University depend on the authoriti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structure, as well as the key features of the mandatory general education course 'Academic Writing' at WooSong University, three years after its implementation. Through a reflective contemplation on the course, it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can be identified, allowing for the exploration of a practical and realistic writ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WooSong University and similar small to medium-sized universities with a similar character. To demonstrate this, we will first present an analysis of the theories and models regarding general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that WooSong University refered to or applied in order to establish the objectives of the 'academic writing' course. Then, we will briefly examin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tructure of WooSong University's 'academic writing' course to explain how the aforementioned theories and models on writing education were applied and modified. Lastly, we will summarize several aspects necessary for the 'academic writing' common course in WooSong University, which has achieved a relatively stable state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in order to enhance its substance. Through such discussion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practical models of writing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nd scale as WooSong University. 이 글은 우송대 <대학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목표, 과정 및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직업 교육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직업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대학의 글쓰기 교육의 한 모형을 탐색한다. 우송대 교양대학은 2020년에 <대학글쓰기>를 1학년을 대상으로 교양필수 공통 과목으로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우송대에서 이루어진 교양기초교육과 대학 글쓰기 교육의 이와 같은 큰 변혁은 대학의 결단에 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양필수 공통 교과가 시행된 지 3년이 지난 시점에서 <대학글쓰기>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과 구성 및 주요한 특징 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나름의 의미가 있다. 우송대의 <대학글쓰기> 교과목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성과와 한계를 확인하고, 그것에 의거하여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을 가진 중소규모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이고 현실적인 글쓰기 모형을 모색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보이기 위해 먼저 우송대가 <대학글쓰기> 교과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참고했거나 적용한 교양기초교육과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에 대한 분석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우송대의 <대학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구성을 간략히 살펴봄으로써 앞서 살펴본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이론과 모형 등이 어떻게 적용되고 변형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송대의 큰 결단에 의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갖춘 <대학글쓰기> 공통 교과가 더 내실을 기하기 위해 요구되는 몇 가지 내용을 정리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우송대와 유사한 성격과 규모를 가진 대학에 적용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의 실천적 모형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김홍대 ( Kim Hong-dae ),윤석진 ( Yun Suk-j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61 No.2
인류 과학기술 문명의 발전과 함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SF 콘텐츠의 본질과 특징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 등을 두 가지 층위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인류 문명의 발전과 SF 콘텐츠의 상관성, 장르로서 SF 콘텐츠의 범위와 문법적 특성, SF 콘텐츠가 세상의 변화를 담아내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둘째 과학 기술의 진화에서 비롯할 ‘기술적 특이점’ 이후의 인간을 넘어선 새로운 존재들의 세상으로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휴머니즘에 대한 사유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SF 콘텐츠는 문화인류학적 의미에서부터 형식적 요건으로서의 과학적 개연성, 수용자에게 의미감을 부여하기 위한 문법적 요소로서의 인지적 소격과 노붐(Novum), 과학 기술의 진보가 가져온 변화를 매개로 인문학적 담론을 표상하는 텍스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과학 기술의 상상적 구현과 표상으로서 SF 콘텐츠의 인문학적 의미와 기능을 재발견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the natur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examples of SF contents that are expanding their influence with the development of human science and technology civil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nd SF, the scope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SF as a genre, and the way SF deals with changes in the world were examined. It also examined the importance of thinking about humanism in the posthuman era as a world of new beings beyond humans after ‘Technical Singularity’, which will result from the evolu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F content is a text that represents humanistic discourse through changes brought about by cognitive alienation, labor, and technological progress as a grammatical element to give meaning to the recipient, starting with cultural anthropological mean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the humanistic meaning and function of SF content as an imaginary implem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역에 나타난 Make, Get, Take의 코퍼스 기반 연어 분석
송선화 ( Seon Hwa Song ),정양수 ( Yang Soo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4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외국어(영어)영역은 한국의 영어 교육에 미치는 역(washback) 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2000-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 영역에서 출제된 독해와 듣기 지문(대본포함)을 대상으로 코퍼스 분석을 하였다. 특히 고빈도 동사 중 탈어휘 동사, 즉 make, get, take에 대한 연어의 유형 및 빈도가 어떻게 나타나며, 분석한 용례에서 중심어는 어떤 의미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으로 어휘를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탈어휘 동사 make, get, take는 분석기준으로 제시한 연어 유형이 모두 나타났지만, 연어유형 별 비율에서는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탈어휘 동사 make, get, take 모두 ``verb + noun``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verb + adverb`` 유형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make, get, take가 탈어휘적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2001-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나타난 연어의 유형을 분류한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에 대한 교사의 연어지도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학습자들은 연어 학습에 있어서 연어가 가진 의미적 접근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collocation types of delexical verbs, particularly make, get, take appearing in the corpus of the Korean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y using a corpus analysis program, AntConc. With the target of the CSAT corpus, the researcher wanted to see the relative appearance of make, get, take in their lexical collocations: ``verb + noun, phrasal verb + noun, verb + adverb, noun + verb``.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ost frequent type was ``verb + noun`` and the least frequent type was ``verb + adverb``. Also, make showed the greatest frequency in the type of ``verb + noun``, take showed the greatest frequency in the types of ``phrasal verb + noun`` and ``verb + adverb``, and get showed the greatest frequency in the type of ``noun + verb`` compared to other two delexical verbs, respectively. Also it was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ach delexical verb varied from basic to idiomatic ex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collocation types of make, get, take frequently found in the CSAT to make students to possess a good understanding of using the delexical verbs. If students have a good collocation ability, this will lead students to have a great communicative competence.
이현중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4
우리는 오늘날을 통합과 융합이 필요한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말한다. 통합과 융합은 그것을 논하는 차원에 따라서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본고에서는 자연과학이 대상으로 하는 형이하의 차원과 달리 유불도 사상에서 제기하고 있는 형이상의 차원을 중심으로 통합과 융합 그리고 통섭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유불도의 관점에서 보면 세계는 無名, 無相, 空, 性命, 中道 등의 개념이 나타내듯이 有無를 초월하면서도 유무를 포괄한다. 이러한 세계의 특성을 두 측면에서 나타내면 無分別의 分別化와 分別의 無分別化이다. 『주역』에서는 분별의 세계로부터 무분별의 세계로 향하는 방향을 逆으로, 무분별의 세계로부터 분별의 세계로 향하는 방향을 順으로 규정하였다. 『정역』에서는 순을 倒生逆成으로 그리고 역을 逆生倒成으로 규정하여 양자를 生成의 관계로 밝히고 있다. 도역생성은 인간의 본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인간 본성은 역방향에서는 도착점이면서 순방향에서는 출발점이다. 그것은 인간의 본성을 통하여 세계가 현현되는 동시에 인간 본성에 의하여 세계가 창조됨을 뜻한다. 도역생성의 관점에서 통섭은 인간이나 세계 또는 학문의 문제가 아니라 차원(境界)의 문제이다. 물질의 차원에서 보면 통합이 필요한 다양한 세계이지만 성품의 차원에서 보면 하나의 다양한 드러남일 뿐이어서 본래 세계는 통섭되어 있다. 그리고 自在眼(佛眼)의 차원에서 보면 통합, 융합, 세분화와 합일이 자유롭다. 통합은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차원을 높여서 逆의 방향을 넘어섬으로써 그 어떤 차원에도 얽매임이 없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다. 통합이 이루어지면 順방향에서 상황에 따라서 다양하게 세계를 드러냄으로써 다양화, 전문화, 개체화가 이루어진다. 이처럼 통합을 바탕으로 한 새로운 개별화로서의 융합이 통섭이다. 인간은 본성을 마음을 통하여 지식으로 드러내고, 육신을 통하여 언행으로 드러낸다. 그러므로 인간의 본성을 바탕으로 학문을 할 때 비로소 물질의 세계, 마음의 세계, 의식의 세계 역시 회통하고 합일하는 통섭적인 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통섭은 인간 본성을 바탕으로 한 도역생성의 관점에서의 고찰이 필요하다. We say that today is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n integration and convergence are more necessary than ever before. Integration and convergence have diverse meanings depending on the dimensions in which they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meanings of integration, convergence, and consilience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metaphysical dimension raised by th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stead of the physical dimension addressed by natural science. When seen from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 world transcends while embrac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as shown by the concepts of anonymity, no phase, emptiness, life, and middle way.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ld can be characterized using two aspects: discrimination of indiscrimination and indiscrimination of discrimination. The 『Book of Changes(周易)』 defined the direction moving from the world of discrimination toward the world of indiscrimination as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moving from the world of indiscrimination toward the world of discrimination as the forward direction. The 『Book of Right Changes(正易)』 defined the forward direction as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倒生逆成) and the reverse direction as reverse and inverted generation(逆生倒成) thereby indica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rections is a relationship for generation.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倒逆生成) is achieved centering on human nature. Human nature is the destina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while being the departure point in the forward direction. This means that the world is incarnated through human nature while being created through human nature. From the viewpoint of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 consilience is not an issue of humans, the world, or studies but an issue of dimensions (boundaries). Although the world is diverse and must be integrated when seen from the dimension of materials, it is just one diverse manifestation when seen from the dimension of nature. Therefore, the world has been originally integrated. In addition, when seen from the dimension of the free eye(自在眼)(Buddha’s eye(佛眼)), the world can be freely integrated, converged, segmented, or united. Integration is reaching a state in which humans are not bound by any dimension as they raised their dimensions to surpass the reverse direction. When integration has been achieved, the world is diversely revealed depending on situations in the forward direction leading to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convergence as new individuation based on integration as such is consilience. Human nature is revealed by knowledge through minds and revealed by words and actions through the body. Therefore, the consilient relationships in which the world of materials, the world of minds, and the world of consciousness are converged and united are formed only when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human nature. Therefore, the consilience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inverted and reverse generation based on huma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