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동유럽내 CEEPUS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학 교육 현황-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경우
윤선영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학논집 Vol.0 No.77
The purpose of this presentation is to introduce the function of the CEEPUS (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 for University Studies) network for Korean studies. Thanks to this network, universitie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can upgrade their teaching offer with extra courses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resentation gives a brief description of such extra courses for students of Korean studies at the Department of East Asian Studies of the University in Austria. The Austrian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Research supports students and teach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obility program CEEPUS. The aim of the scholarship program is to strengthen academic cooperation. The following countries are participating: Albania, Austria, Bosnia-Herzegovina, Bulgaria, Croatia, Czech Republic, Hungary, Kosova, North Macedonia, Moldova, Montenegro, Poland, Romania, Serbia, Slovakia, and Slovenia. As for the network for Korean studies, the following universities are partners: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Sofia University (Bulgaria), Charles University Prague and Palacky University Olomouc (Czech Republic), Eötvös Loránd University Budapest (Hungary), University of Warsaw, Adam Mickiewicz University Poznan, Jagiellonian University Krakow, University of Wrocław (Poland), University of Bucharest and Babeș-Bolyai University Cluj-Napoca (Romania), Comenius University (Slovak Republic), University of Ljubljana (Slovenia), University of Pula (Croatia), University of Novi Sad (Serbia). CEEPUS gives teachers the chance to teach at other universities, supporting these “mobilities” with scholarships that cover expenses. Students benefit from the different and new input provided by these courses taught by teachers from abroad. CEEPUS offers also scholarships for students, but the presentation focuses on the impact of the exchange of teachers. 본 발표에서는 중-동유럽에 소재한 대학의 한국학 교육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me for University Studies (약자로 CEEPUS) 한국학 네트워크를 소개하고, 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 동아시아학 연구소내 한국학 전공 학생들에게 CEEPUS 네크워크를 통해 2019년 여름학기까지 제공된 한국학 강좌들을 간략하게 살펴보는데 의의를 둔다. 오스트리아 교육과학연구부처(Bundesministerium für Bildung, Wissenschaft und Forschung)가 후원하는 CEEPUS 교류 프로그램의 목표는 중부 및 동부 유럽 대학의 학생들과 교수진들의 학문적 협업을 지원하는 것이다. 루마니아, 몬테네그로,몰도바,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체코, 코소보, 크로아티아, 폴란드, 헝가리 등이 참여하고 있다. 한국학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있는 파트너 대학은 비엔나대학교 (오스트리아), 소피아 대학교(불가리아), 까를 대학교, 팔라츠키 대학교 (체코), 엘테대학교 (헝가리), 바르샤바 대학교, 아담 미츠키에비츠대학교, 야길론스키대학교, 브로츠와프대학교 (폴란드), 부카레스트 대학교, 바베시 볼리야이 대학교(루마니아), 코메니우스 대학교(슬로바키아), 류블랴나 대학교 (슬로베니아), 풀라 대학교(크로아티아), 노비사드 대학교 (세르비아)이다. CEEPUS는 교수진들이 체류비 부담없이 다른 대학에 가서 가르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학생들은 타대학 교수진의 강의를 통해 다양한 한국어문화 수업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누리고 있다. CEEPUS는 학생들에게도 장학금을 제공하고 있으나 본 발표는 교수진들의 강의 교류에 중점을 둔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본 고소설 희귀본의 가치와 고소설의 언어 의식
장요한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2 한국학논집 Vol.- No.8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alue and language consciousness of classical novels in Keimyung University Dongsan Library; Baejanghwahongyeonjyeon(「ᄇᆡ장화홍연젼」), Ihaeyongjyeon(「이ᄒᆡ용젼」), Gapjinnok(「갑진녹」). The classical novels and Hwajyeonga(「화젼가」) are rare editions that have not yet been revealed, and their literary value is valuable. This manuscript is presumed to have been transcribed in 1854, and is believed to be a very early manuscript among Korean manuscripts. On the other hand, linguistic features note the notation method and some grammatical phenomena. Although orthography and grammar tend to be very conservative, in terms of style, it is found that reveals the early stages of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of the native language and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이 글에서는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한글 고소설의 가치와 고소설에 담긴 언어 의식을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 검토한 고소설 3종 「ᄇᆡ장화홍연젼」, 「이ᄒᆡ용젼」, 「갑진녹」 3종과 규방가사 「화젼가」는 그 면모가 알려지지 않은 희귀본으로 서지학적 가치는 매우 높다. 이 한글 고소설은 1854년에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글 필사본으로는 매우 이른 시기에 필사된 선본으로 판단된다. 국어학적 특징으로는 표기와 몇몇 문법적 현상이 주목할 만하다. 특정 환경에서 ‘ㆍ’ 표기가 유지되거나 중철 표기가 나타나는 점, ‘ㅅ’계 합용병서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점, ‘-을’의 단순화 등이 확인된다. 표기나 문법은 매우 보수적인 경향을 띠고 있지만 문체적 측면에서는 자국어 의식과 언문일치 의식이 반영되는 초기 단계를 드러내는 면이 발견된다. 대화체의 직접 인용 형식이 등장하는 점과 단문 형식이 띠고 있는 점이 참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