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 경험

        박지수,황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4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nstrate the same abilities as experienced teachers without internships in teaching. The special education class is a limited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teaching expertise of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ing expertise in order for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o give effective les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on teaching expertise of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and to propose a foundation for providing appropriate support. For this study, three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interviewed each had three years or less working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t secondary schools and finally selected them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hange of teaching expertise was evaluated by session using special education instruction evaluation report, and the contents of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instructional consultations were collected.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was conducted by creating a lesson plan, conducting a compact lesson and instruction analysis, and then receiving group consulting from a experience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was analyzed by RM ANOVA,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eflective journals, interview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eaching expertise. In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the change in teaching expertise of the no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showed various positive effect demonstrated various positive results.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s` teaching expertise was found to be positive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lesson planning, learning evaluation and reflection of instruction, teaching practice, student behavior support, and teaching media use. In addition, the novice special education class teacher has been able to execute structured lessons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ing using microteaching experience. 초임 중등특수교사는 수업에 대한 충분한 연습과 경험 없이 교육현장에 배치되어 경력교사와 동일한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특수학급은 초임 중등특수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는 제한적인 환경이다. 일반적으로 초임 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선배 교사나 동료 교사의 모델링, 수업관련 협의 등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수학급을 운영하는 초임 중등특수교사는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이 구조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이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기반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수학급에 발령받은 3년 이하의 신규 중등특수교사를 섭외하였고, 마이크로티칭의 수업컨설팅은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여 압축수업을 계획하고, 수업을 실시하여 분석한 후 컨설턴트로부터 그룹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수업컨설팅을 통해 6회의 수업을 평가하여 그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반성적 저널, 면담, 수업컨설팅의 내용을 수집하여 질적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이크로티칭을 통한 수업컨설팅은 초임 중등특수학급교사의 수업전문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였다. 또한 특수학급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근무하는 초임 중등특수교사에게 컨설턴트의 조언과 동료 교사와의 상호작용 및 자기반성적 성찰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구조화 된 수업을 실행하도록 도움을 주었으며 교수․학습과정의 이론적 지식을 실천적 지식으로 전환하여 수업전문성을 향상시켰다.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교직헌신도의 관계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를 조사하여, 향후 특수교사의전문성 확보와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에 실천적 지식과 심리적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내 8개의 공·사립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중인 특수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헌신도와 학생헌신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동적 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능동적 교직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와 하위변인인 학생헌신도, 수업헌신도, 직무헌신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수교사의 교직헌신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교직선택 동기 중 능동적 선택 동기 요인에 따라 교직헌신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며, 특수교육과 관련된 많은 정책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인 특수교사의 심리적 특성인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변인임을 감안하여, 특수교사의 직전 교사교육과 현직 교사교육에 지원하고 반영해야 할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arrange practical knowledge and psychological strengthening plan for special school teacher`s training regarding certain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improvement with a research of a rela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s` commitment. First,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by gender, the passive motivation and economic motivation wer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nd the active motivation wa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commitment to teaching by gender, it was general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ag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s well, i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commitment for students, it appears that 20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0s and 40s. Moreover,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careers, th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active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and whole motivations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ut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over 16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passive motivation. Furthermor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6 to 10 have shown highest on the commitment for the students, and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shown highest o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whole commitment to teaching. However commitment for classes didn`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y careers. Second, it appeared that the specia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an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e active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the special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teaching have influenced commitment to teaching with commitment for students and classe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active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expecting the special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 KCI등재

        중학교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부모상담 경험

        이미숙 ( Lee Mi-suk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7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장애학생 부모와의 부모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수교사로서 경험한 장애학생 부모상담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9명의 특수교사가 참여하였으며, 자료수집과 자료분석은 질적연구 접근법에 토대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부모상담은 비공식적이고 비형식적인 연락이 주를 이루고, 가정방문이 이루어지며, 개별화교육계획 회의가 주요한 상담의 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부모상담을 위해 교사가 부모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부모와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모상담에 대한 스스로의 지침에 토대해서, 특수교사는 교사로서의 자존심이나 권위를 내세우지 않고, 부모상담시 학생의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 측면을 먼저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의 부모상담에서 나타난 부모 유형은 협력적인 부모, 무관심한 부모, 숨기려는 부모, 대하기 어렵고 힘겨운 부모, 그리고 장애인 부모였다. 결론: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보다 나은 부모상담이 되기 위해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부모상담에 대한 교사교육 또는 교사연수, 교사의 상담능력을 뛰어넘는 상담에 대해서는 전문상담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해결, 그리고 교사와 부모의 신뢰 쌓기를 우선적으로 언급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arent consultation through the experiences of consult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ult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thod: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parent consultation, and what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 consultation were. The study included 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based on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 consult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usually informal, included home visiting, and was held as the meeting of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sisted that the basic of parent consultation was listening the stories of the parents, and it is needed to sustain the dista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the types of parents included incorporated parents, indifferent parents, dissimulative parents, difficult parents, and parents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Finall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ntione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in-service training regarding parent consultation, the liaison between school and professional counseling agency, and the 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의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백수진 ( Paik Su-jin ),안성우 ( Ahn Seoung-woo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들이 장애아동을 위한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부산과 천안 소재 대학교 사범대학에 다니는 학생 126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2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으로 빈도분석과 카이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해서는 예비교사보다 예비특수교사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며, 궁극적으로 장애인의 자립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장애인 평생교육 프로그램 기획시 예비교사와 예비특수교사 모두 직업능력 향상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예비교사는 직업능력 외에 기초문해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예비특수교사는 문화예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구대상자 모두 장애인 평생교육은 혼합형태로 운영될 필요가 있겠다고 답하였지만 예비교사는 혼합형태 외에 특수한 형태인 평생교육이, 예비특수교사는 통합된 평생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예비교사 및 예비특수교사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의 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wareness of the disabl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on preservice general teachers and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are 126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the University of Pusan and Cheonan, a school of education. The study administrated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which was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tes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articipant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lifelong learning. Preservice teachers thought that basic literacy education was important besides vocational ability. The preservice teachers thought a special form is also important for the disabled while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ought that integrated form is also important for them.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ese findings for lifelong education of the disabilities, an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중 특수교사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실태에 관한 연구

        장민정 ( Min Ting Zhang ),정재권 ( Jae Kweon Ch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4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특수교사의 여가활동과 생활만족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중국과 한국 각각 146부씩 총 29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s Ver. 1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과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ㆍ중 양국 간 특수교사들의 여가활동 실태에 차이가 있다. 한국특수교사가 중국특수교사보다 여가활동을 위한 교습을 받은 경험과 휴일 여가활동 시간이 더 많고 중국특수교사가 한국특수교사보다 한 달에 사용하는 여가활동 비용이 좀 더 많다. 둘째, 한ㆍ중 양국 간 특수교사들의 생활만족도 실태에 차이가 있다. 의식주, 일(직업), 경제, 사회생활과 여가생활, 행복감, 자율성과 자아감 영역에서 중국특수교사가 한국특수교사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 및 정신건강 영역에서 한국특수교사가 중국특수 교사보다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carried out doing surveys on 292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their resort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The goal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resort activities. Secon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life-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resort activities.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less training for resort activities contrast to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but they had a lot more expenses using per month during resort activities. And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more resort activity time on day off. Second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life satisfaction.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lot higher satisfaction on their food, clothing and shelter. Whereas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lot higher satisfaction on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while analysing the 5 categories of work, economic, social-life and resort activities, happiness, ego and autonomy it showed that Chine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er satisfactions than Kore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유치원 통합학급 교사들의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인식과 경험 탐색

        안태진,노진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논집 Vol.28 No.2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통합학급에서 근무하는 교사들의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인식과 실제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반구조화된 면담지를 제작하였으며, 이후 남성 유아특수교사와 통합학급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교사 6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시행한 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해서 면담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자들은 남성 유아특수교사가 여성 유아특수교사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교육과정을 거쳐서 양성되었기에 유아특수교사로서의 적합한 역량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협의회 시간에 여성과 다른 관점을 제공하며 물리적 힘이 필요한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남성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지원에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하였다. 이는 체력적 강점을 활용한 신체활동 지원, 양성평등 교육, 현장 체험학습 및 교내 체험활동 지원, 장애 이해 교육 등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하지만 특수교육대상 여아의 신변처리 문제에서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전반적으로 참여자들의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이었지만, 특수교사의 역량에는 성별보다는 개인의 경력과 특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 요구가 제안되었는데, 이에는 화장실 및 휴게실 설치와 소수인 남성 유아특수교사를 위한 연수나 모임의 활성화 등이 언급되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남성 유아특수교사에 대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남성 유아특수교사의 역할을 강화하고 그들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근거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직업 및 역할 정체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박지수,황순영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ir profession and rol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in their working condition. To do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it was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ntity of profession and rol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generally positive. In sub-question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 positive perception that they would develop through their profession, while they showed a low perception slightly regarding promotion.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y were doing well in their own roles through sufficient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recognized that it was important to create a teaching environment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regarding differences in working condition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rofession and role identity according to class type. However, as for the sub-items, special school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ly perception about promotion in profession identity, and personal development was perceived more positively by special class teachers. And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e professional identity. However, There was a statisti 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the identity of the role. Especially, in the sub - questions about more positively their profession ident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perceived about the efforts to the school administrators. In the role identit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high school showed the most positive. Among the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in the effort of the school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positively about profession as well as role. In addition, we discussed about how to increase professionaliz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supporting ways differences of their identity percep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cond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가 자신의 직업 및 역할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자신의 근무환경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 특수교사 23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t-검증 및 ANOVA분석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수교사들의 직업 및 역할에 대한 정체성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그 중에서도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특수교사는 자신의 직업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할 것이라는 긍정적 인식을 보여준 반면, 승진과 관련한 부분에서는 다소 낮은 인식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과 충분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며, 질 좋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교직 환경을 조성하는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근무환경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급유형에 따라서는 직업 및 역할 정체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하위문항을 살펴보면, 직업정체성에서 승진에 대해서는 특수학교 교사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개인의 성장은 특수학급 교사들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급에 따라서는 직업정체성에는 집단 간 차이는 없던 반면 역할에 대한 정체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특히, 직업에 대한 정체성을 묻는 하위문항에서는 관리자에 대한 노력을 초등특수교사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역할 정체성에서는 수업과 관련 된 문항에서 고등특수교사들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 중 관리자에 대한 자신의 노력에서는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들이 직업 및 역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특수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라 정체성 인식이 다소 다른 부분을 바탕으로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후보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수업장학의 실태와 개선을 위한 제언

        임미빈,박승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1 특수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teachers’ perceptions,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of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n genera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supervision, teachers’ perceptions of implementation levels and need levels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A total of 100 teachers’ responses to the survey were analyzed with means and SDs of each area and each item of teaching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36 teachers among 100 teachers did not have any teaching supervision opportunity during one and a half year. Most of those 64 teachers who had at least one chance of teaching supervision received the teaching supervision from their school administrators. Utility levels of teaching supervis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were low. The levels of implementation of four areas and three steps of teaching supervision were low while the needs for implementing those areas and steps were high. Improvemen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identified by those 64 teachers were (1) at least once a year teaching supervision; (2) as a teaching supervis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were wanted; (3) as the priority credential requirements of teaching supervisor were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in special education.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for the most appropriate and effective teaching supervision for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were finally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초등학교의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리고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의 개선 요구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수학교 여건과 비교할 때 수업장학에 대한 기회가 미흡한 일반 초등학교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게 제공된 수업장학 실태와 그 문제점을 밝히고 제도적인 수업장학 제공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보다 실효성 있는 수업장학의 내용 및 절차 개발을 촉구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중 교직 경력이 3년 이하의 초임 교사 174명 전수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초임 특수학급 교사 100명 중 최근 1년 반 동안 수업장학을 제공받지 못한 교사는 36명(36%)이었다. 수업장학을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64명 교사들 응답에 의하면,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전체의 42%가 교장·교감, 21%가 연구부장 교사였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의 실행도는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필요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수업장학의 3단계별 실행도와 필요도에서는 계획수립 단계가 수업관찰과 분석 단계와 결과 협의 단계보다 저조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로는 교사의 57.8%가 1년에 1회의 수업장학을 제공받기를 원하였으며 가장 희망하는 수업장학 제공자는 특수교육 전문성을 지닌 경력 5년 이상의 특수교사였다. 수업장학 제공 요건으로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을 최우선으로 지적하였다. 끝으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교직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특수교육대상 학생에게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장학 제공과 적합한 수업장학 방법의 필요성과 그 함의가 논의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교육청 수준 및 교육과학기술부 차원에서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전문적 수업장학을 제공할 수 있는 행정적 방침과 절차, 초임 1년차 특수학급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 학교관리자나 장학사의 특수교육 전문성 고양의 필요성, 특수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업장학 제공자의 수급 과제 등을 포함한 제도적 장치 수립의 필요성을 강력히 제기하였다.

      • KCI등재

        유아특수교사의 교직윤리강령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교직윤리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현숙,이병인,황인영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9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explore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s teachers on teaching eth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ode of ethic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various areas. As a result, four topics and 20 sub-concepts were derived. Firs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sought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to individual needs in anticipation of the potential of infants and toddlers with special needs. Seco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should support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o understand the ways of raising the children and their positive changes. Third,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ieved that there were not enough policy or research on the special education field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have the right educator and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the previous education. Fourth,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a “devotion” as a teacher and also as seeders, they should provide diverse experience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special needs, They also said that regular young children should constantly reflect on and maintain their right attitude toward peer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eaching ethic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th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eaching ethics”. 본 연구는 교직 윤리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인식을 탐색하고, 이후 유아특수교사의 윤리강령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양한 지역과 경력의 유아특수교사들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주제와 24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잠재력을 기대하며 개별적인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이들이 가진 장점을 강화하는 대안적 방법을 가르쳐 독립적인 사회구성원이 되길 희망하였다. 둘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의 가족을 지원해야 하고, 가족들은 양육 방법과 자녀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해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특수교사들은 유아특수교육 현장에 대한 정책이나 연구가 미비하며, 직전 교육에서 올바른 교육관과 장애인관을 가질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유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유아를 가르치는 자로서 소명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 초기를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특수교육대상유아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일반유아들이 올바른 장애인관을 가질 수 있도록 끊임없이 반성과 자기계발을 지속해야 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특수교사의 교직 윤리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에 유아특수교사들의 교직 윤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유아특수교사를 위한 교사 강령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배경변인별 교사효능감 특성 연구

        김남진 ( Nam Jin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1

        교사효능감에 대한 관심과 특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는 교사효능감과 특수교육 관련변인들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을 활성화시켰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에서 특수학급이 차지하는 양적인 중요성 그리고 특수학급 입급 학생들에 대한 특수교육 서비스의 제고를 위해서도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사효능 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학력, 경력, 연령 등과 같은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전국 336명의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효능감검사지를 이용하여 교사효능감 특성을 연구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사효능감은 중간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도 높다. 경력은 교사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으나 연령, 학력과의 상로작용효과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난다. 교사효능감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 중 자신감 요인이 가장 높고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낮다. Concern for teacher-efficacy and shift of special education`s paradigm are activated the study of relation between teacher-efficacy and special education`s factors. But in our country, the study of teacher-efficacy of special class teachers must be followed regard to amount of special class numbers, raise to special education service.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teacher-efficacy by an academic career, an age, etc. To do this 344 teachers were selected and sent paper. the 336 papers were returned and analysed in terms of method, subjects of research, and topic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Teacher-efficacy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caher is around the middle. And the older the age, the higher the academic career, teacher efficacy of special class teacher is high. Though a career don`t affect teacher-efficacy directly, the difference is revealed by reciprocal relation between age and academic care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